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273A - 다이나믹 용량 무선 데이타 채널들에 대한 향상된 무선링크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용량 무선 데이타 채널들에 대한 향상된 무선링크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273A
KR20020030273A KR1020017015195A KR20017015195A KR20020030273A KR 20020030273 A KR20020030273 A KR 20020030273A KR 1020017015195 A KR1020017015195 A KR 1020017015195A KR 20017015195 A KR20017015195 A KR 20017015195A KR 20020030273 A KR20020030273 A KR 20020030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number
rlp
frame
data
re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4505B1 (ko
Inventor
니샬 아브롤
Original Assignee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셀 비. 밀러,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러셀 비. 밀러
Publication of KR20020030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채널 용량이 전송기간 동안 변하는 채널(506A,506B)을 통해 데이타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이 제시된다. 시퀀스 번호 공간 영역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오버-디-에어 프레임들 대부분에서 시퀀스 번호 비트 일부만을 전송하면서 향상된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140,142,144)은 큰 바이트 시퀀스 번호들의 장점을 제공한다. 프레임 헤더 시퀀스 번호들은 페이지 사이즈로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나누고, 바이트 시퀀스 번호에 대한 모듈로 함수를 수행함으로써 단축된다.

Description

다이나믹 용량 무선 데이타 채널들에 대한 향상된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변조 기술은 많은 시스템 사용자들이 존재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들 중의 하나이다. 시분할다중접속(TDMA), 주파수분할다중접속(FDMA) 및 진폭압신단측파대(ACSSB)와 같은 AM 변조방식들과 같은 다른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 방식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상이한 회사들에 의해 제조된 장비들 사이의 상호호환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준화되어 있다.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은 미국전기통신공업협회(TIA/EIA/IS-95-B)에서 제목"MOBILE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S"으로 표준화되었고, 본 명세서에서 IS-95라는 이름으로 참조된다.
IS-95는 원래 가변속도 음성 프레임 전송을 위해 최적화되었다. 무선통신 전화에서 전형화되는 쌍-방향 음성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이 매우 일정하고 최소의 데이타 지연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IS-95 시스템들은 강력한 순방향 에러 정정(FEC) 프로토콜 및 음성 프레임 에러들에 대해 점진적으로 응답하도록 디자인된 보코더들을 가지고 디자인된다. 프레임 재전송 절차를 필요로 하는 에러 제어 프로토콜은 음성 전송에 대한 수용될 수 없는 지연을 추가하기 때문에 IS-95 규격에서는 디자인되지 않는다.
독립형 IS-95 규격을 음성 응용예들에 대해 이상적으로 만드는 최적화들은 패킷 데이타 응용예들에 대한 사용을 어렵게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타 전송과 같은 많은 비-음성 응용예들에서, 통신 시스템의 지연 요구조건들은 음성 응용예들보다 훨씬 완화된다. 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가장 널리 보급된 프로토콜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에서, 에러 없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실제로 무한한 전송 지연이 허용된다. TCP는 이러한 전송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IP 패킷으로 불리워지는 IP 데이타그램 재전송을 사용한다.
IP 데이타그램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IS-95 프레임에 맞추기에는 너무 크다. IP 데이타그램을 일련의 IS-95 프레임들에 맞도록 충분히 작은 세그먼트들로 분할한 후에도, 모든 일련의 IS-95 프레임들은 TCP에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단일 IP 데이타그램에 대해 에러없이 수신되어야만 한다. 전형적인 IS-95 시스템의 프레임 에러율은 단일 데이타그램의 모든 세그먼트들의 에러없는 수신 가능성을 매우 낮춘다.
IS-95에 제시되듯이, 대안적인 서비스 옵션들이 음성 프레임들 대신에 다른 타입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IS-707로 언급되는 TIA/EIA/IS-707-A, 제목 "DATA SERVICE OPTIONS FOR SPREAD SPECTRUM SYSTEMS"은 IS-95 시스템이 패킷 데이타 전송에서 사용되는 절차를 기술한다.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는 TIA/EIA/IS-707-A.8에서 제목"DATA SERVICE OPTIONS FOR SPREAD SPECTRUM SYSTEMS:RADIO LINK PROTOCOL TYPE2"으로 기술되어 있으면, 이는 RLP2로 언급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RLP2는 에러 제어 프로토콜을 IS-95 프레임 계층상에서의 프레임 재전송 절차와 통합시킨다. RLP는 NAK-기반 ARQ 프로토콜로 알려진 에러 제어 프로토콜 클래스 중 하나로서, 이는 선행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IS-707 RLP는 IS-95 통신 시스템을 통해 일련의 음성 프레임들보다는 바이트 스트림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수개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일반적으로 RLP 계층 위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IP 데이타그램들은 RLP 프로토콜 계층에 바이트 스트림으로 제공되기 전에 점-대-점 프로토콜(PPP)로 전환된다. RLP 계층은 상위 프로토콜 계층의 프로토콜 및 프레임을 무시하기 때문에 RLP에 의해 전송된 데이타 스트림은 "특색없는(featureless) 바이트 스트림"으로 언급된다.
RLP는 원래 IS-95 채널을 통해 큰 프레임들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디자인되었다. 예를 들어, 500바이트의 IP 데이타그램이 각각 20바이트를 전달하는 IS-95 프레임들에서 단순히 전송된다면, IP 데이타그램은 25개의 연속적인 IS-95 프레임들을 채우게될 것이다. 에러 제어 계층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모든 이러한 25개의 프레임들은 IP 데이타그램이 상위 프로토콜 계층에서 유용하도록 하기 위해 에러 없이 수신되어야만 할 것이다. 1%의 프레임 에러율을갖는 IS-95 채널상에서, IP 데이타 전달 유효 에러율은 (1-(0.99)25), 또는 22%가 될 것이다. 이는 인터넷 프로토콜 트래픽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대부분의 네트워크들에 비해 매우 높은 에러율이다. RLP는 IP 트래픽 에러율을 10Base2 이더넷 채널의 전형적인 에러율과 필적할 만큼 감소시키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서 디자인되었다.
