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907A -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907A
KR20020030907A KR1020000061269A KR20000061269A KR20020030907A KR 20020030907 A KR20020030907 A KR 20020030907A KR 1020000061269 A KR1020000061269 A KR 1020000061269A KR 20000061269 A KR20000061269 A KR 20000061269A KR 20020030907 A KR20020030907 A KR 2002003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ole
ground layer
installation hole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김상수
양우준
효광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수, 양우준, 효광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김상수
Priority to KR1020000061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907A/ko
Publication of KR2002003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90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3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compacting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발명은 기초말뚝이 하부지지체로서 지지되도록 시공하여 줌으로써, 연약지반에서 기초말뚝 시공시에 소요되는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하여 주며, 기존 지상구조물의 보강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신설 지상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는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은 지반층에 소정의 직경크기와 소요 깊이로서 말뚝 설치공(10)을 천공하여 그 말뚝 설치공 내에 강관(20)을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의 지반층에 그 말뚝 설치공 보다 작은 직경크기로서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을 천공하며,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 내에 그라우트액(A)을 강제로 압력 분사하여서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에 주변지반층까지 폭넓게 구근이 형성되도록 하부지지체(2)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지지체(2)로부터 말뚝 설치공(10)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위치하도록 심재(40)를 근입한 후에, 상기 말뚝 설치공(10) 내에 다시 그라우트액(A)을 주입 경화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체(2)의 상부에 일연체로서 기초말뚝(1)을 설치 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Pile With Basement}
본발명은 지상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층에 전달하여 주는 기초말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약지반에서 기초말뚝의 심도를 최대한 얕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하중감당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지상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층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대책으로 다양한 말뚝공사 방법들이 개발되어 건설공사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바, 도심지 건설공사현장에서는 진동과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은 현장치기 말뚝공사를 주로 채택하여 왔다.
상기한 현장치기 말뚝공사는 도1a 및 도1b와 같이, 해당위치의 지중을 소요깊이로 천공하여서 굴착공(110)을 형성하고, 천공된 굴착공(110) 내에 강관(120)과 함께 심재(130)를 삽입하여서 위치시킨 후에, 굴착공(110) 내에 주입호스(140)로서 그라우트액(A)을 주입하여서 지반층에 기초말뚝(100)을 설치 시공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시공된 기초말뚝(100)은 주변지반과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하여서, 지상구조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일반토사와 같이 느슨하거나 연약한 지반층에서는 현장치기로서 시공된 기초말뚝(100)이 주변지반과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지반이 느슨하거나 연약한 지반층에서는 현장치기 말뚝공사를 극히 제한적으로 채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현장치기 말뚝공사를 채택하여서 기초말뚝(100)을 시공할 경우에 그 기초말뚝의 심도를 최대한 깊게하여서 주변지반과 적정한 마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불필요하게 연장되는 동시에 경제성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한편, 현장치기 말뚝공사와 관련하여 개발된 것으로 압력 분사 그라우트공법이 알려져 있다. 이 압력 분사 그라우트공법은 도2a 및 도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반층에 소요깊이로서 그라우트액 분사공(210)을 천공하고, 천공된 그라우트액 분사공(210) 내에 제트분사관(220)으로서 주변지반층과 교반되도록 그라우트액 (A)을 압력 분사시켜서 소일시멘트기둥(200)을 형성하여 주므로, 신설 또는 기존 지상구조물의 지반층을 보강하여 주거나 그 신설 또는 기존 지상구조물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압력 분사 그라우트공법으로서 기존 지상구조물의 지반층을 보강하는 경우에는 압력 분사되는 그라우트액(A)이 지반층에 과응력으로 작용하여 기존 지상구조물을 부상(浮上)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압력 분사된 그라우트액 (A)이 경화되는 시점까지 지반층을 일시적으로 약화시켜서 기존 지상구조물에 균열 및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압력 분사 그라우트공법으로서 신설 지상구조물의 지반층을 보강하는 경우에는 그라우트액(A)이 경화되면서 수축될 뿐만 아니라, 압력 분사된 그라우트액(A)으로부터 수분이 주변지반으로 심하게 유출되어서 소일시멘트기둥(200)이 공동화되기 때문에, 지반층을 보강하여 주어서 신설 지상구조물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하기에 역부족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발명의 목적은 하부지지체를 갖추도록 시공하여서 연약지반에서 기초말뚝의 심도를 최대한 얕게하여 시공상의 경제성을 제고하여 주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지지체를 가지도록 시공하여서 지상구조물에 대한 하중감당능력이 우수한 기초말뚝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주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현장치기 말뚝공사를 예시한 것임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압력 분사 그라우트공법을 예시한 것임
