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479A -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다이나믹 송신기 트레이닝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다이나믹 송신기 트레이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479A
KR20020026479A KR1020017016791A KR20017016791A KR20020026479A KR 20020026479 A KR20020026479 A KR 20020026479A KR 1020017016791 A KR1020017016791 A KR 1020017016791A KR 20017016791 A KR20017016791 A KR 20017016791A KR 20020026479 A KR20020026479 A KR 20020026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transmitter
counter
power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948B1 (ko
Inventor
호세이. 코르네루크
더글라스에이. 렌즈
애닐엔. 패텔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Publication of KR2002002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8Monitoring during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방법은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의 완전 트레이닝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하는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도 10)을 이용한다. 송신기의 완전 트레이닝은, 통신 시스템의 고정된 통신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하는데 이용되는 트레이닝 기간의 초기 송신 슬롯 동안에, 또는 전력 및 주파수와 같은 송신기의 동작 조건이 변경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트레이닝 기간의 지속 기간은 최대 전력 및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조정함으로써 다이나믹하게 제어된다.

Description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다이나믹 송신기 트레이닝 방법{METHOD FOR DYNAMIC TRANSMITTER TRAINING FOR A SHARED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DYNAMIC CHANNEL ALLOCATION}
통신 링크로도 알려진 통신 리소스가 하나 이상의 타입의 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는데 이용되는 공유 통신 시스템이 본 기술 분야에서 주지되어 있다. 그러한 공유 통신 시스템의 한 예로서, 음성통신 서비스, 회로-스위칭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및 패킷-스위칭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같은 복수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시분할 멀티플렉싱(TDM) 통신 시스템이 있다. TDM 시스템에서, 통신 리소스들은 타임 슬롯이라 불리는 특정 길이의 다수의 시간 부분들로 분할된다. 주어진 통신 서비스가 가용한 타임 슬롯 중 특정 부분에 할당되고, 다른 타임 슬롯은 다른 서비스에 할당된다.
무선 주파수(RF) 송신기는 공유 통신 유닛 및 시스템의 필수 부품이고, 예를 들면 공유 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유닛 및 기지국의 일부를 형성한다. RF 송신기들은 주파수, 전력 및 송신 속도의 변화에 대해 적절하고 선형적인 동작이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테스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현재의 구현 예들에서는, 위상 및 진폭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RF 송신기의 소위 "RF 트레이닝"은 송신기의 동작 환경에서 전력, 주파수, 및 온도 변화에 대해 송신기의 선형 동작이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송신기의 트레이닝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수행된다.
모토롤라에 의해 제조된 iDEN(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통신 시스템과 같은 공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데이터의 출현은 가변 프레임 길이 내의 다이나믹 채널 할당의 개념을 소개했다. 타임 슬롯은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시스템 요청에 응답하여 다이나믹하게 할당된다. 특정 시점에서의 공유 통신 리소스 또는 링크의 최적 할당이 결정된 후, 그 결정에 따라 할당된다. 통신 리소스에 대한 요청이 다이나믹하므로, 경쟁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및 디바이스들 간의 리소스의 할당 또한 시간에 따라 가변된다.
다이나믹 채널 할당은 데이터가 예를 들면 프레임의 매 3개의 슬롯 또는 매 6개의 슬롯마다 각각 송신되는 3:1 및 6:1과 같은 TDM 인터리빙된 송신 모드에 특히 잘 적용된다. 데이터는 프레임의 일부 동안에만 송신되어, 프레임 내에 많은 시간이 있게 되므로, RF 트레이닝을 수행한 후 트레이닝 결과를 처리하고 다음 데이터 송신 이전에 RF 송신기에 대한 필요한 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6개 슬롯 프레임의 매 슬롯마다 송신되는 6:6 송신 모드와 같이 근접-연속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RF 송신기는 RF 트레이닝을 수행할 기회가 없이 6:6 모드에서 연장된 시간 기간동안 송신하게 된다. 송신이 재차발생하기 이전에 이전 슬롯의 트레이닝 결과를 처리할 충분한 시간이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송신기 성능이 저하된다.
RF 송신기에 의한 근접-연속 송신이 RF 트레이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RF 트레이닝에 대한 다른 문제가 있다. 사용되는 감쇠량이 결정되는 RF 트레이닝의 위상 부분 동안에, 송신기의 RF 전력 증폭기(RF PA)가 포화되어, 인접 채널들 상에 RF 간섭, 또는 "스플래터(splatter)"가 발생된다. 또한, 트레이닝 기간의 매 슬롯 동안의 빈번한 RF 트레이닝은 휴대용 RF 송신기의 배터리를 거의 소모시킬 수 있다. 이들 문제점들로 인해, RF 송신기의 RF 트레이닝이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단점들을 극복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 및 특성들은 청구의 범위에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 목적 및 장점뿐만 아니라 본 발명 자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공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의 근접-연속(near-continuous) 송신이 가능한 공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의 트레이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유닛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가지는 TDM 무선 공유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 송신기를 구비하고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기 적합한 통신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위 오픈 시스템 상호접속(OSI) 모델에 기초하여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데이터 채널의 가능한 구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중앙 제어기를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가능한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유닛을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사용을 도시한 시간 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 송신기에 이용되는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전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F 송신기의 완전(실제) 트레이닝 및 의사 트레이닝을 도시한 파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전(실제) 트레이닝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사 트레이닝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RF 송신기의 출력 파형의 클리핑을 위한 체킹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RF 송신기에 이용되는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송신기의 전체 트레이닝 결과의 온도 보상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지만,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특정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 도시되었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의 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이것으로 한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여러 개의 도면에서 동일하고,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기재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소비 및 RF 트레이닝에 의해 야기되는 RF 간섭 또는 "스플래터"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접-연속 송신 환경에서 송신기의 트레이닝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무선 TDM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송신기의 적응형 트레이닝(adaptive training)을 제공한다. 현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증가된 데이터 송신 속도로 인해, 송신기의 트레이닝 기간 및 "실제(real)" 대 "의사(pseudo)" 트레이닝이 발생하는 시기가 다이나믹하게 정의된다.
