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683A -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683A
KR20020027683A KR1020000058256A KR20000058256A KR20020027683A KR 20020027683 A KR20020027683 A KR 20020027683A KR 1020000058256 A KR1020000058256 A KR 1020000058256A KR 20000058256 A KR20000058256 A KR 20000058256A KR 20020027683 A KR20020027683 A KR 20020027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service
music
user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시형
Original Assignee
주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형 filed Critical 주시형
Priority to KR102000005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7683A/ko
Publication of KR2002002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6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의 음악 정보 제공은 먼저, 사용자가 음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곡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곡에 대한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곡에 대한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곡에 대한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곡에 대한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음반 제작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의 기능을 포함하는 음반을 제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하게 듣기만 하는 일방적인 음악이 아닌 사용자가 곡을 선택하게 되면, 그 곡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에 관한 거의 모든 작업을 가능하게 해 준다.

Description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Various Music Information for One Song on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음악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디를 이용하여 하나의 곡에 대해서 악보 및 연주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다양한 오락 및 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음악 서비스는 단순히 사용자가 듣는 것 이외의 부가 기능이 전무하다. 사용자는 음악에 대해 듣는 것 이외의 기대조차 가지지 못한다.
지금까지, 미디를 이용하여 하나의 곡(노래)에 대해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은 미디를 이용하여 하나의 곡에 대해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2는 도1의 악보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3은 도2의 작곡 서비스 수행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4는 도2의 편곡 서비스 수행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5는 도1의 연주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6은 도5의 녹음 수행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7은 도5의 원격 합주 수행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8은 도1의 음반 제작 서비스 처리 단계의 세부 흐름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곡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곡에 대한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곡에 대한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곡에 대한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곡에 대한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음악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음반 제작을요구하는 경우, 상기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의 기능을 포함하는 음반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음악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악보 관련 서비스 및 상기 연주 관련 서비스를 수행하던 중에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이메일을 보낼 것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주소로 이메일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하게 듣기만 하는 일방적인 음악이 아닌 사용자가 곡을 선택하게 되면, 그 곡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에 관한 거의 모든 작업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선택한 곡에 대해서 악보 및 연주 기능을 통해 음악에 대한 모든 것을 직접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바로 악기를 배우거나, 연주할 수 있도록 악보를 제공하고 여러 가지 연주 기능을 제작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e-메일 서비스와 음반 제작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 미디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음악 정보 제공 서버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본 설명에서 제외하며, 음악 정보 제공 서버에서 수행하는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는 지를 판단한다(102).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를 판단한다(104).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본 음악 정보 제공 웹사이트의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 가입을 할 수 있는 회원 가입창을 제공하고, 회원이 가입한 정보를 바탕으로 회원 가입을 수행한다.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회원인 사용자는, 먼저, 여러 가지 서비스를 받기 위해 곡을 선택한다(110). 사용자가 곡을 선택하면, 적어도 4가지의 서비스를 선택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창을 제공한다.
4가지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악보 관련 서비스를 요구하는 지를 판단한다(110). 사용자가 악보 관련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악보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112). 악보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112)는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연주 관련 서비스를 요구하는 지를 판단한다(114). 사용자가 연주 관련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연주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를 수행한다(116). 연주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116)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음반 제작 관련 서비스를 요구하는 지를 판단한다(118). 사용자가 음반 제작 관련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음반 제작 서비스 처리 단계(120)를 수행한다. 음반 제작 서비스 처리 단계(120)는 도8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e메일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122), 선택한 곡에 대한 e메일 전송 서비스를 수행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곡의 e메일 서비스 처리 단계(124)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을 연인이나 친구들에게 보다 정성이 담긴 마음의 선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서비스 처리 단계를 이용하여, 단계(108)에서 선택한 곡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자작곡이나 연주곡도 이메일로 보낼 수 있다.
