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070A - Envelope - Google Patents

Envel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070A
KR20020029070A KR1020027000169A KR20027000169A KR20020029070A KR 20020029070 A KR20020029070 A KR 20020029070A KR 1020027000169 A KR1020027000169 A KR 1020027000169A KR 20027000169 A KR20027000169 A KR 20027000169A KR 20020029070 A KR20020029070 A KR 20020029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ack sheet
envelope
fold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토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라빗시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라빗시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라빗시코샤
Publication of KR2002002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07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Abstract

시트를 둘로 접어서 성명 및 주소면을 갖는 표면시트(10)와 접는 면을 갖는 이면시트(11)를 형성하며, 이들 표면시트(10) 및 이면시트(11)의 사이에 개구(17)를 갖는 봉입영역(S)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표면시트(10) 및 이면시트(11)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개구(17) 및 접는 선(13)을 제외한 가장자리부(f2)에 있어서 직접 접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표면시트(10) 및 이면시트(11)를 서로 대략 겹치게 하고, 상기 봉입영역(S)의 대략 전체영역이 동일한 매수의 시트로 구성되도록 하였다.The sheet is folded in two to form a surface sheet 10 having a name and address surface and a back sheet 11 having a folding surface, and having an opening 17 between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The encapsulation area S is formed, and the opposing faces of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are directly joined at the edge portion f2 excluding the opening 17 and the fold line 13. At the same time,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were substan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entire entire area of the encapsulation region S wa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sheets.

Description

봉투{ENVELOPE}Envelopes {ENVELOPE}

종래에 있어서, 규격 또는 규격 외의 봉투는 1매의 시트를 적당하게 접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그 기본구조는 공통적이며, 접합이 중심에 오는 중첩(中貼), 양면을 상하로 접합하는 횡첩(橫貼), 사이드가 저면의 내외측이 되는 가마니첩, 플랩의 선단이 중심으로 몰리고 접합부분이 사선이 되는 다이아첩 등 각종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Conventionally, since the standard or non-standard envelopes are made by folding a single sheet appropriately, the basic structure is inevitably common, and the overlap that the bonding is at the center, and the horizontal lattice for joining both sides up and down ( I), a variety of things are known, such as a bale nip, the side of which is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bottom face, and a daiap, the tip of the flap being driven around the center and the joining portion being oblique.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가마니첩이라고 불리는 타입에 속하는 것으로서, 1매의 종이를 접어서 풀 붙이기하고, 성명 및 주소면을 갖는 표면시트(1), 접는 면을 갖는 이면시트(2) 및 플랩(3)을 형성하고 있다. 이 봉투는 일반적인 규격형이라면, 표면시트(1)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뻗어난 풀칠날개(A)를 통하여 표면시트(1)와 이면시트(2)를 접착시켜 완성한다.For example, what is shown in FIG. 1 belongs to the type called said bale nip, the sheet | seat which folded one sheet of paper and pasted together, the surface sheet (1) which has a name and address surface, and the back sheet (2) which has a folding surface And flaps 3 are formed. If the envelope is a general standard type, it is completed by bonding the front sheet 1 and the back sheet 2 through the pasting blades A extending from the side edges of the front sheet 1.

그런데, 근년에 와서 사무용뿐만 아니라 가정내에 있어서도 컴퓨터의 보급은 눈부시고, 이에 대응하여 프린터의 보급도 광범위하게 넓어지고 있다. 그리고, 프린터의 보급에 따라서, 주소 및 성명 쓰기도 프린터인쇄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있다. 또, 상기 주소 및 성명 외에, 송신자의 로고나 장식 등을 봉투의 어느 부위를 불문하고 인쇄하고 싶다는 요구도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spread of computers has been remarkable not only for office use but also in homes, and in response to this, the spread of printers has become widespread. In addition, with the spread of printers, address printing and writing of names are also frequently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ddress and name, there is a request to print the sender's logo or decoration on any part of the envelope.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봉투에서는 풀칠날개(A)에 해당되는 부분이 종이의 3중겹이 되고, 중앙부가 2중겹이 되는 것으로 인해서 두께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봉투를 롤러에 통과시키는 경우에 인쇄 부분인 중앙부에는 롤러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어, 깨끗한 인쇄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However, 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envelope as shown in FIG. 1,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lade | wing wing A becomes a triple layer of paper, and a difference arises in thickness because a center part becomes a double layer. As a result, in the case where the envelope is passed through the rolle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ollers in the center portion, which is the printing portion, and clean printing may not be possible.

