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255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255A
KR20020029255A KR1020000060111A KR20000060111A KR20020029255A KR 20020029255 A KR20020029255 A KR 20020029255A KR 1020000060111 A KR1020000060111 A KR 1020000060111A KR 20000060111 A KR20000060111 A KR 20000060111A KR 20020029255 A KR20020029255 A KR 2002002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all quality
line
relay se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7962B1 (ko
Inventor
반지훈
Original Assignee
김영한
주식회사 미디어 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한, 주식회사 미디어 콤 filed Critical 김영한
Priority to KR10-2000-006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962B1/ko
Publication of KR2002002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lines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36Quality of speech transmission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계구간 회선의 통화품질 측정을 객관적인 통화품질 평가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중계구간 회선의 통화품질 측정을 객관적인 통화품질 평가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는 발신 가입자 회선 포트 및 착신 가입자 회선 포트와 사용자 정합수단, 교환기 정합수단, 음성정보 분석수단, 결과분석 및 통계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신 가입자 회선 포트 및 착신 가입자 회선 포트는 자국 교환기와 정합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정합수단은 자국 교환기와 정합하기 위한 접속 정보 설정모드와 통화품질 측정조건 설정모드, 통화품질 측정모드, 측정결과 출력모드를 갖는다. 교환기 정합수단은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명령을 자국 교환기로 전송하고, 자국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를 분석한다. 음성정보 분석수단은 발신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송신된 기준 음성 신호가 중계구간 회선과 착신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되돌아오면 이를 기준 음성 신호와 비교 분석하여 수치화 한다. 결과분석 및 통계 처리수단은 자국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및 음성정보 분석 결과를 통하여 불량 회선 정보와 통화품질 측정 결과를 발생시켜서 통계적으로 처리한 다음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Speech quality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of trunk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의 중계구간 회선(Trunk)의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간 사회, 문화, 생활 전반에 걸쳐 정보 통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이동 통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아날로그 시스템보다 훨씬 큰 용량을 갖는 CDMA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서비스 이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통화중의 잡음과 묵음 등 통화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객 불만 사항이면서 동시에 서비스 업자들이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깨끗한 통화품질을 유지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통화품질 평가를 위한 노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하나의 셀룰러 게이트웨이 시스템(CGS ; Cellular Gateway System)(102)에 많은 수의 이동통신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04)가 서로 중계구간 회선(106)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한 구조를 나타내었다. 셀룰러 게이트웨이 시스템(102)이나 이동통신 서비스 스위칭 센터(104)는 모두 일종의 교환기로서, 하나의 셀룰러 게이트웨이 시스템(102)은 이동통신 서비스 스위칭 센터(104) 뿐만 아니라 다른 셀룰러 게이트웨이 시스템과도 중계구간 회선(106)으로 연결되어 더욱 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품질을 떨어뜨리는 많은 원인 가운데 하나가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의 중계구간 회선에서의 통화품질 손실이다. 기존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을 측정하는 방식은 자국 교환기에서 통화로(路) 개설을 통한 사람의 반복적인 직접 통화를 이용하여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통화품질 측정 방법은 사람이 직접 통화를 하여 평가를 해야 한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자동화되어 있지 않은 시험 과정으로 인하여 상당한 테스트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중계구간 회선의 통화품질 측정을 객관적인 통화품질 평가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는 발신 가입자 회선 포트 및 착신 가입자 회선 포트와 사용자 정합수단, 교환기 정합수단, 음성정보 분석수단, 결과분석 및 통계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신 가입자 회선 포트 및 착신 가입자 회선 포트는 자국 교환기와 정합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정합수단은 자국 교환기와 정합하기 위한 접속 정보 설정모드와 통화품질 측정조건 설정모드, 통화품질 측정모드, 측정결과 출력모드를 갖는다. 교환기 정합수단은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명령을 자국 교환기로 전송하고, 자국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를 분석한다. 음성정보 분석수단은 발신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송신된 기준 음성 신호가 중계구간 회선과 착신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되돌아오면 이를 기준 음성 신호와 비교 분석하여 수치화 한다. 결과분석 및 통계 처리수단은 자국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및 음성정보 분석 결과를 통하여 불량 회선 정보와 통화품질 측정 결과를 발생시켜서 통계적으로 처리한 다음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중계구간 회선 정보와 접속 정보 및 통화품질 측정조건을 입력받아 해당 중계구간 회선을 통한 호 설정을 요청하는 호 설정 요청 단계와, 호가 연결되면 테스트용 기준 음성신호를 송신한 다음 중계구간 회선을 통해 되돌아오는 음성 신호를 기준 음성신호와 비교 분석하여 중계구간 회선에서의 통화품질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측정장치의 측정 구간 및 신호 전달 경로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측정장치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202 : 자국 교환기 104, 204 : 대국 교환기
106, 210 : 중계구간 회선206 : 통화품질 측정장치
208 : 통화품질 측정구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측정장치의 측정 구간 및 신호 전달 경로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발신 및 착신 가입자 회선(fix phone line)(212)을 통하여 자국 교환기(202)에 직접 연결된다.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사용자 정합기능과 교환기 정합기능, 음성분석기능, 통계처리기능을 수행하며, 이 가운데 교환기 정합기능은 맨-머신 커맨드(Man-Machine Command)(조회, 프리픽스(prefix) 정보 변경 요구 및 호 설정 요구 등의 명령) 수행과 측정 결과 분석 기능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화품질 측정조건에 따라 자국 교환기(202)에 프리픽스 정보 변경 및 호 설정(call setup)을 요구한다. 호가 설정되면 기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고, 저장되어 있는 기준 음성 신호와 수신된 음성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중계구간 회선의 통화품질 상태(양호/불량)를 판단한다. 측정이 끝난 후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통화품질 측정 결과를 출력한다.
