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423B1 -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423B1
KR100540423B1 KR1019990044927A KR19990044927A KR100540423B1 KR 100540423 B1 KR100540423 B1 KR 100540423B1 KR 1019990044927 A KR1019990044927 A KR 1019990044927A KR 19990044927 A KR19990044927 A KR 19990044927A KR 100540423 B1 KR100540423 B1 KR 10054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frequency
operating frequency
air conditioner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410A (ko
Inventor
엄동기
박귀근
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19990044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4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4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the electric parameters, e.g.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해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주파수로 압축기의 운전이 일정시간 이상 계속 제어되면, 소정시간 범위 내에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 제어한다. 이때,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가변범위는, 정격주파수 부근의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압축기 운전주파수 가변제어

Description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Inverter air conditioner compressor frequency control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제어를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를 위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5 : 열교환기 13 : 마이크로프로세서
50 : 마이크로프로세서 20 : 실내기
30 : 실외기 54,58: 센서
52 : 실외배관온도감지부 56 : 실외온도감지부
62 : IPM 64 : 압축기
66 : 팬 및 사방변 68 : 릴레이구동부
70 : 통신회로 72 : 교류전원
74 : 노이즈필터 76 : 전류트랜스포머
77,78 : 정류회로 80 : 출력전압감지부
82 : DC 승압부 60 : IPM 구동제어부
84 : 역률개선회로
본 발명은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해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공기조화기와 같은 생활의 편의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높은 에너지 사용 효율과 성능 향상 및 사용에 편리한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가정과 회사에서 그리고 공장에서 가전제품 및 전자기기들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많은 나라와 기구에서는 제품의 사용 규격을 여러가지 방면에서 규제시키고 있다. 일 예로, 국제 고조파 규제를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제품의 사용이 이루어질때 발생되는 고조파가 주변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일정치로 한정한 것이다.
이러한 요구 조건에 부합하여 개발된 것이 인버터 공기조화기이다. 상기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압축기를 주파수에 의하여 제어하며, 높은 역률 개선으로 인한 국제 고조파 규제 규격을 만족시키면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보다 높 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설명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해서 간단하게 살펴본다.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10)로 구성된 실내기(20)와, 압축기(64) 및 열교환기(15)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30)로 분리되고 있다. 상기 실내기(20)와 실외기(30)에는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3,50)가 내장되며, 실내기(2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13)와 실외기(3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서로간의 제어를 위하여 필요할때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구성의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어가 된다.
우선, 사용자가 실내기(20)에 구비된 키입력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냉/난방사이클에 따른 원하는 사이클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설정된 운전모드 상에서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설정온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가 실내기(20)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에서 인식된다. 상기 실내기(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설정된 온도를 통신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실외기(30) 측으로 전송하고, 실외기(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운전모드 및 설정온도를 입력하여, 그에 따른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제어한다.
즉, 실외기(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압축기(5)를 구동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후,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했다는 실내기(20) 측의 신호를 받게 되면, 실외기(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 는 압축기(5)의 운전을 정지시키며, 다시 실내기(20) 측으로부터 압축기의 구동을 필요로 하는 신호가 입력되기까지 압축기(5)의 구동을 준비하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즉,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설정한 난방온도 또는 냉방온도에 기초해서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압축기를 구동하게 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해서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에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제어구성은, 실내기(2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회로(70)가 구비된다. 상기 통신회로(70)는 실외기의 각 구성소자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실내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회로(70)는 실내기로부터 전송되온 신호를 입력하여 실외기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냉방/난방의 절환 동작을 위한 4방변 및 팬(66)과, 상기 4방변 및 팬(66)의 동작 제어를 위한 릴레이 구동부(68)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54)를 통해서 실외배관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실외배관 온도검지부(52)와, 센서(56)를 통해서 실외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실외온도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실외온도검지부(56)를 포함한다.
