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880A - 중공체 벌집형의 경량 구성소자 - Google Patents

중공체 벌집형의 경량 구성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880A
KR20020028880A KR1020017015046A KR20017015046A KR20020028880A KR 20020028880 A KR20020028880 A KR 20020028880A KR 1020017015046 A KR1020017015046 A KR 1020017015046A KR 20017015046 A KR20017015046 A KR 20017015046A KR 20020028880 A KR20020028880 A KR 2002002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partial
individual
individual layers
hollow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쿠페르스
Original Assignee
피터 쿠페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쿠페르스 filed Critical 피터 쿠페르스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0/001683 external-priority patent/WO2000073602A1/de
Publication of KR2002002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88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11Dimpled spacer sheets
    • E04C2002/3422Dimpled spacer sheets with polygonal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11Dimpled spacer sheets
    • E04C2002/3433Dimpled spacer sheets with dimple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pacer she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7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with multiple layers of profiled space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개별층으로 구성된 구성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개별층 중 적어도 한 층은 벌집구조를 가지는 구성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다수 개의 개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층은 벌집 구조를 갖고 있는 구성소자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층은 얇은 벌집부분판 또는 벌집부분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 또는 필름은 한 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체들이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중공체 위에 작용하는 힘이 모든 벌집구조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돌출된 개별층들은 각 인접하는 개별층과 결합하여 하나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소자들이 배치형태와는 상관없이 모든 개별층 부분들이 힘 수용과 힘 전달에 참여하고 그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중량은 현저히 낮으면서 높은 안정성 및 최적의 방음 및 방열성을 제공하는 구성소자가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체 벌집형의 경량 구성소자 {Lightweight Construction Element in the Form of a Hollow Body Contoured Honey-Comb Structure}
일반적인 판상재료 형태의 구성소자는 DE-OS 197 48 19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벌집 구조물 형상을 하고 있으며 종이 또는 펄프재로 제조되어 있다. 상기 벌집 구조물은 수직으로 서있는 중간벽에 의해 덮개판이 지지되고, 이로 인해 안정적이고 중량은 감소한다. 상기 판상 재료는 문이나 내부 구조물 및 야외 시장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판상 재료를 사용하는 구조물은 습기에 약하다.
또한 DE-OS 19 22 693.8에는 샌드위치 형태의 구성소자가 나타나 있다. 상기 샌드위치 형태의 구성소자는 금속으로 된 두 개의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 중간에 부착된 소실(小室) 벽들로 이루어진 벌집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구성소자는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두 개의 덮개판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납땜 재료가 상기 소실의 구석까지 골고루 도포되어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벌집 구조와 확실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소실 구석부는 튼튼하지만 수직으로 서있는 소실벽들은 양 덮개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질 건축 벌집구조에서 안정성은 전적으로 덮개층에 의존되며 샌드위치 구성소자의 핵심부의 안정성은 무시할 정도로 작아진다. 이 외에도 제조 비용이 비싸고 합성물질의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개별층으로 구성된 구성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개별층 중 적어도 한 층은 벌집구조를 가지는 구성소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소자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2는 이중피라밋형 중공체의 측면도,
도 3은 이중피라밋형 중공체의 평면도,
도 4는 내측에서 본 연부측 개별층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의한 연부측 개별층의 내면 투시도,
도 6은 5부재로 형성된 구성소자의 분해도,
도 7은 개별층들의 내부 삽입 및 파지 직전에 있어 도 6에 의한 구성소자의 분해도,
도 8은 도 7의 투시도 및
도 9는 개별층들을 연결하는 어댑터 개별층을 가진 11부재 구성소자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개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층은 벌집 구조를 갖고 있는 구성소자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층은 얇은 벌집부분판 또는 벌집부분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 또는 필름은 한 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체들이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중공체 위에 작용하는 힘이 모든 벌집구조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돌출된 개별층들은 각 인접하는 개별층과 결합하여 하나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별층에 배치된 중공체들 또는 부분 중공체들이, 중간 개별층을 나타내는 다른 개별층들의 중공체들 또는 부분 중공체들과 함께 서로 접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별층들이 상호 삽입되면 상기한 해당 부분 중공체와 중공체는 해당하는 중공체로 되거나 또는 폐쇄된 중공체가 된다. 또한 이하에서 다시 언급할 별도로 제조된 개별층들은 상기 부분 중공체나 중공체를 미리 제공하고 서로 배치될 때에 서로 대응적으로 형성되도록 서로 조화 일치된다. 개별층이나 부분 중공체와 중공체는 두께가 매우 얇은 벽을 가지며 이들은 벌집 부분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벌집 부분판은 상호 삽입으로 보완되어 서로 조합되고 완성되며, 각 부분 중공체 또는 중공체의 면들이 서로 접함으로써 유리한 힘전달이 이루어지고 전체 구성소자 구조의 안정화도 이루어진다.
