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533A -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용 아암조립체 - Google Patents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용 아암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533A
KR20020026533A KR1020027000351A KR20027000351A KR20020026533A KR 20020026533 A KR20020026533 A KR 20020026533A KR 1020027000351 A KR1020027000351 A KR 1020027000351A KR 20027000351 A KR20027000351 A KR 20027000351A KR 20020026533 A KR20020026533 A KR 2002002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pening
recess
transverse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렌이. 킴블
요네조 아이누
Original Assignee
제이알비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알비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알비 컴퍼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2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아암부재가 (ⅰ)횡방향 피봇축주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기 위해 관련 붐에 연결되는 내측단부(123)(ⅱ)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단부(125) 및 (ⅲ) 상기 외측단부 (125)내에 형성된 제 1 요홈(140)이 횡방향피봇축과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횡방향 축(T1)주위에 형성되며 개방 개구부(142) 및 밀폐된 내측단부를 포함한다. 기구 링크부재가 (ⅰ)제 1 단부(128a) (ⅱ)제 2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횡방향축과 평행한 제 2 횡방향축(T2)주위에서 제 2 요홈 (150)을 형성하는 제 2 단부(128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요홈이 개방 개구부(152) 및 밀폐된 내측단부(154)를 가지고, 관련 기구의 관련 제 1 및 제 2 핀(37,38)들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요홈(140,150)들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용 아암조립체{EXCAVATOR ARM ASSEMBLY WITH INTEGRAL QUICK COUPLER}
굴삭기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 상기 굴삭기들은 굴삭기의 기저부로부터 외측 및 상향으로 연장구성되는 외측단부까지 연장구성되는 붐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단부에 아암이 부착된다. 상기 아암은 부에 대해 피봇회전하고, 토사 등을 제거하고 침적시키기 위한 쇼벨( shovel) 또는버킷(bucket)과 같은 부착장치 또는 기구의 작동 및 고정을 위한 아암의 외측단부가 제공된다. 재료처리 또는 철거관련 산업과 같은 다른 산업의 경우, 아암의 외측단부에서 쉬어(shear), 그래플(grapple), 마그넷(magnet) 및 다른 장치들이 이용된다. 아암의 단부에서 이용되는 기구의 형태와 무관하게 , 당업자들에 의하면, 붐을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한 유압실린더 등, 아암에 대해 기구를 이동시키고 기구의 모든 장치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아암이 상기 굴삭기에 구성된다.
굴삭기의 유용성 및 다용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구들이 상기 아암에 편리하고 신뢰성있게 연결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결과 다양한 기구들 중 한 개가 목적에 따라 단일 굴삭기에 이용될 수 있가. 그러나 기구들의 크기 및 중량이 주어지고, 모든 연결위치들의 작은 공차들이 주어질 때, 굴삭기의 아암에 형성된 단부에서 기구들을 교체하는 작업은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곤란하며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위험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구들이 굴삭기의 아암 및 관련 유압실린더들과 작업자에 의해 핀연결된다. 상기 작업은 반드시 소요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핀들을 작업자에 의해 제거 및 교체작업을 요구한다. 상기 핀들의 제거 및 교체작업은 작업자 및 유압에 의해 처리곤란하고 중량인 아암, 유압실린더 및/또는 기구를 조정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최근에 급속커플링들이 개발되어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적합한 커플링이 Ohio Akron 에 소재한 JRB 사에 의해 SLIDE-LOC®이라는 상표로 시판된다.상기 급속커를링들은 아암의 외측단부와 피봇회전가능하게 핀연결되고 또한 기구 또는 "버킷"링크부재의 외측단부에 핀연결된다. 일단 급속커플러가 작동되게 제위치에 핀연결되면, 제 1 및 제 2 핀들을 제거하지 않고도 여러 가지 모든 관련 기구들중 제 1 및 제 2 핀들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요홈들이 제공된다.
매우 효과적이고 편리할 지라도, 종래기술의 상기 급속커플링은 굴삭기의 아암에 대해 일부 중량을 추가하며 또한 아암을 길게 만들고, 복합적으로 특정환경에서 굴삭기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급속커플링의 추가 질량에 의해 굴삭기의 인상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증가된 아암의 길이 및 중량은 붐 및 아암이 확장될 때 굴삭기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이를 위하여 일부 작업자들은 규정보다 작은 기구들을 이용한다고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설명을 고려할 때, 개별 급속커플링장치를 부착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관련 기구를 지지하고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급속커플링기구를 일체로 구성하는 아암조립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굴삭기 등을 위한 아암조립체는 아암부재 및 기구링크부재내부로 일체구성되는 급속커플러를 포함하여, 아암에 개별 급속커플러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기구들을 특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목적에 따라 장비에 선택적이고 안전하게 부착하는 장비에 의해 이용되는 커플링(coupling)장치에 관련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암 및 기구의 중간에 위치하고 종래기술을 따르는 개별의 급속커플러장치를 이용하거나 부착할 필요없이 외측단부에서 광범위한 모든 기구들에 부착하기 위한 일체형 급속커플러장치가 아암에 포함되는 굴삭기 등을 위한 아암조립체에 관련된다. 간단히 본 발명은 주로 굴삭기 형태의 건설기계류와 이용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상기 " 굴삭기 "는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차량 또는 기계 형태로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굴삭기, 백호우( backhoes), 트랙터, 스키드차량( skid steer vehicle), 고정식 페데스탈 장착기계 또는 다른 유사장치 또는 관련장치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 A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굴삭장치 및 관련 기구 또는 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종개기술을 따르는 굴삭기용 부착장치 또는 기구의 측면도.