국제 전기통신 연합은 최근에 무선 통신 채널상에서 고속 데이타 및 고-품질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안된 방법들에 대한 제출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제안들 중 첫번째는 미국 전기통신 산업 협회에 의해 제출된 제목 "The cdma2000 ITU-R RTT Candidate Submission" 이고, 여기서 cdma2000으로 언급된다. 이러한 제안들 중 두번째는 유럽 전기통신 표준 협회(ETSI)에 의해 제출된 제목 "The ETSI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UTRA) ITU-R RTT Candidate Submission"이며, 이는 "광대역 CDMA"로 알려져 있고, 여기서 W-CDMA로 언급된다. 이러한 제안들 중 세번째는 U.S.TG 8/1에 의해 제출된 제목 "The UWC-136 Candidate Submission" 이고 여기서 EDGE로 언급된다. 이러한 제안들의 내용은 공지되었고,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RLP2는 IS-95B와의 사용에서 최적화되고, 여기서 패킷 데이타 콜 기간동안 사용되는 채널 용량으로부터 유도된 레이트셋은 상기 콜 기간동안 고정된 상태로 머무른다. 이러한 고정 레이트셋 가정에 기초하여, RLP2는 재전송되는 RLP 프레임들이 최대 3개의 연속적 RLP 세그먼트들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디자인된다. 재전송된 RLP 프레임의 상실을 야기시키는 3개의 세그먼트들 중 하나가 상실될 확률은 RLP2 설계자에 의해 수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cdma2000에서 단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채널 용량 및 그에 따라 패킷 데이타 콜 기간동안 사용되는 최대 데이타율은 넓고 빠르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cdma2000 콜 과정 동안, 패킷 데이타 서비스 옵션에 의해 사용되는 보충 채널 용량은 9.6kbps에서 307kbps 이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RLP2의 간단한 확장에서, 재전송 기간동안 사용되는 최대 세그먼트들의 수는 데이타율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콜 채널의 용량은 콜 기간동안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에서 성공적이지 못하게 전송된 풀-레이트 프레임은 30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저-레이트셋 cdma2000 세그먼트들에 미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이상의 cdma2000 세그먼트들은 이러한 단순한 RLP2 확장을 cdma2000에서 사용하기에 불가능하게 할 가능성이 높다.
RLP2는 레이트셋 1(RS1) 및 레이트셋 2(RS2)로 알려진 2개의 IS-95 레이트셋들 상에서 최소의 프로토콜 오버헤드 공간을 필요로 하도록 최적화되었다. RLP2에서 RLP 프레임 시퀀스 수들은 처리를 계산하는데 이상적인 8비트의 길이 사이즈를 갖는다. cdma2000에서 규격화된 레이트셋들은 RS1 및 RS2를 포함하기 때문에, cdma2000용으로 디자인된 RLP(RLP2000)가 RS1 및 RS2에서 사용될 때 적어도 RLP2만큼은 효율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트셋이 변경할 때 RLP 프로토콜들의 스위칭은 RLP2000에 복잡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재동기화 또는 실질적인 프로토콜 복잡도를 필요로 함이 없이 단일 RLP2000 프로토콜이 효율적으로 RS1, RS2및 모든 높은 cdma2000 데이타율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러 제어 프로토콜에 내재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타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번호 공간 및 수개의 새로운 RLP 프레임들에서 시퀀스 번호 공간을 사용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번호 공간 및 수개의 RLP 재전송 프레임들에서 시퀀스 번호 공간을 사용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프레임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데이타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타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의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는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은 가변 용량 채널을 통해 특색없는 바이트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향상된 RLP를 디자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IS-95 RS1 및 RS2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는 채널 상에서 사용될 때 RLP2 만큼 효율적이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디자인된 향상된 RLP는 cdma2000에서 규정된 최대 용량 이상의 가변 채널 용량에서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여준다. 본 발명은 무선 채널상에서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모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cdma2000, W-CDMA 및 EDGE와 같은 시스템들에 응용가능하며, 여기서 바이트 스트림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한 사용을 위해 규정된 오버-디-에어(over-the-air) 프레임들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가변 레이트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효율은 RLP 프로토콜 헤더에서 전달되는 시퀀스 번호들의 해석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RLP2에서, 시퀀스 번호들은 프레임 번호들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패킷 데이타 콜에서 사용되는 채널 용량 및 그에 따른 풀-레이트 프레임에서 전달되는 데이타 바이트들의 최대수 모두가 일정할 때, 이는 RLP2에 대해 적합하다. RLP2는 1-바이트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사용하고, 프레임들은 20ms 간격들에서 전송된다. 전송기간 동안 RLP2 프레임이 상실되면, 상실된 프레임의 데이타는 3개의 재전송 세그먼트들로 분할되고, 그 각각은 상실된 원 프레임과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가진다.
광범위한 가변 용량을 가진 채널들 상에서의 사용을 위해 RLP2를 적응시킴에있어서, 고-용량 채널(예를 들어, 307kbps)에서 전송된 프레임이 저-용량 채널(예를 들어, 9.6kbps)에서 재전송되어야만 할 때 어려움이 발생한다. 20ms의 프레임 간격을 사용할 때, 307kbps 채널상에서의 풀-레이트 프레임은 750 바이트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이 전송기간 동안 상실될 수 있고, 동시에 채널 용량이 9.6kbps로 감소될 수 있다. RLP2에서, 9.6kbps 풀-레이트 20ms 프레임의 용량은 20바이트이다. 최대 허용가능한 재전송 세그먼트들의 단순한 확장에서, 750 데이타 바이트로 구성되는 단일 프레임의 성공적인 재전송은 대략 38개의 연속적인 9.6kbps 풀-레이트 RLP2 재전송 세그먼트들의 성공적인 재전송을 필요로한다. 모든 재전송 세그먼트들은 동일한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38개의 재전송 세그먼트들 중 하나의 상실은 모든 재전송 프레임의 상실을 야기시킨다. 수신기는 각각의 재전송 세그먼트들에 대해 부정 응답(NAK)을 할 수 없다. 오버-디-에어(over-the-air) 프레임 에러율이 1%라면, 38개의 연속적인 풀-레이트 RLP2 재전송 세그먼트들의 성공적인 전송 확률은 대략 68%가 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상기 세그먼트들의 재전송은 빈번히 실패하게되어 데이타 상실 및 RLP2 재동기화로 인한 바이트 스트림의 브레이크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단순한 RLP2의 확장은 고-용량 풀-레이트 프레임이 저-용량 채널상에서 재전송되어야 할 때마다 데이타 상실을 야기하게 된다.
보다 신뢰성 있게 데이타를 재전송할 수 있는 방식은 프레임 시퀀스 번호 대신에 RLP 헤더에서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면, 채널 용량 감소에 뒤이어 발생하는 고-레이트 RLP 프레임의 상실에 있어서, 상실된 프레임 데이타는 작고, 독립적인 RLP 재전송 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게된다. 수신기는 38개의 연속적인 재전송 프레임들을 에러없이 수신할 필요가 없다. 수신기는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모든 재전송 프레임들을 받아들이고 상실된 재전송 프레임들에 대해서만 단지 부정응답(NAK)을 하면 된다. 오버-디-에어(over-the-air) 프레임 에러율이 1%라면, 동일한 재전송 세그먼트가 두번 연속으로 상실될 확률은 0.01%에 불과하다.
프레임 시퀀스 번호 대신에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사용하는 단점중의 하나는 동일한 데이타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바이트 시퀀스 번호의 비트들 수가 크다는 것이다. 바이트 시퀀스 번호가 9.6kbps 풀-레이트 RLP2 프레임에서 사용되면, 시퀀스 번호는 8-비트 프레임 시퀀스 번호보다 5비트 길어지게 된다. 채널 용량이 9.6kbps에서 대략 307kbps까지 변하는 cdma2000에서, 풀-레이트 307Kbps 프레임은 750 RLP 데이타 바이트를 전달할 수 있다. RLP2와 동일한 20ms 프레임 기간을 추적하는데 필요한 최소 바이트 시퀀스 번호 비트들의 수는 18비트이다. 9.6kbps RLP 프레임에서 18-비트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적은 데이타 바이트를 전달할 수 있고, 이는 10%의 데이타 바이트 감소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부분의 오버-디-에어 프레임들에서 시퀀스 번호 비트들의 일부를 전송하면서 상기 큰 바이트 시퀀스 번호들의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20비트 바이트 시퀀스 번호가 수신 데이타를 추적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퀀스 번호로 추적되는 바이트들의 번호는 시퀀스 번호 공간으로 불려진다. 20-비트 시퀀스 번호의 경우, 시퀀스 번호 공간의 크기는 220이다.
