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063A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063A
KR20020027063A KR1020000058345A KR20000058345A KR20020027063A KR 20020027063 A KR20020027063 A KR 20020027063A KR 1020000058345 A KR1020000058345 A KR 1020000058345A KR 20000058345 A KR20000058345 A KR 20000058345A KR 20020027063 A KR20020027063 A KR 2002002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nt
accent symbol
symbol
touch scree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901B1 (ko
Inventor
김영식
김형근
Original Assignee
김영식
(주)네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주)네이스텍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00005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9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센트 심볼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창에 입력해야 할 문자의 형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구분해 놓은 구역 내에 사용자가 간단히 필기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의도하는 액센트 심볼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에 있어서, 출력될 액센트 심볼과 상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가 있는 경우, 상기 필기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필기된 문자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필기된 액센트심볼을 출력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다국어 필기 입력에 이용됨.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Method Of Recognizing An Accent Symbol For Input of Multi-Language In Mobile Phon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 사회도 현대 사회를 특징짓는 정보화 사회로의 급진전이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의 정보에 대한 욕구와 이동통신에 대한 관심은 기하급수적으로 급상승하게 되어 보다 많은 수요와 고품질·다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기능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통신 수단으로써의 기능 이외에 e-mail이나 인터넷, 그리고 문자 송/수신을 위한 기능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즉,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e-mail을 보낸다거나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게다가 사용자들은 한글은 물론이거니와 일반적인 심볼과 특수문자들, 더 나아가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여기서 액센트 심볼이라고 정의한 문자는 독일어의 움라우트(umlaut)와 같이 문자 위에 일정한 심볼을 첨가했을 때 새로운 문자가 되는 문자들을 총칭한 것임) 인식까지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기술은 가장 기본적인 한글이나 영어 입력과 일반적인 심볼 인식에 그치고 있어서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혹 특수문자와 액센트 심볼을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그 수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문자의 종류는 소수에 그칠 뿐이다. 게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직접 필기를 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아닌 화면에 주어진 문자들 중에서 사용자가 직접 찾아 선택해야만 하므로 입력 시간을 할애해야한다는 점과 이용하는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센트 심볼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창에 입력해야 할 문자의 형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구분해 놓은 구역 내에 사용자가 간단히 필기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의도하는 액센트 심볼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나는 필기인식 프로그램 입력창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입력부 102 : 중앙처리부
103 : 저장부 104 : 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에 있어서, 출력될 액센트 심볼과 상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가 있는 경우, 상기 필기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필기된 문자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필기된 액센트 심볼을 출력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을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될 액센트 심볼과 상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로부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가 있는 경우, 상기 필기가 상기 제 1 기능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결과, 필기된 문자가 상기 제 1 기능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필기된 액센트 심볼을 출력시키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PDA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센트 심볼의 입력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찾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액센트 심볼을 스크린 위에 필기하여 기존 입력 방식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시간의 할애나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특수문자를 곧바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특수문자의 입력 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시간의 할애나 이용에 불편함을 주지 않고 사용자 측면에서의 직관성과 편의성이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PDA)를 이용하여 액센트 심볼을 입력할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창에 입력해야 할 문자의 형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구분해 놓은 구역 내에 사용자가 간단히 필기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의도하는 액센트 심볼을 입력해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측면의 직관성과 편의성이란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수기 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된 각종 명령어를 인식하는 입력부(101),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102),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104)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101)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전자펜으로 입력한 정보를 중앙처리부(102)로 전달해 준다.
중앙처리부(102)는 입력부(101)를 통해 전달된 정보가 액센트 심볼을 입력하기 위한 필기로 판단된 경우에는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해 둔 여러 액센트 심볼 중에서 출력할 액센트 심볼을 선택하게 되며, 선택한 액센트 심볼을 출력부(10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즉, 액센트 심볼을 출력하기 위한 각종 정보들은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으며, 중앙 처리부(102)가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판단, 처리하여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액센트 심볼을 선택한 뒤 출력부(104)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에서 설명된 액센트 심볼은, Umlaut(‥) 뿐만 아니라 문자 위에점이나 그 밖의 다른 어떤 표시( ~ 등과 같은)를 부가하였을 때 새로운 문자가 되는 모든 종류의 문자 언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음을 다시 한번 언급한다.
상기와 같은 필기 입력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201)에서 사용자가 액센트 심볼을 입력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창에 입력해야 할 문자의 형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구분해 놓은 구역 내에 사용자가 간단히 필기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의도하는 액센트 심볼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액센트 문자 등을 찾아 선택하여 입력할 필요 없이 직접 필기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201)의 외부화면은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 리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선택창(202)과 응용프로그램 내에 액센트 심볼 필기 입력을 위한 필기인식프로그램(204), 그리고 응용프로그램 선택 창을 활성시키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선택 버튼(203)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펜(205)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액센트 심볼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일단 전자펜(205)을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 선택 버튼(203)을 누르면 응용프로그램 선택 창(202)이 활성화되며 사용자가 나열된 응용프로그램 중 원하는 응용프로그램(특히, 필기인식프로그램)(이하, 간단히 "필기인식프로그램(204)"이라 함)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3 에 도시된입력 창이 활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하단에 나타나는 필기인식프로그램의 일예시도로서, 도 2 에서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 선택 창(203)에서 필기인식프로그램(204)을 누른 경우에 나타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필기 입력 영역은 세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행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 중 가장 위쪽에 있는 작은 직사각형 영역(문자 상위 심볼 입력, 301)은 문자의 윗부분에 표시되는 심볼들을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이고, 가운데 있는 큰 직사각형 영역(문자 입력 영역, 302)은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이며, 가장 아래에 있는 작은 직사각형 영역(문자 하위 심볼 입력, 303)은 문자의 아랫부분에 표시되는 심볼들을 위한 영역이다. 그리고,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 여덟 개의 정사각형은 스페이스나 백스페이스, 엔터 등 일반적인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기능과 단축키, 옵션 설정 및 도움말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304)이다. 만약 사용자가 액센트 심볼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가운데 있는 큰 직사각형 영역(문자 입력 영역, 302)에 문자를 필기한 후 위쪽에 있는 작은 직사각형 영역(문자 상위 입력 영역, 301)에 심볼을 필기하면 된다. 물론 그 순서에는 관계없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액센트 심볼 필기 시 나타나게 될 액센트 심볼 데이터를 저장부(103)에 저장한다(402).