또한,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교류전원(72)을 입력하고, 입력된 교류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노이즈 필터(74)와, 상기 필터(74)를 통해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에 흐르는 총합전류를 검지하여, 시스템의 사용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트랜스포머(76)와,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76)의 출력을 정류시켜서 DC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정류회로(77)를 포함한다.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교류전원(72)을 정류하는 정류회로(72)와, 상기 정류회로(72)의 출력으로부터 역률을 개선하는 역률개선회로(84)와, 상기 역률개선회로(84)의 출력으로부터 DC전압을 일정크기 이상으로 승압시켜서 출력하는 DC 승압부(8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DC 승압부(82)에서 승압된 DC 전압을 검지하고, 검지된 DC전압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0)에 인가하는 출력전압검지부(8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인버터 공기조화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의 제어에 의해서 압축기(64)를 구동하기 위한 IPM 구동부(60) 및 IPM(62)을 포함하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시스템 내부로 입력된 교류전압에 기초해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서 압축기(64)의 제어를 위한 신호(U,V,W,U#,V#,W#)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IPM구동제어부(60)는 IPM(62) 내부의 IGBT 소자 제어를 위한 하이/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해서 상기 IPM(62)은 내부의 IBGT 소자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서 상기 DC 승압부(82)에서 승압된 DC 전압을 다시 3상 교류 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이때 발생되는 3상 교류전원이 압축기(64)를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 동 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통신회로(72)를 통해서 실내기(20)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로부터 운전지시를 받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서 실내기(20)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의 운행을 위한 지시를 하고, 그 지시를 실외기(30)의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실외기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인지하게 된다.
또한, 실내기(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시스템 내부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신호는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실외기(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인가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운전모드에 따라서 릴레이구동부(68)를 통한 4방변 및 팬(66)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4방변(66)의 제어동작에 의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사이클 모드가 결정된다.
외부 입력단자를 통해서 실외기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은 노이즈필터(74)에서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후, 출력된다. 상기 필터(74)를 경유한 교류전원은 전류 트랜스포머(76)에 인가된다.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76)는,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치를 정류회로(77)를 통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전송하여, 실외기 측에 흐르는 전체 전류값을 감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교류전원(72)은 정류회로(78)에 공급되고, 상기 정류회로(78)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DC 전압으로 정류시킨다. 상기 정류회로(78)에서 정류된 DC전압은 역률개선회로(84)를 통해서 역률 개선이 이루어진 후, DC 승압부(82)에 인가된 다. 상기 DC 승압부(82)는 입력전압을 계속해서 충전하다가 일정시점에서 방전을 수행하여, 실외기 측에 필요로 하는 DC전압을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실내기 측으로부터 설정되어 전송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출력되는 신호(U,V,W,U#,V#,W#)는 IPM 구동부(60)에 인가되어져, IPM(62) 내부의 IGBT 소자들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하이/로우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IPM(62)은 입력신호에 기초해서 내부 IGBT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압축기(64)의 구동에 필요한 크기의 3상 교류전압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압축기(64)의 구동이 시작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압축기(64)의 구동을 계속해서 제어한다.