도3a, 도3b, 도3c, 도3d, 도3e는 본발명의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에 따른 단계별 작업공정을 나타낸 것임
도4는 본발명의 기초말뚝에 사용되는 다른 심재를 나타낸 것임
도5는 본발명의 기초말뚝에 사용되는 또 다른 심재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초말뚝 2: 하부지지체 A: 그라우트액
10: 말뚝 설치공 20: 강관 30: 그라우트액 분사공
40: 심재 50: 천공드릴 60: 제트분사관
70: 주입호스
본발명의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은 도3a 내지 도3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반층에 소정의 직경크기와 소요 깊이로서 말뚝 설치공(10)을 천공하여 그 말뚝 설치공 내에 강관(20)을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의 지반층에 그 말뚝 설치공 보다 작은 직경크기로서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을 천공하며,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 내에 그라우트액(A)을 강제로 압력 분사하여서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에 주변지반층까지 폭넓게 구근이 형성되도록 하부지지체(2)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지지체(2)로부터 말뚝 설치공(10)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위치하도록 심재(40)를 근입한 후에, 상기 말뚝 설치공(10) 내에 다시 그라우트액(A)을 주입 경화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체(2)의 상부에 일연체로서 기초말뚝(1)을 설치 시공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발명은 지반층에 말뚝 설치공(10)과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을각각 천공하여서,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을 통하여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에 그라우트액(A)을 압력 분사하여서 하부지지체(2)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지지체(2)와 말뚝 설치공(10) 내에 심재(40)를 근입한 후에 다시 그 말뚝 설치공(10) 내에 그라우트액(A)을 주입 경화시켜서 직하부에 설치된 하부지지체(2)와 일체로서 기초말뚝(1)을 설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첫째 기초말뚝(1)이 하부지지체(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서, 연약지반에서 기초말뚝(1)의 심도를 최대한 얕게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주면서도 공사비용을 절감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둘째 하부지지체(2)는 그라우트액(A)을 압력 분사하여서 설치하고, 기초말뚝 (1)은 그라우트액(A)을 중력식으로 주입하여서 설치 시공하기 때문에, 기존 지상구조물에 대하여 균열 및 파손이 발생됨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신설 지상구조물에 대하여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발명의 기초말뚝을 시공하는 단계별 작업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a는 지반층에 말뚝 설치공(10)을 천공하고 그 말뚝 설치공 내에 강관(20)을 끼워서 설치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말뚝 설치공(10)은 해당 작업위치의 지반층을 수직으로 굴착하여서 예정된 직경크기와 깊이로서 천공하게 된다.
상기 말뚝 설치공(10) 내에 설치되는 강관(20)은 그 말뚝 설치공을 보호하여서 붕괴됨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3b는 천공된 말뚝 설치공(10)의 직하부 지반층에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을 천공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은 천공드릴(50)로서 상기 말뚝 설치공(10) 내부 바닥으로부터 굴착하여서 상기 말뚝 설치공(10)의 직하부에 그 말뚝 설치공 보다 작은 직경크기로 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은 말뚝 설치공(10)의 하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천공하여서, 이후에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 내에서 압력 분사되는 그라우트액(A)이 말뚝 설치공(10)을 중심으로 주변지반층까지 균등하게 확산되어서 구근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3c는 천공된 그라우트액 분사공(30) 내에 그라우트액(A)을 압력 분사하여서 하부지지체(2)를 설치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하부지지체(2)는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 내에 외부의 가압펌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트분사관(60)으로서 그라우트액(A)을 강제로 압력 분사하여서,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의 주변지반층과 그라우트액(A)이 충분히 교반되어서 폭넓게 구근이 형성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하부지지체(2)는 압력 분사되어서 주변지반층과 폭넓게 구근이 형성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이후에 시공되는 기초말뚝(1)을 견고하게 떠받쳐서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게 된다.
