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2989A -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2989A
KR20020032989A KR1020000063820A KR20000063820A KR20020032989A KR 20020032989 A KR20020032989 A KR 20020032989A KR 1020000063820 A KR1020000063820 A KR 1020000063820A KR 20000063820 A KR20000063820 A KR 20000063820A KR 20020032989 A KR20020032989 A KR 20020032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optical waveguide
display device
crystal displa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8029B1 (ko
Inventor
노봉규
Original Assignee
김진승
세심광전자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승, 세심광전자기술(주) filed Critical 김진승
Priority to KR1020000063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0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발명은 액정판넬을 여러장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액정판넬과 액정판넬 사이의 비표시영역(7)을 없앤 것이다. 종래의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는 신호선 패드(1)와 주사선 패드(2) 때문에 액정판넬(10)과 액정판넬 사이에 비표시영역(7)이 생겨 연속적인 문자표현이 어려웠다. 본 발명에서는 액정판넬 앞에 광도파관(20,30,40,50)을 두어, 광도파관을 통화여 액정판넬을 지나온 빛을 비표시영역으로 나오게하여, 광도파관 끝부분에서 문자나 영상을 연속적으로 나타나게 하였다. 본발명에서의 광도파관은 플라스틱 외부에 금속막을 입혀,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광도파관 끝 부분을 비대칭으로 만들어 특정 방향으로 빛이 많이 나가도록 하여 휘도를 높였다. 본발명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는 실내 및 실외 대형 문자 및 영상을 비표시영역이 없이 연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 Large Size LCD with Tiled LC Panels }
본발명은 액정판넬을 여러장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액정판넬과 액정판넬 사이의 비표시영역(7)을 없애, 글자나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였다.
액정판넬(10)은 주사선과 신호선의 전압파형을 조절하여 신호를 걸어준다. 도1은 액정판넬의 평면도로 신호선 패드(1)는 상단에, 주사선 패드(2)는 좌단에 나타나 있다. 주사선을 순차 주사하면서 신호선에 신호파형을 걸어준다. 도2는 액정판넬을 4장을 쓴 종래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의 한 예이다. 액정판넬과 액정판넬 사이에는 신호선(1)과 주사선(2) 때문에 영상이나 문자를 나타낼 수 없는 비표시영역(7)이 생긴다. 비표시영역(7)은 액정판넬과 액정판넬이 접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보통 폭은 1cm 미만이다. 종래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는 비표시영역 때문에 문자나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없었다.
본발명에서는 액정판넬을 지나온 빛을 광도판을 통하여 비표시영역(7)으로 나오게하여 문자나 영상을 연속적으로 나타나게 하였다.
도1 액정판넬의 평면도이다.
도2 종래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의 한 예이다.
도3 본발명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다.
도4 본발명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의 단면도이다.
도5 광도파관의 한 예의 평면도이다.
도6 도5의 광도파관의 단면도이다.
도7 광도파관의 한 예의 평면도이다.
도8 광도파관의 한 예의 평면도이다.
도9 비대칭 도파관에서의 빛의 경로이다.
도10 액정판넬에 단위화면(6)이다.
도11 확대된 단위화면(9)의 영역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사선패드 2 : 신호선패드 3 : 광도파로 4 : 반사막
5 : 흡수막 6 : 분할화면 7 : 비표시영역 9 : 확대화면
10 : 액정판넬 20,30,40,50 : 광도파관