평균 프레임 헤더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 큰 시퀀스 번호의 장점을 획득하는 것은 전송된 데이타 바이트들에 할당되지 않게 되는 시퀀스 번호 공간의 부분을 주의깊게 선택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시퀀스 번호 공간중 일부는 실제로 전송된 바이트들을 추적하는데 사용되지 않고 소모된 것으로 간주된다. 선택된 시퀀스 번호의 크기는 시퀀스 번호 공간의 소모가 프로토콜 성능을 저해함이 없이 허용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307kbps 채널에서 5초간의 전송 손실을 견디기 위해 18-비트 시퀀스 번호가 필요하다면, 20-비트 시퀀스 번호의 사용은 시퀀스 번호 공간의 3/4 가 최대 허용가능한 전송 손실 길이를 손상함이 없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시퀀스 번호 공간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각각 새롭게 전송된 데이타 프레임의 제1 바이트가 이전 데이타 프레임의 제1바이트로부터 페이지 사이즈로 불리어지는 소정 거리에서 시작하도록 선택되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n의 제1 바이트가 1000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있고, 페이지 사이즈가 100이면, 프레임 n+1의 제1 바이트는 다음 페이지에서 1100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출발한다. 프레임 n이 단지 40(1000-1039) 바이트만을 전송하면, 1040에서 1099까지의 시퀀스 번호 공간은 사용되지 않는다. 외관상 시퀀스 번호 공간의 소모를 허락하는 이유는 프레임에서 전송된 시퀀스 번호의 비트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케하기 때문이다. 방금 제시된 예에서, 시퀀스 번호는 프레임내로의 삽입에 앞서 100으로 나뉘어지고, 따라서 적어도 6개 더적은 비트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페이지 사이즈는 2의 거듭제곱(예를 들어 64)이 되어 시퀀스 번호들의 소프트웨어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750 데이타 바이트들이 고-레이트 프레임에서 상실되는 이전에 기술된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고 용량 및 저 용량 채널들에서 똑같이 재전송을 쉽게 적응시킨다. 고 용량 채널에서, 데이타는 하나 또는 두개의 재전송 프레임들에서 쉽게 재전송된다. 그러나, 채널 용량이 감소되면, 재전송될 데이타 바이트들은 각각 그 자신의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있는 수개의 독립적인 재전송 프레임들로 분할된다. 독립적인 재전송 시퀀스 번호들의 사용은 RLP2에 의해 규정된 세그먼트 재전송에 비해 장점들을 가진다. 단일 RLP2 재전송 세그먼트가 상실되면,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모든 세그먼트들이 상실된 세그먼트의 데이타를 복원하기 위해 다시 재전송되어야한다. 그러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으로 넘버링된 재전송 프레임들이 전송중에 상실되면, 수신기는 개별적인, 상실 재전송 프레임에 대해 부정응답(NAK)을 할 수 있다. 제2 NAK를 수신한 후에, 전송기는 제2 시간 동안 개별 재전송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다시 1%의 오버-디-에어 프레임 에러율을 사용하면, 동이한 재전송 프레임이 두번 연속 상실될 확률은 0.01%이다. RLP 재동기와 그와 관련된 데이타 상실 및 바이트 스트림의 불연속성은 거의 필요하지 않다.
프레임들 대신에 바이트들에 상응하는 시퀀스 번호들을 사용하는 단점 중의 하나는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비트들이 시퀀스 번호를 표현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상실된 프레임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독립적으로 넘버링된 재전송 프레임들의 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영향은 최상위 및 최하위 비트를 시퀀스 번호로부터 종종 생략함으로써 최소화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퀀스 번호 공간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는 도이다. 전송될 새로운 데이타(100)가 풀-레이트 RLP 프레임(140)내에 위치한다. RLP 프레임(140)내에 시퀀스 번호(150) 및 데이타(100)가 위치한다. 전송될 새로운 데이타(102)는 풀-레이트 프레임(142)내에 위치한다. RLP 프레임(142)내에 시퀀스 번호(152) 및 데이타(102)가 위치한다.
새로운 데이타(104)가 풀-레이트 RLP 프레임에 대한 최대 바이트 보다 작은 바이트를 가지고 있다면, 새로운 데이타는 비-풀-레이트 RLP 프레임(144)내에 위치한다. RLP 프레임(144)내에는 시퀀스 번호(154) 및 데이타(104) 뿐만 아니라, 데이타 길이(164)가 존재한다. RLP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9600bps에서의 하프-레이트 프레임과 같이 주어진 채널 용량내에서 보다 낮은 레이트 프레임의 사용을 가능케하여 보다 작은 RLP 프레임들을 전달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시퀀스 번호는 RLP 프레임의 제1 데이타 바이트에 상응한다. RLP 프레임내에서 전달되는 시퀀스 번호는 RLP 시퀀스 번호로 불려진다.
3개의 RLP 프레임들(140,142,144)에서 전송되는 데이타(100,102,104)는 시퀀스 번호 공간(110)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퀀스 번호들은 좌측의 낮은값에서 우측의 높은 값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바이트 시퀀스 번호들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퀀스 번호들이 사용 또는 스킵(skip)될 때, 시퀀스 번호들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미리 설정된 최대 시퀀스 번호값에 도달하면, 시퀀스 번호는 제로에서 다시 시작한다.
