KR20020033330A - 광대뼈 절골용 톱날 - Google Patents

광대뼈 절골용 톱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330A
KR20020033330A KR1020000064021A KR20000064021A KR20020033330A KR 20020033330 A KR20020033330 A KR 20020033330A KR 1020000064021 A KR1020000064021 A KR 1020000064021A KR 20000064021 A KR20000064021 A KR 20000064021A KR 20020033330 A KR20020033330 A KR 20020033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kbone
osteotomy
pair
saw blade
ar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051B1 (ko
Inventor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이재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0-0064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051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화 filed Critical 이재화
Priority to AT01965725T priority patent/ATE538732T1/de
Priority to US10/399,270 priority patent/US7322985B2/en
Priority to PCT/KR2001/001504 priority patent/WO2002036023A1/en
Priority to CNB018181619A priority patent/CN1213700C/zh
Priority to JP2002538837A priority patent/JP3899025B2/ja
Priority to EP01965725A priority patent/EP1330191B1/en
Priority to AU2001286296A priority patent/AU2001286296A1/en
Publication of KR2002003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051B1/ko
Priority to HK04105249A priority patent/HK1062261A1/xx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61B17/14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with cutting edges at the side of the saw blade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두개골 좌,우측 의 절골폭을 일치시키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2)의 조오에 물릴 수 있는 장착단부(12)로부터 아암부(14)가 길게 연장되고, 이러한 아암부(14)의 단부에 소정 폭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날부(16)(18)가 다시 연장되며, 상기 각 날부(16)(18)의 일측 선단부에 다수의 톱니가 연속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대뼈 절골용 톱날{teeth of a saw for cut off the cheek bones}
본 발명은 광대뼈 절골용 톱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광대뼈의 성형외과수술을 위해 쓰이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광대뼈는 두개골의 일부로서 눈꼬리 밑 부분으로 내밀어진 부분을 지칭하는데, 주로 동양의 북방계 인종들이 두드러지게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 정도에 따라 개인의 인상을 결정짓게 되며, 특히 광대뼈가 정상인과 달리 기형적으로 생긴 얼굴은 본인을 비롯한 타인에게도 혐오감을 주게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광대뼈의 돌출 정도에 따라 성형외과적 수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는데, 이를 위한 수술도구로는 의료용 전동기구와 이에 장착되는 톱날이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광대뼈를 절골하고자 할 때에는 광대뼈의 가장 약한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절골하게 되는데, 수술전 절골하고자 하는 부위와 크기를 미리 설정한 후 전술한 수술도구를 이용하여 광대뼈 절골수술이 시행된다.
한편, 상기 톱날은 도 1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50)의 조오에 결합되는 장착단부(52)로부터 아암부(54)를 길게 연장시키고, 이러한 아암부(54)의 단부에 날부(56)가 일체로 연장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날부(56)의 일측 선단부에는 다수의 톱니가 연속적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 톱날은 그 장착단부(52)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50)에 결합되어, 그 아암부(54)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하여 전동기구(50)가 작동하게 되는데, 전술한 전동기구(50)는 절개된 피부를 통해 삽입되어 광대뼈 주변의 위치에서 상기 날부(56)가 배치되도록 하여, 톱날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광대뼈의 소정 부분이 절골되도록 한다.
또, 1차 절골된 위치에서 이미 설정된 절골부의 폭에 따라 상기 날부(56)를 다시 위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톱날을 직선왕복운동시킴으로써, 광대뼈 소정 부위가 절취되는 것이다.