또, 반송롤러의 사이를 통과할 때, 두께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종이의 강도 차이에 의해서 주름이 발생하거나, 두께의 차이로 인해 잉크의 정착정도가 변하거나, 단차(段差)의 부분에서 인쇄가 분산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when passing between the conveying rollers, wrinkles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the paper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ickness, or the fixing degree of the ink may change due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It may be dispersed.

또, 표면시트와 이면시트가 좌우의 풀칠날개를 통하여 겹치기 때문에, 상기 양 시트끼리의 밀착도가 나빠서 구동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와 종동롤러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가 미끄러져서 반송량에 차이가 생겨, 원활한 이송과 정확한 프린트가 실행되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종 공지의 봉투에는 반드시 풀칠날개가 있어서 부분적으로 두께가 다른 부분이 있는 것으로 인한 동일한 문제가 생기며, 이와 같은 문제는 특히 레이저식 프린터에 있어서 현저하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overlap each other through the left and right paste blades, the adhesion between the two sheets is poor, and the sheet conveyed by the driving roller and the sheet conveyed by the driven roller slide, resulting in a difference in conveying amount. Another problem is that smooth transfer and accurate printing are not performed.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various known envelopes always have pasting blades, so that the same problem arises due to a part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nd this problem is particularly remarkable in a laser prin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프린터에 적용하여도 확실한 주소 및 성명 등을 인쇄할 수 있는 봉투의 구조를 개시하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discloses a structure of an envelope capable of printing a reliable address and name even when applied to a widely-used printer.

본 발명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린터를 직접 통과시켜서 인쇄하는 일을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elop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elope capable of suitably carrying out printing through a printer.

도 1은 종래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1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nvelop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2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완성도.Fig. 3 is a complete view showing the envelope in the above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4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완성도.Fig. 5 is a complete view showing the envelope in the above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Fig. 6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7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완성도.Fig. 8 is a complete view showing the envelope in the above embodiment;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의 이용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n envelope in the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Fig. 10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Fig. 11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접을때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조립 도중의 도면.The figure in the middle of the assembly which shows the case where the error at the time of folding the envelope in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generate | occur | produces.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Fig. 13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를 나타내는 전개도.Fig. 14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n envelope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F ; 봉투 ST ; 전개시트F; Envelope ST; Development Sheet

S ; 봉입영역 10 ; 표면시트S; Encapsulation area 10; Surface sheet

10b, 11b ; 대향면 11 ; 이면시트10b, 11b; Opposing face 11; Back sheet

12 ; 플랩 13 ; 접는 선12; Flap 13; Folding line

14 ; 제2의 접는 선 15 ; 언더컷(undercut)14; Second fold line 15; Undercut

17 ; 개구(開口) 20 ; 접착부17; Opening 20; Adhesive

f1 ; 장변부(長邊部) f2 ; 단변부(측면 가장자리부)f1; Long side f2; Short edge (side edge)

f3, f4 ; 장변부 K ; 절개(notch)f3, f4; Long side K; Notch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트를 둘로 접어서, 성명 및 주소면을 갖는 표면시트와 접는 면을 갖는 이면시트를 형성하며, 이들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의 사이에, 개구(開口)를 갖는 봉입(封入)영역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개구 및 접는 선을 제외한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직접 접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를 서로 대략 겹치게 하고, 상기 봉입영역의 대략 전체영역이 동일한 매수의 시트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eet is folded in two to form a back sheet having a folding surface and a surface sheet having a name and address surface, and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The encapsulation region having the encapsulation region is formed, and the facing surfaces of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directly bonded at edge portions except for the opening and the folding line, and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substan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approximately the entire area of the encapsulation area i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sheets.