먼저,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1의 악보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112)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20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해서 단순히 악보만을 보기를 원하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악보만을 보기를 원하는 경우, 선택된 곡에 대한 악보를 제공한다(204).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웹을 통하여 본 음악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혹은 웹을 통하여 선택된 곡의 악기별, 또는 전체 악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연주하고자 하는 악기의 악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악기만을 제외하여 곡을 재생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체 밴드를 모으지 않고서도 혼자만의 밴드를 만들어 연습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악보 제공 단계(204)에서는 각 악기만의 전문 악보의 출력이 가능하며, 기타나 베이스 연주를 위해서는 타브 악보가 필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타브 악보뿐만 아니라 섹스 폰 등 여타 악기에 대한 악기별로 필요한 전문 악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206)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해서 작곡을 원하는 지를 판단한다(206).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해서 작곡을 원하는 경우, 작곡 서비스 수행 단계(208)를 수행한다.
이하, 작곡 서비스 수행 단계(208)를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선택한 곡에 대한 메인 멜로디 악보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302). 다음으로, 곡을 구성할 악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304), 다음으로, 메인 멜로디에 알맞은 악기별 악보를 생성한다(306). 다음으로, 생성된 악보의 수정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여(308), 생성 악보의 수정을 요구하지 않은 경우, 이 처리 단계를 종료하고, 생성 악보의 수정을 요구하는 경우, 수정할 악기의 악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310). 다음으로, 악보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312), 악보 수정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310)로 진행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며, 악보 수정이 완료된 경우, 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를 이용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간편한 작곡 기능을 제공한다. 음악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 없이도 기본 멜로디만 작성하고 곡에 사용할 악기들을 선택하면 프로그램 내에서 기본 멜로디에 맞는 각 악기별 곡을 자동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만든 곡에 가사도 붙일 수 있다. 기존 곡에 자신이 만든 가사를 붙여서 새로운 노래를 만들 수도 있다.
도2를 다시 참조하며, 단계(21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편곡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편곡을 요구하는 경우, 편곡 서비스 수행 단계(212)를 수행한다. 도4를 참조하여, 편곡 서비스 수행 단계(212)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곡 분위기를 선택한다(404). 다음으로, 단계(406)에서, 새로운 곡 분위기에 맞는 곡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사용자가 새롭게 생성된 악보의 수정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여(408), 사용자가 새롭게 생성된 악보의 수정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이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수정할 악기의 악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수정할 악기의 악보를 보고 악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412).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한 악보 수정이 완료되는 지를 판단하여(414), 악보 수정이 완료된 경우, 이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단계(410)로 진행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자신이 선택한 곡을 재즈 분위기로 바꾸거나 락이나 메탈, 퓨전음악 분위기로 바꾸고자 할 때 곡의 전체 혹은 일부를 원하는 분위기로 바꿀 수가 있고 바꾼 곡에 대해서도 똑같은 악보 서비스 및 연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하, 도1의 연주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116)를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연주 관련 서비스 처리 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연주시 그 곡에 대한 선택적 재생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 선택적 재생을 수행한다(504).