자국 교환기(202)는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로부터의 맨-머신 커맨드에 따라 프리픽스 정보를 변경하고, 선택된 경로(route)로 라우팅(routing)을 실시하며, 호가 설정된 번호에 대한 추적(trace)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기존의 교환기에 이미 구현되어 있는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부분은 없으며 텔넷(Telnet)을 통해 통화품질 측정장치(206)와 정합 한다.
대국 교환기(204)는 자국 교환기(202)에서 라우팅을 실시하는 대상 교환기로서, 입력된 호 설정 요구에 대해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조회 과정을 통해 재 라우팅을 실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자국 교환기(202)와 마찬가지로 기능이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부분 없이 기존의 기능이 그대로 이용되며, 대부분 자국 교환기(202)로 호를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통화품질 측정장치(206)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통화품질 측정용 보드(board)를 탑재한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를 갖는다. 실제의 통화품질의 측정과 평가는 측정용 보드에서 이루어지고, 측정 결과의 분석과 통계, 데이터베이스 저장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또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자국 교환기(202) 사이에 제어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화품질 측정장치(206)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는 사용자 정합 기능과 교환기 정합 기능, 명령 수행시 보안 기능, 결과 메시지 분석 기능, 음성 분석 기능, 결과 분석 및 통계 기능 등이 있다.
사용자 정합기능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가 제공된다. 측정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자국 교환기(202)와 정합하기 위한 접속정보 요구와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 설정 화면 및 측정 화면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품질 측정 실행 상황 및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정합 기능을 위한 접속정보 화면은 측정 프로그램 시작 후 자국 교환기(20)와 정합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정보에는 자국 교환기(202)의 IP 어드레스와 로그인 아이디(login ID) 및 패스워드 등이 있다.
이 부분에서는 발신 및 착신 가입자 회선(212)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호 설정 후 기준 음성 신호를 송출할 때 선택할 기준 음성 신호 등의 음질측정 기준을 선택한다. 시험중 불량/양호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PMOS(Predictive Mean Opinion Score)값을 설정한다. 그룹 루트 시험과 개별 루트 시험, 개별 중계구간 회선 시험 등의 시험종류를 선택한다. 측정시 사용할 프리픽스와 시퀀스 등의 라우팅 정보, 즉 측정을 원하는 라우트를 선택할 때 변경되는 정보를 입력한다.
반복 측정 횟수와 불량시 재 측정 횟수, 측정 방법, 불량 발생시의 대처 방법 등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측정 방법 선택은, 측정을 실시할 때 선택된 중계구간 회선을 블로킹(blocking)시킨 후 측정할 것인지, 아니면 해당 중계구간 회선이 휴면(idle) 상태일 때 측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불량 발생시의 대처 방법으로는, 측정 결과 불량 중계구간 회선이 발견되었을 때,프로그램을 중지하고 메시지를 표시한 다음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때까지 프로그램의 진행을 중지하는 것과,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프로그램은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이 있다. 또 불량 발생 중계구간 회선이 발견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해당 중계구간 회선을 블로킹한 다음 프로그램은 계속 진행하는 것과 해당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후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하는 것 등이 있다.