본 발명이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내의 RF 송신기의 RF 트레이닝에 관련된다는 것을 고려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유닛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갖는 TDM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이전에 지적한 바와 같이, TDM은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의 단지 하나의 예이다. TDM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중앙 제어기(101), 트랜시버를 채용하는기지국(102), 통신 리소스(110), 및 통신 유닛(104-109)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104-109)은 통신 리소스(110)를 통해 기지국(102)에 정보를 송신하거나 기지국(102)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에 참여한다. 기지국(102)은 RF 변조/복조 및 관련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일리노이주 샤움버그 소재의 모토롤라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된 iDEN 기지국과 같은 고정된 무선 트랜시버이다. 기지국(102)은 중앙 제어기(101)에 의해 확립되는 통신 채널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 및 처리를 실행한다. 통상적으로, 기지국(102)은 통신 유닛(104-109)에 의해 이용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공중 전화 교환망(PSTN) 또는 데이터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의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은 단지 하나의 기지국(102)과 하나의 통신 리소스(110)만을 가지고 있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과 통신 리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임의의 수의 통신 리소스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 제어기(101)가 기지국(102)으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중앙 제어기(101) 일부 또는 전체 기능이 기지국(102)내에 구현되는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통신 유닛(104-109)은 모토롤라 주식회사에 의한 iDEN 휴대용 라디오와 같은 모바일 또는 휴대형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 유닛(104-109)은 통신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로의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통신 유닛(104-109)은 동시적인 RF 송신 및 수신 기능이 가능한 풀-듀플렉스 유닛(full-duplex unit) 또는 비동시적인 RF 송신 및 수신 기능이 가능한 하프-듀플렉스 유닛(half-duplex unit) 중 어느 하나로서 동작한다. 또한, 통신 유닛(104-109)은 본 기술 분야에서 주지되어 있지만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 데이터 디바이스 커넥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상 포함한다.
통신 유닛은 논리적으로 통신 유닛의 제1 그룹(104-106) 및 통신 유닛의 제2 그룹(107-109)으로 분할된다. 통신 유닛의 제1 그룹(104-106)은 통상 고정된 크기를 갖고 주기적인 할당을 갖는 타임 슬롯, 전형적으로는 시간 프레임 당 하나의 타임 슬롯을 요청하는 제1 타입의 통신 서비스, 예를 들면 음성 통화, 회로 데이터 접속 및 시스템 제어 통신을 요청한다. 통신 유닛의 제2 그룹(107-109)은 타임 슬롯의 현재 가용한 만큼 많은 회수의 가변 할당을 요청하는 제2 타입의 통신 서비스, 예를 들면 패킷 스위칭 데이터 통신을 요청한다. 통신 유닛(104-109)의 2개의 그룹으로의 분할은 단지 논리적인 것이고, 어느 통신 유닛(104-109)도 각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서비스에 따라 양쪽 그룹에 교대로 또는 동시에 참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통신 유닛(104-109)은 전화 통화를 하면서, 통상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모드 제어를 조작함으로써 패킷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보내거나 받을 수 있다.
패킷 스위칭 데이터 통신을 위한 타임 슬롯의 가변 할당이 요청되는 통신 유닛(107-109)의 송신기들은 RF 트레이닝을 받아야만 한다. 도 2는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기 적합하고, RF 송신기(128)를 구비하는 가입자 유닛과 같은 통신 유닛(120)을 도시하고 있다. 통신 유닛(120)은 주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안테나스위치(130)를 통해 안테나(132)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수신기(124) 및 송신기(128)를 구비한 트랜시버로서 동작한다. 수신기(124) 및 송신기(128)는 모두 예를 들면 유닛(120)을 동작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제어기(126)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은 통신 링크(110)를 통해 통신 유닛의 제1 및 제2 그룹과 통신하고, 2개의 무선 주파수(RF) 캐리어를 포함하는데, 하나는 통신 유닛(104-109)로부터 기지국(102)로의 인바운드(inbound)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하나는 기지국(102)으로부터 통신 유닛(104-109)으로의 아웃바운드(outbound)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 리소스(110)는 주지의 TDM 방법을 이용하여 시간 프레임으로 더 그룹화될 수 있는 일련의 타임 슬롯으로 더 분할된다. 중앙 제어기(101)는 시스템(100)에 의해 지원되는 여러 가지 통신 서비스에 대해 통신 리소스(110)에 대한 타임 슬롯의 할당을 제어한다. 중앙 제어기(101)는 제공되는 서비스 타입의 기능에 따라, 2개 그룹의 통신 유닛에 상이하게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중앙 제어기(101)는 복수의 통신 채널이 통신 리소스(110) 상에 형성되도록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도 있다. 즉, 중앙 제어기(101)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음성 채널을 형성하도록 타임 슬롯을 할당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중앙 제어기(101)는 음성 채널로 현재 할당되지 않은 모든 타임 슬롯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채널로 할당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로서, 시스템(100)이 프레임 당 6개의 타임 슬롯을 이용한다고 가정하자. 슬롯 1, 2, 5가 제1 그룹(104-106)에 의한 사용을 위해 3개의 다른 음성채널로 현재 할당된 경우, 슬롯 3, 4, 6은 모두 데이터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중앙 제어기(101)는 주어진 시각에서 가용한 타임 슬롯이 할당되는 방법을 표시하기 위해 할당 프로파일을 이용한다. 그러므로, 중앙 제어기(101)는 제1 할당 프로파일에서, 슬롯 3이 제1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고, 제2 할당 프로파일에서는, 슬롯 4 및 6이 제2 데이터 채널을 형성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의 목적상, 통신 서비스에 할당된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은 통신 채널로서 지칭된다. 제1 타입의 통신 서비스, 예를 들면 음성 통화를 제1 그룹(104-106)내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에 제공하기 위해, 중앙 제어기(101)는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을 연속적인 타임 슬롯으로 할당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 채널은 통신 서비스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까지 유지된다. 제2 타입의 통신 서비스, 예를 들면 패킷 데이터의 경우에, 중앙 제어기(101)는 하나 이상의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데이터 채널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국제 표준 조직의 ISO-7498에 기재된 소위 오픈 시스템 상호접속(OSI) 모델에 기초하여 데이터 채널의 가능한 구현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링크 층과 물리적 층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데이터 링크 층은 전화 회로 또는 RF 통신 리소스와 같은 특정 통신 링크 간에 데이터를 통신하는 프로토콜과 기능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링크 층에 포함된 특정 기능들은 패킷 포맷팅, 어드레싱 및 채널 액세스 프로토콜이다. 물리적 층은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 수단으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적 층에 포함된특정 기능들 중 일부는 변조, 복조, 및 채널 동기화이다. 데이터 링크 층 및 물리적 층 모두의 기능들은 주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102) 및 중앙 제어기(101)에서의 본 발명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패킷 소스(140)는 중앙 제어기(101)로부터 제2 그룹(107-109)내의 하나 이상의 통신 유닛으로 송신될 데이터를 제공한다. 패킷 포맷팅(142)은 예를 들면 데이터 패킷 P1-P8을 생성한다. 유의할 점은 패킷 소스(140) 및 패킷 포맷팅(142)은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링크 층에 구현되는 프로토콜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데이터 링크 층 프로토콜은 통상 패킷 어드레스와 제어 정보와 같은 오버헤드를 부가한다. 통상적으로는, 물리적 층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 P1-P8을 처리하여, 이들을 데이터 채널(146)의 타임 슬롯으로 송신한다. 유의할 점은 도 3은 데이터 채널(146)의 타임 슬롯만으로 송신되는 정보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고, 데이터 채널(146)의 타임 슬롯은 통신 리소스(110)에 의해 제공되는 타임 슬롯의 임의의 서브 셋트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데이터 패킷 P1-P8은 타임 슬롯 당 하나씩 송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데이터 패킷은 복수의 타임 슬롯을 걸칠 만큼 길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 데이터 링크 층은 데이터 패킷을 부분들로 분할하여 각 부분이 데이터 채널(146)의 타임 슬롯으로 물리적 층에 의해 송신되도록 작용한다.