상기 개별층에 배치된 중공체들 또는 부분 중공체들은, 다른 개별층의 중공체들과 상호 내부 삽입시에 피라밋 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라밋 형태는, 인접하는 피라밋 및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가 접하기 때문에 힘 전달에 효과적이라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개별층들을 조립하더라도 전체 구성소자의 안정성은 감소하지 않으며, 상기 피라밋은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 중공체 또는 중공체로 구성된 개별층의 피라밋들은, 내부 삽입시에 형성되는 인접 피라밋들 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들이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개별층들의 면결합에 의해 힘을 모든 측면에서 수용하도록 형성된 철형 교차벽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라밋 형태는 개별 피라밋 부재들이 접촉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개별 피라밋의 면들은 개별층의 인접 피라밋들을 접촉시키는데 사용되며, 따라서 작은 중량과 높은 안정성의 성질을 제공하는 최적한 구성소자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5 개의 개별층들이 한 벌집 소자를 형성하도록 조립하는 데 있어서, 철적 및 요적 부분 중공체를 가진 개별층이 중앙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중앙층의 양측으로 각각 하나의 중간 개별층이 위치하고, 상기 중간 개별층의 일측으로 부분 중공체가 있는 개별층이 배치되면 유리하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개별층들은 구성소자의 안정성 획득을 위해, 특히 피라밋 면들에 의해 발생 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 또는 전파되도록 조립되고 상호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샌드위치 구조부재와는 달리 덮개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외부 개별층들이 안정 구조로 통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 개별층은 그 하면에 해당하는 중공체나 부분 중공체가 상기 개별층과 중앙층 사이에 위치한 중공체들과 함께 안정성을 보장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층에 배치된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로 인해 전단력이나 기타 비정상적 힘도 수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힘이 소산이나 전도가 확실하도록 상기 덮개층으로부터 중간층 내지는 중간 개별층 내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상기 덮개층에는 안정성의 문제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벌집 소자는 궁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만곡되게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이들 연부측 개별층들도 중간에 부가된 개별층들과 같이 얇은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공간에서 확장 가능한 벌집 구조인 중공체 구조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중간 개별층 또는 중앙층의 양측에는 각각 어댑터 개별층들이 임의의 높이 및/또는 폭의 구조체 형태로 공간 건축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배치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 개별층은 사실상 중앙층 위에 다시 해당 구조를 설치하여 공간 내로 건설 소자가 확장되게 하여 원하는 만큼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에서도 어떤 지점에 힘이 작용하더라도 이 힘이 모든 요소 위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며, 상기 조합에 의해 임의의 전체 벽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소자의 공간 내로의 확장성은, 어댑터 개별층이 교대로 철형 부분 중공체나 중공체와 공허부를 갖게 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중앙층은 그 양측에 배치된 어댑터 개별층과 함께 연부측 개별층처럼 양측으로 작용하는 개별층으로 제작된다.