교환기 정합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해당 명령을 자국 교환기(202)로 전송하고, 자국 교환기(202)로부터의 출력 메시지를 분석하는 기능으로서, 텔넷(Telnet)을 이용하여 자국 교환기(202)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명령 수행 시 보안기능은 명령어 수행시 사용 가능한 명령어와 사용이 불가능한 명령어를 미리 구분하여 잘못된 명령이나 메시지가 실행되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명령어 수행시 수행 명령어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인지를 조회하여 실행 가능할 경우에만 실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실행자체가 금지되도록 조치한다.
음성 분석기능은 측정을 통해 검출된 결과를 기준 PMOS값과 비교하여 양호/불량을 판단하는 기능이다. 음성분석기능에는 발신 가입자 회선(212a)을 통하여 기준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음성정보 송신기능과, 수신 가입자 회선(212b)을 통하여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정보 수신기능 및 수신음성의 상태를 분석하여 수치화 하는 음성정보 분석기능이 있다. 음성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중계구간 회선의 불량 상태에는 중계구간 회선의 묵음과 단방향(one-way), 잡음, 에코(echo) 등과 같은 체감 음성품질의 불량을 들 수 있다.
결과분석 및 통계처리기능은 음성분석 결과와 자국 교환기(202)로부터의 메시지를 분석하여 불량 회선 정보와 통화품질 측정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해당 내용을 통계 처리하여 분석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결과분석 및 통계처리기능은 측정이 완료된 후 라우트 및 중계구간 회선에 대한 측정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출력기능과, 교환기별 측정결과와 라우트별 측정결과 및 중계구간 회선별 측정결과 등을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통계처리기능, 통계처리를 마친 결과를 교환기별/루트별/중계구간 회선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측정이후 어느 때나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품질 측정장치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가 통화품질을 테스트할 중계구간 회선 구간(210a) 및 테스트 조건(시험 회수, 불량 기준, 발착신 번호 등)을 선택하면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해당 내용을 텔넷(telnet) 회선을 통해 자국 교환기(202)로 통보한다. 이 때 자국 교환기(202)에 연결된 다수개의 대국 교환기 가운데 하나의 교환기가 선택되고, 선택된 대국 교환기와 자국 교환기(202) 사이의 중계구간이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가 되며, 이 경로를 대상으로 통화품질의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S301).
통화품질 측정 대상이 결정되면 자국 교환기(202)는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내용에 맞게 프리픽스의 라우팅 정보를 변경한다. 또 발신 가입자 회선(212a)에서 착신 가입자 회선(212b)으로 셋업 중계구간 회선 맨-머신 커맨드(Setup-Trunk MMC)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요청한다(S302).
대국 교환기(204)는 호를 설정하기 전에 해당 중계구간 회선의 상태를조회한다(S303). 해당 중계구간 회선이 가입자에 의해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여(S304) 사용중이 아니면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호를 설정하게 된다.
호 설정을 요청 받은 대국 교환기(204)에서는 발신 번호 조회를 실시하여 중계구간 회선 구간(210b)을 통해 다시 자국 교환기(202)로 라우팅을 실시한 다음 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자국 교환기(202)에 알린다. 자국 교환기(202)는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로 링 신호를 송신하여 착신측 전화를 후크 오프 하도록 한다. 이로써 발신 가입자 회선(212a)과 제 1 중계구간 회선 구간(210a), 제 2 중계구간 회선 구간(210b), 착신 가입자 회선(212b)을 통하여 호가 연결된다(S305).
셋업 중계구간 회선 맨-머신 커맨드가 전송되면 자국 교환기(202)에서는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로 링 신호(ring back tone)를 보내 사용자가 발신측 전화를 후크 오프(hook off) 하도록 한다(S306). 발신측 전화가 후크 오프 되면 자국 교환기(202)는 대국 교환기(204)로 호 설정을 요청한다(S307∼S308).
호가 연결되면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발신 가입자 회선(212a)을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테스트용 기준 음성신호를 송신한다. 이 기준 음성신호는 제 1 중계구간 회선(210a)과 대국 교환기(204), 제 2 중계구간 회선(210b)을 거친 다음 착신 가입자 회선(212b)을 통해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로 되돌아온다(S309).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송신한 기준 음성신호와 수신된 음성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중계구간 회선에서의 통화품질을 판단한 다음 그 결과를 출력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310).