광도판은 빛의 손실이 없이, 들어온 빛을 특정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한다. 글자나 영상을 나타내는 액정판넬의 기본 화소(빨간색과 초록색과 파란색을 나타내는 기본 단위)에 모두 대응되는 광도파관을 두어, 광도파관 방향과 길이를 조절하여, 액정판넬과 액정판넬 사이의 주사선과 신호선이 있는 비표시영역 부위 앞으로 빛이 나가게하면, 문자나 영상을 연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발명에서 쓰는 도파관은 기본적으로 광도파로(3)에 반사막(4)과 흡수막(5)을 입힌 것이다. 도5와 도6은 광도파관의 한 예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5에서 액정판넬과 접하는 부분의 광도파로의 단면은 직사각형이고, 빛이 나오는 부분은 구형이다. 빛이 나오는 광도파로는 구형으로 만들어야 빛이 골고루 퍼지므로 시야각이 넓다. 광도파로에는 반사막(4)이 없으면 빛이 인접하는 광도파로를 지나므로 글자나 문자의 해상도가 떨어진다. 반사막은 주로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의 금속막이다. 흡수막(5)은 외부에서 광도파로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고, 또한 반사막에서 새는 빛을 흡수하여 명암대비를 크게한다. 흡수막은 광도파로 전부 또는 일부분에만 피막할 수 있다. 도7은 광도파로 내부를 파낸 것이다. 광도파로가 빛을 많이 흡수하는 경우, 도7과 같이 액정판넬과 접하는 부분의 광도파로 내부를 공동(空洞)으로 두면, 광도파로에서 빛의 흡수를 줄여, 광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도3과 도4는 본발명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의 한 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액정판넬 3개로 구성된 대화면 표시소자이다. 가운데 액정판넬의 광도파관(20)의 도파로는 모두 정면방향으로 고정되어있고, 윗 액정판넬의 광도파관(30)의 도파로는 아래 방향으로 고정되어있고, 아래 액정판넬의 광도파관(40)의 도파로는 윗방향으로 고정되어있다. 액정판넬에서 맺힌 상은 각각의 화소에 대응되는 광도파관을지나서 광도파관 끝에서 여러 방향으로 퍼진다. 따라서 이동된 상은 도3의 광도파로의 끝 부분인 CC'면에 놓인다. 광도파로의 길이가 5cm이고 비표시 영역의 폭이 1cm인 경우, 도3의 윗 액정판넬과 아래 액정 판넬 앞에 있는 광도파로의 경사각은 약 10°정도이다. 도3에서는 광도파관을 통하여 액정판넬의 화면을 비표시영역(7)으로 이동한 것이다. 도3과 같이 광도파관을 배치하면 광도파관의 경사각 때문에 밝기가 경계면에서 많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액정 판넬이 많아지는 경우 가운데 액정 판넬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액정판넬일수록 광도파로의 경사각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도4는 액정 판넬 한 장을 기준으로 모두 같게 광도파관을 설계한 것이다. 액정판넬 한 가운데 화소는 정면으로 향하도록 광도파로가 설계 되어있다. 정면에서 멀어질수록 광도파로의 경사각이 커진다. 광도파로의 길이가 5cm이고 비표시 영역의 폭이 1cm인 경우, 광도파로의 경사각은 약 6°정도이다. 또한 도4의 경우 액정판넬의 수에 관계없이 광도파로의 경사각이 일정하다. 도4에서는 광도파관을 통하여 액정판넬의 화면이 확대 이동한 것이다.
도4와 같이 광도파로를 구성하려면 광도파로의 모양이 도8처럼 액정판넬과 접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빛이 나오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만들어야한다. 도8과 같은 광도파관을 좌우상하로 적층하면, 도4에 나온 광도파관(50)이 된다. 도4에서는 액정판넬 한 장을 기본 단위로 광도파관을 설계했다. 이 경우 적층해야하는 광도파관의 수가 많아지므로, 액정판넬을 몇개의 분할화면(6)으로 나누어, 분할화면(6)을 기준으로 광도판을 설계한다. 도11은 도10처럼 분할화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분할화면(6)이 광도파관을 지나 확대화면(9)이 된다.
대화면 액정표시소자는 주로 실내외의 광고판으로 많이 활용된다. 광고판의 위치가 보통 2∼3m로 사람의 키보다 높기 때문에 광도파관에서 위로 나온 빛은 효용성이 없으므로 가급적 빛을 사람의 눈에 들어오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계해야한다. 광도파관 끝을 도9처럼 아래 방향이 나오게 상하로 비대칭으로 만들면 빛은 아래 방향으로 많이 향하게 된다. 빛이 나오는 광도판 끝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빛의 입사각을 θ라하면 빛의 나오는 방향의 굴절각φ는 Snell 법칙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데, 공기 굴절률이 플라스틱보다 작기 때문에 도9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빛이 퍼지게 된다. 광도파관은 한글이나 한자를 나타내는 기본인 16 ×16으로한다. 즉 세로 및 가로로 각각 16개씩 256개를 기본으로 배열한다.
본 발명의 대화면 액정표시소자는 글자나 영상을 나타내는 단위화소의 크기가 0.5cm 정도이므로 노트북이나 모니터에 쓰이는 액정판넬과 같이 화소가 0.1mm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각각의 화소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보다는 같은 색을 나타내는 신호선은 인접 신호선끼리 묶어서 구동파형을 걸어주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또한 주사선도 인접 여러 주사선을 묶어서 구동파형을 걸어주는 것이 경제적이다.
