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925A - 다용도 쑥뜸 받침대 - Google Patents

다용도 쑥뜸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925A
KR20020026925A KR1020020013301A KR20020013301A KR20020026925A KR 20020026925 A KR20020026925 A KR 20020026925A KR 1020020013301 A KR1020020013301 A KR 1020020013301A KR 20020013301 A KR20020013301 A KR 20020013301A KR 20020026925 A KR20020026925 A KR 20020026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combustion
sphere
cros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296B1 (ko
Inventor
박수환
Original Assignee
박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환 filed Critical 박수환
Priority to KR10-2002-001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2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2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의 뜸용 쑥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쑥뜸의 효과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에 의한 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종방향으로 종홈(50)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횡홈(60)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접지면(110)이 하부에 구비된 뜸몸체(100)와; 상기 뜸몸체(10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구(10)와, 상기 제1연소구(10)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1연소구(10)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연소구(20)와, 상기 제2연소구(20)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2연소구(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로 관통되는 통공(30)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접지면(110)에 형성되는 연소부(80)와; 상기 연소부(80)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100)의 외측벽으로 관통되는 통기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형상의 뜸용 쑥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손ㆍ발가락과 굴곡진 환부 및 넓은 면적의 환부에 뜸을 뜰 필요가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에 유익한 황토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뜸의 효과 이외에도 원적외선의 치료효과까지 얻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쑥뜸 받침대{MULTIPURPOSE RECEPTACLE FOR CAUTERIZING MOXA}
본 발명은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더 상세하게는 구관이나, 뜸쑥 또는 건조된 일반쑥 등 여러 형상의 뜸용 쑥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황토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쑥뜸의 효과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에 의한 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인체의 찬 기운을 물리치고, 기(氣)를 따뜻하게 하여 기혈(氣血)을 잘 통하게 함으로써, 각종 질환을 개선하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원기(元氣)를 증진시키는 강장작용을 한다. 현대 의학적으로도 쑥뜸을 세포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며 면역능력을 강화시키고 혈색소를 증가시키며 진통, 지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쑥뜸의 작용으로 인하여, 쑥을 살위에 직접 놓고 뜨는 직접구(直接灸)와, 생강이나 마늘, 소금 등에 쑥을 올려 놓거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쑥이 탈 때 발생하는 열과 쑥기운을 간접적으로 받아 들이는 간접구(間接灸)의 방법으로 쑥뜸의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 중 직접구(直接灸)는 봉형상으로 제조된 쑥봉을 직접피부에 접촉시켜 불을 붙쳐 연소시킴으로서, 쑥이 연소될 때 그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도록 한 것으로 효과는 뛰어나나, 통증이 심하고 심지어는 화상을 입게 되고, 그로 인한 흉터가 남게 되는 부작용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9-0014480호로 '쑥뜸기'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하로 개구되어 있고 그 하단의 개구부가 피부 위에 올려 놓게 된 원통형 쑥뜸기 본체와 이 원통형 쑥뜸기 본체의 내주면에 환형으로 돌출되어 중앙에 통기구를 가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그 돌출부 상측에 약쑥을 수용하여태울 수 있게하는 연소실과 그 하측에 약쑥 연소시 발생되는 쑥기운을 가둘 수 있는 뜸기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쑥뜸기는 사용할 수 있는 뜸용 쑥의 형상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곡진 환부, 즉 관절부위 등에는 그 사용이 곤란하고, 넓은 면적의 환부에 뜸이 필요한 경우에도 그 치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형상의 뜸용 쑥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ㆍ발가락과 굴곡진 환부 및 넓은 면적의 환부에 뜸이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황토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뜸의 효과 이외에도 원적외선의 치료효과까지 얻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대한 사시도.
도2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대한 평면도.
도2의 나)는 도2의 가)의 A-A'에 대한 횡단면도.
도2의 다)는 도2의 가)의 B-B'에 대한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4의 가)는 도3의 대한 평면도.
도4의 나)는 도4의 가)의 C-C'에 대한 횡단면도.
도4의 다)는 도4의 가)의 D-D'에 대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6의 가)는 도5에 대한 평면도.
도6의 나)는 도6의 가)의 E-E'에 대한 횡단면도.
도6의 다)는 도6의 가)의 F-F'에 대한 종단면도.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8의 가)는 도7에 대한 평면도.
도8의 나)는 도6의 가)의 G-G'에 대한 횡단면도.
도8의 다)는 도6의 가)의 H-H'에 대한 종단면도.