구성소자의 구조강도는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데, 본 발명의 개별층은 액체 합성물질로 함침된 종이, 알루미늄, 강 또는 합성물질로 제조된 필름으로 구성된다. 해당 개별 소자는 상기 기술한 것처럼 μ범위의 벽 두께를 가지며 이것을 "필름"으로 표현하였다. 상기 구성소자들은 사용목적에 따라 정확히 만족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것은 가격 면이나 안정성 면에서 최적의 구성소자를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개별층이 합성물질-사(絲) 또는 사 결합 재료로 직조된 필름으로 구성하여 강도성 및 안정성 치가 각각의 사용 조건에 목적하는 대로 더욱 적합화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공체들이나 부분 중공체들은 접촉면을 통해 서로 지지하는데, 이때 피라밋 사이의 중간 영역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상기 안정성 높은 개별층들은 어떤 형태로든 만곡되거나 모서리 가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피라밋의 꼭지점에 통과공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여전히 면들은 서로 접하고 해당하는 힘의 전달과 수용이 확보되기 때문에 해당 부하의 경우에도 상기 통과공은 문제되지 않는다. 상기 통과공은 피라밋이나 해당하는 중공체를 변형시키지 않고 각 피라밋 영역에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집 구조를 발생시키는 중공체에는 바람직하게는 비스듬한 변들 위로 비스듬한 변들이 배치되는데, 그 이유는 전체 중공체는 힘이 가해지는 선을 따라 그 안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때 부하가 다르게 걸리거나 전혀 걸리지 않은 중공체의 부분 영역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중공체들은 서로 비스듬히배치된 면들로 놓여 있고, 발생하는 응력을 전달하거나 최적하게 분포되도록 하고 이로써 전체 벌집 구조를 형성하고 구성소자의 부하를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소자에 있어서 연부측 개별층들은 더 이상 덮개층으로 사용되지도 않으며, 오히려 중공체들이나 부분 중공체들에 의해 전체 구성소자 내로 통합되어 있다. 그러나 외부의 평활한 형상은 연부측 개별층이 내측으로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를 또한 외측으로는 평면의 덮개를 가질 때 가능해진다. 평면형 덮개는 해당 구성소자들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 경우에는 구성소자의 내부 맞물림은 형성하지 못한다. 이렇게 형성된 구성소자는 특히 분리벽 등의 제조시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또한 연부측 개별층은 나머지 개별층과 같은 벽 두께를 가진 동일 재료로 구성되고, 상부 및 하부 개별층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상기 연부측 개별층은 나머지 개별층보다 유연한 합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구성소자가 소정의 형태가 되면, 각 개별 구성소자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이것은 특히, 중공체들 및 또는 부분 중공체들은 재료의 물성을 고려하여 서로 고정적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서로 용접되거나, 접착되거나, 나사로 연결되거나 마찰 잠금을 통해 연결되어 벌집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별층의 부분 중공체 또는 중공체는 피라밋 형으로, 또한 벌집 구조를 형성하는 중공체는 이중피라밋 형으로 및/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중피라밋들 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들은 하부 모서리 위에 서로 지지되어 상기한 기능을 최적하게 만족시키는 안정성 있는 공간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피라밋들 또는 이중피라밋들을 효과적으로 서로 연결하고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접착하거나 나사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소자의 높은 안정성은 벌집 구조에 관여하는 소자들의 면 지지에 의해 확실해지는데, 상기 안정적 면 지지에는 모서리들 및 서로 만나게 되는 기본 구조의 성분들도 함께 포함되는 것으로, 피라밋을 형성하는 부분 중공체들 또는 중공체들은 기초 구조에서 간격 선조(線條)를 형성하면서 격리 배치되고, 한편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는 중공체의 부분재들(세그먼트들)은 중앙 축선에 평행하게 뻗는 연부 선조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이 영역에서는 종래의 선형 지지 대신에 면적 지지가 보장된다. 이로써 전체 구성소자의 안정성은 더욱 상승된다.
또한 이중피라밋형 중공체와 벌집 부분판의 각 부분재들의 상호 접합 및 확실한 면 지지는,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의 부분재들의 꼭지점이 평탄하게 형성되게 함에 의해 유리해지고 벌집 부분판들의 상호 삽입은 유리해지며 상호 접합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서로 협동하는 피라밋들 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들의 서로 대향 위치하는 면들에 보충하고 피라밋과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의 꼭지점에 있는 평탄부가 간격 선조 및/또는 연부 선부와 상응하도록 또한 면 지지를 보장하도록 형성되게 함으로써 피라밋 꼭지점의 정확한 지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꼭지점도 면 지지구조에 역할을 담당하고, 평탄부도 피라밋이나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이 정확히 간격 선조(띠)나 연부 선조 안 또는 그 위에 적합할 수 있도록 실시되어 있는 것이다.