패킷 포맷팅(142)뿐만 아니라,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44)가 중앙 제어기(101)에 의해 가끔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예를 들면 제2그룹(107-109)의 통신 유닛에게 데이터 채널(146)의 할당 프로파일의 변화를 통지할 필요성에 따라 생성된다.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44)가 생성된 경우, 데이터 링크 층 프로토콜이 메시지(144)를 데이터 패킷의 스트림으로 삽입되도록 작용하거나 데이터 패킷 부분들이 송신을 위한 물리적 층에 제공된다. 유의할 점은, 데이터 링크 층 프로토콜은 데이터 패킷이나 그 일부를 대체하는 것을 반대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44)를 삽입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송신되는 경우에 어떠한 데이터 패킷 정보도 손실되지 전혀 손실되지 않는다.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102)은 통신 유닛(104-109)으로부터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나서, 중앙 제어기(101)와 함께 리소스를 적절하게 할당한다. 패킷 데이터 채널(PCH) 통신 리소스는 가변 프레임 길이내의 다이나믹 채널 할당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기지국(102)과 중앙 제어기(101)로서 도시된 고정된 네트워크 장비(FNE)는 가입자 유닛(SU)과 같은 각 통신 유닛에 각 프레임에서 얼마나 많은 슬롯이 송신될 수 있는지를 알려 주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는 매 프레임의 선두에서 PCH내의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된다. SU 통신 유닛은 송신할 데이터가 전혀 없을 때까지 FNE에 의해 할당된 대로 임의의 프레임에 대해 송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기(101)에 이용되는 제1 실시예의 플로우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플로우차트는 중앙 제어기(101)내에, 메모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적합한 처리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블록(150)에서, 기지국(102)은 제1 그룹(104-106)의 통신 유닛으로부터, 고정된 갯수의 타임 슬롯의 할당, 통상 프레임 당 하나의 타임 슬롯을 요청하는, 그룹 디스패치 통화, 전화 상호접속 통화, 및 회로 스위칭 데이터 접속과 같은 제1 타입의 통신 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요청을 수신한다. 또한, 유의할 점은 제2 그룹의 통신 유닛(107-109)은 이 때 가용한 리소스의 할당을 요청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블록(152)에서, 중앙 제어기(101)는 블록(150)에서의 요청에 응답하고, 주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요청을 이행하는데 어느 타임 슬롯이 할당될 지를 결정한다. 요청을 수행하기로 선택된 타임 슬롯이 현재 데이터 채널로 할당되었다고 가정하면, 중앙 제어기(101)는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예를 들면, 도 3의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44))를 포맷팅한다. 블록(154)에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기지국(102)을 통해 제2 그룹(107-109)내의 통신 유닛들에게 송신된다.
도 5는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가능한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70)는 제2 그룹(107-109)의 수신하는 통신 유닛에 대한 동기화를 제공하도록 포함되는 현재의 프레임 번호(174) 및 타임 슬롯 번호(176)를 포함한다. 할당 프로파일(182)은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70)의 송신에 이어서 데이터 채널에 어느 타임 슬롯이 할당될 지를 나타내도록 포함된다. 양호하게는, 할당 프로파일은 가변-길이 비트맵의 형태로 제공되고, 각 비트는 대응하는 타임 슬롯의 상태를 나타낸다. 비트맵의 한 비트가 설정(이진 1 값)된 경우, 대응하는 타임 슬롯은 데이터 채널로 할당된다. 비트맵의 한 비트가 클리어(이진 0값)한 경우, 대응하는 타임 슬롯은 데이터 채널로 할당되지 않는다.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70)에 제공되는 할당 프로파일 길이(180)는 통상 한 프레임인, 할당된 타임 슬롯의 반복 패턴의 길이를 나타낸다. 업데이트 기간(178)은 다음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송신될 때까지의 시간 기간을 전체 타임 슬롯 또는 다르게는 데이터 채널 타임 슬롯만의 갯수로서 표현한다. 업데이트 기간(178)의 계산은 이하에 설명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70)는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적절하게 디코딩하기 위한 제2 그룹(107-109)내의 통신 유닛에 필요한 제어 필드(172, 184)를 포함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블록(154)에서의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송신에 이어서, 블록(156)에서, 중앙 제어기(101)는 제1 그룹(104-106)으로부터 요청하는 통신 유닛으로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유의할 점은, 요청하는 통신 유닛이 제2 그룹(107-109)인 경우에, 중앙 제어기(101)는 타임 슬롯을 그 그룹의 요청하는 통신 유닛에 할당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요청하는 통신 유닛은 요청된 서비스에 따라 할당된 타임 슬롯을 자유롭게 이용한다. 블록(158)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 내에 보내진 업데이트 기간이 경과한 후,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선택적으로 송신된다.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도 또한 업데이트 기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다른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송신될 수도 있다.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되풀이하는 이러한 프로세스는 무한히 연속될 수도 있다.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는 일부 경우에는 송신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경우에, 제1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업데이트 기간은 어떠한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도 송신을 위해 스케쥴링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예비 코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조건이 블록(154)에서의 제1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송신과 블록(158)에서의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송신 사이의 기간 동안 변경되는 경우,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할당 프로파일이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그룹 내의 통신 유닛으로부터 또 하나의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2 데이터 채널 메시지의 할당 프로파일은 상기 설명한 방식으로 데이터 채널에 할당되는 더 작은 갯수의 타임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방법으로, 전화 통화와 같은 이전에 확립된 통신 서비스가 종료되면, 이들 통화에 할당된 타임 슬롯이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데이터 채널의 새로운 할당 프로파일에 포함될 수도 있다.