도9과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뜸쑥10;제1연소구
20;제2연소구30;통공
40;통기구50;종홈
60;횡홈80;연소부
100;뜸몸체110;접지면
200;제2뜸몸체210;제2횡홈
300;제3뜸몸체310;제3횡홈
320;절곡부400;제4뜸몸체
410;원호
본 발명은 하부에 종방향으로 종홈(50)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횡홈(60)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접지면(110)이 하부에 구비된 뜸몸체(100)와; 상기 뜸몸체(10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구(10)와, 상기 제1연소구(10)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1연소구(10)보다 작게 형성되는제2연소구(20)와, 상기 제2연소구(20)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2연소구(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로 관통되는 통공(30)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접지면(110)에 형성되는 연소부(80)와; 상기 연소부(80)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100)의 외측벽으로 관통되는 통기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2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2의 나)는 도2의 가)의 A-A'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2의 다)는 도2의 가)의 B-B'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4의 가)는 도3의 대한 평면도이고, 도4의 나)는 도4의 가)의 C-C'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4의 다)는 도4의 가)의 D-D'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6의 가)는 도5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6의 나)는 도6의 가)의 E-E'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6의 다)는 도6의 가)의 F-F'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8의 가)는 도7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8의 나)는 도6의 가)의 G-G'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8의 다)는 도6의 가)의 H-H'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9과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쑥뜸 받침대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 다용도 쑥뜸 받침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통상의 쑥뜸의 효능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뜸의 효능에 대한 W H O (세계보건기구)의 1977년 지역사회 일차 보건의료에 관한 보고서에 의하면;
쑥뜸은 면역학적으로 생체의 항체 면역기능을 증진케하는 작용에 의하여 각종 세균성 질환에 멸균, 소염 효과가 있으며, 특히 현대의학으로 특효약이 발견되지 않은 감기 등의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쑥뜸은 신경성질환에 대하여 항마비효과가 있고, 경련성 질환에 대하여 진정효과가 있으며, 자율신경 계통에도 조정작용이 있으며, 쑥뜸은 심장맥관계의 혈관운동을 조정하는 효과가 있고, 혈액성분의 조성 및 개선에도 영향을 미치며 쑥뜸은 내분비 이상질환 및 체액대사에도 상당한 개선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또한, 뜸이 인체에 미치는 임상학적 영향이 현대의학에 의하여 밝혀진 바에 의하면;
1. 뜸을 뜨면 몸속의 신선한 피(백혈구,적혈구)를 생산하는데 기여한다.
(백혈구 및 적혈구의 증가로 인한 세균의 탐식기능 및 영양물질운반의 활성화로 건강증진은 물론 방사선 치료에서 나타나는 백혈구 감소를 회복시키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2.뜸을 뜨면 몸속에서 인터페론의 생산이 증가되어 염증의 확산을 막고 또 이를 없애주는데 기여한다.
3.뜸을 뜨면 심장박동을 강화시켜 핏줄의 수축과 이완기능을 향상시키며 피의 순환을 고르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동맥경화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4.뜸을 뜨면 뇌의 중간에 있는 송파선에서 스트레스 및 암의 억제와 면역력 증강, 그리고 심장병 및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로 알려진 "멜라토닌 호르몬"의 생산이 증가 한다고 한다.
5.뜸을 뜨면 소화기 계통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다.
6.뜸을 뜨면 아픈 자리의 혈류를 좋게하여 유해물질을 없애주기 때문에 통증을 가라 앉게 하는데 일조를 한다.