즉,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는, 시스템 내부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에 의해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운전주파수에 따라서 압축기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에 입력되는 교류전압에 큰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한 상기 압축기(64)는 계속해서 동일주파수로 제어되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계속해서 높은 주파수에 의한 고속운전을 수행하거나 또는 낮은 주파수에 의한 저속운전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를 발생시킨다. 만일 압축기가 계속해서 고속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오일 토출량이 많아져서 압축기 전류가 상승되고 결국 압축기 내부의 오일 부족에 의한 기계적 마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압축기가 계속해서 저속운전을 수행하게 되면, 압축기 내부에 오일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서 압축기 내부의 오일부족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제어방법은, 압축기 내부의 오일 순환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서, 결국 냉난방 제어에 이용되는 냉매의 흐름이 안좋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흐름을 좋게하기 위하여, 압축기가 특정 주파수로 일정시간 이상 운전하게 되면, 소정시간 동안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 제어할 수 있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은, 압축기가 정상조건에서 운전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정상조건에서 압축기가 동일주파수에서 제어된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동일한 운전주파수로 소정시간 제어되었을 때, 운전주파수가 가변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주파수의 가변범위는 정격주파수 부근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전주파수의 가변범위는 목표운전주파수 부근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전주파수의 가변제어는 소정시간 범위 내의 일정기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에는 진행중인 운전모드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단계는 판단된 운전모드에 따라서 운전주파수를 가변 제어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 중에 필요한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서 압축기(64)의 구동을 위한 동작 제어과정에 대해서 살펴본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통신회로(72)를 통해서 실내기(20)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로부터 운전지시를 받게 된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서 실내기(20)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냉방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의 운행을 위한 지시를 하고, 그 지시를 실외기(30)의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실외기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가 인지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운전모드에 따라서 릴레이구동부(68)를 통한 4방변 및 팬(66)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4방변(66)의 제어동작에 의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사이클 모드가 결정된다.
외부 입력단자를 통해서 실외기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은 노이즈필터(74)에서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후, 출력된다. 상기 필터(74)를 경유한 교류전원은 전류 트랜스포머(76)에 인가된다.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76)는, 입력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치를 정류회로(77)를 통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전송하여, 실외기 측에 흐르는 전체 전류값을 감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교류전원(72)은 정류회로(78)에 공급되고, 상기 정류회로(78)는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DC 전압으로 정류시킨다. 상기 정류회로(78)에서 정류된 DC전압은 역률개선회로(84)를 통해서 역률 개선이 이루어진 후, DC 승압부(82)에 인가된다. 상기 DC 승압부(82)는 입력전압을 계속해서 충전하다가 일정시점에서 방전을 수행하여, 실외기 측에 필요로 하는 DC전압을 발생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발생된 DC 전압의 크기가 출력전압검지부(80)에서 검출되어져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인가된다.
한편, 실내기(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시스템 내부로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렇게 결정된 신호는 통신회로(70)를 통해서 실외기(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인가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실내기 측으로부터 설정되어 전송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인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출력되는 신호(U,V,W,U#,V#,W#)는 IPM 구동부(60)에 인가되어져, IPM(62) 내부의 IGBT 소자들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하이/로우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IPM(62)은 입력신호에 기초해서 내부 IGBT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압축기(64) 의 구동에 필요한 크기의 3상 교류전압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압축기(64)의 구동이 시작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압축기(64)의 구동을 계속해서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 및 설정온도에 기초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압축기(64)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는 중에,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하기 위한 인터럽트가 인가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하기 위한 동작에 앞서서 가변제어가 가능한 조건인지를 판단한다.
즉, 압축기(64)가 동작 상태에 있는 지를 확인하고(제 100 단계), 제 100 단계에서 압축기(64)가 동작상태에 있을때, 제상운전이 수행되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제 103 단계).
상기 제 103 단계에서 제상운전이 아닐때, 저전압조건에서의 압축기 동작상태인지를 판단하고(제 106 단계), 과전류감지상태에서의 압축기 동작상태인지를 판단한다(제 109 단계). 또한, 에러 감지를 위한 테스트 모드인지를 확인한다(제 112 단계).
따라서 상기 제 100 단계, 제 103 단계, 제 106 단계, 제 109 단계, 제 112 단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조건과 일치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빠져나간다. 즉, 상기 조건들은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할 수 있는 정상적인 압축기 구동조건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서술한 조건 외에도, 압축기의 온도 상승에 의한 제어조건, 실외온도 이상에 의한 제어조건 등에 있어서도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하기 위한 모드 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모든 조건들로부터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 가능한 구동조건에 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현재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가 가변 제어 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제 115 단계).
