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476A - 무선 수신 장치와 무선 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수신 장치와 무선 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476A
KR20020026476A KR1020017016698A KR20017016698A KR20020026476A KR 20020026476 A KR20020026476 A KR 20020026476A KR 1020017016698 A KR1020017016698 A KR 1020017016698A KR 20017016698 A KR20017016698 A KR 20017016698A KR 20020026476 A KR20020026476 A KR 2002002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mbol
propagation
sig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하라고이치
스즈키히데토시
이마이즈미사토시
소몬준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4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Equal gain combining, only phase adjust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1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featuring pilot assisted re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전환 제어부(201)에 의해서 스위치(202) 및 스위치(203)가 전환 제어되고, +A만을 포함하는 심볼 Dplus가 메모리(204)측으로, -A를 포함하는 심볼 Dminus가 메모리(205)측으로 각각 배분되어 출력되고, 메모리(204)와 가산기(206)에 의해서 Dplus끼리가 동상 가산되고, 메모리(205)와 가산기(206)에 의해서 Dminus끼리가 동상 가산되고, 2승 가산부(207)에 의해서 동상 가산 후의 Dplus와 동상 가산 후의 Dminus가 각각 2승된 후 가산된다.

Description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RADIO RECEIVER AND RADIO RECEIVING METHOD}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국 장치의 수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공통 파일럿 채널 신호의 송신에 대해 송신 다이버시티가 실행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기지국 장치가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송신 다이버시티에 의해서 이동국 장치로 공통 파일럿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 5.3.3.1(21페이지)에 있어서,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이 정해져 있다. 도 2는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11)는 도 2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1로부터는 항상 심볼 +A를 이동국 장치(12)로 송신한다.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은 전파 계수 α1의 전파로1을 거쳐서 이동국 장치(12)로 송신된다. 또, 기지국 장치(11)는 안테나 2로부터는 심볼 +A와 심볼 -A를 도 2 하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송신 패턴에 따라서 이동국 장치(12)로 송신한다.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은 전파 계수 α2의 전파로2를 거쳐서 이동국 장치(12)로 송신된다. 여기서, 심볼 A라는 것은 변조 후의 심볼 A가 부호 반전되어 송신된 것이고, 심볼 +A라는 것은 변조 후의 심볼 A가 부호 반전되지 않고서 그대로 송신된 것이다.
이동국 장치(12)는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을 포함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가산한다. 이것에 의해, 이동국 장치(12)에 있어서는 파일럿 심볼에 관해 다이버시티 이득분만큼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동국 장치(12)는 이 파일럿 심볼로 작성한 지연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 핑거의 할당을 실행하므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한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국 장치(12)는 전력 가산이나 동상(同相) 가산에 의해 파일럿 채널 신호를 가산한다. 이동국 장치(12)는 이들 중 동상 가산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력 가산에 비해 더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여 송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는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이동국 장치에 탑재되는 종래의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을 포함한 파일럿 채널 신호가 안테나(13)를 거쳐서 무선 수신부(14)에 의해서 수신된다. 파일럿 채널 신호는 무선 수신부(14)에 의해서 소정의 무선 처리(다운컨버트, A/D 변환 등)가 실시되고, 상관값 산출부(15)로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15)에서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를 실시하고, 식 (1)로 나타내는 신호 D(τ)를 출력한다.
여기서, R(t)는 무선 수신부(14)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c(t)는 파일럿 채널 신호를 확산하고 있는 확산 코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τ가 파일럿 심볼의 수신 타이밍과 일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안테나 2로부터 심볼 +A가 송신되고 있을 때에는, 상관값 산출부(15)의 출력은,
로 된다. 또, 안테나 2로부터 심볼 -A가 송신되고 있을 때에는, 상관값 산출부(15)의 출력은,
로 된다. 여기서, Nj는 잡음을, Ts는 1심볼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상관값 산출부(15)로부터 출력된 신호 Dplus와 Dminus는 메모리(16) 및 가산기(17)에 의해 2n회 동상 가산된다. 그리고, 2n회 동상 가산 후, 메모리(16)로부터 식 (4)로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식 (4)로 나타내는 신호는 2승부(18)에 의해 2승되고,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9)에 의해 평균화된다. 따라서,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9)로부터는 식 (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식 (5)중 제 l 항은 신호 성분으로 되고, 제 2 항은 잡음 성분으로 된다.