7.뜸을 뜨면 전신발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어린이가 뜸을 뜨면 생장발육이 건강해지며 총명하게 자랄수 있다고 한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쑥뜸 받침대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하부면에 종홈(50)과 횡홈(60)이 교차되게 형성되는 뜸몸체(100)와, 상기 뜸몸체(100)에 하방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연소부(8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뜸몸체(100)는 황토, 알루미늄, 콩과 밀가루의 배합물 등의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하부는 도1 및 도2의 나)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된 면(面) ,특히 인체의 손바닥과 같은 면(面)에 안착되어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종홈(50)과 횡홈(6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종홈(50)과 횡홈(60)은 서로 교차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돌출되는 접지면(110)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와 환부와의 접지면적을 작게 하여 접지되는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가 환부에서 들뜨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환부에 접지되는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면, 즉, 상기 접지면(110)에 후술할 연소부(80)의 통공(30)이 관통되어 쑥뜸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부(80)는 상기 뜸몸체(100)의 하부면 중 상기 환부와 접지되는 각각의 접지면(110)에 상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일정 단면 형상의 통공(30)과, 상기 통공(30)에 연속하여 상단에 형성되는 제2연소구(20)와, 상기 제2연소구(20)에 연속하여 상단에 형성되는 제1연소구(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부(80)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뜸몸체(100)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제1연소구(10)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뜸쑥(1)인 받침링이 하단에 형성된 간접구에 부합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간접구의 받침링이 안착되어 간접구가 연소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소구(10)와 동심 또는 약간 편심으로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2연소구(20)는 통상의 뜸쑥(1)인 구관에 부합하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고, 깊이는 적어도 구관이 안착되어 전도(顚倒)되지 않고 연소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소구(20)는 상기 제1연소구(1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연소구(10)에 안착되는 간접구 등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뜸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소구(20)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통공(30)은 상기한 환부와 밀착되는 접지면(110)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연소구(10) 또는, 상기 제2연소구(20)에 안착되어 연소되는 뜸쑥(1)인 간접구나 구관의 의해 발생하는 열과 쑥기운, 그리고 상기 뜸몸체(100)의 재질인 황토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원적외선을 환부에 직접 전달하여 쑥뜸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통공(30)은 상기 제2연소구(20)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소구(20)에 안착되는 구관 등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뜸을 시행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소구(20)나 상기 통공(30)의 일측벽에는 외부와 수평하게 관통되어 뜸쑥(1)인 구관이나 간접구의 연소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기구(40)가 형성된다.
도9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손바닥과 같이 굴곡이 많고, 면적이 넓은 환부면에 사용하면 더욱 용이하게 뜸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요소들과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황토 등의 인체에 유익한 재질로 구성되므로 뜸의 시행시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킨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일실시예에서는 뜸몸체(100)의 하부에 종홈(50)과 횡홈(60)이 교차하여 형성되었으나, 도3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뜸몸체(200)는 폭을 좁게 형성하고, 하부에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 등의 굴곡 형상에 부합하는 일열의 제2횡홈(210)만을 형성하여 도9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에 뜸을 더욱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뜸몸체(200)에 형성되는 상기한 연소부(80)는 상기 제2횡홈(210)의 중앙부에 상기한 통공(30)이 관통되어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연소부(80)에 형성되는 상기한 통기구(40)는 상기 제2뜸몸체(200)의 양측면으로 각각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소부(80)에 안착되어지는 뜸쑥(1)인 구관이나 직접구의 연소시 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5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뜸몸체(300)에 형성된 제3횡홈(310)의 중앙부를 오목하게 절곡하여 상기 제3횡홈(310)의 일단과 타단이 180°이하의 둔각을 유지하도록 절곡부(220)를 형성하면, 손가락 또는 발가락 등의 굴곡 형상에 부합함과 동시에 관절부의 구부러짐에도 부합하여 도10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의 관절부에 더욱 용이한 뜸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일실시예에서는 뜸몸체(100)의 하부에 종홈(50)과 횡홈(60)이 교차하여 형성되었으나, 도7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뜸몸체(400)는 그 하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손등이나 발등의 굴곡된 형상에 부합하는 오목한 원호(410)를 형성하여 도10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등이나 발등 등의 환부에 더욱 용이하게 뜸을 시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이 용이하여 뜸의 시행과 동시에 교반하여 이동시킴으로서 손등이나 발등과 같은 환부 전영역에 대한 뜸의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뜸몸체(400)에 형성되는 상기한 연소부(80)는 상기 원호(410)에 상기한 통공(30)이 관통되어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각각의 연소부(80)에 형성되는 상기한 통기구(40)는 상기 제4뜸몸체(400)의 양측면으로 각각 관통 형성되어 상기 연소부(80)에 안착되어지는 뜸쑥(1)인 구관이나 직접구의 연소시 공기가 더욱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형상의 뜸용 쑥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ㆍ발가락과 굴곡진 환부 및 넓은 면적의 환부에 뜸을 뜰 필요가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에 유익한 황토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뜸의 효과 이외에도 원적외선의 치료효과까지 얻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부에 종방향으로 종홈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횡홈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접지면이 하부에 구비되는 뜸몸체와;
    상기 뜸몸체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구와, 상기 제1연소구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1연소구보다 작게 형성된 제2연소구와, 상기 제2연소구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2연소구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의 하부로 관통되는 통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각의 접지면에 형성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뜸몸체의 외측벽으로 관통되는 통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쑥뜸 받침대.