도 1C는 종래기술을 따르는 굴삭기 등을 위한 아암 및 종래기술에 따라 작동되게 아암에 연결된 버킷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D는 종래기술을 따르고 연결된 개별 급속커플러기구를 포함하고 종래기술을 따르는 도 1C의 아암을 도시한 측면도.
도 2A는 제 1 작동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 등을 위한 아암을 도시하고, 분리상태에서 기구구속장치(좌측은 대칭형상)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2B는 제 2 작용위치에서 도 2A에 도시되고 연결상태에서 기구구속장치를 도시한 부분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이해를 위해 제거된 링크들을 가진 일체형급속커플러로 구성된 아암의 투시도.
도 3B는 도 3A와 유사하지만 상기 링크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아암에 작동되게 연결된 버킷기구를 포함하고 제 1위치에 있는 도 2A의 아암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B는 도 4A와 유사하지만 제 2 작동위치에 있는 아암 및 버킷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아암의 외측단부를 (우측은 대칭형상)도시한 좌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선(B-B)을 따라본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선(C-C)을 따라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두데 (dude)링크지지부(link retainer)를 도시한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두데링크지지부의 정면도.
도 7은 도 5c와 유사하지만 도 6a의 두데링크지지부를 아암의 외측단부에 작동되게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a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기구링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b는 도 8a의 기구링크를 도시한 측면도.
도 8c는 도 8b의 선 (C-C)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도 8B의 기구링크를 도시하고 또한 기구링크에 고정된 기구구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부호설명*
10 ... 굴삭기12 ... 롤러체인트레드
14 ... 파워유니트16 ... 캡
20 ... 기저부23 ... 내측단부
28 ... 기구링크33 ... 유압실린더
170a ... 두데링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아암부재가 (ⅰ)횡방향 피봇축주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기 위해 관련 붐에 연결되는 내측단부(123)(ⅱ)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단부(125) 및 (ⅲ) 상기 외측단부 (125)내에 형성된 제 1 요홈(140)이 횡방향피봇축과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횡방향 축(T1)주위에 형성되며 개방 개구부(142) 및 밀폐된 내측단부를 포함한다. 기구 링크부재가 (ⅰ)제 1 단부(128a) (ⅱ)제 2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횡방향축과 평행한 제 2 횡방향축(T2)주위에서 제 2 요홈 (150)을 형성하는 제 2 단부(128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두데링크부재들이 요홈들사이에서 고정간격을 유지하고, 각각의 요홈내에 항상 관련 기구의 핀들중 적어도 한 개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관련 핀이 요홈내에 수동된 후 추가의 구속부재가 요홈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불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장점에 의하면,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구성하는 굴삭기 또는 다른 장치를 위한 아암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개별 급속커플링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관련 기구와 신속하게 결합되는 아암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아암조립체가 상당히 연장되지 않으며, 종래기술의 아암조립체에 대해 상당한 중량이 추가로 상당해 증가되지 않는 굴삭기 또는 다른 장치를 위한 아암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두데링크들에 의하여 관련 기구의 적어도 한 개의 부착핀이 항상 충분히 포착되는 일체형 급속커플러 장치를 가진 아암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관련 기구의 적어도 한 개의 부착핀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기구구속장치를 포함하고 일체형 급속커플러 기구를 가진 아암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암의 종방향축에 대해 고정되는 핀수용 요홈이 아암의 외측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굴삭기 등을 위한 아암이 제공된다.
도면들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비제한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도면들이 제공되며, 도 1A의 굴삭기를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굴삭기가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은 굴삭작업, 건설, 재료처리, 파괴 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되는 아암이 작동되게 부착될 수 있는 붐(boom)을 가진 장치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고, 상기 굴삭기는 유사한 모든 종류를 포함한다. 도시된 굴삭기(10)는 표준구종의 롤러체인트레드( roller chain tread)(12) 또는 트랙터(tractor)위에서 운동한다. 디젤엔진 등과 같은 에진 또는 파워유니트(power unit)(14)가 트레드(12) 및 여러 가지 유압펌프, 발전기 및 공지의 작동에 관련되는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 작동한다. 굴삭기(10)를 제어하는 운전자를 수용하기 위한 캡(cab)(16)이 기저부(20)위에 유지된다.
붐(18)이 기저부(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구성되고 유압피스톤(22)들에 의해 상승운동한다. 붐(18)의 외측단부(19)에서 , 아암 또는 " 딥퍼스틱(dipper stick)"(24)의 내측단부(23)가 횡방향피봇축주위의 운동을 위해 피봇회전운동하도록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암(24)의 외측단부(25)에서 쇼벨(shovel), 버킷 (bucket) 등의 기구(26a)가 지지된다. 유압실린더(30)가 작동가능하게 아암(24)에 연결되고 공지된 것과 같이, 기구 또는 "버킷" 링크부재 (28)는 실린더(30)의 피스톤(32)을 버킷(26) 도는 다른 기구에 연결하여 버킷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 쌍의 안내링크(29)들 (도 1A에서 한 개만 도시됨)이 아암(24)의 마주보는 횡방향 측부들위에 위치하고, 각각의 횡방향축들 주위에서 피봇회전하도록 아암(24) 및 기구링크(28)에 피봇회전하게 연결된다. 실린더 피스톤(32)이 확장 또는 수축하는 동안 기구링크부재(28) 및 아암(24)사이의 적합한 거리가 안내링크(29)들에 의해 유지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공지기술에 따라, 붐(18) 및 아암(24)들사이의 피봇회전운동을 형성하기 위해 유압실린더(33)가 상기 붐(18) 및 아암(24)사이에 삽입된다.