데이타 바이트(102)가 RLP 프레임(142)에 위치될 때, 그들은 시퀀스 번호 블록(126)으로부터 순차적 바이트 번호들에 각각 지정된다. 실시예에서, 블록(126)의 제1 바이트는 이전 RLP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 블록(122)의 제1 바이트로부터의 미리설정된 수치 거리(134a)이다. 이러한 미리설정된 거리는 페이지 사이즈라고 불려지고, 미리설정된 거리 내의 시퀀스 번호는 집합적으로 페이지로 불려진다.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퀀스 번호 블록은 페이지의 시작에서 항상 출발한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 블록(122)이 페이지(134a)의 시작에서 출발하고, 시퀀스 번호 블록(126)은 페이지(134b)의 시작에서 출발하여, 시퀀스 번호 블록(130)은 페이지(134c)의 시작에서 출발한다. 항상 페이지의 시작에서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하는 것에 따른 단점 중의 하나는 페이지 끝의 시퀀스 번호 블록, 예를 들어 124, 128, 및 132가 전송된 데이타 바이트들에 지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축된 RLP 시퀀스 번호가 사용되고, 이는 페이지 사이즈에 의해 분할된 RLP 프레임의 제1 데이타 바이트의 바이트 시퀀스 번호와 동일하다. 단축된 RLP 시퀀스 번호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비트들의 수는 실제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비트들 보다 작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생략(omission)이 RLP 프레임의 데이타 부분에 어떠한 데이타가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모호성을 야기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최상위 비트등이 바이트 시퀀스 번호로부터 생략된다. 예를 들어, 20 비트의 바이트 시퀀스가 사용되지만, 216보다 작은 바이트들이 현저한 경우, 바이트 시퀀스 번호의 최상위 4비트들은 RLP 시퀀스 번호에서 전송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4 최상위 비트들은 프레임내에 포함된 바이트들의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모호성을 야기함이 없이 RLP 시퀀스 번호로부터 안전하게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시퀀스 번호의 단축은 시퀀스 번호로부터 최상의 비트들을 생략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 시퀀스 번호에 대한 모듈로 함수를 수행함으로써 동일한 결과가 달성됨을 잘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216바이트 이상이 현저한 경우, 현저한 데이타 바이트들 중 하나 이상이 동일한 단축 RLP 시퀀스 번호를 가지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데이타 바이트들을 전달하는 재전송 프레임들은 완전한 20 비트 시퀀스 번호를 포함 할 것이다.
RLP 프레임이 부정응답되어 재전송되어야 할 때, 상기 데이타는 RLP 재전송 프레임내에 삽입되어 재전송된다. 재전송기간 동안 채널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재전송 프레임은 원래의 상실 RLP 프레임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재전송 프레임 및 원래의 RLP 프레임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시퀀스 번호 모호성을 야기시키지 않는 한 재전송 프레임은 원래 프레임과 동일한 단축 RLP 시퀀스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원래의 전송 프레임이 단일 재전송 프레임에 적합한 데이타보다 많은 데이타를 전달하는 경우(채널 용량이 감소하는 경우에 발생됨), 원래의 전송 프레임으로부터의 데이타는 수개의 작은 재전송 프레임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재전송 프레임들은 이전에 기술된 방법들 중 하나의 방식으로 단축 또는 단축되지 않는 그 자신의 RLP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재전송 프레임이 전송기간 동안 상실되면, 각각의 재전송 프레임은 부정응답되어 뒤이어 재전송된다. 재전송 프레임이 부정응답되기에 앞서 채널 용량이 감소되는 드문 경우에, 재전송 프레임은 보다 작고, 독립적인 재전송 프레임들로 제2 재전송에 앞서 추가로 분할된다.
이러한 과정은 하나의 상실 프레임에 상응하는 재전송 세그먼트들이 모두 동일한 RLP 시퀀스 번호를 전달하는 RLP2와는 상이하다. 단일, 상실 재전송 세그먼트의 데이타를 복원하기 위해, 상실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있는 모든 재전송 세그먼트들이 다시 재전송되어야만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실 RLP 프레임의 데이타가 수개의 작은 RLP 재전송 프레임들에서 재전송 되어야하는 경우, 바이트 시퀀스 번호 공간 및 RLP 시퀀스 번호들의 사용을 보여주는 도이다. 원래의 RLP 프레임의 전송 시간 및 그 데이타의 재전송 시간 사이에서 채널 용량이 감소하는 경우, 재전송 바이트들의 분할이 필요하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원래의 상실 RLP 프레임에서의 바이트들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시퀀스 번호 공간(228)은 수개의 RLP 재전송 프레임들(230)로 분할된다. 시퀀스 번호 공간(228)은 보다 작은 부분들(220)로 나뉘어 지고, 그 각각은 현재의 전송 채널에서의 풀-레이트 프레임들의 용량 이하의 크기를 갖는다. 상기 작은 시퀀스 번호 공간 부분들(220) 각각에 상응하는 데이타(200)는 RLP 재전송 프레임(230)내에 위치한다.
각 RLP 재전송 세그먼트는 그 각각의 시퀀스 번호 공간(220)의 제1 바이트에상응하는 RLP 시퀀스 번호(240)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시퀀스 번호(240)는 시퀀스 번호 공간(220)의 제1값을 나타내는 값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재전송 프레임(230)의 RLP 시퀀스 번호(240)는 시퀀스 번호 모호성을 야기시키지 않는 경우에 한해 RLP 시퀀스 번호들과 관련하여 기술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각각의 RLP 재전송 프레임은 선택적으로 데이타 길이(250)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RLP 재전송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타 길이(250)는 프레임내의 데이타 바이트(200)들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데이타 길이(250A)는 재전송 프레임(230A)의 데이타 바이트(200A)의 수와 동일하다. 데이타 길이가 재전송 프레임(230)의 다른 부분들(예를 들면 도면에 제시되지 않은 타입 필드)에 표시되면, 데이타 길이 필드(250)는 생략될 수 있다.
RLP 재전송 프레임들의 형성은 데이타의 최종 부분(200N)이 RLP 재전송 프레임(230N)에 위치할 때까지 계속된다. 일련의 RLP 재전송 프레임들의 최종 프레임은 때때로 데이타 바이트(200N)의 최대 번호보다 작은 번호를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데이타 길이(250N)를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대부분의 일반적인 전송 프레임들에 대한 RLP 시퀀스 번호들은 최하위 비트 및 최상위 비트를 생략함으로써 단축된다. 실시예에서, 바이트 시퀀스 번호는 20비트를 가지고 있고, 64바이트 페이지 사이즈가 사용되며, 현저한 RLP 전송 프레임들의 수는 256을 거의 초과하지 않는다.
RLP 프레임 헤더 필드
타입비트 비트0- 비트1 비트2 비트3 비트4-비트7 바이트1 바이트2 바이트3 프레임 타입 기술
11 8 비트 seq# 데이타 1.새것:8-비트 RLP 시퀀스 번호
10 8 비트 seq# 데이타 2.재전송:8-비트 RLP 시퀀스 번호
01 8 비트 seq# 길이 데이타 3.새것:8-비트 RLP 시퀀스 번호,8-비트길이
00 11 14 비트 seq# 데이타 4.14-비트 RLP 시퀀스 번호, 길이 없음
00 10 14 비트 seq# 길이 데이타 5.14비트 RLP 시퀀스 번호, 8비트 길이
00 01 14 비트 seq# 길이 6.14-비트 RLP 시퀀스 번호, 16-비트 길이
00 00 1 1 20 비트 seq# 길이 7.재전송:다음 페이지 경계로 이동
00 00 1 0 20 비트 seq# 길이 8.재전송:다음 페이지 경계로 이동하지 말것
00 00 0 부정응답, 상태, SYNC,ACK,SYNC/ACK,유휴, 프레임 종료에 대한 추가 포맷들. 9.확장된 제어/시퀀스
테이블1. 예시적인 RLP 프레임 헤더들
테이블1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되는 RLP 헤더 필드들을 보여준다. 프레임 헤더들의 콘텐츠는 시작, 종료, 또는 RLP 프레임에 걸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RLP 프레임 헤더는 각각의 RLP 프레임의 시작에 나타난다. 프레임 전역에 걸친 헤더 콘텐츠의 분산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때 비트 에러의 불균일적인 확률이 RLP 프레임 전역에 걸쳐 존재하는 경우에 바람직할 수 있다.