개별층의 중공체들 및 면들이 탄성 물질에 의해 공동으로 벽을 형성하면서 연결되면 유리한 힘 보상이나 가요성 구성소자가 얻어진다. 탄성 물질의 두께와 종류에 따라 개별층이나 중공체는 안정성의 손상 없이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적은 수의 개별층들로 구성된 중공체 벌집의 경우에 유리하고 충격도 수용될 있으며 충돌시 탄성 흡수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절연 및 방습을 위해 기체 또는 액체 매질과의 연결 후 중공체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충진하는데, 상기 각 중공체들간의 교류는 벽에 형성된 공허부를 통해 달성된다. 상기 충진의 종류는 사용 목적에 의존한다.
또한 소위 중성 섬유들이 면 연결로 다음의 중성 섬유와 연결되고 중간층에는 중간 공간이 배치되어 상기 중간층의 면들도 연결을 형성하게 되는 구체형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와 같은 벌집 구조의 구성에 참여하는 모든 소자들이 구성소자에 작용하는 힘을 수용하는데 참여한다. 이것은 힘이 외부 평면에 의해 수용되고 다음 소자들, 즉 개별층 및 그의 각 부분들에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소자들은 공동으로 전체 구성소자의 안정성에 책임을 진다. 이로써 덮개층 또는 연부 개별층은 특별히 안정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고 나머지 개별층과 같은 벽 두께를 갖고 또한 보통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소자는 구성에 있어 간단할 뿐 아니라 전체 구성소자의 형상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데, 이것은 구성소자를 원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성소자가 중간 개별층과 함께 구부러지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개별층들은 내부 구조로부터 시작하여 전체 구성소자의 해당 형상화가 가능하도록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각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는 해당 형상화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피라밋 꼭지점까지 뻗는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거나 기타 방법으로 약화되어 있다. 특히 해당하는 개별층에 의해 사실상 임의의 벽 두께와 낮은 전체 중량을 가지는 구성소자가 제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게다가 상기 구성소자의 전체 벽 두께뿐 아니라 평면 길이도 조절할 수 있는데, 이것은 이행부 없이 해당하는 큰 면적의 구성소자를 실현시키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도록 개별 소자들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하고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구성소자 없이도 고려해볼 수는 있는 건축 방식이 창안되고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소자(1)의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연부측 개별층(2)은 벌집 구조(3)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 개방하였다. 상기 벌집 구조는 한 쪽으로는 상부 연부측 개별층(2)에, 다른 쪽으로는 하부 연부측 개별층(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별층들(2,4)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소자(1)의 측벽(5)은 연부측 개별층(2)과 마찬가지로 평면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 연부측 개별층(2) 위에 덮개(29)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상부 연부측 개별층(2)과 하부 연부측 개별층(4), 그 사이에 접합된 해당하는 개별층들로 구성된 벌집 구조(3)는, 얇은 벽 두께의 벌집 부분판들(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벌집 부분판(17)은 일반적으로 벌집 부분필름으로도 구성되고 μ범위의 벽 두께를 갖는다.
벌집 구조(3) 및 개별층들(2,4)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중공체(7,8,9) 또는 도 6에 도시된 부분 중공체(26,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별층들(2,4)을 조립할 때에는 중공체(7,8,9)나 부분 중공체(26,27)가 형성되지 않고 전체가 벌집 구조(3) 또는 구성소자(1)를 만들게 되므로 이하에서는 중공체(7,8,9)와 부분 중공체(26,27)를 구분하지 않고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의한 각 중공체들(7,8,9)은 보통 피라밋(14,14') 및 경면형성 이중피라밋(19)을 형성하는데, 각 부분재들(20,21)은 벌집 구조의 각 소자들을서로 접하게 하여 전체적으로 면을 통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피라밋(14) 및 경면형성 이중피라밋(19)은 특히 단위 소자들을 평면 지지하기에 적합한데, 그 이유는 면들이 대단히 넓기 때문에 구성소자(1)에 대응적으로 작용하는 힘들이 확실하게 수용되어 전달되어 갈 수 있는, 서로 적절히 어긋나 있는 면들(10,11)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경면형성 이중피라밋(19)은 결합 웨브(2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양 피라밋(14,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축선(30)을 통해 소자들이 분리 또는결합되어 있다.