종래기술의 굴삭기용 버킷기구(26b)가 도 1B에 도시된다. 상기 기구(26B)는 평행하게 서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부착핀(37, 38)들을 가지고 , 부착핀에 의해 기구(26b)가 굴삭기아암(24) 및 링크(28)의해 핀연결 또는 급속연결부를 형성한다.
도 1C를 참고할 때, 기구 부착핀(37, 38)들을 이용하여, 기구(26b)가 아암(24)의 외측단부(25)에 위치한 폐쇄구멍 또는 개구부(31, 33)들 및 링크(28)의 외측단부(28b)에 직접 핀연결되거나 결합된다. 상기 기구(26b)가 자주 교체하여 기구교체에 관련한 시간 및 불편에 의해 상기 배열은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핀(37, 38)들이 제거되고, 다음에 상기 기구의 정렬된 개구부 및 구멍(31, 33)들을 통해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아암(24)의 내측단부(23)는 제 1횡방향피봇축(27a)위에 중심잡기되고 연결붐(18)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횡방향 원통구멍(21a) 또는 복수개의 정렬된 횡방향구멍들을 포함하여, 횡방향의 제 1 피봇축(27a)주위에서 상기 아암이 붐에 대해 피봇회전한다. 또한 횡방향의 제 1 피봇축과 평행한 횡방향으 제 2 횡방향피축(27b)위에 중심잡기된 제 2 횡방향원통구멍(21b) 또는 복수개의 정렬된 횡방향구멍들이 상기 아암(24)의 외측단부(23)에 포함된다. 연결된 유압실린더(33)의 피스톤을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상기 구멍(21b)이 이용되어, 피스톤 및 아암(24)은 제 2 횡방향 피봇축(27b)주위에서 서로에 대해 피봇회전운동한다.
도 1D에 도시되고, 종래기술을 따르는 또 다른 배열을 참고할 때, 링크(28)의 외측단부(28B) 및 아암(24)의 외측단부(25)에 핀(37', 38')들에 의해 )핀연결되고 분리된 급속커플러기구(34)가 상기 아암(24)에 구성된다. 다음에 버킷(26a)과 같은 연결상태의 기구와 선택적이고 편리하게 상호연결하도록 상기 급속커플러기구(34)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기구(26a)와 같은 연결상태의 기구로부터 상기 핀들을 제거하지 않고도 제 1 및 제 2 기구 핀(37, 38)들을 각각 직접 수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요홈(40, 50)들이 상기 급속커플러기구(34)에 포함된다. 구속장치(60)가 제 2핀(38)을 포착하기 위하여 제 2요홈(50)내에 포착될 때, 제 1 핀(37)이 제 1 요홈(40)을부터 탈출할 수 없도록 제 1 요홈(40)이 구성된다. 상기 형태의 급속커플러기구(34)는 상당히 효율적이고 상업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상기 급속커플러기구는 아암(2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구성되고 중량을 증가시키며 , 그 결과 특정환경에서 성능이 제한된다.
도 2A내지 3B를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아암조립체(124)가 도시된다. 다르게 설명 또는 도시되지 않는 다면, 아암(24)에 대한 유사한 부품들은 도 1A 내지 도 1D와 관련하여 이용된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들로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라 , 굴삭기용 붐(18)의 외측단부(19)에 연결하기 위한 내측단부(123)가 상기 아암(124)에 구성된다. 아암(24)과 상이하게 , 기구로부터 핀(37)을 제거하지 않고도 연결된 버킷 또는 다른 기구의 제 1 기구부착핀(37)을 짝을 이루며 수용하기 위한 영역 또는 요홈(140)을 수용하는 제 1 일체형 기구부착핀이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구성된다. 상기 요홈(140)은 아암(124)과 일체형 구조로서 구성되고 또는 예를 들어, 용접작업을 통해 아암(124)의 나머지 부분과 영구적으로 일체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볼트 등의 고정구들에 의해 아암에 고정되는 개별 부재내에 요홈(140)이 형성된다. 다른 경우, 제 1 요홈(140)이 아암(124)의 종방향축(L)에 대해 (수직방향이 선호되게)횡방향으로 형성되고 , 개방상태의 개구부(142) 및 밀폐상태의 내측단부(144)를 형성하며, 내측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원호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반원통형의 )원통형의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42)는 (안내링크(129)들이 각각 운동하는 평면과 평행한 평면내에 ) 상기 축(L)에 대하여 고정각을 형성하고, 하향으로 즉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130) 및 링크부재(128)로부터 떨어져 개방되는 것이 선호되고, 본 발명의 전체 범위 및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단일의 요홈으로서 도시될 지라도, 본 발명의 전체 범위 및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정렬된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요홈들에 의해 상기 요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축(L)의 방향으로 연장구성되는 경로를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32)이 유압실린더(130)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버킷링크 또는 기구링크가 피스톤과 함께 왕복운동하고 피스톤에 대해 횡방향축주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도록 외측단부(128A)에서 피스톤(132)에 연결된다. 안내링크(129)의 쌍이 아암(124)의 마주보는 횡방향측부들에 위치하고, 제 1단부에서 기구링크의 내측단부(128A)에 ( 피스톤(132)에 대한 공통의 피봇위치에서 )연결되며, 마주보는 제 2 단부에서 아암(124)에 연결된다. 피스톤(132)이 확장 또는 수축하는 동안, 기구링크부재(128)의 내측단부(128A) 및 아암(124)사이의 적합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안내링크(129)들은 횡방향축주위에서 피봇회전한다.