통화품질의 측정이 완료되면 자국 교환기(202)는 대국 교환기(204)에 호 설정해제(call release)를 요청한다. 대국 교환기(204)는 호 설정을 해제하고 이를 자국 교환기(202)에 알린다. 통화품질 측정장치(206)는 통화품질 측정을 실시하지 않은 다른 중계구간 회선을 대상으로 상술한 S306∼S310의 단계를 반복하고(S311), 모든 중계구간 회선을 대상으로 통화품질의 측정이 완료되면 작업을 종료한다(S312).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중계구간 회선의 통화품질 측정을 객관적인 통화품질 평가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실제 음성 품질 수준의 통화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국 교환기와 대국 교환기가 중계구간 회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국 교환기와 정합하기 위한 발신 가입자 회선 포트 및 착신 가입자 회선 포트와;
    상기 자국 교환기와 정합하기 위한 접속 정보 설정모드와 통화품질 측정조건 설정모드, 통화품질 측정모드, 측정결과 출력모드를 갖는 사용자 정합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에 따른 접속 명령을 상기 자국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자국 교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를 분석하는 교환기 정합수단과;
    상기 발신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송신된 상기 기준 음성 신호가 상기 중계구간 회선과 상기 착신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되돌아오면 이를 상기 기준 음성 신호와 비교 분석하여 수치화 하는 음성정보 분석수단과;
    상기 자국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및 음성정보 분석 결과를 통하여 불량 회선 정보와 통화품질 측정 결과를 발생시켜서 통계적으로 처리한 다음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결과분석 및 통계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가 텔넷을 통하여 상기 자국 교환기와 연결되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측정장치.
  3. 다수개의 자국 교환기와 대국 교환기가 중계구간 회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중계구간 회선 정보와 접속 정보 및 통화품질 측정조건을 입력받아 해당 중계구간 회선을 통한 호 설정을 요청하는 호 설정 요청 단계와;
    호가 연결되면 테스트용 기준 음성신호를 송신한 다음 상기 중계구간 회선을 통해 되돌아오는 음성 신호를 상기 기준 음성신호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중계구간 회선에서의 통화품질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요청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중계구간 회선 정보와 상기 접속 정보 및 상기 통화품질 측정조건을 입력받아 상기 자국 교환기에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와;
    호 설정을 요청 받은 상기 자국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신용 전화를 후크 오프 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구간 회선의 상태를 조회하여 사용중이 아니면 상기 중계구간 회선을 통하여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호가 설정된 다음 상기 사용자에게 링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신용 전화를 후크오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KR10-2000-0060111A 2000-10-12 2000-10-12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KR100367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111A KR100367962B1 (ko) 2000-10-12 2000-10-12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111A KR100367962B1 (ko) 2000-10-12 2000-10-12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255A true KR20020029255A (ko) 2002-04-18
KR100367962B1 KR100367962B1 (ko) 2003-01-14

Family

ID=1969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111A KR100367962B1 (ko) 2000-10-12 2000-10-12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9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640B1 (ko) * 2000-11-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선 통신망의 전송구간 음성품질 측정장치의 묵음 검출방법
KR100427615B1 (ko) * 2000-10-30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의 회선군 상태 조회방법
KR100819314B1 (ko) * 2001-03-28 2008-04-02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에 대한 불소통 원인 분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15B1 (ko) * 2000-10-30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의 회선군 상태 조회방법
KR100392640B1 (ko) * 2000-11-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선 통신망의 전송구간 음성품질 측정장치의 묵음 검출방법
KR100819314B1 (ko) * 2001-03-28 2008-04-02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에 대한 불소통 원인 분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7962B1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433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의 연속성 시험방법
CA24812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ommunication market statistics
KR970703671A (ko) 원거리 통신망에서 특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in telecommunication nerworks)
KR10036796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구간 회선 통화품질 측정장치 및측정방법
KR100553549B1 (ko) 이동 통신망의 통화 품질 자동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72187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incoming calls through to subscribers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111943A (en) Rapid call set-up for multiple leg telecommunications sessions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100592025B1 (ko) 콜 센터에서의 아웃바운드 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79417A (ko) 통화호의 점유중인 trk 확인 방법
KR100210763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KR20010092807A (ko) 교환기간 중계선 시험장치 및 그 방법
KR100639855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정보표시 데이터 전송 시험 장치및 방법
KR100221526B1 (ko)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통화로 시험신호 지정방법
US648057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ath faults in a network
KR100283395B1 (ko) 사설 교환기 시스템의 외부 착신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0004612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처리 방법
KR960028637A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어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304929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유무선교환시스템및그를이용한유선단말의이동성보장방법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100380628B1 (ko) 통신 시스템의 통화회선 품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617694B1 (ko) 국선자동 착신기능을 이용한 국선 발신방법
KR960009550A (ko) 발신번호 자동송출 무선호출시스템 및 무선호출 발신번호 자동송출방법
KR200248129Y1 (ko)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31161B1 (ko) 착신 호 가로채기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