상기 제 115 단계에서 가변제어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서 출력된 신호(U,V,W,U#,V#,W#)에 의해서 압축기(64)가 동일주파수로 제어된 시간이 소정시간(약 50분)을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제 118 단계).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의 출력신호(U,V,W,U#,V#,W#)는 실내기에서 결정한 운전주파수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상기 운전주파수는, 시스템 내부에 입력되는 교류전원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입력교류전원이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할때,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는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50)의 출력신호(U,V,W,U#,V#,W#)도 계속해서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 118 단계에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가 동일주파수로 제어된지 소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계속해서 현재의 운전주파수에 따른 압축기의 제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18 단계에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가 동일주파수로 제어된지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압축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를 위해서 가변제어플래그를 세팅한다(제 121 단계). 그리고 가변제어를 위해서 제 124 단계에서 현재의 운전모드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제 124 단계에서 난방운전 중이 아닌 냉방운전 중이라고 판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현재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냉방정격운전주파수(Fc)에서 2단계 높은 단계에서 운전되고 있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26 단계).
상기 제 126 단계에서 냉방정격운전주파수(Fc)에서 2단계 높은 주파수대에서 운전되고 있었다고 판단되면, 냉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2단계 낮춘 단계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28 단계).
그리고 제 126 단계에서 냉방정격운전주파수(Fc)에서 2단계 높은 주파수대에서 운전되고 있지 않았을때, 정격주파수(Fc)보다 높은 주파수대로 운전되고 있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30 단계).
따라서 현재의 압축기 운전주파수가 냉방운전의 정격주파수(Fc)와 주파수(Fc+2) 사이에서 제어되고 있었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냉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1단계 낮은 단계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32 단계).
또한, 제 134 단계의 판단에 의해서 압축기 운전주파수가 주파수(Fc-2)와 주파수(Fc) 사이에서 제어되고 있었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냉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1단계 높은 단계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36 단계).
그리고 제 134 단계의 판단에 의해서 압축기 운전주파수가 주파수(Fc-2) 이하에서 제어되고 있었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냉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2단계 높은 단계로 압축기(64)의 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38 단계).
상기와 같이, 제 128 단계, 제 132 단계, 제 136 단계, 제 138 단계에서 각각 적절하게 압축기의 가변운전을 위한 가변운전주파수가 결정되면, 마이크로프로 세서(50)는 상기 결정된 가변운전주파수로 소정시간동안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상기 제 115 단계로 리턴되어서, 압축기 운전주파수의 가변제어가 수행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가변제어를 수행한 시간이 소정시간(약 2분)을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제 160 단계).
상기 제 160 단계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만족될때까지 가변운전주파수로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제 160 단계의 조건이 만족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가변제어플래그 및 가변제어시간을 클리어시키면서 가변냉방운전제어를 종료한다.
마찬가지로 제 124 단계에서 난방운전에 의한 가변제어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현재 압축기의 운전주파수가 난방정격운전주파수(Fh)에서 2단계 높은 단계에서 운전되고 있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40 단계).
상기 제 140 단계에서 난방정격운전주파수(Fh)에서 2단계 높은 주파수대에서 운전되고 있었다고 판단되면, 난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2단계 낮춘 단계로 압축기(64)의 난방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42단계).
그리고 제 140 단계에서 난방정격운전주파수(Fh)에서 2단계 높은 주파수대에서 운전되고 있지 않았을때, 정격주파수(Fh)보다 높은 주파수대로 운전되고 있었는지를 판단한다(제 142 단계).
따라서 현재의 압축기 운전주파수가 난방운전의 정격주파수(Fh)와 주파수(Fh+2) 사이에서 제어되고 있었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난방정격운전 주파수에서 1단계 낮은 단계로 압축기(64)의 난방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46 단계).
또한, 제 148 단계의 판단에 의해서 압축기 운전주파수가 주파수(Fh-2)와 주파수(Fh) 사이에서 제어되고 있었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난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1단계 높은 단계로 압축기(64)의 난방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50 단계).