기구링크부재(128)의 외측단부(128b)가 축(L')위에서 내측단부(128A)로 부터 이격되고, 기구로부터 핀(38)이 제거되지 않고도, 연결된 버킷 또는 다른 기구(26b)의 제 2 기구부착핀(38)을 짝을 이루며 수용하기 위한 제 2 일체형 기구부착핀을 포함한다. 요홈(150)은 기구링크(128)를 가진 일체구조로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링크(128)의 나머지부분과 영구적으로 일체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볼트들 또는 유사고정구들을 이용하여 링크(128)에 연결된 별도의 부재내에 제 2요홈(150)이 형성된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제 2 요홈(150)이 링크부재(128)의 종방향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수직방향이 선호되게 ) 형성되고, 개방된 개구부(152) 및 밀폐된 내측단부(154)를 형성하며, 내측단부(154)의 적어도 일부분이 원호형상 또는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반원통형 ) 원통형의 표면을 형성한다. 연결된 부착물의 제 1 및 제 2 핀(37,38)들이 전형적으로 평행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 1 및 제 2 횡방향축(T1, T2)위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요홈(140, 150)들내에 충분히 수용( 즉 요홈내측단부(144, 154)들을 지지)되는 연결상태의 핀(37, 38)들이 종방향축들이 각각의 축(T1, T2)들과 정렬되게 위치하는 것이 선호된다. 축(T1, T2 )는 횡방향(127a, 127b)들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개구부(152)가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더라도, 요홈(140)의 개구부(142)와 동일하게 요홈(150)의 개구부(152)가 축(T1, T2)들과 수직으로 배열되고,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대해 하향으로 개방되는 것이 선호되는 평면내에서 각을 이루며 고정된다. 제 1 요홈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제 2 요홈(150)은 단일부재내부의 단일요홈에 의해 또는 서로 다른 부재내부의 정렬된 복수개의 요홈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요홈(140, 150)들이 각각의 축(T1, T2 )들주위에서 연장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당업자들에 의하면, 아암(124)이 관련 붐에 대해 피봇회전운동하는 축(127a, 127b)들 및 굴삭기 등의 장치의 실린더 피스톤과 상기 축(T1, T2 )들이 평행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명과 같이 , 축(T1, T2 )들위에 중심잡기 된 반경(R1, R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는 원형형상의 표면에 의해 요홈(140, 150)들에 구성된 원호형상의 내측단부(144, 154)들이 각각의 개구부(142, 152)들과 직경에 대해 마주보게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계속해서 도2A 내지 도 3B를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아암(124)이 또한 기구구속장치(160)를 가진다. 도면을 참고할 때, 구속장치조립체(160)는기구링크(128)에 연결되고, (도 2A)의 )제 1 불구속 또는 수축위치 및 (도 2B의 )제 2 구속 또는 확장위치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속부재(162)를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 구속부재 (162)에 연결되고, 도 3A 및 도 3B에서 화살표(A)로 도시된 것과 같이 불구속 및 구속위치들사이에서 구속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 유압, 수동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이 상기 구속조립체(160)에 포함된다. 불구속 또는 수축된 위치에서 , 구속부재(162)는 제 2 요홈(150)에 대해 수축되고 간섭하지 않아서, 연결상태의 기구의 제 2 부착핀(38)이 개구부(152)에 의해 요홈(150)으로부터 자유롭게 제거되고 수용된다. 다른 한편, 구속부재(162)가 도 2A에서와 같이 제 2 구속 또는 확장위치내부로 이동될 때, 구속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2요홈(150)의 개구부(152)를 밀폐시키거나 요홈(150)내부에서 연결상태의 기구의 제 2 기구부착핀(38)을 고정한다. 당업자에 의하면, 기구부착핀(37)을 제 1요홈(140)내에 선택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불구속 및 구속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구속부재를 가지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속장치조립체가 아암(124)자체에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아암조립체가 아암(124)의 마주보는 횡방향 측부들위에 장착되고 제 1 단부에서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2단부에서 기구링크(128)의 외측단부(128b)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선호되는 제 1 및 제 2 두데링크(128170a, 170b)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고 각각의 핀(37, 38)들을 수용하며,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단부들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요홈(180a, 182a)이 상기 두데링크(170a) ( 도 2A, 2B)에 포함된다. (도 3b의 )두데링크(170b)가 상기 두데링크(170b)와 대칭이고 따라서 서로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 1 및 제 2 단부들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요홈(180b, 182b)들을 포함한다. 제 1요홈(180a, 180b)들 및 제 2 요홈(182a, 182b)들은 서로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도면을 참고할 때, 두데링크(170a, 170b)들은 축(T1)축위에서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대해 피봇회전하고, 축(T2)주위에서 기구링크(128)의 외측단부(128b)에 대해 피봇회전한다.