이것으로 인해서 사용자는 전체 곡 중 특정 악기에 대한 연주만을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곡이 피아노, 기타 베이스 드럼, 섹스폰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중 피아노만, 또는 기타만, 또는 피아노와 기타만의 곡등 악기를 선택하여 곡을 들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 곡에서의 그 악기의 성격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악기 연주에 대한 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외시킨 부분은 자신이 직접 연주하고 배경음악을 합치면 하나의 밴드를 구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06)에서 템포 조절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 템포 조절 수행 단계(508)를 수행한다. 연주할 곡의 템포를 조절함으로써 곡의 분위기를 바꾸어 가며 연주자의 기분에 따라 연주가 가능하다. 곡의 전체 속도를 조절하면서 연주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510)에서는 사용자가 연주시 음정 조절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음정 조절 수행 단계(512)를 수행한다. 곡을 이용하여 연주하고자 할 때가 아닌 주로 보컬이 이용할 기능이다. 음정이 보컬과 맞지 않거나 혹은 여자 가수의 노래를 남자가 부르려 할 때에는 분명 음정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럴 때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14)에서는 사용자가 연주시 구간 반복을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구간 반복 수행 단계(516)를 수행한다. 곡을 연주하다 보면 특정 부분이 매우 어려워 자주 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곡을 연습하다 보면 특정 부분만을 반복 연습해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본 서비스는 이러한 사용자의 연주환경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단계(518)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여러 가지 연주에 대한 녹음을 원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녹음 기능을 수행한다(520). 도6을 참조하면, 먼저, 배경 음악을 재생하고(602), 배경 음악과 연주 음악 또는 노래를 동시에 녹음한다(604). 이후, 녹음 파일 포맷 변경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606), 녹음 파일 포맷의 변경이 있는 경우, 파일 포맷을 변환한다(608). 상술한 녹음 기능을 통해 자신이 연주하거나 노래 부른 것을 실시간으로 녹음하여 원곡의 배경 음악과 합하여 하나의 완전한 곡으로 만들어 감상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주 후 자신의 연주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고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연주음악, 혹은 노래를 웨이브로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mp3, 혹은 리얼 오디오(real audio)등의 미디어 포맷으로 변환하여 감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2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원격 합주를 요구하는 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원격 합주 기능을 수행한다(524). 도7을 참조하면, 먼저, 연주방이 개설되었는 지를 판단한다(700). 연주방이 개설되어 있는 경우, 악기 파트 분담 단계(704)로 진행하고, 연주방이 개설이 안된 경우, 연주방을 개설한 후(702), 다음의 악기 파트 분담 단계(704)로 진행한다. 단계(704)에서는 악기의 파트를 분담한다. 분담된 악기를 이용하여 선택된 곡의 배경 음악을 들으며 자신의 악기를 연주한다(706). 다음으로, 연주가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708), 연주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단계(706)로 진행하고, 연주가 완료된 경우, 각 자의 연주 데이터를 수신한다(710). 수신된 연주 데이터는 믹싱되어 저장된다(712).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정보 제공 방법에서는 컴퓨터 배경음악에 맞추어 연주 연습을 하는 것보다는 실제 연주자들과 함께 연주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본 서비스는 하나의기회를 제공한다. 인터넷이라는 사용환경에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연주를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드럼을 치는 사람은 부산에 있고, 기타는 대전에, 키보드는 광주에, 베이스는 서울에 있어도 인터넷상에서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로의 연주에 대한 토론 및 음악에 대한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정보 제공 방법에는 음반 제작 서비스 처리 단계(120)가 제공된다. 도8을 참조하여 음반 제작 서비스 처리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음반 제작 요청을 받고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다(802). 다음으로, 사용자에게 요청한 음반 제작에 대한 결과를 통보한다(804). 이후, 사용자 최종적으로 음반 제작할 것을 확인하였는지를 판단하여(806), 사용자가 확인한 경우, CD를 제작하고(808), 제작된 CD를 사용자에게 배송할 수 있도록 한다(810). 사용자가 연주한 곡, 혹은 기존 곡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그에 대한 소량의 CD제작을 대행하여 사용자가 소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런 서비스를 통하여 고가의 제작비용 없이 훌륭한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단계(808)에서 CD제작은 종래의 CD제작과 상이하다. 기존의 오디오 사용자는 기존 CD처럼 음악을 들을 수 있다. 컴퓨터 사용자는 기존 CD처럼 음악(wav)을 들을 수 있고, 기존 CD처럼 음악(wav)을 들으면서 그 음악의 악보(melody, tab, drum 외)를 볼 수 있다. 또한, 곡에서 듣고 싶은 악기만을 선택한 음악(mp3)을 들으면서 악보(melody, tab, drum 외)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상술한 본 실시예의 음악 정보 제공 기능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CD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D 내에 음악데이타(wav)를 기존의 방법과 같이 집어넣고, 여분의 공간에다 컴퓨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아래의 2개의 내용을 삽입한다.
첫째, 음악데이타 가공 파일로서, 곡을 미디 데이터로 변환시킨 것(기존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편집 가능)과 곡에서 몇몇 특정악기를 제외하여 녹음한 데이터(mp3 동류 포맷) (녹음 스튜디오에서 기존의 편집 방식으로 작업 가능)이다. 예를 들면, 기타, 피아노, 가수의 목소리가 포함된 일반 가요에서 사람의 목소리만 뺀 다음 녹음을 한다든지, 기타만 빼고 녹음을 한다든지 한 것들이다. 이외에도, 곡을 악보로 만든 데이터도 포함된다.