각 피라밋(14,14')의 꼭지점(12)에는, 단위 부재 또한 단위 소자를 연부 띠(31) 또는 간격 띠(18)와 기초 구조(16) 위에 추가적으로 유리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탄부(13)를 형성한다.
도 2에서는 중앙 축선이 두 피라밋들(14,14')을 경면형성 이중피라밋(19)이 되게 조합하고 있는 반면에, 도 3에서는 상기 중앙 축선(30)이 동시에 평탄부의 꼭지점(12)을 통과하고 있다.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대응하는 개별층 및 전체 구성소자(1)를 구부리거나 휠 수 있기 위해, 변들(15,15')에 연속적으로 구멍을 뚫거나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을지 여부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
도 4는 내면(28) 위에 중공체(7,8) 및 피라밋(14)을 가진 연부측 개별층(2 및 4)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각 피라밋들(14)은 모두 같은 치수로 되어 있고 기초 구조(16) 위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초 구조(16)는 동시에 간격 선조들(18)을 형성하는데, 상기 선조는 한가지로는 각 피라밋들(14)이 같은 간격으로 서로 배치될 수 있게 하고 이와 동시에 각 개별층들(2,4,23,24,25)이 함께 슬라이드 이동시 발생하는 부분 중공체들(26,27 및 7,8,9)이 꼭지점(12)에 의해 간격 선조들(18) 위에 지지될 수 있게도 한다. 구성소자의 해당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은 이로써 최적화 된다.
도 5는 도 4를 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해당하는 면들(10,10',11,11)이 모두 상대측을 지지하고 부딪히는 힘이 더 이상 전달되지 않도록 관여하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여기에서도 내면(28) 위에 형성되어 있는 해당 피라밋들(14)은 같은 형태 및 같은 면들(10,11)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각 피라밋들(14) 사이에서는 기초 구조물(16) 간격 선조들(18)이 뻗고 있다.
도 6은 5 개의 개별층(2,4,23,24,25)으로 구성된 구성소자(1)를 보여준다. 2와 4는 연부측 개별층이고, 중앙층(25) 및 중앙 개별층(25)은 그들의 양측 돌출 중공체(26, 27)에 의해 개별층(23,24)에 대한 결합 부재로서의 역할 및 연부측 개별층(2,4)에 대한 결합 부재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소위 중앙층, 즉 중앙 개별층(25)은 이용할 수 있는 양측으로 돌출하는 피라밋들(14 및 14')을 갖고 있어서 대응적으로 형성된 개별층(23 및 24)에 의한 파지 또는 결합이 유리하게 되는데, 여기서도 보완하는 중공체(7,8,9) 내지 부분 중공체(26,27)가 출현되어 있다.
도 6의 구성소자(1)가 조립되기 직전의 형태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부측 개별층들(2,4)과 개별층들(23,24,25)이 상호 조합되어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높은 안정성과 적은 중량의 면상 구성소자가 얻어질 뿐만 아니라 절연 효과도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의한 구성소자의 조립 직전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부측 개별층들(2,4)은 덮개를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도 9는 개별층 23과 24 그리고 25는 각각 이중으로 존재하고 전체가 11 개의 개별층(2,4,23,24,24' 및 25)으로 구성된 구성소자(1)를 보여준다. 상기 개별층(2,4) 및 개별층(23,24,25)은 중앙 개별층(25)의 양쪽으로 연부측 개별층(2와 4)을 만들게 수 있게 하는 두 개의 어댑터 개별층(33)이 부가되어 있는데, 상기 어댑터 개별층에는 반대방향으로 피라밋(14)과 공허부(34)가 있기 때문에 중앙 개별층(25)의 양쪽으로 연부 개별층(2 및 4)의 내측(28)의 면들이 형성하는 결합면이 생긴다. 따라서 6,7,8에 의한 해당 구성소자들이 공간 내로 확장될 수 있고 실제로 임의의 벽 두께의 구성소자(1)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 도면으로부터, 상기 개별층들(2,4,23,24,25 및 33)의 특별한 형상이, 각 개별층들(2,4,23,24,25,33)을 적당한 변위로 배치함으로써 구성소자(1)를 평면에서 대단히 큰 면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소자들이 힘의 수용 및 힘의 분포에 참여하기 때문에 덮개층의 안정성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또한 전체 구성소자들은 같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수평, 경사로 뻗을 수 있는 벽들과 구성소자들을 제조하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성소자들의 여러 배치형과는 상관없이 모든 개별층 부분들이 힘 수용과 힘 전달에 참여하고 그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중량은 현저히 낮으면서 높은 안정성 및 최적의 방음 및 방열성을 제공하는 구성소자가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방열성은 각 개별층들이 중공체나 또는 부분 중공체를 갖거나 또는 공동으로 그것을 형성하여, 중공체 내에 포함된 공기가 최적 절연체로서 열 뿐 아니라 음향에도 방지 효과를 갖게 함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소자는 수직 부하뿐 아니라 추력 또는 기타 비정상적인 부하도, 벽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추가 조치 없이 담당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체와 부분 중간체는 기체, 액체 또는 불활성 물질을 수용하여 방화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구성소자는 서로 안으로 삽입된 각각의 개별층들로부터 제조되고, 한편으로는 면에 의한 구성 및 상기 구성에 따른 형상으로 인해 사실상 임의 두께의 벽을 가지는 상호 대향 접촉하는 중공체들을 가진 구조물을 설정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구성소자는 중량이 낮고 면 결합 및 안정성 있는 벽들의 형성에 의해 높은 안정성이 존재하게 된다.

