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129Y1 -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129Y1
KR200248129Y1 KR2020010019072U KR20010019072U KR200248129Y1 KR 200248129 Y1 KR200248129 Y1 KR 200248129Y1 KR 2020010019072 U KR2020010019072 U KR 2020010019072U KR 20010019072 U KR20010019072 U KR 20010019072U KR 200248129 Y1 KR200248129 Y1 KR 2002481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remote monitoring
communication terminal
measuremen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2020010019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1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1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129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영역의 전파감도를 모니터링하는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 착·발신 기능을 가지며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망(20)을 통하여 연결되어 이동 통신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교환국(30)과, 이동 통신 교환국(30)을 통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화를 걸어 링-백 톤에 의거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의 특정 영역, 즉 특정 이동 통신 중계기의 전파감도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망에서 소형 중계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고 또는 폐기된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 통신 중계기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REMOTE MONITORING RADIO SENSITIVITY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고안은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영역의 전파감도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동 통신 중계기는 대형 기지국과 중형 중계기가 있는가 하면 이동 전화의 사용이 원활하지 못한 곳, 즉 지하나 밀폐된 곳 또는 전파가 용이하게 도달하지 못한 곳에 설치하여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는 소형 중계기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동 통신 환경을 살펴보면 무선 전파 재해 지역이 많은 관계로 약 10만개 이상의 소형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형 중계기는 설치비를 낮추기 위하여 제작시에 무선 중계를 위한 필수 기능만을 부여하므로 자체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배제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 중계기가 손·망실된 경우에 원격지에서 알 수 없음은 물론이고 현장에서도 파악할 수가 없어서 현재 우리나라의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소형 중계기의 관리를 방치 또는 포기한 상태에 놓여 있으며, 이를 위한 대책 방안 및 관리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연구 개발의 한 결과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영역, 즉 특정 이동 통신 중계기의 커버리지 전파감도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동 통신 전화의 사용 인구는 2000만 명을 넘어서고 있고, 매달 단말기 교체 및 해제 건은 10만 내지 15만 건에 이르러 이에 대응하는 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CDMA 칩에 대한 약 100억원 이상의 로얄티(Royalty)가 사장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폐기 또는 중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감시, 위치추적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저렴한 가격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영역의 전파감도를 모니터링하는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 착·발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이동 통신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교환국,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을 통하여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링-백 톤(Ring-Back Tone)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동 통신 중계기의 커버리지 내에 배치하면 전파감도의 측정을 통하여 이동 통신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서,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이동 통신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원격지에서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자동으로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이동 통신 중계기 상태를 파악하여, 이상이 발생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이동 통신 중계기의 동작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망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고안에서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파 수신 정상시와 전파 수신 불량시의 링-백 톤(Ring-Back Tone)의 파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통신 중계기 20 : 무선망
30 : 이동 통신 교환국 40 : 인터넷
50 : 인터넷 서버 60 : 공중전화망(PSTN)
100 :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 200 : 원격 모니터링 장치
210 : ACS 220 : TTS
230 : ARS 240 : 중앙 처리부
본 고안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망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동 통신 중계기(10), 무선망(20), 이동 통신 교환국(30), 인터넷(40), 인터넷 서버(50), PSTN(60),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교환국(30)은 PSTN 게이트웨이(31), 데이터 계통 게이트웨이(32), 인터넷 게이트웨이(33), 이동 통신 교환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34)로 이루어진다.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화 착·발신 기능을 가지며, 이동 통신 중계기(10)의 커버리지 내부에 배치 및 설치되고, 이동 통신 중계기(10) 또는 별도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중고 또는 폐기된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이용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화를 걸어 링-백 톤에 의거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며, 특정 전화 가입자, 즉 관리자 또는 유지보수업체에게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음성으로 송신 또는 인터넷 서버(50)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화를 걸어 링-백 톤을 수신하며, 특정 전화 가입자(관리자 또는 유지보수업체)에게 전화를 걸어 이상 발생 내용을 음성 정보로 송신하는 ACS(Auto Calling System; 210)와,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TTS(Text To Speech; 220)와,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긴급사항을 자동으로 접수받는 ARS(Audio Response System; 230)와, 상기 링-백 톤에 의거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의 생성 및 송신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240)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서버(50)는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에 연결되어 중앙 처리부(240)로부터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전송 받아 데이터 베이스화 하며, 인터넷(40)을 통한 정보 접근 요청에 따라 점검 결과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동 통신망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화 착·발신 기능이 양호한 폐기 또는 중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동 통신 중계기(10)의 커버리지 내에 설치한다. 이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이동 통신망의 특정 영역에 배치 및 설치됨을 의미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ACS(21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측정용 이동 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얼링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의한 링-백 톤을 수신한다.
ACS(210)는 수신된 링-백 톤을 중앙 처리부(240)로 전달하며, 중앙 처리부(240)는 링-백 톤에 의거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한다.