도3d는 설치된 하부지지체(2)로부터 말뚝 설치공(10) 내에 위치하도록 심재(40)를 근입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심재(40)를 근입시킬 때에는, 상기 하부지지체(2)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말뚝 설치공(10) 내에 토사와 그라우트액(A)이 혼합된 상태로 채워져 있는 잔재물을 미리 제거한 후에, 상기 심재(40)의 하단부를 하부지지체(2)에 끼워넣고 말뚝 설치공(10) 내에 세워지도록 근입하여서 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심재(40)는 소정의 직경크기를 가지는 강봉(41)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심재(40)는 도4에서와 같이 상기 심재(40)는 복수개의 철근들이 하나로 묶여져서 철근다발(42)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도5에서와 같이 H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철제빔(43)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도3d 및 도3e는 말뚝 설치공(10) 내에 그라우트액(A)을 주입 경화시켜서 기초말뚝(1)을 설치하는 작업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기초말뚝(1)은 상기 말뚝 설치공(10) 내에 외부의 그라우트액 공급장치 (8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주입호스(70)로서 그라우트액(A)을 중력식으로서 주입하여서, 상기 하부지지체(2)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기초말뚝(1)은 직하부에 설치된 하부지지체(2)에 의하여 지지되어서, 그 기초말뚝(1)의 심도를 최대한 얕게하여 설치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기초말뚝이 하부지지체로서 지지되도록 시공하여 줌으로써, 연약지반에서 기초말뚝 시공시에 소요되는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절감하여 주며, 기존 지상구조물의 보강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신설 지상구조물에 대한 하중을 효율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지반층에 소정의 직경크기와 소요 깊이로서 말뚝 설치공(10)을 천공하여 그 말뚝 설치공 내에 강관(20)을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의 지반층에 그 말뚝 설치공 보다 작은 직경크기로서 그라우트액 분사공(30)을 천공하며, 상기 그라우트액 분사공(30) 내에 그라우트액(A)을 강제로 압력 분사하여서 상기 말뚝 설치공(10) 직하부에 주변지반층까지 폭넓게 구근이 형성되도록 하부지지체(2)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지지체(2)로부터 말뚝 설치공(10) 내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위치하도록 심재(40)를 근입한 후에, 상기 말뚝 설치공(10) 내에 다시 그라우트액(A)을 주입 경화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체(2)의 상부에 일연체로서 기초말뚝(1)을 설치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40)는 소정의 직경크기를 가지는 강봉(41)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40)는 복수개의 철근들이 하나로 묶여져서 철근다발(42)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40)는 H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철제빔(43)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KR1020000061269A 2000-10-18 2000-10-18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KR20020030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269A KR20020030907A (ko) 2000-10-18 2000-10-18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269A KR20020030907A (ko) 2000-10-18 2000-10-18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907A true KR20020030907A (ko) 2002-04-26

Family

ID=1969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269A KR20020030907A (ko) 2000-10-18 2000-10-18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9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44B1 (ko) * 2001-05-22 2004-10-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과 앵커체를 조합한 말뚝시공방법
KR100523116B1 (ko) * 2003-02-10 2005-10-20 주식회사 동아지질 제트 그라우팅 파일 공법에 있어 고압분사로드를 이용한 강관 삽입방법
KR20190143205A (ko) * 2018-06-20 2019-12-30 이엑스티 주식회사 확대 구근이 형성된 복합 파일 시공 방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2611A (ko) * 1973-08-16 1975-04-17
JPS50133615A (ko) * 1974-04-11 1975-10-23
JPS52107106A (en) * 1976-03-04 1977-09-08 Wataru Nakanishi Method of stabilizing pile supported
JPS52145008U (ko) * 1976-04-28 1977-11-02