중앙 제어기(101)에 의해 데이터 채널의 할당 프로파일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변경되는 것으로 결정될 때에, 특별한 경우가 발생하지만,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송신되어야 되는 경우에 제2 그룹의 하프-듀플렉스 통신 유닛이 송신하고 있다. 송신하고 있는 하프-듀플렉스 통신 유닛은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할당 프로파일이 즉각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대신, 할당 프로파일의 변경없이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송신된다. 하프-듀플렉스 통신 유닛의 송신이 완료된 후에 할당 프로파일이 변경되도록,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내에 포함된 업데이트 기간이 설정된다.
도 6은 제2 그룹의 통신 유닛(107-109)의 통신 유닛에 이용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의 플로우차트는 제2 그룹의 통신 유닛(107-109)내에 메모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적합한 처리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블록(160)에서 패킷 랜덤 액세스 과정(PRAP) 슬롯을 통해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보낸다. PRAP는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블록(162)에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는 데이터 채널의 타임 슬롯을 통해 수신된다. 통신 유닛이 방금 턴온되었거나, 예를들면 채널 에러로 인해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경우, 블록(164)으로 계속하기 이전에 다음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통신 유닛은 통상 대기해야 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는, 블록(164)에서 통신 유닛이 통신 유닛에 대한 데이터 채널로 새롭게 할당되는 타임 슬롯의 일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할당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통신 유닛은 도 6의 할당 프로파일 비트맵 내의 비트의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타임 슬롯을 결정한다. 비트들은 할당된 슬롯의 번호를 나타내므로, 이것은 통상 비트맵 내의 비트들의 번호를 카운팅함으로써 수행된다.
필요한 경우(즉, 데이터 메시지가 통신 유닛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경우), 통신 유닛은 블록(166)에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할당 프로파일에 의해 정의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한다. 결정 블록(168)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가 스케쥴링될 지 여부를 결정한다. 블록(162)에서 수신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된 업데이트 기간은 다름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발생까지의 기간을 지정할 수 있다. 그 기간이 경과된 경우, 블록(162)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대기한다. 또 다른방법으로, 블록(162)에서 수신된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는 제2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대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래의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통신 유닛은 통신 리소스(110) 상의 타임 슬롯을 모니터링해야만 할 것이다. 결정 블록(169)은 도 5의 플로우가 데이터가 송신될 때마다 반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의 사용을 도시한 시간 라인이다. 통신 리소스(110)의 아웃바운드 부분에 의해 확립되는 4개의 프레임 열(190)이 도시되어 있다. 각 프레임(190)은 프레임 당 6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되고, 프레임 당 다른 갯수의 타임 슬롯도 물론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초기 프레임에서, V1로 라벨링된 제1 타임 슬롯은 제1 그룹(104-106, 예를 들면 음성 통화)내의 통신 유닛에게 할당되고, 제2 타임 슬롯(194)은 패드 슬롯으로서 예비되어 있다. 나머지 제3 내지 제6 타임 슬롯은 데이터 채널(19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의 제3 슬롯 동안에, 제1 그룹(104-106)의 제2 통신 유닛으로부터 다른 음성 통화에 대한 요청이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기(101)에 의해 수신된다. 이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96)가 제3 프레임 동안 중앙 제어기(101)에 의해 송신된다. 이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96)는, 본 실시예에서는, 각 연속 프레임의 최종 3개의 타임 슬롯만이 데이터 채널(199)을 구성한다는 것을 제2 그룹(107-109)에게 나타내는 새로운 할당 프로파일을 포함한다.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196)를 송신한 후에, 중앙 제어기(101)는 V2로 라벨링된 제2 타임 슬롯을, 제1 프레임 동안 수신된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할당한다. 유의할 점은 제2 타임 슬롯은 이전 프레임에서는 예비 슬롯(194)이었다는 점이다. 제2 타임 슬롯을 재할당하는 결과로서, 중앙 제어기(101)는 예를 들면 예비 타임 슬롯으로서 제3 타임 슬롯(198)을 지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시스템 요청에 응답하여 타임 슬롯이 다이나믹하게 할당되고, 동시에 최소량의 오버헤드만이 요청된다. 업데이트 기간을 이용함으로써, 통신 유닛은 데이터 채널의 다음 업데이트가 발생하도록 스케쥴링되는 때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소비 및 RF 트레이닝에 의해 야기되는 RF 간섭 또는 "스플래터"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인접-연속 송신 환경에서 송신기의 트레이닝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무선 TDM 통신 시스템과 같은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는 RF 송신기의 RF 트레이닝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현대의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증가된 데이터 송신 속도로 인해, 송신기의 트레이닝 기간 및 "실제" 대 "의사" 트레이닝이 발생하는 때가 다이나믹하게 정의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완전(full) 트레이닝은, 송신기가 사용할 감쇠 요청량을 결정하는 동안의 트레이닝의 위상 부분 동안 송신기의 RF PA가 포화되어 인접 데이터 채널 상에 RF 간섭을 유발한다고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RF 송신기는 정상 동작 조건하에서보다는 더 많은 배터리 전력을 소비하므로, 실제 트레이닝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할당된 송신 슬롯 동안 발생할 수 있고, 위상 및 진폭 트레이닝 단계 양쪽으로 구성되는 2가지 타입의 RF 트레이닝이 있다. 소위 "실제(real) 트레이닝" 또는 "완전(full) 트레이닝"은,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가입자 유닛이 고정된 네트워크 장비(FNE) 통신 리소스의 필요 부분을 요청하는 경우 및 RF 송신기의 주파수 또는 출력 전력이 변하는 경우와 같은 업데이트된 실제 트레이닝을 요청하는 조건에 대해, 다이나믹하게 정의되는 트레이닝 기간의 초기 송신 슬롯동안 수행된다. "의사(pseudo) 트레이닝"은 트레이닝 기간의 다른 슬롯 동안 수행된다. 실제 트레이닝 대신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것에 따른 장점은, 의사 트레이닝은 배터리 전력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RF 송신기의 RF PA가 포화되어 인접 통신 채널 상에 RF 간섭을 생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러한 간섭에 자주 연관되는 "스플래터"를 제거한다는 점이다.