이때 광대뼈의 돌출정도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특히 미용성형술에 있어서는 광대뼈 절골부가 좌, 우측이 동일한 크기로 절취되는 것이 수술후에 자기가 원하는 얼굴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절골된 절골부를 광대뼈 내측으로 밀어 넣고 수술부위를 봉합하게 되어 광대뼈의 돌출 정도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광대뼈 절골용 톱날은 먼저, 절골하고자 하는 뼈의 일측을 절골한 후 이미 설정된 절골폭에 따라 이웃하는 절골부위를 절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절골수술의 대부분이 의사들이 눈대중으로 그 크기를 설정하여 절골하게 되는 정밀한 수술이 요구됨에 따라 수술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수술시 피부의 간섭으로 인해 시야확보가 어려워 광대뼈의 양측이 대칭되도록 절취하는 수술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뼈의 일정부위를 절골하는데 있어서, 광대뼈의 좌, 우측을 대칭되도록 절골할수 있게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뼈의 절골부를 동일한 크기로 한번에 절골할 수 있어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술후에도 자기가 원하는 얼굴형태를 가질 수 있어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성형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절골용 톱날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은 종래의 성형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이 전동기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대뼈 절골용 톱날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광대뼈 절골용 톱날이 작동장치에 물린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대뼈 절골용 톱날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대뼈 절골용 톱날의 구조 및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상태의 일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절골용 톱날을 이용하여 광대뼈 절골수술이 시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12 : 장착단부
14 : 아암부 16, 18 : 날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에 형성된 조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단부로부터 아암부가 길게 연장되고, 상기 아암부의 전단부에 소정 폭을 갖는 한 쌍의 톱니가 형성된 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아암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날부는 상기 아암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날부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쌍의 날부중 일측날은 상기 아암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날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아암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날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가 상기 날부 중앙에 끼워져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수술전 미리 설정되는 절골부의 크기에 따라 톱날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한 아암부 단부와 이러한 아암부 단부 양측에 연속하여 물린 상태로 배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채용된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 및 한 쌍의 날부에 상응되는 위치로 뚫린 구멍들을 그 나사단이 관통하게 되는 볼트와, 이와 같은 볼트의 나사단 단부로부터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톱날은 도 3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외과용 전동기구(2)에 물릴 수 있는 장착단부(12)로부터 아암부(14)를 길게 연장시키고, 이러한 아암부(14)의 단부에 소정 폭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날부(16)(18)가 다시 연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날부(16)(18)의 일측 선단부에는 다수의 톱니가 연속적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톱날은, 그 장착단부(12)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2)에 물려 그 아암부(14)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하여 직선왕복운동됨으로써, 절개된 피부를 통해 광대뼈 주변의 위치에서 상기 날부(16)(18)가 배치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톱날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광대뼈의 소정 부분이 절골하여 절취된다.
또, 이러한 절골톱날은 광대뼈의 절골크기를 좌,우측 대칭되는 폭으로 각각 1회 시술이 가능하며, 이로써 광대뼈는 함몰된 위치로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접골이 완료됨으로써, 광대뼈의 돌출 정도를 간편하게 교정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한 쌍의 날부(16)(18)가, 상기 아암부(14) 단부 양측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다수 간격조절부재(S1)∼(S4)에 의해 서로의 폭이 조정될 수 있는 상태로 이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아암부(14) 단부 양측면과 상기 다수 간격조절부재(S1)∼(S4)들의 일측면에, 그 각각의 양측 선단부위로 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와 같은 각 쌍의 턱 사이로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한 다수 간격조절부재(S1)∼(S4)들의 타측면에 돌출단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1점의 위치에서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아암부(14)의 단부와 다수 간격재(S1)∼(S4) 및 한 쌍의 날부(16)(18)가 체결되더라도 한 쌍의 날부(16)(18)가 아암부(14) 단부 위치에서 회동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로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30)와 너트(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가은 볼트(30)는 상기한 아암부(14) 단부와 이러한 아암부(14) 단부 양측에 연속하여 물린 상태로 배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채용된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S1)∼(S4) 및 한 쌍의 날부(16)(18)에 상응되는 위치로 뚫린 구멍(H)들을 그 나사단이 관통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32)는 상기 볼트(30)의 나사단 단부로부터 체결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재(S1)∼(S4)를 채용하지 않게 되었을 때 한 쌍의 날부(16)(18)는 그 장착부가 아암부(14) 단부 양측의 턱 사이로 각각 끼워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아암부(14) 단부 및 한 쌍의 날부(16)(18)에 뚫린 구멍(H)으로 볼트(30)의 나사단이 관통되도록 한 다음, 이러한 볼트(30)의 나사단에 너트(32)를 체결시킴으로써, 한 쌍의 날부(16)(18)는 최소한의 폭이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상태로 아암부(14) 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아암부(14) 단부의 양측으로 한 쌍의 날부(16)(18)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부재(S1)∼(S4)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날부(16)(18)가 서로 이격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절골 및 절취되는 광대뼈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7에서와 같이 의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기존에 사용되는 성형외과 수술용 톱날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함으로서 인간이 아름다워 지고자 하는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정상인과 다른 기형적인 얼굴을 가진 사람에게도 이러한 성형외과 수술용 기구를 이용하게 됨으로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뿐아니라 수술에 대한 후유증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광대뼈 절골용 톱날은, 두개골 양측에서 각각 한번의 절골술로 광대뼈의 절골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여 광대뼈의 돌출 정도를 쉽게 교정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일정한 절취폭으로 단번에 절골되도록 하여 좌,우 절골폭의 일치 곤란을 해소할 수 있게 되도록 한다는데 그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성형외과 수술용 전동기구에 형성된 조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단부로부터 아암부가 길게 연장되고, 상기 아암부의 전단부에 소정 폭을 갖는 한 쌍의 톱니가 형성된 날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 쌍의 날부(16)(18)가,
    상기 아암부(14) 단부 양측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다수의 간격조절부재(S1)∼(S4)에 의해 서로의 폭이 조정될 수 있는 상태로 이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14) 단부 양측면과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부재(S1)∼(S4)들의 일측면에, 그 각각의 양측 선단부위로 한 쌍의 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와 같은 각 쌍의 턱 사이로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간격조절부재(S1)∼(S4)들의 타측면에 돌출단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한 아암부(14) 단부와 이러한 아암부(14) 단부 양측에 연속하여 물린 상태로 배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채용된 하나 이상의 간격조절부재(S1)∼(S4) 및 한 쌍의 날부(16)(18)에 상응되는 위치로 뚫린 구멍(H)들을 그 나사단이 관통하게 되는 볼트(30); 및
    상기한 볼트(30)의 나사단 단부로부터 체결되는 너트(3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뼈 절골용 톱날.