음악 데이터 가공 화일을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CD를 컴퓨터에 넣고 실행을 시키면, 먼저, 음악 CD를 연주하며, 연주하는 음에 맞추어서 악보를 보여준다. 모니터 화면에 악보 전체가 들어갈 수 없으므로 음악이 흘러감에 따라 악보도 자동적으로 보여줄 위치가 조정된다. 다음으로, 몇몇 악기를 제외한 음악을 제공하므로 기존의 곡에 자신의 연주를 섞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피아노, 가수의 목소리가 포함된 가요에서 기타를 빼고 녹음한 데이터를 듣고 기타 악보를 보면서 기타를 연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8의 CD제작(808) 단계에서 제작된 CD는 기존 CD음반 매체와 달리 음악을 단순히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음악을 자신의 분위기와 욕구에 맞추어서 새롭게 재생산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의 음반의 가장 큰 문제점인 재생산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단순하게 듣기만 하는 일방적인 음악이 아닌 사용자가 곡을 선택하고, 그 곡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에 관한 거의 모든 작업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이 선택한 곡에 대해서 악보 및 연주 기능을 통해 음악에 대한 모든 것을 직접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본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바로 악기를 배우거나, 연주할 수 있도록 악보를 제공하고 여러 가지 연주 기능을 제작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e-메일 서비스와 음반 제작도 가능하다.

Claims (5)

  1.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곡에 대한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곡에 대한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상기 곡에 대한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곡에 대한 음반 제작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악보와 관련된 서비스 및 상기 연주와 관련된 서비스의 기능을 포함하는 음반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악보 관련 서비스 및 상기 연주 관련 서비스를 수행하던 중에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이메일을 보낼 것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주소로 이메일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 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관련 서비스는 상기 곡에 대한 악보 제공 서비스와, 상기 악보와 관련된 작곡 서비스와, 상기 곡에 대한 편곡 서비스를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관련 서비스는 상기 곡의 연주에 대한 선택적 재생 서비스와, 상기 곡의 연주에 대한 템포 조절 서비스와, 상기 곡의 연주에 대한 음정 조절 서비스와, 상기 곡의 연주에 대한 구간 반복 서비스와, 상기 곡의 연주에 대한 녹음 서비스와, 상기 곡의 연주에 대한 원격 합주 서비스를 포함하는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수의 음악 정보 제공 방법.
KR1020000058256A 2000-10-04 2000-10-04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KR20020027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256A KR20020027683A (ko) 2000-10-04 2000-10-04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256A KR20020027683A (ko) 2000-10-04 2000-10-04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83A true KR20020027683A (ko) 2002-04-15

Family

ID=1969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256A KR20020027683A (ko) 2000-10-04 2000-10-04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76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øvig et al. Digital signatures: The impact of digitization on popular music sound
Huber et al. Modern recording techniques
US8173883B2 (en) Personalized music remixing
CN106023969B (zh) 用于将音频效果应用于音乐合辑的一个或多个音轨的方法
TW200907929A (en) Interactive music training and entertainment system
US11138261B2 (en) Media playable with selectable performers
KR10050031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작곡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사업방법
Lerch The relation between music technology and music industry
Klein Feigning Humanity: Virtual Instruments, Simulation and Performativity
JP2005241848A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における投稿作品編集式の模範ボーカル提供装置
Fabbri ‘I’d Like my Record to Sound Like This’: Peter Gabriel and Audio Technology
Exarchos Sonic necessity and compositional invention in# BluesHop: composing the blues for sample-based hip hop
Shelvock Audio Mastering as a Musical Competency
Zager Writing music for commercials: Television, radio, and new media
KR20020027683A (ko) 인터넷상에서 하나의 곡에 대한 다양한 음악 정보 제공 방법
Chimbudzi et al. The evolution of music recording technologies in Zimbabwe
JP381243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自動作詞・作曲された音楽媒体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Bevins Computer technology in modern music: a study of current tools and how musicians use them
O’Grady Latent Elements in Pop Music Production
Hepworth-Sawyer et al. Innovation in music: future opportunities
JP661163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用サーバ
McIntyre Electrifying the Clarinet: A Guide to Modern Technology in Electroacoustic Clarinet Music through Three Electronic Etudes
Augspurger Transience: An Album-Length Recording for Solo Percussion and Electronics
Rando et al. How do Digital Audio Workstations influence the way musicians make and record music?
Han Digitally Processed Music Creation (DPMC): Music composition approach utilizing music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