따라서, 파일럿 채널 신호의 S/N은,
로 된다.
핑거 할당부(20)는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상의 각 핑거의 위치를 나타내는신호를 역확산부(21)로 출력한다. 그리고, 역확산부(21)는 각 핑거가 설정되는 타이밍에 따라서, 무선 수신부(14)에 의해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를 실행한다. 역확산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는 복조부(22)에 의해 소정의 복조 처리가 실시되고, 이것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무선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 상기 식 (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2에 관한 성분)이 사라지게 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 채널 신호의 S/N은 상기 식 (6)을 보더라도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1에 관한 성분)만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송신된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상기 종래의 무선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단순히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버시티 송신되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수신 신호를 제 2 신호에 포함되는 심볼의 배열 패턴에 따라서 배분해서 동상 가산하는 것에 의해, 제 2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가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수신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에 의한 수신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 다이버시티(diversity)가 실행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무선 수신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지국 장치가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한 송신 다이버시티에 의해서 이동국 장치로 공통 파일럿 심볼을 송신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이동국 장치에 탑재되는 종래의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5는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8은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
도 12는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수신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안테나마다 분리한 후에 동상 가산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102)는 안테나(101)를 거쳐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소정의 무선 처리(다운컨버트, A/D 변환 등)를 실시한다. 상관값 산출부(103)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를 실행한다. 전환 제어부(105)는 스위치(104)의 전환 제어를 실행한다.
지연기(106)는 파일럿 채널 신호를 1심볼 시간 지연시킨다. 가산기(107)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1심볼 시간 지연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가산한다. 감산기(108)는 파일럿 채널 신호로부터 1심볼 시간 지연된 파일럿 채널 신호를 감산한다.
메모리(109)와 가산기(110)는 가산기(10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상 가산한다. 메모리(112)와 가산기(113)는 감산기(10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동상 가산한다.
2승부(111)는 메모리(109)와 가산기(110)에 의해 동상 가산된 신호를 2승한다. 2승부(114)는 메모리(112)와 가산기(113)에 의해 동상 가산된 신호를 2승한다. 가산기(115)는 2승부(111)에 의해 2승된 신호와 2승부(114)에 의해 2승된 신호를 가산한다.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는 지연 프로파일의 평균값을 구한다. 핑거 할당부(117)는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에 따라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 핑거의 할당을 실행한다.
역확산부(118)는 핑거 할당에 따라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를 실시한다. 복조부(119)는 역확산 후의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 소정의 복조 처리를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l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 장치의 안테나 1로부터 전파로1을 거쳐서 송신된 파일럿 심볼과 기지국 장치의 안테나 2로부터 전파로2를 거쳐서 송신된 파일럿 심볼을 포함한 파일럿 채널 신호가 안테나(101)를 거쳐서 무선 수신부(102)에 의해서 수신된다. 파일럿 채널 신호는 무선 수신부(102)에 의해서 소정의 무선 처리(다운컨버트, A/D 변환 등)가 실시되고, 상관값 산출부(103)로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103)에서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가 실시되고, 식 (7)로 나타내는 신호 D(τ)가 출력된다.
여기서, R(t)는 무선 수신부(1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c(t)는 파일럿 채널 신호를 확산하고 있는 확산 코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τ가 파일럿 심볼의 수신 타이밍과 일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따라서, 안테나 2로부터의 심볼 +A가 수신되고 있을 때에는, 상관값 산출부(103)의 출력은,
로 된다. 또, 안테나 2로부터의 심볼 -A가 수신되고 있을 때에는, 상관값 산출부(103)의 출력은,
로 된다. 여기서, α1은 전파로1의 전파 계수를, α2는 전파로2의 전파 계수를, Nj는 잡음을, Ts는 1심볼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즉, 도 5에 있어서, 슬롯 #0에 주목하면, 심볼 #0, #3, #4, #7, #8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는 Dplus가 출력되고, 심볼 #1, #2, #5, #6, #9가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는 Dminus가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출력된 Dplus와 Dminus는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파일럿 심볼의 배열 패턴에 따라서 전환 제어부(105)에 의한 스위치(104)의 전환 동작에 의해서 1심볼마다 지연기(106)측과 감산기(108)측으로 배분되어 출력된다. 즉, 전환 제어부(105)는 슬롯 선두부터 기수번째의 심볼(즉, 심볼 #0, #2, #4, #6, #8)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스위치(104)를 지연기(106)측으로 전환한다. 한편,전환 제어부(105)는 슬롯 선두부터 우수번째의 심볼(즉, 심볼 #1, #3, #5, #7, #9)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스위치(104)를 감산기(108)측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지연기(106)로 출력되는 신호는 심볼 #0에서의 Dplus, 심볼 #2에서의 Dminus, 심볼 #4에서의 Dplus, 심볼 #6에서의 Dminus, 심볼 #8에서의 Dplus로 된다. 한편, 가산기(107) 및 감산기(108)로 출력되는 신호는 심볼 #1에서의 Dminus, 심볼 #3에서의 Dplus, 심볼 #5에서의 Dminus, 심볼 #7에서의 Dplus, 심볼 #9에서의 Dminus로 된다. 따라서, Dplus와 Dminus의 반복 주기가 지연기(106)측과 감산기(108)측에서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지연기(106)로 출력된 신호는 순차 1심볼 시간씩 지연된다.