KR10-2000-0064021A 2000-10-30 2000-10-30 광대뼈 절골용 톱날 KR100397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21A KR100397051B1 (ko) 2000-10-30 2000-10-30 광대뼈 절골용 톱날
US10/399,270 US7322985B2 (en) 2000-10-30 2001-09-06 Surgical saw for cutting off cheek bones
PCT/KR2001/001504 WO2002036023A1 (en) 2000-10-30 2001-09-06 Surgical saw for cutting off cheek bones
CNB018181619A CN1213700C (zh) 2000-10-30 2001-09-06 切割颊骨的外科锯
AT01965725T ATE538732T1 (de) 2000-10-30 2001-09-06 Chirurgische säge zum abschneiden von wangenknochen
JP2002538837A JP3899025B2 (ja) 2000-10-30 2001-09-06 頬骨切断用鋸
EP01965725A EP1330191B1 (en) 2000-10-30 2001-09-06 Surgical saw for cutting off cheek bones
AU2001286296A AU2001286296A1 (en) 2000-10-30 2001-09-06 Surgical saw for cutting off cheek bones
HK04105249A HK1062261A1 (en) 2000-10-30 2004-07-19 Surgical saw for cutting off cheek b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021A KR100397051B1 (ko) 2000-10-30 2000-10-30 광대뼈 절골용 톱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330A true KR20020033330A (ko) 2002-05-06
KR100397051B1 KR100397051B1 (ko) 2003-09-02

Family

ID=3628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021A KR100397051B1 (ko) 2000-10-30 2000-10-30 광대뼈 절골용 톱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22985B2 (ko)
EP (1) EP1330191B1 (ko)
JP (1) JP3899025B2 (ko)
KR (1) KR100397051B1 (ko)
CN (1) CN1213700C (ko)
AT (1) ATE538732T1 (ko)
AU (1) AU2001286296A1 (ko)
HK (1) HK1062261A1 (ko)
WO (1) WO20020360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6784A1 (en) * 2002-07-11 2004-01-22 Hee-Young Lee Surgical saw system for non-dissection type osteotomy through stab inci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051B1 (ko) * 2000-10-30 2003-09-02 이재화 광대뼈 절골용 톱날
US8100823B2 (en) 2002-09-27 2012-01-24 Surgitech, Llc Surgical file system with a visualization instrument
AU2003283978C1 (en) 2002-09-27 2010-01-21 Surgitech, Llc Shielded reciprocating surgical file
US7615618B2 (en) * 2004-06-30 2009-11-10 Alnylam Pharmaceuticals, Inc. Oligonucleotides comprising a non-phosphate backbone linkage
US20060015128A1 (en) * 2004-07-13 2006-01-19 Mike Fard Surgical devices and method for skin removal
US7572260B1 (en) * 2005-06-06 2009-08-11 Nelson Chris L Orthopedic surgical device for simultaneous bone removal on both sides of a fixation pin
CN100423698C (zh) * 2005-06-23 2008-10-08 西安三才电子有限公司 颌面外科电动往复锯
US9533301B2 (en) * 2007-08-02 2017-01-03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Mechanical cell wounder device and related method
CN102711671B (zh) * 2009-05-29 2017-07-28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用于执行膝关节成形术的方法和器械
US8206392B2 (en) 2009-10-21 2012-06-26 Synvasive Technology, Inc. Surgical saw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814872B2 (en) * 2010-03-16 2014-08-26 Arthrex, Inc. Double row keel cut saw blade
USD716944S1 (en) 2011-08-03 2014-11-04 Synvasive Technology, Inc. Surgical saw blade hub
US8858559B2 (en) 2012-02-06 2014-10-14 Medtronic Ps Medical, Inc. Saw blade stability and collet system mechanism
CN106061419B (zh) * 2013-12-23 2020-09-11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骨科驱动器器械及生产方法
US10421200B1 (en) * 2016-06-16 2019-09-24 Alan Schuster Convertible knife
US20240024971A1 (en) * 2022-07-20 2024-01-25 Russell Harris Walker Gap cutting double blade reciprocating saw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71745C (de) * 1933-03-09 Walther Foerster Dr Elektrisch angetriebene Kreissaege zur chirurgischen Behandlung von Knochenbruechen
US2179250A (en) * 1937-03-31 1939-11-07 Aloe Co As Bone saw