실제 및 의사 트레이닝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은 다이나믹하게 변하는 트레이닝 기간 동안 한번만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실제 트레이닝"의 양을 크게 감소시켜, 빈번한 트레이닝과 연관된 문제들을 최소화시키고 있다. 또한, 실제 트레이닝은 초기 송신 슬롯 동안의 트레이닝 기간의 처음에 수행되므로, RF 송신기의 후속 송신 슬롯 이전에 트레이닝 결과를 처리할 충분한 시간이 있다.
트레이닝되어야 할 RF 송신기를 포함하는 통신 유닛(107-109) 들 중 하나는 패킷 랜덤 액세스 절차(PRAP) 레이어 2(데이터 링크 층) 프로토콜이라 불리는 단일 인바운드 슬롯, 즉 "PRAP 슬롯"을 통해 일부 리소스를 요청한다. 리소스들은 통상의 통신 목적상 필요하다. 이 요청은 통신 유닛에 의해 기지국(102)에 송신된다. 상기 요청은 도 4의 블록(150-154)을 통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슬롯 할당을 결정하고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기지국(102)을 통해 SU에 송신하는 중앙 제어기(101)에 의해 수신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PRAP 슬롯은 트레이닝 기간의 초기 송신 슬롯이고, 양호하게는 규칙적이고 비-PRAP 슬롯의 절반 길이의 지속 기간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각 송신 슬롯이 지속기간이 15mS이고 규칙적인 트레이닝 기간이 200 슬롯이라 가정하면, 초기의 PRAP 슬롯은 양호하게는 그 지속기간이 7.5mS가 될 것이다. PRAP 슬롯과 제1 할당된 데이터 슬롯 사이에 90mS가 RPAP 요청에 응답하여 가용하다고 가정하면, PRAP 슬롯 상의 실제 트레이닝은 제1 및 후속 할당된 데이터 슬롯 이전에 트레이닝 결과를 처리하고 RF 송신기를 조절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RF 송신기의 RF 트레이닝을 제어하고 RF 트레이닝이 상기 설명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 채널(PCH) 통신 리소스는 가변 프레임 길이내의 다이나믹 채널 할당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고정된 네트워크 장비(FNE) 기지국은 가입자 유닛(SU)과 같은 각 통신 유닛에, 얼마나 많은 슬롯의 송신이 허용되는지를 통지해야 한다. 이러한 정보는 매 프레임의 처음에 PCH의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에 포함된다. 통신 유닛은 FNE에 의해 할당되는 대로, 송신할 데이터가 전혀 없을 때까지 임의의 프레임에 대해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은 얼마나 많은 슬롯이 송신되었는지를 알고 있으므로(이 정보는 제어기(126)에 통지됨), 알고리즘은 "실제 트레이닝"을 얼마나 자주 수행할 지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패킷 채널의 인터링빙은 실제 트레이닝이 얼마나 자주 수행되는 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이러한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플로우의 방법들은 트레이닝되는 RF 송신기의 내부에, 메모리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다른 적합한 처리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8 및 도 9의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은 트레이닝되는 RF 송신기를 갖는 통신 유닛이 통신 리소스의 가용한 타임 슬롯 중 일부의 할당을 요청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요청은 트레이닝 기간의 초기 송신 슬롯, 즉 PRAP 슬롯 동안 수행된다. 트레이닝 기간은 트레이닝 기간의 송신 슬롯 갯수에 의해 정의되는 프레임 길이를 가지고 있다. 제어기(101)는 요청하는 통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는 통신 유닛에 할당되었던 패킷 데이터 채널의 슬롯의 갯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모니터링 알고리즘의 전체 방법의 플로우차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결정 블록(202)에서, 관심 대상인 통신 유닛(120)의 제어기(12)가 RF 송신기(128)로부터 송신 표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예이면, 결정 블록(204)에서, RF 송신기(128)가 최대 전력 모드로 또는 삭감된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RF 송신기의 포워드 감쇠가 0 dB인 경우에 최대 전력 모드로 표시된다. 포워드 감쇠가 0dB 이상인 경우에, 삭감된 전력 모드로 표시된다. RF 송신기가 최대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블록(208)에서, 값 p를 갖는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값 x를 갖는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감소된다. 그러나, RF 송신기(128)가 삭감된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값 r을 갖는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값 y를 갖는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블록(206)에서 감소된다. 도 14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는 RF 송신기의 트레이닝을 자주 수행하는 것에 연관된 최대 전력 모드 카운터이고, PCH내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3:1 또는 6:1 송신 모드와 같이 베이스 인터리빙의 슬롯 갯수보다 더 큰 경우에 표시된다.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는 정상 트레이닝 기간에 따른 RF 송신기를 트레이닝하는 것과 연관된 최대 전력 모드 카운터이고, PCH에 할당된 슬롯 갯수는 베이스 인터리빙의 슬롯 갯수보다는 크지 않은 경우에 표시된다.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는 RF 송신기의 더 빈번한 트레이닝에 연관된 삭감 모드 카운터이고, PCH내의 할당된 슬롯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의 슬롯 갯수보다 더 큰 경우에 표시된다.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는 정상 트레이닝 기간에 따라 RF 송신기(128)를 트레이닝하는 것과 연관된 삭감 모드 카운터이고, PCH 내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의 슬롯 갯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표시된다. 4개의 카운터 값 p, x, r, 및 y는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실제 원하는 경우 다른 트레이닝 기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RF 송신기(128)의 전력 모드가 확인된 후, 결정 블록(210)에서, RF 송신기의동작 주파수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수행된다. 그렇다면, 블록(212)에서 RF 송신기의 완전(실제) 트레이닝이 수행된 후, 이어서 블록(214)에서,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이 수행된다. 결정 블록(216)에서, RF 송신기의 전력 모드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수행된다. 변화가 있다고 결정되면, 블록(218)에서의 RF 송신기의 완전 트레이닝 및 이어서 블록(220)에서의 RF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이 수행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완전 트레이닝 및 의사 트레이닝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완전 또는 실제 트레이닝 동안에는, RF 송신기에는 위상 트레이닝 파형에 이어서 진폭 트레이닝 파형이 제공되어 송신기의 최적 위상 및 감쇠 값을 각각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트레이닝 결과를 이용하여 다음 할당된 데이터 슬롯 이전에 RF 송신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서 트레이닝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위상 트레이닝에 이은 진폭 트레이닝의 전체 시퀀스는 트레이닝 기간의 RPAP 슬롯 상에서 수행된다. 