Claims (22)

  1. 다수 개의 개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별층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층은 벌집 구조를 갖고 있는 구성소자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층은 얇은 벌집부분판 또는 벌집부분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 또는 필름은 한 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체들이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중공체 위에 작용하는 힘이 모든 벌집구조에 균일하게 분포되고, 상기 돌출된 개별층들은 각 인접하는 개별층과 결합하여 하나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층에 배치된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는 다른 개별층의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와 서로 접하는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층에 배치된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들은 다른 개별층의 중공체와 함께 내부로 삽입될 때 피라밋 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중공체 또는 중공체로 구성된 개별층의 피라밋은 내부 삽입시에 형성되는 인접 피라밋 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이 서로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 되어 있으며, 상기 개별층의 접촉면에 의해 모든 측면에서 힘을 수용하도록 철형 교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5개의 개별층이 하나의 벌집 소자를 형성할 때, 철적 및 요적 부분 중공체를 가지는 개별층이 중앙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중앙층의 양측으로 각각 하나의 중간 개별층이 있고, 상기 각 중간 개별층의 일측으로 부분 중공체를 가지는 개별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개별층 또는 상기 중간 개별층과 이어진 중앙층의 양측에는 어댑터 개별층이 임의의 높이 및/또는 폭을 가지도록 공간 건축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개별층은 교대로 철형 부분 중공체 또는 중공체와 공허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8.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층은 액체 합성물질로 함침된 종이, 알루미늄, 강 또는 합성물질로 제조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9.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층은 합성물질-사(絲) 또는 사 결합 재료로 직조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밋의 꼭지점에는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1.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 구조를 형성하는 중공체의 대각변 위에는 대각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2.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부측 개별층은 내측으로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를 가지고, 외측으로는 평면 덮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3.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개별층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들 및/또는 부분 중공체들은 재료 물성을 고려하여 서로 고정적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서로 용접, 접착 또는 나사로 연결되거나 마찰 잠금을 통해 연결되어 벌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층의 부분 중공체 또는 중공체는 피라밋을 형성하고, 벌집 구조를 형성하는 중공체는 이중피라밋 및/또는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밋을 형성하는 부분 중공체들 또는 중공체들은 기초 구조에서 간격 선조(線條)를 형성하면서 격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는 중공체의 부분재들은 중앙 축선에 평행하게 뻗는 연부 선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피라밋을 형성하는 중공체 또는 부분 중공체의 부분재들의 꼭지점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라밋과 경면형성 이중피라밋의 꼭지점의 평탄부는 간격 선조 및/또는 연부 선부와 상응하고 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19.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층의 중공체들 및 면들은 탄성 물질에 의해 서로 벽을 형성하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20.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를 기체 또는 액체 매질과의 연결 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21.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층들은 벽 및/또는 간격 선조 내에 상호 삽입 및 연결 후 관류 또는 순환하는 기체 및 액체 통로 역할을 하는 공허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22.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중성 섬유들이 면 연결로 다음의 중성 섬유와 연결되고 중간층에 중간 공간이 배치되어 상기 중간층의 면들도 연결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소자.