US2234242A (en) * 1937-10-09 1941-03-11 Russell B Kingman Culinary tool
US2396443A (en) * 1944-08-03 1946-03-12 Singer Henry Multiple slicing device
US2669267A (en) * 1951-04-06 1954-02-16 Miller Edward Handsaw with parallel blades
US3045348A (en) * 1960-10-05 1962-07-24 Dungan Arthur Meat tenderizer
US3488843A (en) * 1967-11-15 1970-01-13 Camson Mfg Co Hand cutting tool with means to support a plurality of blades and means to hold a single blade in a cutting position
US4036236A (en) 1975-10-06 1977-07-19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saw
USH571H (en) * 1986-02-20 1989-02-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ouble-bladed, water-cooled attachment for surgical bone cutting saw and method for using and assembling the same
US5087261A (en) * 1988-03-21 1992-02-11 Mit Ab Saw-blade for sawing living human bone
EP0517529A3 (en) * 1991-06-07 1993-03-17 Kiyoshi Inoue Jawbone cutting tool and apparatus
US5423825A (en) * 1992-06-10 1995-06-13 Levine; Andrew S. Spinal fusion instruments and methods
ATE185055T1 (de) * 1993-08-03 1999-10-15 Ricana Ag Sägeblatt für oszillierend oder rotierend ausgeführte trennschnitte
US5586842A (en) * 1994-05-03 1996-12-24 Bae; Tae H. File grinder
EP0853464A4 (en) * 1995-09-18 2001-02-07 Exactech Inc OSCILLATING SURGICAL SAW WITH BALANCING WEIGHT
US6887250B1 (en) * 1996-09-12 2005-05-03 Douglas B. Dority Multiple bladed surgical knife and method of use
US6007541A (en) * 1998-01-09 1999-12-28 Midas Rex, L.P. Dual-bladed reciprocating bone saw
KR100397051B1 (ko) * 2000-10-30 2003-09-02 이재화 광대뼈 절골용 톱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6784A1 (en) * 2002-07-11 2004-01-22 Hee-Young Lee Surgical saw system for non-dissection type osteotomy through stab inc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24405A1 (en) 2004-02-05
EP1330191A4 (en) 2008-12-10
CN1213700C (zh) 2005-08-10
EP1330191A1 (en) 2003-07-30
AU2001286296A1 (en) 2002-05-15
JP3899025B2 (ja) 2007-03-28
KR100397051B1 (ko) 2003-09-02
ATE538732T1 (de) 2012-01-15
WO2002036023A1 (en) 2002-05-10
HK1062261A1 (en) 2004-10-29
CN1471377A (zh) 2004-01-28
EP1330191B1 (en) 2011-12-28
US7322985B2 (en) 2008-01-29
JP2004512132A (ja)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7051B1 (ko) 광대뼈 절골용 톱날
CA2483583C (en) Compact maxillary distractor
WO2005117724A3 (en) Three-dimensional osteotomy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bone deformities
US4564007A (en) Orthopaedic external fixation devices
US4969886A (en) Disposable fixing means especially for fixing factured small tubular bones externally
US5885290A (en) Intra-oral bone distraction device
HK1058750A1 (en) Bone plate for the fixation of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DE602005004375D1 (de) Vorrichtung zur Osteosynthese von proximalen Oberarmfrakturen
HK1068811A1 (en) Substituted oxazolidinones for combinational therapy
US20130123864A1 (en) Bone fixation pin
CN209004106U (zh) 牙支持式下颌骨升支截骨及牵引器固定导板
FR2811216B1 (fr) Pince a usage medical comportant deux machoires articulees
KR100578561B1 (ko) 턱뼈 절골용 톱날
US6062854A (en) Apparatus having screw means for the mandibular distraction
EP1275356B1 (en) A forceps used for the surgical reduction of fractured facial bones
EP3731768B1 (en) Fracture plate used in transverse and segmental patella fractures
US5350382A (en) Surgical cutting guide
KR20150125389A (ko) 안면윤곽수술용 진동톱
CN209751205U (zh) 一种用于股骨截骨手术的导向器
CN214761587U (zh) 一种新型截骨钳
CN213217409U (zh) 一种胫骨横向骨搬移截骨板
JP2003305049A (ja) 創外固定器
CN219109700U (zh) 一种颌骨牵引器
CN205924135U (zh) 下颌骨矢状骨折复位固定器
CN115252091A (zh) 一种后踝骨折微创手术复位固定组件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