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872A -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872A
KR20020027872A KR1020000058602A KR20000058602A KR20020027872A KR 20020027872 A KR20020027872 A KR 20020027872A KR 1020000058602 A KR1020000058602 A KR 1020000058602A KR 20000058602 A KR20000058602 A KR 20000058602A KR 20020027872 A KR20020027872 A KR 20020027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mperature
outdoor
condition
judging wh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8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7872A/ko
Publication of KR20020027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8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7Resuming operation, e.g. after power outages; Emergency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기의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압축기의 정지와 동시에 실외팬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외온도에 따라서 소정시간동안 실외팬을 더 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재운전시에도 일정시간 실외팬을 먼저 운전하여 방열판과 실외기의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방출하지 못한 열을 제거한 후에 압축기의 정상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잦은 압축기의 온/오프 동작을 방지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Control method for inverte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0)로 구성된 실내기(20)와, 압축기(64) 및 열교환기(15)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30)로 분리되고 있다. 상기 실내기(20)와 실외기(30)에는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50)가 내장되며, 실내기(20)에 내장된 제어부(13)와 실외기(30)에 내장된 제어부(50)는 냉난방운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구성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은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10)에 흐르는 냉매와 실내공기 사이에 열 방출이 이루어지면서, 실내측으로 따뜻한 바람이 토출되어진다. 그리고 실외측 열교환기(15)는 상기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10)에 흐르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에 열 흡수가 이루어지면서, 실내측으로 차가운 바람이 토출된다. 그리고 실외측 열교환기(15)는 상기 동작과 반대의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해서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구성을 살펴보고, 이 구성에 의한 압축기의 제어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내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회로(7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회로(70)는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실내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방/난방의 절환 동작을 위한 4방변 및 팬(66)과, 상기 4방변 및 팬(66)의 동작 제어를 위한 릴레이 구동부(68)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54)를 통해서 실외 배관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상기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실외온도 배관감지부(52)와, 센서(58)를 통해서 실외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외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상기 제어부(50)에 인가하는 실외온도감지부(56)를 포함한다.
또한,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교류전원(72)을 입력하고, 입력된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노이즈 필터(74)와, 상기 필터(74)를 통해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에 흐르는 총합전류를 검지하여, 시스템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트랜스포머(76)와,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76)의 출력을 정류시켜서 DC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정류회로(77)를 포함한다.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교류전원(72)을 정류하는 정류회로(78)와, 상기 정류회로(78)의 출력으로부터 역률을 개선하는 역률개선회로(84)와, 상기 역률개선회로(84)에 입력되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하도록 상기 역률개선회로(84) 내부의 IGBT 소자의 동작 제어를 위한 PFC 제어회로(83)와, 상기 역률개선회로(84)의 출력으로부터 DC전압을 일정크기 이상으로 승압시켜서 출력하는 DC 승압부(8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DC 승압부(82)에서 승압된 DC 전압을 검지하고, 검지된 DC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출력전압감지부(8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상기 제어부(5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압축기(64)를 구동하기 위한 IPM 구동부(60) 및 IPM(6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시스템 입력전압에 의해서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기초해서 압축기의 구동전압을 결정한다.
즉, 제어부(50)는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서 필요한 크기의 압축기(64) 구동전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압축기(64)의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U,V,W,U#,V#,W#)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5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IPM구동제어부(60)는 IPM(62) 내부의 IGBT 소자 제어를 위한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에 의해서 IPM(62) 내부의 IBGT 소자가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때, 상기 DC 승압부(82)에서 승압된 DC 전압이 3상 교류 전원으로 전환되면서 압축기(64)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상기 파워 소자들(IGBT, IPM, DIODE)이 장착된 방열판 상에 장착되어서 방열판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90)와, 상기 온도센서(90)의 검출온도를 전기적으로 변환해서 제어부(50)에 전달하는 온도감지부(92)를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압축기 동작 제어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50)는 통신회로(72)를 통해서 실내기측으로부터 운전지시를 받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서 실내기측은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의 운행을 위한 지시를 하고, 그 지시가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이때, 실내기 측에서 시스템 내부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따라서 결정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도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기결정된 압축기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 구동전압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전압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실외기에 입력된 상용교류전원(72)은 정류회로(78)에 공급되고, 상기 정류회로(78)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DC 전압으로 1차 정류시킨다. 상기 정류회로(78)에서 정류된 DC전압은 역률개선회로(84)에 인가되면, 상기 역률개선회로(84)는 PFC 제어회로(83)의 제어를 받아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할 수 있도록 입력전압을 출력한다. 이렇게해서 역률 개선된 전압은 DC 승압부(82)에 인가되고, 상기 DC 승압부(82)는 입력전압을 계속해서 충전하다가 일정시점에서 방전을 수행하여, 고전력의 DC전압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고전력의 DC 전압은 IPM(62) 내부의 각 IGBT 소자에 인가되는데, 상기 IPM(62) 내부의 IGBT 소자는 기결정된 운전주파수에 의해서 온/오프 제어된다.