가변적인 많은 타입 비트들이 RLP 프레임 타입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집학적으로, 이러한 타입 비트들은 가변-비트-길이 타입 필드를 형성하고, 가변-비트-길이 타입 필드는 전송되는 RLP 프레임 타입 및 RLP 헤더 나머지의 포맷을 표시한다. 테이블1에서, "프레임 타입 기술"은 각 타입 필드값에 상응하는 프레임 타입 기술을 담고있다. "프레임 타입 기술"에서 프레임 타입 기술은 논의를 위해 프레임 타입 번호들로 식별된다. "프레임 타입 기술"을 제외한 모든 칼럼들은 RLP 헤더에 실제 포함된 필드들을 보여준다.
타입 필드에 뒤이어 RLP 시퀀스 번호가 뒤따른다. 시퀀스 번호 모호성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단축된 8비트 시퀀스 번호들이 사용된다. 다른 시간들에서, 14 비트의 단축 RLP 시퀀스 번호들 또는 풀-20 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이 RLP 헤더내에 포함된다.
단축된 8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은 프레임의 제1 바이트에 상응하는 20-비트 바이트 시퀀스 번호로부터 발생된다. 20-비트 바이트 시퀀스 번호는 바이트 시퀀스 번호의 최하위 6비트 및 최상위 6비트를 생략함으로써 8-비트 단축 RLP 시퀀스 번호로 전환된다. 8-비트 RLP 시퀀스 번호의 사용은 특히 유용하며, 이는 8-비트 단축 RLP 시퀀스 번호들이 최신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최신 소프트웨어에서 쉽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향상된 RLP 프로토콜은 8-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로 전송된 RLP 프레임들의 수를 최대화하도록 디자인된다.
20-비트 시퀀스 번호는 바이트 시퀀스 번호의 최하위 6비트를 생략함으로써 14-비트 단축 RLP 시퀀스 번호로 전환된다. 20-비트 RLP 시퀀스 번호가 RLP 프레임에서 전송될 때, 20-비트 바이트 시퀀스 번호는 RLP 시퀀스 번호내에 간단하게 카피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제1 시간동안 전송될 데이타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프레임들은 8-비트 RLP 시퀀스 번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프레임 타입들은 타입 1 및 3에서 처럼 "프레임 타입 기술"에서 식별된다. 게다가, RLP 재전송 프레임들은 타입 2에서 지시된 것처럼 8-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 타입 4,5, 및 6은 14-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들은 현저한 프레임이 전송될 다음 프레임이 사용할 것과 동일한 8-비트 시퀀스 번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프레임들은 또한 선택적으로 부정응답된 프레임들로부터 데이타를 재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타입 7 및 8은 완전한 20-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들은 부정응답된 데이타가 보다 낮은 재전송 프레임들에서 사용되기 전에 채널 용량이 감소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채널 용량이 재전송 전에 감소되는 경우에서 프레임 타입들의 재전송 사용에 관한 예가 이제 제시된다. 1000에서 1749까지의 바이트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고 있는 750개의 데이타 바이트들이 307kbps 채널에서 단일 RLP 전송 프레임 전송기간 동안 상실된다. 수신기가 NAK(부정응답) 신호를 송신기로 전송하기까지, 채널 용량이 9.6kbps로 감소되었다. 상실된 750 데이타 바이트들은 9.6kbps 채널상에서 재전송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나타내기 위해 도2를 사용하면, 시퀀스 번호 공간(228)은 1000 에서 1749까지의 시퀀스 번호들 범위에 있다. RLP2의 단순 확장에 있어서, 9.6kbps 채널에서 프레임 타입 8 헤더를 사용하는 각각의 재전송 프레임은 15 데이타 바이트들을 전달한다. 이것을 예로서 사용하면, 750 재전송 데이타 바이트들은 50 RLP 재전송 프레임들 사이에서 분포된다. 도2에서, RLP 재전송 프레임(230A)은 20비트 시퀀스번호 1000 및 길이 15를 갖는 프레임 타입 8을 가질것이다.. n=50인 경우, 프레임(230n-1)은 20비트 시퀀스 번호 1720 및 길이 15를 갖는 프레임 타입 8 헤더를 가질 것이다. 프레임 타입 8의 사용은 수신기에게 재전송된 프레임 및 다음 페이지 경계 사이의 시퀀스 번호 공간에 지정된 추가적인 데이타 바이트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프레임(230n)은 20비트 시퀀스 번호 1735 및 길이 15를 갖는 프레임 타입 7을 가질 것이다. 최종 재전송 프레임에서 프레임 타입 7의 사용은 수신기에서 프레임의 최종 바이트 및 다음 페이지 경계 사이의 시퀀스 번호 공간에 지정된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프레임 타입 7 및 8은 개별적으로 부정응답(NAK)되고 다시 재전송된다. 이전 예의 간단한 개선에서, 프레임 타입 8의 변형은 길이 바이트를 갖지 않는 헤더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이 16바이트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프레임 타입 9는 RLP 프로토콜에서의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제어/시퀀스 프레임들을 가지고 있다. 제어/시퀀스 프레임의 용도는 앞서 언급된 RLP2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길이 필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프레임 헤더들에서, 데이타 길이는 전송된 프레임의 나머지들에 적합할 수 있는 최대 바이트 수로서 해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기서 제시된 향상된 RLP 프로토콜은 앞서 언급된 RLP2 또는 cdma2000 에서 규정된 용량보다 더 큰 용량을 갖는 채널에서의 사용을 위해 쉽게 확장될 수 있다. 많은 예상되는 확장들에서, 새로운 채널 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향상된 RLP 프로토콜의 어떠한 변형도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포맷으로 RLP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 수신기는 단축 시퀀스번호들을 사용하여 각각의 RLP 프레임이 포함된 바이트들에 적용되는 원래 바이트 시퀀스 번호들을 재생한다. RLP 시퀀스 번호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행 프레임들의 상실을 지시하는 프레임이 수신될 때, 수신기는 전송기에 NAK 신호를 전송한다. NAK 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응하는 RLP 재전송 프레임의 RLP 시퀀스 번호에서 사용되는 비트들의 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20-비트 바이트 시퀀스 번호와 8-,14-,20-비트 RLP 시퀀스 번호들의 사용을 특정하지만,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시퀀스 번호 크기의 선택이 가능하다. 바이트 시퀀스 번호 공간의 최상위 또는 최하위 부분들의 모호하지 않는 생략을 허용하는 RLP 시퀀스 번호들의 사용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목적이 되며, 2의 거듭 제곱인 페이지 사이즈의 선택 및 8-비트 단축 RLP 시퀀스 번호들의 사용 역시 그러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타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전송 시작 단계(302)에서, 전송기는 전송기가 새로운 RLP 전송 프레임 또는 RLP 재전송 프레임을 전송하여야 하는지를 평가한다(304). 이러한 결정은 상실된 전송 데이타를 지정하는 NAK 프레임이 이전에 수신되었는지에 따라 이루어진다.