이와 같은 구성이 되면,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를 풀칠날개를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접합시켜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두께의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린트를 실시할때의 문제, 즉, 주름이 생기거나, 잉크의 정착도가 변하거나, 단차의 부분에서 인자(印字)가 분산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표면시트와 이면시트의 밀착도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좋아지기 때문에 프린터롤러의 사이를 통과할때에도 어긋나기가 쉽지 않고, 원활한 이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directly bonded together without interposing the blades to be pasted, the thickness can be equalized. Problems at the time, i.e., wrinkles, change in fixation of ink, and dispersion of printing in portions of the step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adhesion between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is much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is not easy to shift even when passing between the printer rollers, and smooth conveyance can be performed.

또한, 풀칠날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개시트가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것으로 되며, 원지(原紙)에서 전개시트를 끊어낼때의 수율이 향상된다. 더욱이, 풀칠날개를 접거나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are no blades to be pasted, the development sheet becomes rectangular or close to a rectangle, and the yield when cutting the development sheet from the base paper is improved. Furthermore, since the process of folding the pasting blade can be omitte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표면과 이면을 잡아 벗기는 용량으로 측면에서의 개봉도 가능하게 된다. 물론, 손으로 성명 및 주소를 쓰는 경우에도 두께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대단히 양호한 상태로 쓸 수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open the side by the capacity to grab the surface and the back. Of course, even when writing a name and address by h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icknes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used in a very good conditio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하면, 표면시트와 이면시트가 대략 겹치게 되는 관계로, 개구를 확장시키기 어렵고, 또 확장시켰을 경우에 풀칠접합부분에 직접 부하가 작용하여 그 부분이 벗겨지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면시트의 상기 개구에 면하는 테두리부에 절개(notch)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overlap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opening, and when it is expand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oad directly acts on the paste joint and the part is peeled off or damaged. hav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t is preferable to form a notch in the edge portion facing the opening of the back sheet.

또, 플랩으로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도,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봉입영역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플랩을 이면시트에 대략 겹쳐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Moreover, even in the state which closed the opening by a flap, in order to make thickness uniform, it is conceivable to make the flap for closing the opening of a sealing area into the shape which substantially overlaps a back sheet.

한편, 표면시트와 이면시트를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하면, 접는 정밀도에 따라서는 포대를 만들때 접합부분에 오차가 생겨서 한쪽으로 이면시트가 튀어나와 버린다. 이 봉투를 프린터에 적용시켰을 경우에는 이 튀어나온 부분이 장해가 되어 프린터의 내부에서 종이막힘이 발생하거나, 롤러주름이 발생하여 확실한 인쇄를 할 수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have exactly the same shape, depending on the folding accuracy, an error occurs in the joint at the time of making the bag, and the back sheet sticks out to one side. If this envelope is applied to a printer, this protruding portion may be disturbed and paper clogging or roller wrinkles may occur in the printer, thereby preventing reliable printing.

이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접는 선을 통하여 이면시트와 플랩을 형성하여, 이들 표면시트와 이면시트를 직접 풀부착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이면시트를 상기 접는 선 또는 상기 접는 선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곳으로부터 서서히 좁아지는 폭의 언더컷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back sheet and the flap are formed by folding lines on both sides of the surface sheet, and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and the back sheet is folded or folded. It is preferable to form an undercut of the width gradually narrowing away from the regular interval at.

이와 같이 이면시트를 접는 선에서 서서히 폭을 좁아지게 해 두면, 봉투를 제조할 때, 접는 선에서 절반으로 접는 경우에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 표면시트에서 이면시트가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if the back sheet is gradually narrowed at the fold line, the back sheet may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sheet even when there is a slight error when the bag is folded in half when the bag is manufactured. will be

여기에서,「서서히 폭이 좁아지게」라는 것은 계단형상으로 폭이 좁아져 가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slowly narrowing" is a concept that includes narrowing in a step shape.

이하,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suitable for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attached drawing.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corresponding part in each following embodiment.