이것에 의해, 심볼 #0에서의 Dplus와 심볼 #1에서의 Dminus가 가산기(107)에 의해 가산되고, 감산기(108)에 의해 감산된다. 이 후, 마찬가지로 심볼 #2에서의 Dminus와 심볼 #3에서의 Dplus가, 심볼 #4에서의 Dplus와 심볼 #5에서의 Dminus가, 심볼 #6에서의 Dminus와 심볼 #7에서의 Dplus가, 심볼 #8에서의 Dplus와 심볼 #9에서의 Dminus가 각각 가산기(107)에 의해 가산되고, 감산기(108)에 의해 감산된다. 또한, 감산기(108)에서는 Dplus로부터 Dminus가 감산된다.
따라서, 가산기(107)의 출력은,
로 된다.
또, 감산기(108)의 출력은,
로 된다.
여기서, 상기 식 (10) 및 상기 식 (11)에 주목하면, 신호 성분에 대해서는 상기 식 (10)에서는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1에 관한 성분)만으로 되고, 상기 식 (11)에서는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2에 관한 성분)만으로 되어 있다. 즉, Dplus와 Dminus의 가감산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수신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안테나마다 분리한 것으로 된다.
가산기(107)로부터 출력된 신호 C1은 메모리(109) 및 가산기(110)에 의해 n회 동상 가산된다. 따라서, n회 동상 가산 후에 메모리(10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로 된다.
또, 감산기(108)로부터 출력된 신호 C2는 메모리(112) 및 가산기(113)에 의해 n회 동상 가산된다. 따라서, n회 동상 가산 후에 메모리(112)로부터 출력되는신호는,
로 된다.
상기 식 (12)로 나타내는 신호는 2승부(111)에 의해 2승되고, 상기 식 (13)으로 나타내는 신호는 2승부(114)에 의해 2승된다. 2승된 신호는 가산기(115)에 의해 가산되고,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에 의해 평균화된다. 따라서,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로부터는 식 (1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식 (14)중 제 1 항은 신호 성분으로 되고, 제 2 항은 잡음 성분으로 된다.
따라서, 파일럿 채널 신호의 S/N은,
로 된다.
여기서, 상기 식 (15)에 주목하면, S/N은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1에 관한 성분)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2에 관한 성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한 경우라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핑거 할당부(117)는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상의 각 핑거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역확산부(118)로 출력한다. 역확산부(118)는 각 핑거가 설정되는 타이밍에 따라서, 무선 수신부(102)에 의해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를 실행한다. 역확산된 개별 통신 채널 신호는 복조부(119)에 의해 소정의 복조 처리가 실시되고, 이것에 의해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수신한 파일럿 채널 신호를 안테나마다 분리한 후에 동상 가산하기 때문에,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plus끼리를 동상 가산하고,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있어서, 전환 제어부(201)는 스위치(202) 및 스위치(203)의 전환 제어를 실행한다. 메모리(204)와 가산기(206)는 Dplus끼리를 동상 가산한다. 한편, 메모리(205)와 가산기(206)는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한다. 2승 가산부(207)는 Dplus와 Dminus를 각각 2승한 후 가산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 재차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출력된 Dplus와 Dminus는 전환 제어부(201)에 의한 스위치(202) 및 스위치(203)의 전환 동작에 의해서 Dplus와 Dminus가 배분되어 출력된다. 즉, 슬롯 #0에 주목하면, 전환 제어부(105)는 안테나 2로부터의 +A가 수신되는 타이밍(즉, 심볼 #0, #3, #4, #7, #8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스위치(202) 및 스위치(203)를 메모리(204)측으로 전환한다. 한편, 전환 제어부(201)는 안테나 2로부터의 -A가 수신되는 타이밍(즉, 심볼 #1, #2, #5, #6, #9가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는 스위치(202) 및 스위치(203)를 메모리(205)측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메모리(204)로는 Dplus만이 출력되고, 메모리(205)로는 Dminus만이 출력된다.