이것은 도 11의 블록(242-244)에 도시되어 있다. 의사 트레이닝은 후속 할당된 데이터 슬롯 각각에서 발생한다. 의사 트레이닝 동안에, 램프(ramp) 파형이 위상 및 진폭 트레이닝 시퀀스 대신 대체되어, RF 송신기에 제공된다. 이것은 도 10 및 도 12의 블록(252)에 도시되어 있다. 의사 트레이닝의 장점은, 의사 트레이닝은 배터리 전력을 허비하지 않으며, RF 송신기의 RF PA가 포화되어 인접 통신 채널 상에 RF 간섭을 유발되도록 하지 않으므로, 그러한 간섭과 종종 연관되는 "스플래터"를 제거한다는 점이다. 또한, 제1 및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p, x와, 제1 및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r, y를 그 최대값으로 리셋하는 것은 의사 트레이닝의 시간에 수행되어, 감소 프로세스를 새롭게 개시할 준비를 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력, 주파수 또는 온도 변화로 인해, 완전 트레이닝이 다시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면, 의사 트레이닝은 트레이닝 기간의 나머지 송신 슬롯 상에서 달성된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결정 블록(222)에서의 다음 문의는 RF 송신기가 현재 프레임 동안 송신할 지 여부이다. 만약 그렇다면, 결정 블록(224)에서, RF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또는 의사 트레이닝 중 어느 것이 수행되는지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그 결정 결과가 실제 트레이닝이라면, 블록(226)에서 트레이닝 시퀀스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트레이닝이 완료되었으면, 완전 트레이닝 결과의 온도 보상이 블록(228)에서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15의 플로우차트(310)는 온도에 대한 트레이닝 결과를 보상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RF 송신기가 뜨거운 상태에서 동작되고 있는 경우에만, 그 결과는 보상될 필요가 있다. 결정 블록(312)에서, 송신기의 온도가 소정 온도를 초과했는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수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블록(314)에서, RF 송신기의 주파수에 따라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감쇠가 유입된다. 스케일이 선형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RF 송신기(128)의 주파수가 높으면 높을수록, 본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유입되는 감쇠도 더 커지게 된다. 도 9의 블록(230)에서, 감쇠 여부에 관계없이 트레이닝 결과는 통신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송신기의 동작 셋팅을 조정한다. 블록(232)에서,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할당된 송신 슬롯에 대한RF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이 수행되고, 송신기 동작 환경 중 온도, 주파수, 또는 전력에 일부 변화가 없다면, 나머지 트레이닝 기간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결정 블록(224)에서의 문의에 대한 답이, RF 송신기(128)의 의사 트레이닝이 수행되고 있다는 것이면, 플로우는 블록(234)으로 진행하여, RF 송신기가 송신기의 출력 파형을 클리핑(clipping)하고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현재의 기술과 같이, 블록(262)에서 송신기의 클립 비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클리핑이 검출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클리핑이 검출되면, 송신 동안 데이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음 할당된 슬롯은 의사 트레이닝 슬롯과는 반대로 실제 트레이닝 슬롯으로 재-스케쥴링되고, 블록(264)에서 RF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이 발생하며, 트레이닝 기간이 리셋된다. 이것에 이어서 블록(266)에서 새로운 트레이닝 기간의 나머지 할당된 송신 슬롯 각각에 대한 의사 트레이닝이 이어진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블록(236)에서, 트레이닝 기간의 적절함은 RF 송신기를 얼마나 자주 "실제" 트레이닝 하느냐를 결정하여 평가된다. 이하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킷 채널의 인터리빙이 실제 트레이닝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 가를 결정한다.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 갯수보다 큰 경우에 RF 송신기의 실제 또는 완전 트레이닝이 더 자주 발생하도록 트레이닝 기간의 길이가 단축될 것이다. 블록(236)의 세부내용은 도 14의 플로우차트(270)에 의해 제공된다. 도 8 및 도 9의 플로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트레이닝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도록 양호하게는 끝없이 반복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제, 도 14를 참조하면, 결정 블록(272)에서 RF 송신기가 최대 전력 모드인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행해진다. RF 송신기가 최대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플로우는 결정 블록(274)으로 진행하여,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더 큰 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시스템의 베이스 인터리빙이 3:1(6:1도 가능함)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결정 블록(274)에서, 중앙 제어기로부터 통신 유닛에 제공된 할당 비트 카운트가, 도 5의 할당 프로파일(182)의 가변 비트맵에 표시되는 것과 같이, 3:1 베이스 인터리빙과 관련된 비트 카운트보다 더 큰 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행해진다. 그 대답이 예이면, 베이스 기간의 트레이닝 기간보다 더 빈번한 트레이닝이 표시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트레이닝 기간이 통상 200 슬롯인 경우, 이것이 100 슬롯으로 변경될 것이다. 결정 블록(284)에서,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값 p가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통상 제로)보다 큰 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수행된다. 그렇지 않다면, 블록(286)에서 송신기의 완전-트레이닝이 즉시 다음 PRAP 슬롯 상에서 시작된다. 그러나, p가 그 최소값보다 크다면, 블록(288)에서, 트레이닝 기간의 프레임 길이가 p보다 큰 지 여부에 대한 문의가 수행된다. 만약 그렇다면, 블록(290)에서 완전 트레이닝이 시작된다.
다시 결정 블록(274)를 참조하면,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 플로우는 결정 블록(276)으로 진행하여,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값 x가 그 최소값(통상 제로임)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한다. x가 0보다 크면, 결정 블록(280)에서 트레이닝 기간의 프레임 길이와 비교된다. 프레임 길이가 x보다 크면, 블록(282)에서, 다음 가용한 송신 슬롯에 대해 완전 트레이닝이 수행된다.