즉, 제어부(50)는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실내기 측으로부터 설정되어 전송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인지하고, 상기 운전주파수에 따라서 설정된 압축기의구동전압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된 압축기의 구동전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신호(U,V,W,U#,V#,W#)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U,V,W,U#,V#,W#)는 IPM 구동부(60)에 인가되고, IPM 구동부(6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해서 IPM(62) 내부의 IGBT 소자들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IPM(62) 내부 IGBT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때, 상기 IGBT 소자에 인가된 고전력의 DC 전압이 3상 교류전원으로 전환되면서 압축기(64)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회로(78) 및 DC 승압부(82)에 의해서 DC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다시 IPM(62) 내의 IGBT 소자의 온/오프 스위칭동작에 의해서 필요한 크기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서 압축기(64)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64)의 구동전원 발생을 위해서, IPM(62) 내부에는 고전력의 DC 전원을 스위칭하여 3상 교류전원을 발생하는 다수개의 파워소자(IGBT)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고조파 개선에 따른 역률 개선을 위하여 역률개선회로(84) 내부에도 파워소자인 IGBT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역률개선회로(84) 의 IGBT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서 스위칭되어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필요한 크기의 압축기 구동전원 발생을 위해서 다수개의 파워소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수개의 회로소자들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워소자 및 회로소자들은 온도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장시간 구동되거나 또는 고전력상태로 소정시간 이상 동작되는 경우, 상기 파워소자 및 회로소자들이 과열되고, 이를 해소시켜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팬(66)을 방열판과 인접한 부분에 장착시켜서 상기 실외팬(66)의 동작에 의하여 방열판의 열이 방열되도록 하고 있다. 일 예로 냉방운전 중일때, 상기 실외팬(66)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차가운 공기가 열교환기를 경유하는 배관의 높은 열을 뺏은후 배출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동작이 이루어질때, 각종 파워소자 및 회로소자들에 의해서 발생된 열도 같이 외부의 공기에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 중에 압축기의 온도가 정상 조건 이상으로 상승되었을때, 과부하조건에서의 무리한 압축기의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동작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냉방운전 중에(제 100 단계), 방열판의 온도센서(90)를 통해서 상기 파워소자 및 회로소자들이 장착된 방열판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상기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 온도(t1℃) 이상으로 상승했을때, 과부하 온도조건상태가 되었다고 판단한다(제 110 단계).
이때 제어부(50)는 계속해서 냉방운전을 실행하면, 압축기의 온도가 정상 조건이상으로 상승되어 압축기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므로, 압축기를 식혀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제 110 단계). 상기 제 110 단계에서 판단되는 압축기의 정지를 위한 조건은, 상기 방열판의 감지온도 외에도 압축기의 온도를 직접 감시하는 온도센서 및 실외배관온도센서 등의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수행되기도 한다.
상기 제 110 단계의 판단에 의해서 제어부(50)는, 압축기(64) 및 실외팬(66)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제 120 단계). 즉, 상기 압축기 및 실외팬 등의 동작에 따른 방열판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120 단계에 의한 압축기 정지상태가 소정시간(T분) 지속된 후, 방열판 온도센서(90)에서 검출된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내려갔을때, 제어부(50)는 상기 압축기(64)의 동작을 위한 신호(U,V,W,U#,V#,W#)를 다시 출력하고, 동시에 실외팬(66)도 동작시킨다.