-제1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투(F)는 전개도(도2), 완성도(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시트(ST)를 둘로 접어서, 주소 및 성명면을 갖는 표면시트(10)와 이면시트(11)를 형성하고, 이들 표면시트(10) 및 이면시트(11)사이에 봉입영역(S)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것이다.As shown in the developed view (Fig. 2) and completeness (Fig. 3), the envelope F in the present embodiment folds the development sheet ST in two, and has a surface sheet 10 and a back sheet having an address and a statement surface. (11) is formed and it is a rectangle formed by forming the sealing area | region S between these front sheet | seat 10 and the back sheet | seat 11.

둘로 접기 위한 접는 선(13)은 봉투(F)의 장변부(f1)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는선(13)과 인접하는 단변(短邊)부인 측연부(f2)에 있어서, 표면시트(10)와 이면시트(11)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봉입영역(S)이, 상기 접는선(13)의 대향하는 변측으로 개구되도록 하고 있다.The fold line 13 for folding in two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long side portion f1 of the envelope F, and has a surface at the side edge portion f2 that is a short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fold line 13. By bonding the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the encapsulation region S is open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old line 13.

한편, 표면시트(10)의 상기 접는 선(13)에 대항하는 장변부(f4)로부터는 제2의 접는 선(14)을 통하여 플랩(12)이 일체로 뻗어 나와 있으며, 이 플랩(12)을 상기 제2의 접는 선(14)에서 덮어 접는 것에 의해 상기 봉입영역(S)의 개구(17)를 봉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long side part f4 which opposes the said folding line 13 of the surface sheet 10, the flap 12 extends integrally through the 2nd folding line 14, and this flap 12 The opening 17 of the encapsulation region S can be sealed by covering the cover with the second fold line 14.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표면시트(10) 및 이면시트(11)의 단변부(f2)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면(10b),(11b)에 접착부(20)를 설정하고, 이 접착부(2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 하여 표면시트(10)와 이면시트(11)를 직접 접합시키고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on part 20 is set in the surface 10b, 11b which mutually opposes in the short side part f2 of the said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and this adhesion part ( The surface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are directly bond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20).

또한, 봉입영역(S)을 완전봉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부(20)를 단변부(f2)의 전체에 걸치도록 하고 있는 바, 용도에 따라서는 단변부(f2)의 일부에 접착되지 않는 부분을 형성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adhesive portion 20 is placed over the entire short side portion f2 so that the sealing region S can be completely enclosed. Therefore, a portion which is not adhered to a part of the short side portion f2 may be disposed depending on the purpose. You may form.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표면시트(10) 및 이면시트(11)를 동일한 형상의 것으로 하며, 봉투(F)를 완성시킨 상태에서는 이들 표면시트(10)와 이면시트(11)가 서로 겹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are of the same shape, and in the state where the envelope F is completed,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overlap each other. It consists.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봉투에서는 질감 등을 고려하여 접는 부분을 강하게 접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접는 부분의 두께가 약간 크게 되어, 다수를 포개 쌓을 경우 접은 부분측이 반대측에 비해서 부풀어 오르게 되는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는 선(13)에 있어서 종래보다 강하게 접는 것에 의해, 두께를 균일하게 하며, 다수를 포개어 쌓는 경우에도, 포개어 쌓은 봉투(F)가 전체적으로 동등한 두께가 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onventional envelope, since the folding portion is not strongly folded in consideration of the texture, etc., the thickness of the folding portion is a little larger, and when a large number is stacked, the folded portion is swollen compared to the opposite side. In the form, by folding the fold line 13 more strongly than before, the thickness is made uniform, and even when a large number is stacked, the stacked envelopes F have the same thickness as a whole.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봉입영역(S)의 대략 전체영역이 동일한 매수의 시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두께가 동등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두께가 상이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인해서 생기는 프린트시의 문제, 즉 주름이 생기거나 잉크의 정착도가 부분적으로 변하거나 단차부분에서 인자(印字)가 분산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since the substantially whole area | region of the said sealing area S is comprised by the same number of sheets, the thickness becomes equal, and the problem at the time of printing which arises because there exists a part which differs in thickness conventionally, That 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wrinkles, partial fixation of the ink, or dispersion of printing in the stepped portion.