결정 블록(272)에서의 답이 RF 송신기가 삭감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최대 전력 모드에 대한 상기 방법이 블록(292-308)에서 반영된다.
본 발명을 하나 이상의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수많은 변형, 변화, 대안, 치환, 변동, 대체 및 등가의 발명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양호한 실시예는 RF 송신기의 트레이닝을 설명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은 트레이닝 기간에 트레이닝되어야 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내의 임의의 송신기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TDM 시스템뿐만 아니라, 그룹 스페셜 모바일 포켓 무선 서비스(GPRS) 및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DCPD)를 포함하는 다른 데이터 프로토콜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Claims (10)

  1. 복수의 통신 유닛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유닛에 데이터 채널의 복수의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근접-연속 송신이 가능한 상기 공유 통신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통신 유닛 중 하나의 통신 유닛의 적어도 제1 송신기의 트레이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이 트레이닝 기간의 복수의 송신 슬롯 중 초기 송신 슬롯을 통해 상기 통신 리소스의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 중 일부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 상기 트레이닝 기간은 상기 복수의 송신 슬롯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를 가짐 -;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상기 데이터 채널의 상기 복수의 슬롯의 슬롯 수를 포함하는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중앙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유닛의 제어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 표시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기가 최대 전력 모드(full-power mode) 또는 삭감 전력 모드(cut-back power mode)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단계에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최대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면, 제1 최대 전
    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디크리
    멘팅하고,
    상기 송신기가 삭감 전력 모드로 동작하면,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디크리멘팅함 - ;
    상기 송신기의 동작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라면,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복수의 송신 슬롯의 다음 할당된 송신 슬
    롯 동안 상기 송신기에 대한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복수의 송신 슬롯의 후속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에 대한 의사 트레이닝(pseudo training)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및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리셋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가 현재의 프레임 동안 송신했다면,
    실제 트레이닝 또는 의사 트레이닝이 상기 트레이닝 기간 동안 상
    기 송신기에 대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이 완료되고, 실제 트레이닝 결과가 생성되면,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기초하여 온도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통신 유닛의 메모리에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할당된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
    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며,
    상기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이 수행되고 있다면,
    상기 송신기가 상기 송신기의 출력 파형을 클리핑(clip)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기에 의한 클리핑 검출시 다음 할당
    된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에 더 자주 트레이닝하도록 상기 트
    레이닝 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트레이닝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대한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에 위상 트레이닝 파형을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기에 진폭 트레이닝 파형을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트레이닝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대한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단계는, 후속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에 의사 파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트레이닝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온도 보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유닛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감쇠된 실제 트레이닝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상기 송신기의 주파수의 함수로서 감쇠를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기의 트레이닝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클리핑 조건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의 클립 비트(clip bit)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달성되는 송신기의 트레이닝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에 더 자주 트레이닝하도록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기가 상기 최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더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최
    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
    의 다음 패킷 랜덤 액세스 절차(PRAP; Packet Random Access Procedure)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상기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
    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최
    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최
    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트
    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가 상기 삭감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
    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
    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더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
    의 다음 가용한 송신 슬롯 상에서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
    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상기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
    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
    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삭
    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삭
    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상기 최소값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더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더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트
    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는 송신기의 트레이닝 제어 방법.
  7. 복수의 통신 유닛 및 상기 복수의 통신 유닛에 데이터 채널의 복수의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중앙 제어기를 포함하는 공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근접-연속 송신이 가능한 상기 공유 통신 시스템의 상기 복수의 통신 유닛 중 하나의 통신 유닛의 적어도 제1 송신기의 트레이닝을 제어하기 위한 머신(machine)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이 트레이닝 기간 - 상기 트레이닝 기간은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에 의해 정의되는 길이를 가지고 있음 -의 복수의 송신 슬롯 중 초기 송신 슬롯을 통해 통신 리소스의 상기 복수의 타임 슬롯 중 일부의 할당을 요청하는 명령;
    상기 통신 유닛이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상기 데이터 채널의 복수의 슬롯 중 다수의 슬롯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채널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명령;
    상기 통신 유닛의 제어기가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 표시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기는 최대 전력 모드 또는 삭감 전력 모드로 동작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명령: 상기 명령은,
    상기 송신기가 상기 최대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면, 제1 최대 전
    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디크리
    멘팅하고,
    상기 송신기가 삭감 전력 모드로 동작하면,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디크리멘팅하고,
    상기 송신기의 동작 주파수가 변경된 경우라면,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복수의 송신 슬롯의 다음 할당된 송신 슬
    롯 동안 상기 송신기에 대한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복수의 송신 슬롯의 후속 슬롯 동안 상
    기 송신기에 대한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및 제2 최대 전력 트
    레이닝 기간 카운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를
    리셋하고,
    상기 송신기가 현재의 프레임 동안 송신했다면,
    실제 트레이닝 또는 의사 트레이닝이 상기 트레이닝 기간 동안 상
    기 송신기에 대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이 완료되고, 실제 트레이닝 결과가 생성되면,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기초하여 온도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통신 유닛의 메모리에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할당된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
    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이 수행되고 있다면,
    상기 송신기가 상기 송신기의 출력 파형을 클리핑(clip)하는
    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송신기에 의한 클리핑의 검출시 다음 할당
    된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의 의사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에 더 자주 트레이닝하도록 상기 트
    레이닝 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명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대한 온도 보상을 수행하는 명령은, 상기 통신 유닛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감쇠된 실제 트레이닝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실제 트레이닝 결과에 상기 송신기의 주파수의 함수로서 감쇠를 유입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클리핑 조건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명령은 상기 송신기의 클립 비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달성되는 매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에 더 자주 트레이닝하도록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명령은,
    상기 송신기가 상기 최대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더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최
    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
    의 다음 패킷 랜덤 액세스 절차(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
    기의 실제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상기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
    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
    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최
    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최
    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2 최대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트
    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고,
    상기 송신기가 상기 삭감 전력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면,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
    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
    빙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더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
    의 다음 PRAP 동안에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
    닝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1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상기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가용한 송신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
    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유닛에 할당된 슬롯의 갯수가 상기 베이스 인터리빙에 할
    당된 슬롯의 갯수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삭
    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인터리빙 카운터가 상기 제2 삭
    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상기 최소값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더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상기 프레임 길이가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보다 더 큰 경우, 상기 트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가 상기 제2 삭감
    전력 트레이닝 기간 카운터의 최소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트
    레이닝 기간의 다음 PRAP 슬롯 동안 상기 송신기의 실제 트레이닝
    을 수행하는 매체.