두데링크(170a, 170b)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아암(124)의 외측단부(125) 및 기구링크(128)의 외측단부(128b)사이의 고정간격이 상기 두데링크들에 의해 유지되어, 요홈(140,150)들의 축(T1, T2)들사이의 간격은 연결상태의 기구(26B)의 핀(37, 38)들의 종방향축 등사이의 간격과 항상 동일하다. 다음에 하기 설명과 같이 , 요홈(140, 150)들 중 적어도 한 개의 개구부(142, 152)들이 두데링크(170a, 170b)들에 의해 밀폐되거나 막혀서 , 관련 기구의 적어도 한 개가 항상 각각의 요홈(140, 150)내에 포착된다.
(도 2A, 3B 및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 피스톤(132)이 수축될 때, 제 2 요홈(182A, 182B)이 마주보게 배열되거나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고, 제 2요홈(150)의 개구부(152)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관련 기구의 핀(38)이 요홈(150)내에 위치할 때, 두데링크(170a, 170b)의 제 2요홈(180a, 180b)들이 관련 핀(38)을 포착한다. 동시에 두데링크(170a, 170b)의 제 1 요홈(180a, 180b)들이 제 1 요홈(140)의 개구부(142)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일치한다. 따라서 실린더피스톤이수축될 때, 두데링크(170a, 170b)들은 요홈(140)내에 관련 기구의 제 1 부착핀(37)을 포착하지 못한다. 상기 위치에서 급속연결작용 즉 핀(37)의 축방향 삽입 또는 제거작용없이 직접적인 연결작용에 목적에 따라 두데링크(170a, 170b)들은 요홈(140)내부로 직접 관련 핀(37)의 삽입작용을 방해하지 못한다.
대조적으로 , 도 2B 및 도 4B를 참고할 때, 실린더피스톤(132) 및 기구링크(128)가 확장된다. 상기 확장위치에 기구링크(128)가 위치할 때, 두데링크(170a, 170b)들이 피봇회전하여, 제 2 요홈(182a, 182b)들이 동일방향으로 개방되거나 제 2 요홈(150)의 개구부(152)와 일치하고 막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위치에서 두데링크(170a, 170b)들은 제 2 요홈(150)을 방채하지 못하고, 관련 기구(26b)의 제 2 부착핀(38)을 포착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위치에서 , 급속연결작업동안, 상기 핀(38)이 요홈(150)내에 자유롭게 수용된다. 그러나 기구구속장치(160)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될 때, 구속부재(102)는 관련 기구(26b)의 부착핀(38)을 포착하고 탈출을 방해한다. 동시에, 제 1 관련 기구부착핀(37)을 제 1 요홈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두데링크(170a, 170b)의 제 1요홈(180a, 180b)은 아암(124)의 제 1요홈(140)과 반대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기구구속장치(160)가 돌발적으로 분리되고 구속부재(162)가 수축되는 경우에 , 두데링크(170a, 170b)의 제 1요홈(180a, 180b)들에 의해 아암(124)으로부터 관련기구(26b)의 완전한 분리작용이 방지된다.
상기 설명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면, 두데링크(170a, 170b)들에 의하여, 실린더피스톤(132)이 확장, 수축 또는 완전확장 및 완전수축위치들의 중간위치에 배열되는 것과 무관하게, 관련 기구(140, 150)내에 항상 충분히 고정된다. 또한 당업자들에 의하면, 하기 상세한 설명의 급속연결작업을 간섭하지 않고 두데링크들은 상기 안전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시, 기구(266)를 아암(124)에 신속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아암이 배열된다. 그 결과 개구부(142)에 의해 관련 기구부착핀(37)이 상기 아암요홈(140)내에 자유롭게 직접 수용되는 제 1 위치로 상기 두데링크(170a, 170b)가 이동된다. 다음에 기구(26b)가 핀(37)에 의해 요홈(140)내에 올려지고 피스톤(132)이 충분히 확장되도록 아암(124)이 상승된다. 그 결과 두데링크(170a, 170b)들이 제 2 작동위치로 피봇회전되어 , 링크부재(128)의 요홈(150)을 작동시키는 동안 요홈(140)내에 기구핀(37)주위에서 피봇회전되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 제 2 관련 기구부착핀(38)이 개구부(152)를 통해 부착링크(128)의 제 2 요홈(150)내에 직접 수용된다. 마지막으로 구속장치(160)가 연결되어 (도 2B) 구속부재(162)는 제 2 관련 핀(38)을 상기 요홈(150)내에 고정시킨다. 기구(26b)의 분리는 간단히 부착작업의 반대로 이루어진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할 때,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관한 선호되는 구조가 도시된다. 용접되거나 아암(124)의 나머지부분에 고정결합되는 분리상태의 조립체 또는 구조가 상기 외측단부(125)를 형성한다.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횡방향 면(200a, 200b)들내에서 상기 외측단부(125)는 제 1 및 제 2 원형 오목부(202a, 202b)들을 형성한다. 오목부(202a, 202b)들은 축(T1)에 대해 동심을 이루고, 요홈(240)을 둘러싼다. 물론 , 요홈(140)의 개구부(142)에 의해 상기 오목부(202a, 202b)들이 간섭된다. 또한 아암의 외측단부(125)의 마주보는 각각의 횡방향 측부(200a, 200b)내에 복수개의 나사구멍(204)들이 형성되고, 오목부(202a, 202b)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이격되고, 축(T1)과 평행하게 연장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7을 참고할 때, 아암(124)에 두데링크(170b)가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선호되는 구성이 도시된다. 당업자들에 의하면, 아암의 외측단부(125)에 두데링크(170a)가 연결되는 것은 동일하다. (도 7을 참고할 때,)오목부(202a)내에 밀착되게 미끄럼수용하기 위한 원호형상의 돌출부(212)를 형성하는 내부면을 형성하는 C자형상의 지지부(210)가 상기 아암조립체에 구성된다. 요홈(140)의 개구부(142)를 방해하지 않고도 , 유지링(220)의 구멍 및 상기 구멍(204)들 중 정렬된 구멍내에 나사체결가능하게 작동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 또는 다른 고정구들에 의해, 구멍(204)에 덮히도록 C자 형상이 선호되는 유지링(220)(또는 복수개의 유지요소들)이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고정된다. 유지링(220)은 지지부(210)위에서 돌출측부(218)와 결합하고 따라서 요홈(202a)내에서 미끄럼운동을 방해하지 않고도 상기 지지부(210)를 요홈내에 고정한다.