전송 프레임을 형성하기에 앞서, 전송 데이타 버퍼 또는 대기열이 조사되어 전송기가 전송할 새로운 데이타를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한다(306). 전송될 데이타가 존재하지 않으면, 유휴 프레임이 형성되고(308) 전송된다(326). SYNC, ACK, 및 IDLE 프레임들의 용도는 앞서 언급된 RLP2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휴 프레임들은 보다 작고, 낮은 데이타율 오버-디-에어 프레임들에 위치되어 유휴 프레임 전송의 에어 링크 용량 충격을 최소화시킨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유휴 프레임은 전송되지 않거나, 더 낮은 빈도로 전송된다.
전송기가 전송할 새로운 데이타를 가지고 있다고 결정되면, 전송기는 상기 데이타가 시퀀스 번호 모호성을 야기함이 없는 8-비트 RLP 시퀀스 번호를 갖는 프레임에 있는지를 평가한다(310). 8-비트 시퀀스 번호가 모호성을 야기시키지 않으면, 8-비트 RLP 시퀀스 번호를 갖는 RLP 전송 프레임이 형성되고(314) 전송된다(326). 전송될 데이타 바이트들의 수가 풀-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최대보다 작으면, 형성된 프레임(314)은 길이 필드를 갖는다. 전송될 데이타 바이트들의 수가 풀-레이트 프레임에 대한 최대 이상이면, 데이타 바이트들의 최대 번호가 풀-레이트 프레임에 삽입되고(314) 전송된다(326). 단계(312 또는 314)에서 새로운 전송 프레임들에 삽입된 RLP 시퀀스 번호는 다음 불사용(unused) 페이지를 시작하는 바이트 시퀀스 번호로부터 발생된다.
전송기가 RLP 재전송 프레임을 전송하여야 함을 결정하면, 다음 단계는 풀 20-비트 RLP 시퀀스 번호가 다음 RLP 재전송 프레임에서 요구되는지를 결정한다(322). 풀 20-비트 RLP 시퀀스 번호는 재전송될 데이타가 원래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것보다 많은 RLP 프레임들에서 재전송되어야 할 때 요구되고, 이는 채널 용량이 전송 및 재전송 사이에서 감소될 때 발생한다. 다음 프레임이 20 비트 RLP 시퀀스 번호로 전송되어야 하면, RLP 재전송 프레임이 형성되어 데이타로 채워지고(324) RLP 재전송 프레임의 제1 데이타 바이트에 상응하는 RLP 시퀀스 번호로 전송된다(326). 20-비트 RLP 시퀀스 번호가 필요하지 않다고 전송기가 결정하면, 전송기는 다음 재전송 RLP 프레임에 대해 8-비트 또는 14-비트 RLP 시퀀스 번호 중에서 사용을 선택한다(318). 필요한 시퀀스 번호 비트-사이즈가 결정되면(318), 전송기는 8-비트 RLP 시퀀스 번호(320) 또는 14-비트 RLP 시퀀스 번호(316)로 RLP 전송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을 전송한다(326). 어떤 경우이든(316 또는 320), 프레임에 삽입된 RLP 시퀀스 번호는 프레임에 포함된 제1 데이타 바이트에 상응하는 바이트 시퀀스 번호로부터 발생될 것이다. 이러한 바이트 시퀀스 번호는 시퀀스 번호 페이지의 제1 바이트 시퀀스 번호가 된다. 데이타 크기에 대한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재전송된 RLP 프레임의 RLP 헤더는 길이 필드를 포함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 데이타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타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RLP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RLP 데이타 프레임 또는 유휴 프레임을 수신할 때(402), 수신기는 필요한 만큼 RLP 프레임으로부터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를 확장하여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형성하고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타 바이트를 추출한다(404). 그리고 나서 수신기는 이러한 바이트 시퀀스 번호로부터 데이타를 전달하는 RLP 프레임이 상실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406).
실시예에서, 상실 데이타의 결정은 가장 최근 수신 RLP 데이타에 의해 표시된 바이트 시퀀스 번호를 가장 최근의 성공적으로 수신된 이전 데이타의 바이트 시퀀스 번호에 상응하는 바이트 시퀀스 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재전송이 아닌 수신 RLP 데이타 프레임의 최종 바이트는 가장 최근의 성공적인 수신 RLP 데이타 바이트로 간주된다. 재전송이 아니거나 수신된 RLP 유휴 프레임인 수신 RLP 데이타 프레임으로부터 확장된 바이트 시퀀스 번호가 가장 최근에 성공적으로 수신된 이전 데이타 바이트의 시퀀스 번호로부터 페이지 보다 더 크게 상이하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실 RLP 데이타 프레임이 발생한 것이다.
앞서 언급된 RLP2 프로토콜은 재전송된 RLP 프레임들의 상실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타이머 및 프레임 카운터들의 사용을 기술한다.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역시 사용된다.
데이타가 상실되었다고 결정되면, 수신기는 상실 데이타의 재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NAK 프레임을 형성 및 전송한다(408). 대안적 실시예에서, 성공적으로 수신된 바이트 시퀀스 번호 공간에 대한 수신기의 지식에 기초하여 수신기는 재전송된 RLP 프레임들내의 RLP 시퀀스 번호들에서 사용되는 감소된 비트들을 NAK 프레임내에 지정할 수 있다.
데이타가 상실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수신기는 RLP 유휴 또는 RLP 데이타 프레임들을 적절하게 형성 및 전송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유휴 프레임들은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고 매 프레임 주기보다 덜 빈번하게 전송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제시되듯이, 전송기(502)는 무선 통신 채널(506)을 통해 수신기(504)와 통신한다. RLP 데이타 프레임 및 제어 프레임들은 전송기(502)로부터 수신기로 채널(506A)을 따라 전달되고, RLP 확인응답 또는 부정응답이 채널(506B)을 따라 수신기에서 전송기로 전달된다. 전송기간 동안 전송 채널(506)의 용량이 변하고, 때때로 원래 전송에서 사용되던 용량보다 낮은 채널상에서 데이타 재전송을 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큰 풀-레이트 RLP 프레임이 전송기(502)에 의해 채널(506A)상에서 전송될 수 있지만, 수신기(504)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나서, 채널(506) 용량은 수신기(504)가 채널(506B)에서 상실 데이타에 대한 NAK 프레임을 전달한 바로 직전 또는 바로 직후 감소된다. 전송기(502)는 감소된 채널(506B) 용량에서 재전송을 위한 수개의 작은 RLP 프레임들 사이에서 원래의 상실 풀-레이트 RLP 데이타로부터 데이타 바이트들을 분배시켜야만 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전송된 RLP 프레임들이 감소된 채널(506A) 용량에서 재전송시에 상실되었다고 수신기(504)가 결정하면, 수신기(504)는 채널(506B)에서 개별 상실 재전송 프레임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부정응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송기(502)는 메모리에 접속된 프로세서와 상기 메모리에 의해 처리되는 바이트들을 무선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에는 전송 장치들상에서 전송되는 바이트 스트림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시된 향상된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에 따라 전송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수신기(504)는 메모리에 접속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바이트들을 무선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에는 상기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데이타가 제공되고 여기서 제시된 향상된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에 따른 전송을 위한 응답 프레임들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시된 선호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사용 및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기술되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제시된 특징 및 원리를 따르는 다양한 실시예들로 확장될 수 있다.