여기서, 중앙 처리부(240)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링-백 톤을 이용하여 전파 수신 정상시와 전파 수신 불량시를 구분할 수 있다.
통상 링-백 톤은 11 ∼ 12회가 발생되는데 전파 수신 정상시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신호 t2가 2초이고 로우신호 t1이 1초인 링-백 주기를 갖으며, 전파 수신 불량시에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신호 t4가 1.5초이고 로우신호 t3이 1.5초인 링-백 주기를 갖는다. 여기서 로우신호는 벨소리 울림 시간을 말한다.
이 경우 링-백 톤 주기는 개개의 이동 통신 회사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명확히 구별되어 정확히 신호감지가 가능하다.
링-백 톤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원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이동 통신 중계기(10)가 동일한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라면 이는 이동 통신 중계기(10)의 전원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ACS(210)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화 연결시에 처음부터 음성 메시지가 발생하거나 링-백 톤 이후에 음성 메시지가 발생되기전에 바로전화를 끊으며, 이로서 통화 요금은 발생되지 않는다.
중앙 처리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링-백 톤에 의거하여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며, TTS(220)는 중앙 처리부(240)의 제어에 따라 전파감도 점검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담당자나 유지보수 업체에 전화로 통보한다.
이후, ACS(210)는 기 저장된 특정 전화 가입자, 즉 관리자에게 전화를 걸어 TTS(220)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를 송신, 즉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음성으로 전달한다.
ARS(230)는 외부로부터 걸려온 전화를 자동 수신하여 TTS(220)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를 송신, 즉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음성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ARS(230)는 자동 수신된 전화에 대하여 DTMF 신호 입력을 통한 비밀번호 점검을 통하여 송신측의 사용자가 관리자임을 확인한 후에 음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중앙 처리부(240)는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하여 연결된 인터넷 서버(50)에 TCP/IP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전송하며, 인터넷 서버(50)는 전송된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인터넷(40)을 통한 정보 접근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점검 결과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한다. 물론 이때도 통상의 인증 방식에 따라 정보 접근 요청자가 관리자임을 확인한 후에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이를 도면에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통하여 나타나 있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의 특정 영역, 즉 특정 이동 통신 중계기의 전파감도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이동 통신망에서 소형 중계기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는 중고 또는 폐기된 통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이동 통신 중계기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 통신망에서 특정 영역의 전파감도를 모니터링하는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 착·발신 기능을 가지며 상기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망(20)을 통하여 연결되어 이동 통신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교환국(30); 및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30)을 통하여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화를 걸어 링-백 톤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교환국(30)과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공중전화망(60)을 통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특정 전화 가입자에게 상기 전파감도 점검결과를 음성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에 연결되어 상기 전파감도 점검 결과를 데이터로 전송 받아 데이터 베이스화하는 인터넷 서버(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넷 서버(50)는 인터넷(40)을 통한 정보 접근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화를 걸어 링-백 톤을 수신하며 특정 전화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어 음성 정보를 송신하는 ACS(210);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에 대응하는 상기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TTS(220);
    자동 수신한 전화를 통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송신하는 ARS(230); 및
    상기 링-백 톤에 의거하여 상기 측정용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파감도를 점검하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의 생성 및 송신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0019072U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02481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72U KR200248129Y1 (ko)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72U KR200248129Y1 (ko)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129Y1 true KR200248129Y1 (ko) 2001-10-31

Family

ID=7306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72U KR200248129Y1 (ko) 2001-06-25 2001-06-25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1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400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accessing subscriber premises equipment using ring suppression
US7466978B1 (en) Telephone network node device
US8374581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use with telephone network edge node providing privacy
US6704567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JP3119627B2 (ja) 携帯電話における着信側所在通知方法
EP1164810A3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fault mode for authentication failur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6690933B1 (en) Sharing of wirelines using a network node device
US7116971B2 (en) Configuring and maintaining network node device
KR100700094B1 (ko) 원폰의 블루투스기능 테스트방법
KR200248129Y1 (ko) 이동 통신망의 전파감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US6983042B1 (en) Business method for hybrid wireline wireless network service
KR100487237B1 (ko) 고투과페이징모드의위성통신단말기를위한호전환방법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200247646Y1 (ko) 특수 목적 전화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US7403795B1 (en) Telephone network edge node device and method for bridging and privacy
CN102006115A (zh) 一种基于卫星的应急通信方法、装置及系统
EP1319314B1 (en) Telephone network node device
KR10106940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25130B1 (ko) 지능망을 이용한 sms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375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발신 호 설정과정 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20130120015A (ko) 사용자 기반의 핸드폰 매너 모드 해제시스템 및 핸드폰 매너 모드 해제방법
KR100575792B1 (ko) 이동통신 서비스의 사업자 인식코드 부여 방법
KR960009550A (ko) 발신번호 자동송출 무선호출시스템 및 무선호출 발신번호 자동송출방법
KR100785636B1 (ko) 착신호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