지지부(210)는 외측면내에서 개방되고 두데링크(170b)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나사구멍(176)들이 두데링크(170b)에 의해 형성된다. 두데링크(170b) 및 지지부(210)가 함께 고정되고, 오목부(202a)에 대해 유니트로서 이동하여, 지지부의 개방부분(211)이 두데링크 요홈(180b)의 개방부분 또는 개구부(181b)(도 3B)와 정렬되거나 일치한다. 또한 지지부(210)가 오목부(202a)로부터 이동되지 않으며요홈(140)의 개구부(142)를 통해 이동하고 개구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부(210)는 충분한 원호길이를 가진다.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마주보는 두데링크(170a)가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에 연결된다. 여러 가지 부품들이 상기 설명과 같이 조립될 때, 지지부(210)의 내측 원호면부분(230)이 관련 축(T1, T2)주위에서 회전하고 중심잡기되며, 관련 요홈(140, 150)내에 고정된 관련 핀(37, 38)의 원통형 외부면에 밀착되게 지지된다.
도 도 8A 내지 도8C를 참고할 때,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기구링크(128)의 선호되는 구성이 도시된다. 내측단부(128A)는 종래기술을 따르며, 링크(128)를 유압실린더(130의 피스톤에 작동가능하고 피봇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기 위한 핀을 수용하는 횡방향 구멍(305)을 형성한다. 외측단부는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횡방향 표면(300a, 300b)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원형오목부(302a, 302b)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 외측단부(128b)는 아암(124)의 외측단부(125)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도면을 참고할 때, 요홈(302a, 302b)들은 축(T2)주위에서 동심을 이루고, 요홈(150)을 둘러싸지만, 개구부(152)에 의해 중단된다. 또한 외측단부(128b)의 마주보는 횡방향측부(300a, 300b)내에 복수개의 나사구멍(304)들이 형성되고, 요홈(302a, 302b)들로부터 외측반경방향으로 이격되며, 축(T2)과 평행하게 연장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아암(124)에 대하여 두데링크(170a, 170b)들을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부품들과 다르게 요홈(302a, 302b)들 및 상기 부품들이 상이한 치수를 가지더라도 , 기구링크부재의 외측단부(128b)에 대해 두데링크(170a, 170b)들이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유지부(210)와 같은 유지부 및 지지링(220)과 같은 지집들을 이용하여, 아암(124)의 이측단부(125)에 대해 두데링크(170a, 170b)들이 피봇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동일하다.
도 8C를 참고할 때, 구속장치조립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400)가 기구링크(128)에 의해 형성된다. 도 9를 참고할 때, 구속장치조립체(160)가 지지체(400)위에 배열되고, 구속자치조립체(160)를 작동위치내에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체(400)내부에 형성되고, 구속장치조립체(160)의 결합부분에 나사체결되는 구멍(402)을 고정구(410)들이 통과하며, 화살표(A)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적인 왕복운동을 위한 구속부재(162)가 제공된다. 구속장칭조립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420)는 구속장치조립체와 이격되게 덮형져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이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다. 물론 수정예 및 변형예들이 상기 설명을 이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정예들 및 변형예들이 하기 청구항들 및 등가한 구성들에 의해 포함되는 한 모든 수정예들 및 변형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해석된다.

Claims (20)

  1. 종방향축을 따라 연장구성된 아암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부재가 (ⅰ)횡방향피봇축주위에서 상기 아암이 상기 붐에 대해 피봇회전하도록 관련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내측단부 및 (ⅱ)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외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단부가 개방상태의 개구부 및 폐쇄된 내측단부를 가지고 상기 개방 개구부를 통해 관련 기구에 연결된 관련 핀을 수용하고 횡방향의 상기 피봇축과 평행한 상기 관련 핀을 위치설정하는 횡방향의 요홈을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의 피봇축과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기 요홈이 상기 종방향축에 대하여 제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가 서로에 대해 고정된 제 1 및 제 2 아암부분들을 가지고 , 상기 제 1 아암부분이 상기 아암부분의 상기 내측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 2아암부분이 상기 아암부재의 상기 외측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아암부분이 용접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4.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핀고정부재가 상기 외측단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상기 핀고정부재가 상기 요홈과 불간섭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핀고정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요홈의 상기 개방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요홈내에 관련 핀을 고정하는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핀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상기 밀폐내측단부가 상기 횡방향축주위에서 중심잡기된 원호형상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상의 표면은 대략 반원통형이고 상기 개방 개구부와 직경에 대해 마주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암.