JPS5439906A (en) * 1977-09-06 1979-03-28 Asahi Chemical Ind Method of burying manufactured hollow pile
JPS5572511A (en) * 1978-11-24 1980-05-31 Raito Kogyo Kk Impregnation of grout
JPS55116923A (en) * 1979-03-05 1980-09-08 N I T:Kk Method for construction of pile foundation
JPS55131337U (ko) * 1979-03-09 1980-09-17
JPS58156620A (ja) * 1982-03-11 1983-09-17 Sato Kogyo Kk 基礎杭施工方法
JPS6429522A (en) * 1987-07-22 1989-01-31 Tamotsu Nakamura Sheathing work
JPS6436820A (en) * 1987-07-31 1989-02-07 Toho Kk Filler grouting work by h-steel drawing i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JPH01127714A (ja) * 1987-11-11 1989-05-19 Maeda Corp 地盤安定化工法
KR20010026515A (ko) * 1999-09-07 2001-04-06 양형칠 콤팩션 그라우팅 파일 공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2611A (ko) * 1973-08-16 1975-04-17
JPS50133615A (ko) * 1974-04-11 1975-10-23
JPS52107106A (en) * 1976-03-04 1977-09-08 Wataru Nakanishi Method of stabilizing pile supported
JPS52145008U (ko) * 1976-04-28 1977-11-02
JPS5439906A (en) * 1977-09-06 1979-03-28 Asahi Chemical Ind Method of burying manufactured hollow pile
JPS5572511A (en) * 1978-11-24 1980-05-31 Raito Kogyo Kk Impregnation of grout
JPS55116923A (en) * 1979-03-05 1980-09-08 N I T:Kk Method for construction of pile foundation
JPS55131337U (ko) * 1979-03-09 1980-09-17
JPS58156620A (ja) * 1982-03-11 1983-09-17 Sato Kogyo Kk 基礎杭施工方法
JPS6429522A (en) * 1987-07-22 1989-01-31 Tamotsu Nakamura Sheathing work
JPS6436820A (en) * 1987-07-31 1989-02-07 Toho Kk Filler grouting work by h-steel drawing in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JPH01127714A (ja) * 1987-11-11 1989-05-19 Maeda Corp 地盤安定化工法
KR20010026515A (ko) * 1999-09-07 2001-04-06 양형칠 콤팩션 그라우팅 파일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44B1 (ko) * 2001-05-22 2004-10-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과 앵커체를 조합한 말뚝시공방법
KR100523116B1 (ko) * 2003-02-10 2005-10-20 주식회사 동아지질 제트 그라우팅 파일 공법에 있어 고압분사로드를 이용한 강관 삽입방법
KR20190143205A (ko) * 2018-06-20 2019-12-30 이엑스티 주식회사 확대 구근이 형성된 복합 파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8817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
KR101378814B1 (ko) 제트그라우팅을 이용한 마이크로파일의 시공방법
JP2019522129A (ja) マイクロパイルの波形グラウト球根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6328716A (ja) 既設構造物のアンダーピニング構造及び方法、並びに、既設構造物の近くに新設構造物を構築する方法
KR20090120092A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779988B1 (ko) 소구경 말뚝의 시공방법
JP3752560B2 (ja) 既存地下室上に新規建物を建設する基礎構造及びその築造方法
CN107740419A (zh) 基坑支护方法及倾斜桩
KR20100030241A (ko) 콤팩션 그라우팅 공법
KR20020030907A (ko)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JP2008031772A (ja) 既製杭の施工方法とその施工方法に用いる蓋
KR20020035369A (ko) 하부지지체를 갖는 기초말뚝의 시공방법
CN212656218U (zh) 重型桩机荷载托换结构
KR20180062669A (ko) 내진 및 지반강화용 마이크로파일 성형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내진 및 지반강화용 마이크로파일
KR100996444B1 (ko)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시공방법과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 및 개량형 마이크로 파일 구조체의 요철단면관
KR100687496B1 (ko) 건축단지 천공 층간에 확대공간을 갖는 착정공의 파일시공방법
CN107574825A (zh) 基坑支护方法及倾斜桩
KR101052363B1 (ko) 심층굴착용 자립식 흙막이공법
JP2022098713A (ja) 構造物の基礎構造、基礎の施工方法、及び基礎に用いる支持管材
KR20190123854A (ko) 마이크로파일
KR100429283B1 (ko) Pc부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N110029663B (zh) 一种超深淤泥地层旋喷加固方法
KR100638841B1 (ko) 지하실 축조공법
JP7193994B2 (ja) 支柱構築方法
CN107630456A (zh) 基坑支护方法及倾斜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