  2. 하부에 횡방향으로 제2횡홈이 형성되는 제2뜸몸체와;
    상기 제2뜸몸체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구와, 상기 제1연소구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1연소구보다 작게 형성된 제2연소구와, 상기 제2연소구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2연소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횡홈의 단면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2뜸몸체의 외측벽으로 관통된 통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쑥뜸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횡홈의 중앙부에 일단과 타단이 180°이하의 둔각을 이루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쑥뜸 받침대.
  4. 하부에 종방향으로 원호가 형성되는 제4뜸몸체와;
    상기 제4뜸몸체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1연소구와, 상기 제1연소구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1연소구보다 작게 형성된 제2연소구와, 상기 제2연소구의 하측에 연속하여 단면적이 상기 제2연소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표면에 관통 형성되는 통공으로 이루어져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내측벽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제4뜸몸체의 외측벽으로 관통되는 통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쑥뜸 받침대.
KR10-2002-0013301A 2002-03-12 2002-03-12 다용도 쑥뜸 받침대 KR10047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01A KR100470296B1 (ko) 2002-03-12 2002-03-12 다용도 쑥뜸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301A KR100470296B1 (ko) 2002-03-12 2002-03-12 다용도 쑥뜸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925A true KR20020026925A (ko) 2002-04-12
KR100470296B1 KR100470296B1 (ko) 2005-02-05

Family

ID=1971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301A KR100470296B1 (ko) 2002-03-12 2002-03-12 다용도 쑥뜸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883A1 (ko) * 2008-08-01 2010-02-04 Sun Jae Kwang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KR200473094Y1 (ko) * 2013-10-14 2014-06-13 박현길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훈증 온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348Y1 (ko) 2020-12-15 2021-03-15 이경미 뜸기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434B1 (ko) * 1983-02-15 1990-03-10 히로도시 오오조오 온구기(溫灸器)
KR870003149Y1 (ko) * 1985-04-24 1987-09-24 김홍민 받침대를 구비한 쑥뜸용 쑥관
US4629780A (en) * 1985-09-16 1986-12-16 Schoenhard James D Polymer layer recovery from a multilayered chip material
JPH03146062A (ja) * 1989-11-02 1991-06-21 Yoshinobu Sugimoto 温灸器
JP2504450Y2 (ja) * 1993-06-22 1996-07-10 株式会社山正 間接灸用台座
JPH09117487A (ja) * 1995-10-25 1997-05-06 Reiko Obika 温灸具兼灸頭鍼施灸具
KR200169370Y1 (ko) * 1998-02-02 2000-02-01 유태우 쑥뜸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3883A1 (ko) * 2008-08-01 2010-02-04 Sun Jae Kwang 뜸통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맞춤형 뜸장치
US9044376B2 (en) 2008-08-01 2015-06-02 Jae Kwang Sun Moxa holder support and customized moxibus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0473094Y1 (ko) * 2013-10-14 2014-06-13 박현길 타원형 쑥 훈증용 점화식 훈증 온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296B1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22752U (zh) 一种熏蒸床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WO2018023852A1 (zh) 艾灸床
KR100470296B1 (ko) 다용도 쑥뜸 받침대
KR20010110259A (ko) 머리에 고정하는 온구기
ITTO20070130A1 (it) Dispositivo terapeutico
CN206577131U (zh) 一种可转动的面部艾灸棒
CN107997956A (zh) 一种电动艾灸椅
CN205322753U (zh) 一种对人体口、鼻或眼熏蒸的熏蒸仪
KR200476037Y1 (ko) 마사지 겸용 뜸기
KR200440662Y1 (ko) 뜸기
KR200275614Y1 (ko) 다목적 한방 치료를 위한 이중구조 부항컵과 보조기구
CN108434608A (zh) 一种石墨烯远红外温针灸器具及其应用设备
KR200186520Y1 (ko) 적외선 쑥뜸기
CN210991753U (zh) 一种温灸器
CN204364436U (zh) 儿科肚脐电热艾灸仪
CN210250553U (zh) 一种石墨烯沉艾烟温熨仪器具
CN210096348U (zh) 一种艾灸器
CN207545459U (zh) 一种艾灸底座
CN206044964U (zh) 股骨头定位红外熏蒸仪
KR200407506Y1 (ko) 쑥뜸기
KR100458041B1 (ko) 지압을 겸하는 쑥뜸장치
CN204890574U (zh) 一种新型督脉灸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0513388B1 (ko) 쑥뜸질 방법 및 쑥뜸질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