즉,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실외팬(66)의 동작에 의해서 방열판의 온도를 방열시키고, 상기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t1℃)에서 압축기(64) 및 실외팬(66)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의 정지상태가 소정시간(T분) 경과되어 방열판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압축기(64) 및 실외팬(66)을 동작시키는 제어를 반복 수행하고 있다(제 130 단계).
이와 같이,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방열판 센서, 압축기, 실외배관센서에 의한 온도검출 후, 압축기의 온도가 정상조건 이상으로 상승되어, 압축기에 무리한 부하가 걸릴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압축기의 온도를 내리기 위해서 압축기 정지를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시간이 경과되어 방열판의 온도가 소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압축기의 재기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의 정지상태에서 압축기의 온도는 급속도로 내려가지만, 실외 흡입온도 또는 방열판의 온도는 매우 천천히 내려간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정지가 수행된 소정시간 후 압축기를 재기동하여 운전을 시작하면, 방열판의 온도가 많이 내려가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즉, 압축기의 재기동 후, 압축기가 정상동작 하기 전에 상기 방열판의 온도센서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압축기의 온/오프 동작이 짧은 시간 내에 반복해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점은 냉난방 성능을 떨어뜨려서 제품에 대한 사용 효율 및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상기 방열판 온도감지부(92)의 검출온도에 의하여 상기 압축기(64)의 동작을 제어할 때, 상기 압축기(64)의 재구동이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t2℃)에 도달한 후에야 가능하게 제어되고 있다. 그러나 방열판의 이상 과열 발생시에, 상기 압축기(64) 및 실외팬(66)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방열판 상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최소화하여도 방열판 온도가 일정온도(t2℃)에 도달하는 시간이 매우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점은 압축기(64)의 재구동시간을 방열판의 온도에 의해서 지연시키게 되고, 결국 시스템의 냉난방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압축기의 빈번한 온/오프 동작을 방지하므로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성도,
도 3은 종래 과부하 온도조건에서의 냉방운전을 위한 동작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 온도조건에서의 냉방운전을 위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5 : 열교환기13,50 : 제어부
54,58,90 : 온도센서52 : 실외온도배관감지부
56 : 실외온도감지부92 : 방열판온도감지부
64 : 압축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은, 센서의 검출온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현재의 운전상태가 과부하 온도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과부하 온도 조건에서, 압축기를 정지시킨 후, 소정시간동안 실외팬을 지연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온도를 소정범위로 구분하고, 현재 실외온도가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실외온도범위에 따라서 상기 실외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방운전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 중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부(50)는 통신회로(72)를 통해서 실내기측으로부터 운전지시를 받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서 실내기측은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의 운행을 위한 지시를 하고, 그 지시가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이때, 실내기 측에서 시스템 내부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따라서 결정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도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기결정된 압축기 운전주파수에 따라 압축기 구동전압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전압으로 압축기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실외기에 입력된 상용교류전원(72)은 정류회로(78)에 공급되고, 상기 정류회로(78)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DC 전압으로 1차 정류시킨다. 상기 정류회로(78)에서 정류된 DC전압은 역률개선회로(84)에 인가되면, 상기 역률개선회로(84)는 PFC 제어회로(83)의 제어를 받아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일치할 수 있도록 입력전압을 출력한다. 이렇게해서 역률 개선된 전압은 DC 승압부(82)에 인가되고, 상기 DC 승압부(82)는 입력전압을 계속해서 충전하다가 일정시점에서 방전을 수행하여, 고전력의 DC전압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고전력의 DC 전압은 IPM(62) 내부의 각 IGBT 소자에 인가되는데, 상기 IPM(62) 내부의 IGBT 소자는 기결정된 운전주파수에 의해서 온/오프 제어된다.