Claims (6)

  1.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미리 설정된 시퀀스 번호 공간의 서브셋으로부터의 시퀀스 번호들을 상기 정보 바이트 스트림으로부터의 정보 바이트 셋 각각에 지정하는 단계;
    b) 미리 설정된 페이지 사이즈로 제1 시퀀스 번호를 나눔으로써 상기 서브셋의 제1 시퀀스 번호로부터 제1 단축 시퀀스 번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단축 시퀀스 번호를 전송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내로 포맷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레임 헤더 및 상기 정보 바이트셋을 가지고 상기 전송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바이트 스트림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축 시퀀스 번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모듈로(modulo) 함수 베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번호의 모듈로 함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 바이트 스트림 전송 방법.
  3.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a) 수신 프레임의 프레임 헤더로부터 단축 시퀀스 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b) 미리 설정된 페이지 사이즈를 상기 단축 시퀀스 번호에 곱함으로써 제1비단축 시퀀스 번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미리 설정된 시퀀스 번호 공간으로부터 시퀀스 번호들을 상기 수신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바이트 셋 각각에 지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시퀀스 번호들에 따라 상기 정보 바이트 셋들로부터 상기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바이트 스트림 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축 시퀀스 번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모듈로(modulo) 함수 베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시퀀스 번호의 모듈로 함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정보 바이트 스트림 전송 방법.
  5.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a) 단축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시퀀스 번호들 및 상기 정보 바이트 스트림의 일부를 포함하는 데이타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전송기; 및
    b) 상기 데이타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단축 RLP 시퀀스 번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재건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정보 바이트 스트림 전송 시스템.
  6.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서,
    a) 단축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시퀀스 번호들 및 상기 정보 바이트 스트림의 일부를 포함하는 데이타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해 제1 프로세서 및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송기 수단; 및
    b) 상기 데이타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단축 RLP 시퀀스 번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재건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수신기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바이트 스트림 전송 시스템.
KR1020017015195A 1999-05-27 2000-05-26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KR100714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21,296 US6507582B1 (en) 1999-05-27 1999-05-27 Radio link protocol enhancements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US09/321,296 1999-05-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684A Division KR100720786B1 (ko) 1999-05-27 2000-05-26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시스템,송신기 및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273A true KR20020030273A (ko) 2002-04-24
KR100714505B1 KR100714505B1 (ko) 2007-05-07

Family

ID=2325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195A KR100714505B1 (ko) 1999-05-27 2000-05-26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6507582B1 (ko)
EP (2) EP1865682A3 (ko)
JP (1) JP4519382B2 (ko)
KR (1) KR100714505B1 (ko)
CN (1) CN1165146C (ko)
AT (1) ATE366497T1 (ko)
AU (1) AU5447000A (ko)
BR (1) BR0010924B1 (ko)
DE (1) DE60035417T2 (ko)
HK (1) HK1044431B (ko)
WO (1) WO20000742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5773B2 (ja) * 1999-03-10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
KR100416996B1 (ko) * 1999-05-10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32321B1 (ko) * 1999-05-21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가변 길이의 블록 일련번호 생성 및 바이트 일련번호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539879B1 (ko) * 1999-06-29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라디오링크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149193B2 (en) * 1999-12-15 2006-12-12 Nortel Networks Limited Dynamic, dual-mode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with a split layer 2 protocol
FI109862B (fi) * 2000-01-10 2002-10-15 Nokia Corp Menetelmä taajuudenvälisen yhteydenvaihdon valmistelemiseksi, verkkoelementti ja matkaviestin
US7315544B2 (en) * 2000-01-21 2008-01-01 Bytemobile, Inc. Global sequence number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6859456B1 (en) * 2000-03-13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mmunicated data
KR100667739B1 (ko) * 2000-06-09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EP1175063A3 (en) * 2000-07-20 2003-08-27 Nortel Networks Limited Network layer protocol aware link layer
KR100447162B1 (ko) * 2000-08-1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디오 링크 콘트롤(rlc)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정보의 길이 지시자(li) 처리방법
US7746953B1 (en) * 2000-09-12 2010-06-29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ynchronous incremental redundancy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31257B1 (en) * 2000-09-22 2006-04-18 Lucent Technologies Inc. Radio link protocol (RLP)/point-to-point protocol (PPP) design that passes corrupted data and error location information among layers in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protocol
TW511340B (en) * 2000-12-12 2002-11-21 Elan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system for data loss detection and re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DE10108146A1 (de) * 2001-02-20 2002-08-29 Siemens Ag Datenübertragungsverfahren
US7096261B2 (en) * 2001-03-12 2006-08-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quality of service levels in a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connection
US7170896B2 (en) 2001-06-20 2007-01-30 Motorola, Inc.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method to preserve communication link bandwidth in a packet communication session
KR100735692B1 (ko) * 2001-07-1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응 부호화와 재전송을 이용한 부호화 변환 방법
US7362707B2 (en) * 2001-07-23 2008-04-22 Acme Packet,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flow quality statistics for real-time transport protocol data flows
US7327694B2 (en) * 2001-07-31 2008-02-05 Sasken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Adaptive radio link protocol (RLP) to improve performance of TCP in wireless environment for CDMAone and CDMA2000 systems
US7856660B2 (en) * 2001-08-21 2010-12-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ystem for efficiently handling cryptographic messages containing nonce values
JP3912091B2 (ja) * 2001-12-04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30126196A1 (en) * 2001-12-27 2003-07-03 Todd Lagimonier System for optimizing the invocation of computer-based services deployed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7280480B2 (en) * 2002-01-07 2007-10-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8233501B2 (en) * 2002-02-13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Transport block set segmentation
US6975650B2 (en) * 2002-02-13 2005-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Transport block set segmentation
US7167476B1 (en) * 2002-04-12 2007-01-23 Juniper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data in a network device
AU2003221958B2 (en) * 2002-04-15 2008-03-06 Nokia Corporation RLP logical layer of a communication station
KR100547842B1 (ko) * 2002-07-29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들을 전송하는 장치
US7414989B2 (en) * 2003-05-07 2008-08-19 Motorola, Inc. ACK/NACK determination reliability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05033399A (ja) * 2003-07-10 2005-02-03 Fujitsu Ltd パケット送受信装置
KR100565627B1 (ko) * 2003-10-13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라디오링크 프로토콜 제어 프레임 및 그것을 이용한 라디오 링크프로토콜 시퀀스의 업데이트 방법
US7197026B2 (en) * 2003-12-23 2007-03-2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LP optimization
KR100714675B1 (ko) * 2004-01-30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프레임 재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네트워크 장치
GB0414057D0 (en) * 2004-06-23 2004-07-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and system for,communicating data, and a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US7539214B2 (en) * 2004-12-08 2009-05-26 Motorola, Inc. Variable reliability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1834424B1 (en) * 2005-01-03 2016-08-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of frame number encoding for synchron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FR2882599B1 (fr) * 2005-02-25 2007-05-04 Somfy Soc Par Actions Simplifi Systeme de communication avec comptabilite croisee et trame de communication associee