또, 표면시트(10)와 이면시트(11)와의 밀착도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향상되므로, 프린터의 롤러사이를 통과하는데 있어서도 오차가 생기기 어렵고,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on between the front sheet 10 and the back sheet 11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an error hardly occurs even when passing between the rollers of the printer, and smooth transfer is possible.

또한, 몇 매를 중첩시켜도, 중첩한 봉투(F)가 동등한 두께가 되기 때문에, 공급용 피더(이송장치)에 쌓아놓고 문제없이 연속프린트를 할 수 있게 되며, 더욱이 보관, 포장에 있어서도 적당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several sheets are overlapped, the overlapped envelopes F become equal in thickness, so that they can be stacked on a feeder (feeder) for continuous printing without problems, and furthermore, suitable for storage and packaging. .

물론, 봉투의 주소등을 손으로 쓰는 경우에도 두께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대단히 편리하고 적당한 상태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Of cour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ickness even when writing the address of the envelope by hand, not to mention that it is very convenient and appropriate.

제조의 관점에서는 풀칠하는 날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개시트(ST)가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이 되며, 원지로부터 전개시트(ST)를 끊어 낼때의 수율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풀칠날개를 접는 공정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도 간략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Since there is no blade to paste from the viewpoint of manufacture, the development sheet ST becomes a rectangle or a shape close to the rectangle, and the yield at the time of removing the development sheet ST from the base paper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 In addition, since the folding process of the paste can also be omitte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제2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봉투(F)를 전개시켰을 때의 1형태이며, 10은 주소 및 성명의 기재면을 갖는 표면시트, 11은 접는 면을 갖는 이면시트, 12는 봉함플랩이다. 13, 14는 봉투(F)를 1매씩 틀해체하여 형성할때 동시에 형성되는 접는 선이다. 여기에서, 표면시트(10)는 정확한 장방형이지만 이면시트(11)는 접는 선(13)측에서 개구(17)측을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게 한 테이퍼형상의 언더컷(15)으로 형성되어 있다.4 shows one form when the envelope F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veloped, 10 is a surface sheet having a base surface of an address and a name, 11 is a back sheet having a folding surface, and 12 is a sealing flap. 13 and 14 are folding lines which are formed at the same time when the envelope F is formed by disassembling one by one. Here, the surface sheet 10 is an exact rectangular shape, but the back sheet 11 is formed of a tapered undercut 15 which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folding line 13 side toward the opening 17 side.

도 5는 도 4의 구조에 있어서 접는 선(13)에서 절반으로 접어서, 양측을 접착부(20)에 있어서 접착제로 접합시켜 봉투(F)로서 완성시킨 상태를 나타낸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sheet is folded in half in the fold line 13 in the structure of FIG. 4, and both sides are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in the bonding portion 20 to be completed as an envelope F.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기술적 요점은 이면시트(11)를 표면시트(10)와 일치시킨 장방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좁아지게 한 테이퍼 형상으로 한 것에 있다.The technical point of particular importance in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not to make the back sheet 11 into the rectangle which matched the surface sheet 10, but to make it taper shape gradually narrowed.

제1실시형태와 같이 완전히 일치시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포개는 오차에 따라서는 이면시트(11)가 표면시트(10)에서 비어져 나오게 되어, 봉투(F)전체로서의 형상에 불의의 오차가 발생하여 볼품도 나빠지고, 인쇄 등에 있어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sheet is completely matched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back sheet 11 is deviated from the surface sheet 10 depending on an error, and thus the shape as the entire envelope F is inadequate. Error occurs, the appearance is also worsened, there may be a problem in printing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는 선(13)에서 기계접기를 하는 경우에 약간의 오차가 생겨도, 이면시트(11)가 표면시트(10)로부터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따라서, 표면시트(10)의 형상만 정확하다면, 봉투(F)전체로서의 형상에 차이가 생기는 일이 없으며, 프린터에 적용시킨 경우에도 롤러에 대하여 경사로 공급되거나, 공급용 피더에 복수매를 겹치게 한 경우에도 튀어나온 부분이 없기 때문에, 뒤틀려서 접히는 등의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However, 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slight error occurs in the case of mechanical folding on the fold line 13, the back sheet 11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sheet 10. Therefore, if only the shape of the surface sheet 10 is correct, no difference occurs in the shape of the entire envelope F, and even when applied to a printer, it is inclinedly supplied to the roller or overlapped with a plurality of sheets in the feeder. Even if there is no protruding part, it can solve the problem of twisting and folding.