메모리(204)로 출력된 Dplus는 메모리(204) 및 가산기(206)에 의해 n회 동상 가산된다. 따라서, n회 동상 가산 후에 메모리(204)로부터 2승 가산부(207)로 출력되는 신호는,
로 된다.
또, 메모리(205)로 출력된 Dminus는 메모리(205) 및 가산기(206)에 의해 n회 동상 가산된다. 따라서, n회 동상 가산 후에 메모리(205)로부터 2승 가산부(207)로 출력되는 신호는,
로 된다.
상기 식 (16)으로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식 (17)로 나타내는 신호는 2승 가산부(207)에 의해서 각각 2승된 후 가산되고,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에 의해 평균화된다. 따라서,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로부터는, 식 (1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식 (18)중 제 1 항은 신호 성분으로 되고, 제 2 항은 잡음 성분으로 된다.
따라서, 파일럿 채널 신호의 S/N은,
로 된다.
여기서, 상기 식 (19)에 주목하면, S/N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안테나 1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1에 관한 성분)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된 심볼에 관한 성분(즉, α2에 관한 성분)으로 표시된다. 즉, 실시예 1과 같이 파일럿 채널 신호를 안테나마다 분리한 후에 동상 가산하지 않고서 Dplus끼리를 동상 가산하고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하더라도,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와 비교하면, 상관값 산출부(103) 이후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까지의 구성이 간이하게 되어, 회로 규모가 작아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비해 가산기 및 감산기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연산량을 삭감할 수 있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plus끼리를 동상 가산하고,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하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비해 작은 회로 규모 및 적은 연산량으로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가산을 실행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plus끼리의 동상 가산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minus끼리의 동상 가산을 소정의 단위마다(예를 들면, 슬롯마다)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수신 심볼 제어부(301)는 특정 파일럿 심볼만이 수신되도록 무선 수신부(102)를 제어한다. 즉, 무선 수신부(102)는 특정 파일럿 심볼을 수신할 때에만 동작한다.
상관값 산출부(302)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역확산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303)와 가산기(304)는 Dplus끼리 및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한다. 2승부(305)는 Dplus와 Dminus를 각각 2승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신 심볼 제어부(301)는 도 8에 도시한 망 그어진 부분의 심볼만이 수신되도록 무선 수신부(102)를 제어한다. 즉, 수신 심볼 제어부(301)는 도 8에 도시하는 망 그어진 부분의 심볼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만 무선 수신부(102)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슬롯 #14에 있어서는 심볼 #3, #4, #7,#8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상기 식 (8)로 나타내는 Dplus가 출력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슬롯 #0에 있어서는 심볼 #1, #2, #5, #6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상기 식 (9)로 나타내는 Dminus가 출력되고, 슬롯 #1에 있어서는 심볼 #1, #2, #5, #6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상기 식 (8)로 나타내는 Dplus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관값 산출부(302)로부터는 Dplus와 Dminus가 슬롯마다 전환되어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302)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는 메모리(303) 및 가산기(304)에 의해 슬롯마다 n회 동상 가산된다. 따라서, n회 동상 가산 후에 메모리(303)로부터는 Dplus에 대해서는 상기 식 (16)으로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되고, Dminus에 대해서는 상기 식 (17)로 나타내는 신호가 2승부(305)로 출력된다.