KR10-2001-7016791A 2000-04-28 2001-03-30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다이나믹 송신기 트레이닝 방법 KR100448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60,782 2000-04-28
US09/560,782 US6477368B1 (en) 2000-04-28 2000-04-28 Method for dynamic transmitter training for a shared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dynamic channel allo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479A true KR20020026479A (ko) 2002-04-10
KR100448948B1 KR100448948B1 (ko) 2004-09-18

Family

ID=2423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791A KR100448948B1 (ko) 2000-04-28 2001-03-30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다이나믹 송신기 트레이닝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77368B1 (ko)
KR (1) KR100448948B1 (ko)
CN (1) CN1255956C (ko)
AU (1) AU2001253072A1 (ko)
BR (1) BR0106102A (ko)
CA (1) CA2377923C (ko)
HK (1) HK1048891B (ko)
WO (1) WO2001084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8972B2 (en) * 2000-07-26 2008-12-23 Hughes Network System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fficient data transmission based upon a contention protocol
CA2331558A1 (en) * 2001-01-18 2002-07-18 Frank E. Bun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wireless devices
US6863771B2 (en) * 2001-07-25 2005-03-08 Micron Technology, Inc. Differential pressure application apparatus for use in polishing layers of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and methods
SG158735A1 (en) * 2002-06-06 2010-02-26 Ntt Docomo Inc Packet communications system, packet communications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control device and packet communications program
KR100565896B1 (ko) * 2002-12-11 2006-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방향 위성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동적 자원 할당 장치 및 그 방법과 기록매체
US7564819B2 (en) * 2003-09-12 2009-07-21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interlacing frames
US20050113122A1 (en) * 2003-11-25 2005-05-26 Motorola, Inc. Push-to-talk indicator for wireless device
KR100605810B1 (ko) * 2003-12-20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방법
US20070117566A1 (en) * 2005-11-21 2007-05-24 Jean Khawan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 forced neighbor cell procedure
US7903575B2 (en) * 2006-08-04 2011-03-08 Lg Electronics, Inc. Bandwidth-efficient control and bitmap signaling using super position cod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12252B2 (en) * 2009-12-31 2013-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using rate split scheme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receivers
KR101568299B1 (ko) 2009-12-31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단들 사이의 협력을 기초로 전송률 분할 기법을 사용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US8929474B2 (en) * 2013-03-14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sounding interval
US11979929B2 (en) 2019-06-03 2024-05-07 Mediatek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link operation in a wireles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8061A1 (fr) * 1976-07-08 1978-02-03 Ibm France Procede et dispositif d'egalisation utilisant la transformee de fourier
US5128957A (en) * 1990-08-10 1992-07-07 Ricoh Company, Ltd. Initial acquisition method in spread spectrum system and such system
US5066923A (en) * 1990-10-31 1991-11-19 Motorola, Inc. Linear transmitter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GB2272133B (en) * 1992-11-02 1996-06-12 Motorola Inc Radio system
GB2287595B (en) * 1994-03-09 1997-03-05 Motorola Ltd Method for amplitude training in a linear power amplifier
US5574992A (en) * 1994-04-29 1996-11-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ff-channel interference produced by a linear transmitter
TW347616B (en) *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US5675286A (en) 1996-02-12 1997-10-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linear transmitter
GB2318673A (en) * 1996-10-23 1998-04-29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proximity detector
US5854784A (en) * 1996-11-05 1998-12-29 Ericsson, Inc. Power-saving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GB2321574B (en) * 1997-01-24 2000-07-12 Motorola Ltd Communication system,transmitt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5990738A (en) * 1998-06-19 1999-11-23 Datum Telegraphic Inc. Compensation system and methods for a linear power amplifier
US5990734A (en) * 1998-06-19 1999-11-23 Datum Telegraphic Inc. System and methods for stimulating and training a power amplifier during non-transmission events
US6054896A (en) * 1998-12-17 2000-04-25 Datum Telegraphic Inc. Controller and associated methods for a linc linear power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77368B1 (en) 2002-11-05
CA2377923A1 (en) 2001-11-08
KR100448948B1 (ko) 2004-09-18
CN1372708A (zh) 2002-10-02
WO2001084668A1 (en) 2001-11-08
BR0106102A (pt) 2002-03-19
CN1255956C (zh) 2006-05-10
HK1048891B (zh) 2006-12-08
HK1048891A1 (en) 2003-04-17
CA2377923C (en) 2004-05-25
AU2001253072A1 (en) 200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8417A (en) Dynamic control of a data channel in a TD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259761B2 (ja) アクセス方法およびパケット・チャネル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方法
EP17323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unique identifier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s
KR100420606B1 (ko) 대역폭할당
EP2222001B1 (en) Mobile us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448948B1 (ko) 다이나믹 채널 할당을 이용한 공유 통신 시스템에 대한다이나믹 송신기 트레이닝 방법
JP3877238B2 (ja) 移動体間の多重アクセス直接伝送システム用のチャネルを選択する装置
KR20110063801A (ko)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자원 할당을 요청 및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60107771A (ko) 멀티캐스트 신호의 전송을 인터럽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88977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blocks and subscriber unit therefor
US20040203811A1 (en) Multiple inbound channel gran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55467B1 (ko) 전송 포맷 조합 지시자 신호 시그날링
JP268100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回線の割り当て方式
JP2001044914A (ja) 無線帯域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4284033A (ja) 移動通信方式
US20030123426A1 (en) Uplink access control
JP2001036457A (ja) 間欠受信方式
US20030126539A1 (en) Transport channel interleaving
JPH0448829A (ja) 無線チャンネル割当方式
US20030123417A1 (en) Modulation-dependant transport channel configuration
JP3460133B2 (ja) チャネル品質管理システム
JP2616135B2 (ja) 無線回線制御方式
US20030123416A1 (en) Interleaving for multiplexed data
CA2472013A1 (en) Interleaving for multiplexed data
MXPA060064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unique identifier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