-제3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6은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언더컷(15)의 시작을 접는 선(13)에서 개시하지 않고, 접는 선(13)과 개구(17)의 도중에서 개시한 것이다. 봉투는 1매씩 틀해체하여 형성되며, 접는 선(13)의 부분에서 기계접기를 실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접을때 과대한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반드시 언더컷(15)을 접는 선(13)에서 개시하지 않아도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FIG. 6 shows the third embodiment and starts the middle of the folding line 13 and the opening 17 without starting the start of the undercut 15 on the folding line 13. The envelopes are formed by disassembling one by one, and since the mechanical folding is performed at the part of the fold line 13, no excessive error occurs when folding.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considered that the undercut 15 can be prevented from popping out even if the undercut 15 is not started.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하는데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시트(11)의 측면 가장자리부(f2)를 계단형상으로 하여, 이면시트(11)의 폭을 선단을 향하는데 따라서 좁아지도록 한 것이나,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시트(11)의 폭을 표면시트(10)의 폭보다 좁게 설정한 것이라도 좋다.Moreover, in order to be able to exhibit the same effect as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the side edge part f2 of the back sheet 11 is made into the step shape, and the width of the back sheet 11 is front-end | tip. As shown in FIG. 14, the width of the back sheet 11 may be set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urface sheet 10 as shown in FIG. 14.

-제4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봉투(F)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시트(11)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17)를 형성하는 장변부(f3)의 양측에 절개(K)를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절개(K)는 장변부(f3)를 V자로 커트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접착부(20)보다 약간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개구(17)를 펴기 쉽게 할 뿐만 아니라, 봉입물(OB)을 넣거나 빼거나 하기 위해 개구(17)를 확장시켰을 경우에, 상기 절개(K)의 부위에 응력이 작용하여, 상기 접착부(20)에는 직접적으로 박리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개구(17)를 너무 많이 벌려도, 상기 절개(K)부분에서 갈라진 금이 생기고, 그 갈라진 금이 다소 있게 되면,플랩(12)을 이면시트(11)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봉입영역(S)을 봉입할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9, the envelope F of this embodiment forms incision K in the both sides of the long side part f3 which forms the said opening 17 in the back sheet 11, have. Specifically, this cutout K is formed by cutting the long side portion f3 into a V-shape, and is set to be positioned slightly inward of the bonding portion 20. In this way, not only the opening 17 is easy to be unfolded, but also when the opening 17 is expanded to insert or withdraw the inclusion object OB, a stress acts on the site of the incision K, Peeling force is not directly applied to the adhesive portion 20. Therefore, even if the opening 17 is opened too much, a crack occurs at the cutout K portion, and if the crack is somewhat present, the flap 12 can be covered by adhering to the back sheet 11. As a result,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seal the sealing region S can be avoided.

또한, 절개(k)의 크기, 형상, 위치 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절개(k)를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magnitude | size, shape, a position, etc. of the cutout k are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You may make it cut in only one of them.