즉, 제어부(50)는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실내기 측으로부터 설정되어 전송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인지하고, 상기 운전주파수에 따라서 설정된 압축기의 구동전압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된 압축기의 구동전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신호(U,V,W,U#,V#,W#)를 출력한다. 상기 신호(U,V,W,U#,V#,W#)는 IPM 구동부(60)에 인가되고, IPM 구동부(60)는 입력된 신호에 기초해서 IPM(62) 내부의 IGBT 소자들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IPM(62) 내부 IGBT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때, 상기 IGBT 소자에 인가된 고전력의 DC 전압이 3상 교류전원으로 전환되면서 압축기(64)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회로(78) 및 DC 승압부(82)에 의해서 DC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다시 IPM(62) 내의 IGBT 소자의 온/오프 스위칭동작에 의해서 필요한 크기의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서 압축기(64)의 구동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 중에,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압축기의 무리한 구동을 방지하면서도 빈번한 온/오프 동작을 억제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온도센서(58)는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온도센서(58)에서 검출된 실외온도는 실외온도감지부(56)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되어져 제어부(50)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실외온도감지부(56)에서 인가되는 실외온도를 입력하고, 현재 실외온도가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검출된 실외온도가 소정온도(T1)보다 낮을때(제 200 단계), 제어부(50)는 압축기(64)가 운전 중인지를 판단한다(제 203 단계).
상기 제 203 단계에서 압축기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50)는 현재 센서들의 감지상태가 압축기의 과부하 상태에서의 무리한 구동을 방지하기 위한 오프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제 206 단계).
상기 제 206 단계에 의한 압축기의 오프조건은, 센서(90)를 통해 검출되는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또는 도시하지는 않고 있지만 압축기 센서의 검출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또는 실외 배관센서(54)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압축기의 정지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 206 단계에서 압축기의 오프조건에 포함될때, 제어부(50)는 현재 실외온도가 소정온도(T1)보다 낮은 상태이므로, 실외온도가 많이 높지 않은 상태이며, 과부하 온도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압축기(64)와, 실외팬(66)을 정지상태로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제 209 단계). 즉, 상기 제 209 단계는, 별도의 실외팬의 동작없이도 충분히 방열판을 비롯한 주변기기들의 열이 외부로 방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상태이다.
상기 제 209 단계는 상기 제어부(50)에서 IPM 구동부(60)에 출력하는 신호를 오프상태로 제어하므로써, 상기 IPM(62) 내부의 IGBT 소자들이 오프되면서 압축기(64)의 구동전원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제 209 단계는, 상기 압축기의 동작에 따른 방열판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이후, 방열판의 온도감지부(92)에서 출력되는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50)는 압축기의 재기동을 필요로 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제 212 단계), 압축기의 재기동을 요구하면, 압축기(64)와 실외팬(66)을 동시에 동작시킨다(제 215 단계).
다음, 상기 실외온도센서(58)에서 검출된 실외온도가 소정온도(T1)보다는 높고, 소정온도(T2) 보다는 낮을때(제 218 단계), 제어부(50)는 압축기(64)가 운전 중인지를 판단한다(제 221 단계).
상기 제 221 단계에서 압축기가 동작 중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50)는 현재 실외 센서들의 감지상태가 압축기의 과부하 상태에서의 무리한 구동을 방지하기 위한 오프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제 224 단계).
상기 제 224 단계에 의한 압축기의 오프조건은, 센서(90)를 통해 검출되는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또는 도시하지는 않고 있지만 압축기 센서의 검출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또는 실외 배관센서(54)를 통해 검출되는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압축기의 정지조건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 224 단계에서 압축기의 오프조건에 포함될때, 제어부(50)는 현재 실외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상태이기 때문에, 과부하 온도조건에 포함된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압축기(64)를 정지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실외팬(66)은 계속해서 동작상태로 제어하여, 방열판을 비롯한 주변기기들의 열기가 빠른 시간 내에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돕는다(제 227 단계). 이때, 상기 실외팬(66)의 운전은 소정시간(X1)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실외온도가 소정온도(T1)와 소정온도(T2) 사이에서 검출되고, 압축기의 오프조건에 포함될때, 압축기는 우선 정지상태로 제어하나 실외팬(66)은 압축기의 정지상태에서도 소정시간 동안은 운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방열판의 온도감지부(92)에서 출력되는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50)는 압축기의 재기동을 필요로 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제 230 단계), 압축기의 재기동을 요구하면, 압축기(64)와 실외팬(66)을 동시에 동작시킨다(제 233단계).