그리고 제 148 단계의 판단에 의해서 압축기 운전주파수가 주파수(Fh-2) 이하에서 제어되고 있었을때,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난방정격운전주파수에서 2단계 높은 단계로 압축기(64)의 난방운전주파수를 조절한다(제 152 단계).
상기와 같이, 제 142 단계, 제 146 단계, 제 150 단계, 제 152 단계에서 각각 적절하게 압축기의 가변운전을 위한 가변운전주파수가 결정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상기 결정된 가변운전주파수로 소정시간동안 압축기의 난방운전을 제어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상기 제 115 단계로 리턴되어서, 압축기 운전주파수의 가변제어가 수행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가변제어를 수행한 시간이 소정시간(약 2분)을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제 160 단계).
상기 제 160 단계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만족될때까지 가변운전주파수로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제 160 단계의 조건이 만족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50)는 가변제어플래그 및 가변제어시간을 클리어시키면서 가변난방운전제어를 종료한다.
즉, 본 발명은 압축기의 계속적인 고속운전 또는 계속적인 저속운전을 방지 하기 위해서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하며, 이때 가변되는 운전주파수를 정격주파수 부근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상기 가변되는 운전주파수를 정상조건에서 공기조화기가 운전할 때 실내온도 등에 따라 정해지는 목표운전주파수 부근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상관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난방운전시에 압축기가 특정주파수로 일정시간 이상동안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제어한다. 따라서 압축기가 고속으로 장시간 운전되거나 또는 압축기가 저속으로 장시간 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압축기 내부의 오일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냉매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압축기가 정상조건에서 운전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상조건에서 압축기가 동일주파수에서 제어된 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일한 운전주파수로 소정시간 제어되었을 때, 운전주파수가 가변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주파수의 가변범위는 정격주파수 부근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주파수의 가변범위는 목표운전주파수 부근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주파수의 가변제어는 상기 소정시간 범위 내의 일정기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 진행중인 운전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가 판단된 운전모드에 따라서 운전주파수를 가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KR1019990044927A 1999-10-16 1999-10-16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KR10054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927A KR100540423B1 (ko) 1999-10-16 1999-10-16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927A KR100540423B1 (ko) 1999-10-16 1999-10-16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410A KR20010037410A (ko) 2001-05-07
KR100540423B1 true KR100540423B1 (ko) 2006-01-10

Family

ID=1961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927A KR100540423B1 (ko) 1999-10-16 1999-10-16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3624B (zh) * 2014-01-06 2017-01-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的频率控制方法
CN107289577B (zh) * 2017-05-22 2019-12-3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发电机供电空调器控制方法、控制系统和空调器
CN112474016B (zh) * 2020-11-30 2022-11-08 深圳市智物联网络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控制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125A (ja) * 1995-11-24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9980020988A (ko) * 1996-09-13 1998-06-2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초기 난방운전시 압축기 제어방법
KR19980028559A (ko) * 1996-10-23 1998-07-1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5125A (ja) * 1995-11-24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KR19980020988A (ko) * 1996-09-13 1998-06-2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초기 난방운전시 압축기 제어방법
KR19980028559A (ko) * 1996-10-23 1998-07-15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410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62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with a solar cell
Li Variable frequency drive applications in HVAC systems
JP2001145358A (ja) 電源装置
KR100540423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운전주파수 가변제어방법
KR100358764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JPH0861247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502304B1 (ko) 인버터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658944B2 (en) AC/DC combined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KR20010037408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제어방법
CN113606845A (zh) 一种变频冰箱防凝露加热器控制装置及其方法
JPH05322324A (ja) インバータ空気調和機
KR19990074313A (ko) 인버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방법
KR100445466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역률보상방법 및 장치
KR100445465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역률보상방법 및 장치
KR100509019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구동전압조절방법
KR100395945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캐리어주파수제어방법
KR2020005529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10028947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방법
KR100272230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72260B2 (ja) 電源制御回路
JPH0512670Y2 (ko)
KR100667977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팽창변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83675Y1 (ko)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KR100785423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010037393A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