-그 밖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플랩(12)에 의해 개구(17)를 봉함한 상태에서도,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하는데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입영역의 개구(17)를 폐쇄시키기 위한 플랩(12)을 표면시트(10) 또는 이면시트(11)에 대략 겹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Even in the state where the opening 17 is sealed by the flap 12, the flap 12 for closing the opening 17 of the encapsulation area is provided with a surface sheet 10 so as to make the thickness even. ) Or a shape substantially overlapping the back sheet 11 can be considered.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접는 선(13)이 그 장변부(f1)에 대응하도록 하는 가로길이의 봉투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는 선(13)을 단변부(f2)에 대응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단, 봉투(F)를 절곡기(접는 기계)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전개시트(ST)가 길어지게 되므로, 상기 절곡기의 기능상의 제한때문에, 작성되는 봉투(F)의 크기가 상기 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작게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fold line 13 has been described on the premise of a bag having a horizontal length such that the fold line 13 corresponds to the long side portion f1. However, as shown in FIG. ) May be used.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envelope F is automatically produced by using a bending machine (folding machine), the expansion sheet ST is lengthened when the above configuration is used. Therefore, the envelope to be produced is limited due to the functional limitation of the bending machine. The magnitude | size of (F) may be restrict | limited small compared with the thing of the said Example.

기타, 표면시트와 이면시트와의 접착에 대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봉투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양측의 접착면을 최종 이용자가 처리하도록 한 마주보는 양면상태의 것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you may perform adhesion | attachment with a front sheet and a back sheet by what kind of metho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intended for the completed envelope, but also for the facing two-sided state in which the end user processes the adhesive surfaces on both sides.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의 이면의 테두리부끼리를 직접 접착시켜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두께의 상이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프린트시의 문제, 즉 주름이 생긴다거나 잉크의 정착도가 변하거나, 단차의 부분에서 인자가 분산되거나 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dges of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directly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hickness is uniform, the printing at the time of printing caused by the presence of different portions of the thickness as in the prior art Problems, i.e., wrinkles, change in fixability of ink, or dispersion of printing in portions of the step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 표면시트와 이면시트와의 밀착도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월등하게 좋아지기 때문에, 프린터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에 어긋나는 일이 생기지 않으며, 원활한 이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dhesion between the front sheet and the back sheet is much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one, no deviation occurs when passing between the printer rollers, and smooth conveyance can be performed.

또한, 풀칠날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원지에서 전개시트를 끊어낼 때의 수율이 향상되는 것과 동시에, 풀칠날개를 접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공정도 간략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pasting blade, the yield at the time of cutting out a development sheet from a base paper improves, and since the process of folding a pasting blade can be skipped, a manufacturing process can also be simplified.

또, 표면과 이면을 잡아 벗기는 용량으로 사이드로부터의 개봉도 가능하게 된다. 물론 손으로 주소 및 성명을 쓰는 경우에 있어서도 두께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대단히 적당한 상태가 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면시트를 상기 접는 선에서 또는 상기 접는 선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곳으로부터 서서히 좁아지는 폭을 갖는 것으로 하면, 표면시트와 이면시트를 접는 선에서 접었을때 접는 오차가 생기거나, 틀에서 빠질때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언더컷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시트가 측면쪽으로 튀어 나가는 일이 없으며, 이것을 주소쓰기용으로 프린터에 통용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종이 막힘이나 일그러지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opening from the side is also possible by the capacity | capacitance which peels off a surface and a back surface. Of cour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ickness even when writing the address and the name by hand, s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ate becomes very reasonable. If the back sheet has a width that gradually narrows from the folding line or away from the folding line at regular intervals, a folding error occurs when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folded at the folding line, or they fall out of the frame. However, even if a slight error occurs, the back sheet does not stick out to the side because it is undercut, and even if it is used in the printer for address writing, it is sure that paper clogging or distortion occurs. Can be prevented.

Claims (5)