  7. 횡방향의 피봇축주위에서 상기 관련 유압실린더에 대하여 상기 링크부재가 피봇회전하도록 관련 기구 및 관련 유압실린더사이의 상호작동연결부를 위한 링크부재에 있어서,
    종방향축을 따라 서로 떨어지고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단부들을 가진 강성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1 단부가 관련 유압실린더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적응되고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종방향축에 대해 횡방향을 가진 축을 따라 연장구성되고, 개방 개구부 및 밀폐 내측단부를 가지는 개방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요홈이 상기 개방 개구부를 통해 관련 기구의 관련 핀을 수용하고 횡방향의 상기 피봇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내에서 상기 종방향에 대해 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강성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요홈의 상기 개방 개구부와 불구속되는 제 1위치 및 상기 구속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요홈의 상기 개방 개구부를 밀폐하는 제 2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밀폐된 상기 내측단부가 상기 횡방향축위에 중심잡기된 원호형상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부재.
  10. 아암부재가 (ⅰ)횡방향 피봇축주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기 위해 관련 붐에 연결되는 내측단부(ⅱ)상기 종방향 축을 따라 상기 내측단부로부터 이격된 외측단부 및 (ⅲ) 상기 외측단부내에 형성된 제 1 요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요홈이 상기 횡방향 피봇축과 평행하게 배열된 제 1 횡방향 축주위에 형성되며 개방 개구부 및 밀폐된 내측단부를 포함하고,
    기구 링크부재가 (ⅰ)제 1 단부 (ⅱ)제 2 종방향축을 따라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1 횡방향축과 평행한 제 2 횡방향축주위에서 제 2 요홈을 형성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요홈이 개방 개구부 및 밀폐된 내측단부를 가지고, 관련 기구의 관련 제 1 및 제 2 핀들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 2 요홈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홈들의 개방 개구부들이 각각의 제 1 및 제 2 종방향 축들에 대해 제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횡방향축에서 중심잡기된 원호형상부에서 상기 제 1 요홈에 대해 상기 제2 요홈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기구링크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제 2 요홈의 상기 개방 개구부와 불간섭하는 제 1위치 및 상기 구속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요홈의 상기 개방 개구부를 밀폐하는 제 2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구속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4. 제 10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요홈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아암부재의 상기 외측단부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요홈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기구링크부재의 상기 외측단부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가진 적어도 한개의 두데링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두데링크부재의 상기 제 1 단부가 제 1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진 제 3 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두데링크부재의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제 1 방향과 마주보는 제 2 방향으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가진 제 4 요홈을 형성하고, 적어도 한 개의 상기 두데링크부재가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위치들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ⅰ)상기 제 1 작동위치에서, 상기 두데링크부재으 상기 제 3요홈에 구성된 상기 개구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 1 요홈의 상기 개구부와 일치하여, 관련 기구의 제 1 핀을 수용하기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3 요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4요홈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 요홈의 상기 개구부와 불일치하며,
    (ⅱ)상기 제 2 작동위치에서, 상기 제 3요홈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1요홈의 상기 개구부와 불일치하고, 상기 제 4 요홈의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제 2 요홈의 상기 개구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여, 관련 기구의 제 2 핀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및 제 4 요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상기 두데링크부재가 상기 제 2 횡방향축주위에서 상기 아암에 대해 피봇회전하고, 상기 제 3 횡방향축주위에서 상기 기구링크부재에 대해 피봇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조립체의 마주보는 횡방향 측부들위에 위치한제 1 및 제 2 두데링크부재들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
  17. 제 14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1 횡방향축주위에서 원형의 원호형상부위에서 운동하기위한 상기 아암조립체에 제 1 지지부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횡방향축주위에서 원형의 원호형상부위에서 운동하기 위한 상기 기구링크부재에 제 2 지지부가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8. 제 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횡방향축위에 중심잡기되고,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표면들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요홈들의 밀폐된 상기 내측단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요홈의 상기 개방된 개구부들이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요홈들의 상기 밀폐된 내측단부들과 직경에 대해 마주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20.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강성부재가 상기 제 1 요홈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아암부재와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제 2 요홈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기구링크부재와 피봇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횡방향축들사이의 고정간격이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강성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용 아암조립체.