KR1020017015046A 1999-05-27 2000-05-25 중공체 벌집형의 경량 구성소자 KR200200288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4332 1999-05-27
DE19924332.8 1999-05-27
DE10022742A DE10022742A1 (de) 1999-05-27 2000-05-10 Leichtbauelement in Form einer Hohlkörperkonturwabe
DE10022742.2 2000-05-10
PCT/DE2000/001683 WO2000073602A1 (de) 1999-05-27 2000-05-25 Leichtbauelement in form einer hohlkörperkonturwa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880A true KR20020028880A (ko) 2002-04-17

Family

ID=790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046A KR20020028880A (ko) 1999-05-27 2000-05-25 중공체 벌집형의 경량 구성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20028880A (ko)
DE (2) DE10022742A1 (ko)
YU (1) YU84001A (ko)
ZA (1) ZA20010976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92B1 (ko) * 2006-09-07 2007-07-20 채수하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100959175B1 (ko) * 2008-04-29 2010-05-24 한국이엔에쓰 주식회사 일체형 거푸집
KR101425051B1 (ko) * 2013-08-01 2014-08-13 장석윤 복수방향 코러게이트 그리드 구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복수방향 코러게이트 그리드형 코어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모듈
WO2016085220A1 (ko) * 2014-11-27 2016-06-02 김충기 다중 지지벽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5255B4 (de) * 2001-07-19 2005-11-24 Hubert Leutermann Leichtbau-Element mit pyramidenförmigen Vorsprüngen
DE102004062264A1 (de) 2004-12-23 2006-07-0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auelement, insbesondere Wandverkleid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7011107B4 (de) 2007-03-05 2011-05-05 Stiftung Alfred-Wegener-Institut Für Polar- Und Meeresforschung Technische Leichtbaukonstruktion mit einer fraktal gegliederten Stützstruktur
DE102011100967A1 (de) 2011-05-09 2013-01-03 Peter Küppers Hohlkörp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92B1 (ko) * 2006-09-07 2007-07-20 채수하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100959175B1 (ko) * 2008-04-29 2010-05-24 한국이엔에쓰 주식회사 일체형 거푸집
KR101425051B1 (ko) * 2013-08-01 2014-08-13 장석윤 복수방향 코러게이트 그리드 구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복수방향 코러게이트 그리드형 코어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모듈
WO2016085220A1 (ko) * 2014-11-27 2016-06-02 김충기 다중 지지벽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003119D1 (de) 2003-09-04
YU84001A (sh) 2004-03-12
DE10022742A1 (de) 2001-06-07
ZA200109762B (en)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16872001A3 (sk) Ľahký stavebný prvok v tvare plástovej štruktúry s dutými telesami
US4370372A (en) Method of joining honeycomb panels using a fastener element
EP1400636B1 (en) Hollow panel
US5894045A (en) Cellular core structure building component
US4271654A (en) Three-dimensional structures of frame beams and multiple joints
ES2375366T3 (es) Elemento tipo sándwich.
US3950912A (en) Sound attenuating walls
US20030208987A1 (en) Structural tie shear connector for concrete and insulation composite panels
CN101835548B (zh) 面板结构
US4573304A (en) Honeycomb floor panel and the like
CA2364347A1 (en) Sandwich acoustic panel
JP2004528196A (ja) 改良された構造用サンドイッチ板部材
KR20020028880A (ko) 중공체 벌집형의 경량 구성소자
WO2006066522A1 (de) Verkleidungselement zur erstellung einer fassade von bauwerken
GB2164367A (en) A concrete building unit of a sandwich structure
US4689870A (en) Method of making honeycomb floor panel
US4594833A (en) Honeycomb floor panel and the like
KR100700212B1 (ko) 코일 스프링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샌드위치 판재
JPH09137525A (ja) 建築用パネル
CN211421586U (zh) 保温隔音建筑
CN220868516U (zh) 一种含夹心轻质硅酸钙板
KR790001705Y1 (ko) 조립식 건축용 벽체
JPS6114940A (ja) サンドイツチパネル
SU937659A1 (ru) Многослойна чеиста панель
JP3776515B2 (ja) ユニット式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