성명 및 주소면을 갖는 표면시트에 접는 선을 통하여 일체로 이면시트를 형성하며, 개구(開口)를 갖는 봉입(封入)영역을, 상기 접는 선을 따라서 접은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 사이에 형성한 것으로서,The back sheet is integrally formed by a folding line on the surface sheet having a name and address surface, and an encapsulation area having an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folding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long the folding line. , 상기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의 개구 및 접는 선 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부끼리를 직접 접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표면시트 및 이면시트를 서로 대략 겹치게 하고, 상기 봉입영역의 대략 전체 영역이 동일한 매수의 시트로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Directly bonding the edges excluding the opening and folding line portions of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re substan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pproximately the entire area of the encapsulation area i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sheets. Envelop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면시트의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의 양 쪽 또는 한 쪽에 절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And an incision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edge portion forming the opening of the back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봉입영역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플랩을, 표면시트의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제2의 접는 선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플랩을 이면시트에 대략 겹치는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The flap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encapsulation are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folding line from the edge forming the opening of the surface sheet, and the flap is formed to substantially overlap the back sheet. Characteristic envelope. 성명 및 주소면을 갖는 표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접는 선을 통하여 접는 면을 갖는 이면시트와 플랩을 형성하며, 상기 표면시트와 이면시트를 직접 풀접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이면시트는 상기 접는 선에서 서서히 좁아지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A back sheet having a folding surface and a flap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surface sheet having a name and an address surface, respectively, and are formed by directly glueing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nd the back sheet is the folding line. Envelopes having a width that narrows gradually. 성명 및 주소면을 갖는 표면시트의 양측에 각각 접는 선을 통하여 접는 면을 갖는 이면시트와 플랩을 형성하며, 상기 표면시트와 이면시트를 직접 풀접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이면시트는 상기 접는 선에서 일정한 간격 떨어진 장소로부터 서서히 좁아지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A back sheet having a folding surface and a flap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surface sheet having a name and an address surface, respectively, and are formed by directly glueing the surface sheet and the back sheet, and the back sheet is the folding line. Envelope having a width gradually narrowing away from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KR1020027000169A 2000-05-08 2001-05-07 Envelope KR2002002907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4752 2000-05-08
JPJP-P-2000-00134752 2000-05-08
JPJP-P-2001-00102282 2001-03-30
JP2001102282A JP2002029544A (en) 2000-05-08 2001-03-30 Envelope
PCT/JP2001/003817 WO2001085559A1 (en) 2000-05-08 2001-05-07 Envel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070A true KR20020029070A (en) 2002-04-17

Family

ID=2659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169A KR20020029070A (en) 2000-05-08 2001-05-07 Envelop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58113A1 (en)
JP (1) JP2002029544A (en)
KR (1) KR20020029070A (en)
CN (1) CN1372521A (en)
TW (1) TW555670B (en)
WO (1) WO200108555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0856A1 (en) * 2017-11-30 2019-05-30 Bell And Howell, Llc Methods and systems to create a mailpiece with an inline buckle fold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8179A (en) * 1918-02-11 1923-03-13 William L Hall Envelope
JPS58174445U (en) * 1982-05-14 1983-11-21 増永 守雄 Easy-to-open envelopes
JPH0351391U (en) * 1989-09-25 1991-05-20
US6592022B1 (en) * 2000-04-17 2003-07-15 Gradco (Japan) Ltd. Mailing envelopes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ing standard paper sizes and a method of stuff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58113A1 (en) 2002-10-31
JP2002029544A (en) 2002-01-29
TW555670B (en) 2003-10-01
WO2001085559A1 (en) 2001-11-15
CN1372521A (en)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9070A (en) Envelope
JP5115841B2 (en) Paper container
JP3094232U (en) Cardboard envelope
JP2008074458A (en) Corrugated cardboard packing box
JPS6224541Y2 (en)
JP3841883B2 (en) carton
JP3081953U (en) Envelope
JP3827525B2 (en) Seal sheet with reply letter
JP2004050613A (en) Card and tubular object forming sheet member
JP4514924B2 (en) Seals that can be opened in booklet form
JP3156950U (en) envelope
JP2773696B2 (en) Continuous envelope and molding device
JPH04142254A (en) Envelope
JP7049518B1 (en) Sheet-shaped printed mat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shaped printed matter
CN220702036U (en) Novel package cigarette case of moisturizing of unsealing structure
JP3865369B2 (en) Sealed letter with reply application
KR930003345B1 (en) Postcard and continuous paper used therefor
JP3073453U (en) Envelope making sheet
JP2001010640A (en) Envelope with zipper
JP2004131115A (en) Sheet for sealed letter
JPS5921302B2 (en) How to create envelopes with printing information
JPH0524550Y2 (en)
JPH0667354A (en) Easily unsealable paper box
JP3088819U (en) Envelope
JP2003081249A (en) Paper-made packing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