즉, 상기 제 218 단계 내지 제 233 단계는, 실외온도가 소정만큼 높은 경우라고 판단하고, 압축기의 오프 조건에서, 압축기는 정지상태로 제어하지만 실외팬은 소정시간동안 동작상태로 유지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외부온도에 의한 압축기의 과부하 온도조건을 해소한다.
한편, 상기 실외온도센서(58)를 통해서 검출된 실외온도가 소정온도(T2) 이상으로 상승되었을때(제 236 단계), 이전 과정에서와 같이, 압축기의 운전상태인지를 판단하고(제 239 단계), 압축기의 오프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제 242 단계).
그리고 압축기의 오프 조건일때, 압축기를 정지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고, 이때 실외팬(66)은 계속해서 동작상태로 제어한다(제 245 단계). 즉, 상기 제 245 단계는, 과부하 운전 조건인 상태로, 상기 실외팬의 동작에 의해서 방열판을 비롯한 주변기기들의 열기가 빠른 시간 내에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돕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실외팬(66)의 운전은 소정시간(X1) 동안 이루어진다.
이후, 방열판의 온도감지부(92)에서 출력되는 방열판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제어부(50)는 압축기의 재기동을 필요로 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고(제 248 단계), 압축기의 재기동을 요구하면, 우선 실외팬(66)을 소정시간(X2) 동안 동작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압축기를 운전시킨다(제 251단계).
즉, 상기 제 236 단계 내지 제 251 단계는,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라고 판단하고, 압축기의 오프 조건에서, 압축기는 정지상태로 제어하지만 실외팬은 소정시간동안 동작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후 재기동이 이루어질때도 우선 실외팬을 소정시간동안 동작시킨 후, 압축기를 운전시키는 과정으로서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외부의 높은 온도에 의한 압축기의 과부하 온도조건을 해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은, 실외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잦은 압축기의 온/오프 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외팬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정지조건에서, 압축기의 정지와 동시에 실외팬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실외온도에 따라서 소정시간 운전한 후 정지시키고, 또한 재운전시에도 일정시간 실외팬을 먼저 운전하여 방열판과 실외기의 과부하 온도조건에서 방출하지 못한 열을 제거한 후에 압축기의 정상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잦은 압축기의 온/오프 동작을 방지하여,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센서의 검출온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온도에 기초해서 현재의 운전상태가 과부하 온도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과부하 온도 조건에서, 압축기를 정지시킨 후, 소정시간동안 실외팬을 지연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실외온도를 소정범위로 구분하고, 현재 실외온도가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실외온도범위에 따라서 상기 실외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KR1020000058602A 2000-10-05 2000-10-05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KR20020027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602A KR20020027872A (ko) 2000-10-05 2000-10-05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602A KR20020027872A (ko) 2000-10-05 2000-10-05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872A true KR20020027872A (ko) 2002-04-15

Family

ID=1969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602A KR20020027872A (ko) 2000-10-05 2000-10-05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7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2415A (zh) * 2021-10-14 2022-01-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2415A (zh) * 2021-10-14 2022-01-1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3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구동 제어 유닛
KR20020016758A (ko) 공기조화기
JP4164554B2 (ja) 冷凍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インバータ装置
KR20010037408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제어방법
JPH0814672A (ja) 冷凍装置
KR20020027872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방법
JPH0861247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502304B1 (ko) 인버터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58765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제어방법
JPH05256543A (ja) 空気調和機の異常検出装置
JP2007166782A (ja) 冷凍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インバータ装置
KR100540423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JP6957756B2 (ja) 空気調和機
KR100509017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파워소자보호방법
US10211718B2 (en) Power supply which starts or stops boosting based on an unbalanced state of the AC source
US10658944B2 (en) AC/DC combined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20010028947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방법
KR100395945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캐리어주파수제어방법
JPS6029558A (ja)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5068576B2 (ja)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H05322324A (ja) インバータ空気調和機
US11588427B2 (en) Motor drive device and air conditioner
EP3878091B1 (en) Variable frequency drive therma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0285836B1 (ko) 인버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방법
KR0177695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총합전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