단말기 사용자가 액센트 심볼의 입력을 위해 응용프로그램 선택 버튼(203)을클릭하면 응용프로그램 선택창(203)이 나타나게 되며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 선택창(203)에 나열되어 있는 리스트 중 필기인식프로그램(204)을 선택하면 된다(404).
사용자는 활성된 필기인식프로그램(204)에서 문자 입력 영역(302)과 문자 상위 입력 영역(301)에 액센트 심볼을 필기한다(406).
사용자가 액센트 문자를 필기하면, 중앙처리부(102)는 필기된 문자가 액센트 심볼을 판단하여 저장부(103)로부터 해당 액센트 심볼 데이터를 읽어와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한다(4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PDA와 같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센트 심볼의 입력 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찾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과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액센트 심볼을 스크린 위에 직접 필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 입력 방식에 따를 경우 제한되어질 수밖에 없는 선택의 폭을 넓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시간의 할애나 이용에의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의도하는 특수문자가 포함된 다국어 문자를 곧바로 필기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액센트 심볼의 입력 시 사용자가 원하는 액센트 심볼을 찾아 선택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직접 필기 입력하므로 불필요한 시간의 할애나 이용하는 등의 불편함을 주지 않고 사용자 측면에서 직관성과 편의성이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PDA)를 이용하여 액센트 심볼을 필기 입력할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창에 입력해야 할 문자의 형태에 따라 직관적으로 구분해 놓은 구역 내에 사용자가 간단히 필기하기만 하면 사용자가 의도하는 액센트 심볼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한글이나 영어, 심볼뿐만 아니라 다국어를 입력할 수 있는 편의성과 직관성이란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에 있어서,
    출력될 액센트 심볼과 상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가 있는 경우, 상기 필기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필기된 문자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필기된 액센트 심볼을 출력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를 인식할 수 있는 부분을 문자 입력 영역, 상기 문자 입력 영역의 위쪽에 있는 문자 상위 심볼 입력 영역, 상기 문자 입력 영역의 아래쪽에 있는 문자 하위 심볼 입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3. 다국어의 입력을 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을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될 액센트 심볼과 상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할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로부터 액센트 심볼을 출력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가 있는 경우, 상기 필기가 상기 제 1 기능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판단결과, 필기된 문자가 상기 제 1 단계에서 저장된 액센트 심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필기된 액센트 심볼을 출력시키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58345A 2000-10-04 2000-10-04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KR100356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345A KR100356901B1 (ko) 2000-10-04 2000-10-04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345A KR100356901B1 (ko) 2000-10-04 2000-10-04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063A true KR20020027063A (ko) 2002-04-13
KR100356901B1 KR100356901B1 (ko) 2002-11-07

Family

ID=1969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345A KR100356901B1 (ko) 2000-10-04 2000-10-04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5953B2 (en) 2012-10-18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US10216409B2 (en) 2013-10-30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5953B2 (en) 2012-10-18 2016-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US10216409B2 (en) 2013-10-30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6901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1235B1 (en) Rapid entry of data and information on a reduced size input area
US7592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JP4369245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テキストを入力する方法
US7055099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in which character input program is stored
JP4749468B2 (ja) 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手書き文字認識
US6160555A (en) Method for providing a cue in a computer system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US8952897B2 (en) Single page soft input panels for larger character sets
JP2005521149A (ja) 電子通信装置にテキストを入力する方法
EP1347362B1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KR20030008873A (ko) 자판 자동변환을 통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이 방법을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 매체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7352295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putting alphabets using a reduced keypad
KR10035690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KR10036014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바이스에서의 제스처를 통한필기입력 방법
RU2525748C2 (ru) Ввод текс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х алфавитов и функция выделения клавиш
JP2004310543A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キャラクター入力方法、キャラクター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182010B2 (ja) 仮名ローマ字対応表、情報処理装置、記憶媒体、サーバ及び文字入力システム
KR20080010774A (ko) 영어-한글 영어 변환 시스템
KR100379917B1 (ko)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50179670A1 (en) One-touch input portable electronic device running one-touch system
KR100916816B1 (ko) 일본어 앨리어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장음 및 촉음에대한 오류를 줄이고 일본어 입력기 사용 시 단자 찾기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8164169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7018546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KR20180133031A (ko) 문자입력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