휘도를 보다 높게하기 위해서는 액정판넬과 광도파로(3)를 UV 경화제나 기타 투명한 접착제를 써서 붙이는 것이 좋다. 액정판넬의 편광판과 광도파로는 보통 굴절률이 1.5로, 그사이에 공기층이 높이면 반사로 인하여 5% 이상 휘도가 줄어든다. 따라서 굴절률이 1.5 근방인 경화제를 써서 액정판넬과 광도파로를 붙이면 투과율을 5% 정도 높일 수 있다.
본발명은 액정판넬을 여러장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는 액정판넬과 액정판넬 사이의 비표시영역(7)이 없으므로 글자나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화질을 높였다. 또한 광도파관을 비대칭으로 만들어 특정 방향으로 빛을 많이 내보냄으로써 상대적인 휘도를 높였다.

Claims (12)

  1. 다수의 액정판넬(10)로 구성이 되고; 액정판넬 앞에 다수의 광도파관(20,30,40,50)이 놓이고, 액정판넬(10)을 지나온 일부분의 빛이 광도파관을 지나 비표시영역 부위(7)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같은 색을 나타내는 인접하는 다수의 신호선(1)을 연결하여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액정표시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수의 주사선(2)을 연결하여, 동일한 신호가 인가되는 액정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광도파관(20,30,40,50)과 액정판넬(10)이 투명한 매질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광도파로(3)의 재질이 플라스틱이고, 외부에는 반사막(4)이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광도파로 내부가 비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광도파로의 단면의 모양이 사각형 또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광도파로의 단면의 면적이 빛이 입사되는 부분이 빛이 나오는 부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9. 제5항에 있어서 광도파관의 반사막 외부 전체 또는 일부분에 빛을 흡수하는 매질(5)이 입힌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10. 제5항에 있어서 빛이 나오는 부분의 광도파로의 모양이 상하 방향으로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분할영역(6) 또는 하나의 액정판넬(10)을 기준으로 각각에 대응되도록 광도파관이 여러개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광도파관이 가로 세로 모두 16개씩 배열한 것을 기본단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000063820A 2000-10-28 2000-10-28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KR100698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820A KR100698029B1 (ko) 2000-10-28 2000-10-28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820A KR100698029B1 (ko) 2000-10-28 2000-10-28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989A true KR20020032989A (ko) 2002-05-04
KR100698029B1 KR100698029B1 (ko) 2007-03-23

Family

ID=1969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820A KR100698029B1 (ko) 2000-10-28 2000-10-28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35A (ko) * 2002-05-13 2003-11-20 (주) 인펙 타일방식의 대면적 표시장치
US9042673B2 (en) 2012-03-13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blurring non-uniform motion blur in large scale input image based on tile un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060B2 (ja) * 1990-11-09 1998-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063312B2 (ja) * 1991-10-14 2000-07-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大型液晶表示装置
JPH0651338A (ja) * 1992-07-29 1994-02-25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6160887A (ja) * 1992-11-25 1994-06-07 Sharp Corp 表示装置
JPH07128652A (ja) * 1993-10-28 1995-05-19 Hewlett Packard Co <Hp> 液晶表示装置
JPH07198957A (ja) * 1993-12-28 1995-08-01 Toshiba Corp 表示装置
JPH0937194A (ja) * 1995-07-17 1997-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168302Y1 (ko) * 1999-08-07 2000-02-15 노봉규 구동이 간단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소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835A (ko) * 2002-05-13 2003-11-20 (주) 인펙 타일방식의 대면적 표시장치
US9042673B2 (en) 2012-03-13 201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blurring non-uniform motion blur in large scale input image based on til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8029B1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44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JP5093717B2 (ja) 光学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光学装置、表示装置、電子機器
KR1026341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09084176A1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60023134A (ko) 평탄 패널 디스플레이용 스캐닝 백라이트
US2023021379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2004029785A (ja) 光路移動手段を有する多重表示装置
JP2007071953A (ja) 表示装置、端末装置、光源装置及び光学部材
JP2003035904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のための背面光源
CN104423089A (zh) 光学片及包括该光学片的背光单元和显示器
JP2004111353A (ja) 平面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10017349A (ko) 도파관, 마이크로 프리즘 및 미소 기계 광변조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72635A (ko) 액정표시장치
CN111948852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20100002318A1 (en) Brightness enhancement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11036321B2 (en) Light control film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698029B1 (ko) 액정판넬을 여러개 연결한 대화면 액정표시소자
KR101571344B1 (ko) 바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20030037473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transparency
TW201719201A (zh) 光學膜及窄邊框顯示裝置
JPH09197106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09397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08299B1 (ko) 플렉서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