US8867336B2 (en) * 2005-09-28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decoding errors
US8208474B2 (en) * 2006-07-31 2012-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packe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661038B2 (en) * 2006-10-09 2010-02-09 Intel Corporation Link adaptation for retransmission error-control technique transmissions
ES2611628T3 (es) 2006-11-01 2017-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para la sincronización de contenido cuando se difunden datos en una red inalámbrica
US7453379B2 (en) * 2007-03-12 2008-11-18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long matches of data in a compression history
US7865585B2 (en) 2007-03-12 2011-01-04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ad hoc proxy-cache hierarchies
US8255570B2 (en) 2007-03-12 2012-08-28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ompression history expiration and synchronization
US7827237B2 (en) 2007-03-12 2010-11-02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long matches of data in a compression history
US7460038B2 (en) 2007-03-12 2008-12-02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clustered sharing of compression histories
US7619545B2 (en) * 2007-03-12 2009-11-17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pplication and protocol specific parsing for compression
US7532134B2 (en) * 2007-03-12 2009-05-12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compression histories between multiple devices
US7712150B2 (en) * 2007-10-01 2010-05-11 Pardillo Joseph M Protective pad assembly magnetically attachable to garment
US20110286404A1 (en) * 2009-11-20 2011-1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transitions of transfer between radio links for data reception
US20110286322A1 (en) * 2009-11-20 2011-11-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transitions of data transmission transfer between radio links
US8743763B2 (en) * 2010-07-23 2014-06-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device dormancy
US9510285B2 (en) 2010-07-23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device dormancy
US9055464B2 (en) * 2011-07-07 2015-06-09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RLC Data transmission control based on UE memory capacity
WO2017136004A1 (en) * 2016-02-05 2017-08-10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lexible time-domain resource mapping for npdcch and npdsch in nb-iot systems
US10892858B2 (en) 2018-09-28 2021-01-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hain broadcasting in vehicle-to-everything (V2X) communications
US10972958B1 (en) 2020-03-05 2021-04-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cation-based route management for vehicle-to-everything relay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0830A (en) * 1984-12-28 1987-04-21 David S. Drynan Transmitting sequence numbers of information in a packet data transmission system
JPS6251326A (ja) * 1985-08-30 1987-03-06 Oki Electric Ind Co Ltd デ−タ通信における再送制御方式
JPH02112327A (ja) * 1988-10-21 1990-04-25 Fujitsu Ltd パケット衛星通信方式
JPH0454046A (ja) * 1990-06-22 1992-02-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Isdn通信制御装置
JPH04168841A (ja) * 1990-11-01 1992-06-17 Nec Eng Ltd フレーム送受信方式
US5151899A (en) 1991-02-11 1992-09-2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Tracking sequence numbers in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088342A (en) * 1997-05-05 2000-07-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ynamic configuration of radio link protoco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610595A (en) * 1991-12-09 1997-03-11 Intermec Corporation Packet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tocol
US5337313A (en) * 1992-11-12 1994-08-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packet squencing in a packet transmission system
US5444709A (en) 1993-09-30 1995-08-22 Apple Computer, Inc. Protocol for transporting real time data
US5920352A (en) * 1994-10-28 1999-07-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memor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a block oriented image processing system
US5553083B1 (en) * 1995-01-19 2000-05-16 Starburst Comm Corp Method for quickly and reliably transmitting frames of data over communications links
JPH08223217A (ja) * 1995-02-08 1996-08-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パケット多重方法
US5703902A (en) * 1995-06-16 1997-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gnal strength in a variable data rate system
FI101332B1 (fi) * 1995-12-18 1998-05-2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Epäjatkuvalähetys monikanavaisessa suurinopeuksisessa datasiirrossa
US5771033A (en) * 1996-05-24 1998-06-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solving an image displayed on a computer screen
US6011806A (en) * 1996-11-08 2000-01-04 Atx Research, Inc. Cellular telephone communication protocol
US6314101B1 (en) * 1997-06-17 2001-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detecting delayed data frames in a transport function
KR100234134B1 (ko) * 1997-08-29 1999-12-15 윤종용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US6317430B1 (en) * 1998-02-19 2001-11-13 Lucent Technologies Inc. ARQ protocol support for variable size transmission data unit sizes using a hierarchically structured sequence number approach
US6226301B1 (en) * 1998-02-19 2001-05-0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ation and assembly of data frames for re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282403B1 (ko) * 1998-08-20 2001-02-15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회선 프로토콜의 프레임 전송 방법
US6167273A (en) * 1999-04-28 2000-12-26 Nokia Mobile Phones Lt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effectuating power control to maintain desired QoS levels in the performance of a communication service
JP2002314601A (ja) * 2001-04-18 2002-10-25 Ntt Docomo Inc 受信状態報告方法、ノード装置及び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5682A2 (en) 2007-12-12
BR0010924B1 (pt) 2014-01-28
US6507582B1 (en) 2003-01-14
WO2000074259A3 (en) 2001-05-03
CN1352848A (zh) 2002-06-05
KR100714505B1 (ko) 2007-05-07
HK1044431B (zh) 2005-04-22
BR0010924A (pt) 2002-04-02
DE60035417D1 (de) 2007-08-16
US7123617B1 (en) 2006-10-17
EP1183846B1 (en) 2007-07-04
WO2000074259A2 (en) 2000-12-07
EP1183846A2 (en) 2002-03-06
EP1865682A3 (en) 2010-05-26
DE60035417T2 (de) 2008-03-13
AU5447000A (en) 2000-12-18
JP4519382B2 (ja) 2010-08-04
ATE366497T1 (de) 2007-07-15
JP2003501865A (ja) 2003-01-14
CN1165146C (zh) 2004-09-01
HK1044431A1 (en)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505B1 (ko)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EP1236332B1 (en) Radio link protocol frame sorting mechanism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KR100594543B1 (ko) 통신시스템에서 무선링크 프로토콜을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62263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ation and assembly of data frames for re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8331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data retransmission in a voice-over-data communication system
AU2005253495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protocol data unit having processing time information
KR10028240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회선 프로토콜의 프레임 전송 방법
US20130343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operation of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CN104967503A (zh) 用于经由高速下行链路分组接入接收分组的方法及wtru
JP2002521936A (ja) 通信システムのオーバヘッドの最小化方法及び装置
US20030086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packet data betwee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base transceiver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0619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ayed frame detection in third generation radio link protocol
JP3569724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自動再伝送要求方式2/3のためのデータ伝送方法
KR100720786B1 (ko) 정보 바이트 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방법, 시스템,송신기 및 수신기
KR100298372B1 (ko) 영상 데이터 재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60621

Effective date: 200607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