KR1020027000351A 1999-07-12 2000-07-11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용 아암조립체 KR20020026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34599P 1999-07-12 1999-07-12
US60/143,345 1999-07-12
PCT/US2000/018875 WO2001004425A1 (en) 1999-07-12 2000-07-11 Excavator arm assembly with integral quick coup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533A true KR20020026533A (ko) 2002-04-10

Family

ID=22503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351A KR20020026533A (ko) 1999-07-12 2000-07-11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용 아암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438875B1 (ko)
EP (1) EP1210482A1 (ko)
JP (1) JP2003504539A (ko)
KR (1) KR20020026533A (ko)
AU (1) AU6086200A (ko)
BR (1) BR0012438A (ko)
CA (1) CA2378581A1 (ko)
MX (1) MXPA02000297A (ko)
TR (1) TR200200863T2 (ko)
WO (1) WO20010044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413A (ko) * 2012-02-16 2014-10-24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용 아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5054B1 (en) * 1999-08-19 2003-12-02 Peter John Ward Quick hitch attachment
ATE269450T1 (de) * 2001-11-19 2004-07-15 Mantovanibenne S R L Schnellkupplungsvorrichtung für werkzeuge
AU2003249360A1 (en) * 2002-06-24 2004-01-06 Jrb Company, Inc. Arm assembly for excav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6979167B2 (en) * 2002-10-16 2005-12-27 Rockland, Inc. Excavator coupler assembly
US7524158B2 (en) * 2005-06-21 2009-04-28 Eckstein Patrick J Adapter for mounting skid-steer loader attachments onto an excavator arm
US20080000658A1 (en) * 2006-05-31 2008-01-03 Caterpillar Inc. Quick connect mechanism
US7984575B2 (en) 2007-07-05 2011-07-26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assembly
MX2010012166A (es) * 2008-05-07 2011-05-19 Attachment Technologies Inc Sistema de acoplamiento para cargadora de desplazamiento nulo y componentes.
US8974137B2 (en) 2011-12-22 2015-03-10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8615110B2 (en) 2012-03-01 2013-12-24 Herzog Railroad Services, Inc. Automated track surveying and ditching
US8869437B2 (en) 2012-05-30 2014-10-28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9217235B2 (en) 2012-05-30 2015-12-22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US8684623B2 (en) 2012-05-30 2014-04-01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having anti-release mechanism
US9228314B2 (en) 2013-05-08 2016-01-05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hydraulic control system
US20170121928A1 (en) * 2015-10-29 2017-05-04 Caterpillar Inc. Stick and coupler assembly
GB2544747A (en) * 2015-11-24 2017-05-31 Caterpillar Work Tool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work tool to a machine
GB2544746A (en) 2015-11-24 2017-05-31 Caterpillar Work Tool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work tool to a machine
GB2544744A (en) 2015-11-24 2017-05-31 Caterpillar Work Tool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work tool to a machine
US10156055B2 (en) * 2016-05-06 2018-12-18 Caterpillar Inc. Integrated excavator pin grabber quick coupler
US11208785B2 (en) * 2018-12-12 2021-12-28 Caterpillar Inc. Tool coupling arrangement having zero offset
KR102457221B1 (ko) * 2020-02-27 2022-10-20 정경래 회전 링크
US20230193582A1 (en) * 2020-03-17 2023-06-2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Quick coupler with front pin safety loc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7890B2 (en) * 1982-09-01 1987-01-15 Jones, P.W. Quick-release hydraulic hitch for attaching parts to excavator arm
US4726731A (en) 1984-12-07 1988-02-23 Jones Paul O Hitch
DE69107719T2 (de) 1990-07-25 1995-06-29 Japanic Corp Werkzeugkupplungsvorrichtung einer Erdbaumaschine.
US5581917A (en) 1995-10-18 1996-12-10 Caterpillar Inc. Quick coupling device
JP2793165B2 (ja) * 1996-02-06 1998-09-03 甲南電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US6058633A (en) * 1997-10-22 2000-05-09 Barden; William Mark Quick coupling device and method utilizing an over-center spring
US6074120A (en) * 1998-03-27 2000-06-13 Caterpillar Commercial Sarl Quick coupler assembly
US6158950A (en) * 1999-03-02 2000-12-12 C & P Enterprises, Inc. Excavator coupl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413A (ko) * 2012-02-16 2014-10-24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용 아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78581A1 (en) 2001-01-18
BR0012438A (pt) 2002-04-02
AU6086200A (en) 2001-01-30
US6438875B1 (en) 2002-08-27
TR200200863T2 (tr) 2002-09-23
US20020178625A1 (en) 2002-12-05
JP2003504539A (ja) 2003-02-04
MXPA02000297A (es) 2002-06-21
EP1210482A1 (en) 2002-06-05
WO2001004425A1 (en) 2001-01-18
US6606805B2 (en) 200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6533A (ko) 일체형 급속커플러를 가진 굴삭기용 아암조립체
US6241455B1 (en) Earth-moving machine bucket coupler
US6058633A (en) Quick coupling device and method utilizing an over-center spring
US5324162A (en) Accessory detachable mechanism of construction machine
CA1071152A (en) Pivot pin assembly
US7243593B2 (en) Loader assembly, combination motor vehicle and loader assembly, hydraulic cylinders and methods for operating a loader assembly
US5971455A (en) Universal attachment device for tools
EP0508692B1 (en) Accessory detachable mechanism of construction machine
US5556217A (en) Auger mount
US20060107557A1 (en) Arm assembly for excav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H1131555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迅速接続装置
EP3052706B1 (en) Implement interface
KR101059358B1 (ko)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US20140224941A1 (en) Line guide for working vehicle implement
US3989150A (en) Pipe carrying attachment for construction equipment
JPH056610B2 (ko)
US6453586B1 (en) Bucket assembly
US6725584B2 (en) Quick connect/disconnect system for an arm of excavator or other machine
KR100639729B1 (ko) 건설 기계의 작업 장치
FI64213C (fi) Anordning vid skopaggregat
JP3271675B2 (ja) バケット脱着装置
US7565758B2 (en) Quick attach coupling device
US20230366170A1 (en) Construction machine attachment mounting and demounting apparatus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same
WO2004016863A1 (en) A connector
JPH11200410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