상기 식 (16)으로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식 (17)로 나타내는 신호는 2승부(305)에 의해서 각각 2승되고,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에 의해 평균화된다. 따라서,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로부터는 상기 식 (18)로 나타내는 바와같은 평균화된 지연 프로파일이 출력된다. 따라서, 파일럿 채널 신호의 S/N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식 (19)로 표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와 비교하면, 상관값 산출부(103) 이후 지연 프로파일 평균화부(116)까지의 구성이 간이하게 되어 회로 규모가 작아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비해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Dplus끼리의 동상 가산과 Dminus끼리의 동상 가산을 슬롯마다 전환하여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Dplus끼리를 복수회 동상 가산한 후에 Dminus끼리를 복수회 동상 가산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회수를 정하고 Dplus끼리의 동상 가산과 Dminus끼리의 동상 가산을 그 소정의 회수마다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소정의 간격을 정하고 Dplus끼리의 동상 가산과 Dminus끼리의 동상 가산을 그 소정의 간격마다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plus끼리의 동상 가산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minus끼리의 동상 가산을 소정의 단위마다(예를 들면, 슬롯마다) 전환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비해 작은 회로규모로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본 발명자들이 앞서 발명한 무선 수신 장치(이하,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라고 함)에 적용한 것이다.
이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라는 것은, 수신 데이터를 일단 메모리 등에 유지하고, 그 유지한 데이터에 대해 각 기지국마다 할당된 확산 코드로 반복하여 확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본 특허 출원 평성 제 10-292545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이하,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에 적용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는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수마다(지금, 여기서는 슬롯 선두부터 기수번째의 심볼과 슬롯 선두부터 우수번째의 심볼의 2심볼마다로 한다)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는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을 순차 선택한다.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8)는 각 기지국마다 파일럿 채널 신호가 동상 가산되도록,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에 의해 전환 제어된다. 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109)와 메모리(112)를 조합한 부분은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 수만큼 준비된다. 지금,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을 기지국 1∼3의 3개로 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수신 신호는 슬롯 선두부터 기수번째의 심볼과 슬롯 선두부터 우수번째의 심볼의 2심볼마다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에 유지된다.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에 유지된 수신 심볼은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상관값 산출부(103)로 출력된다. 이 때, 상관값 산출부(103) 및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8)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 기지국 1을 나타내는 기지국 번호가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103)에서는 상기 기지국 번호에 따라서 기지국 1에 할당되어 있는 확산 코드에 의해서 파일럿 심볼에 대해 역확산 처리가 실시된다.
또, 이 때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는 상기 기지국 번호에 따라서 가산기(110)와 기지국 1의 메모리(109)를 접속한다. 또, 기지국 전환 스위치(504)는 기지국 1의 메모리(109)와 가산기(110)를 접속하고, 기지국 전환 스위치(505)는 기지국 1의 메모리(109)와 2승부(111)를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전환 스위치(506)는 가산기(113)와 기지국 1의 메모리(112)를 접속하고, 기지국 전환 스위치(507)는 기지국 1의 메모리(112)와 가산기(113)를 접속하고, 스위치(508)는 기지국 1의 메모리(112)와 2승부(114)를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가산기(107)로부터 출력된 C1이 기지국 1의 메모리(109) 및 가산기(110)에 의해 기지국 1에 대해 동상 가산되고, 기지국 1의 메모리(109)로부터 2승부(111)로 출력된다. 또, 가산기(113)로부터 출력된 C2가 기지국 1의 메모리(112) 및 가산기(113)에 의해 기지국 1에 대해 동상 가산되고, 기지국 1의 메모리(112)로부터 2승부(114)로 출력된다.
다음에, 기지국 1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신 심볼이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로부터 상관값 산출부(103)로 출력된다. 이 때, 상관값 산출부(103) 및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8)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 기지국 2를 나타내는 기지국 번호가 출력된다.
이 후, 기지국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되어 가산기(107)로부터 출력된 C1이 기지국 2의 메모리(109) 및 가산기(110)에 의해 기지국 2에 대해 동상 가산되고, 가산기(113)로부터 출력된 C2가 기지국 2의 메모리(112) 및 가산기(113)에 의해 기지국 2에 대해 동상 가산된다.
기지국 3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되고, 가산기(107)로부터 출력된 C1이 기지국 3의 메모리(109) 및 가산기(110)에 의해 기지국 3에 대해 동상 가산되고, 가산기(113)로부터 출력된 C2가 기지국 3의 메모리(112) 및 가산기(113)에 의해 기지국 3에 대해 동상 가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축적형의 무선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파일럿 채널 신호를 동상 가산하기 때문에, 복수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패스 서치(path search)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는 수신된 데이터를 1심볼마다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는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을 순차 선택한다.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8)는 각 기지국마다 파일럿 채널 신호가 동상 가산되도록,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에 의해 전환 제어된다. 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204)와 메모리(205)를 조합한 부분은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 수만큼 준비된다. 지금,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을 기지국 1∼3의 3개로 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수신 신호는 1심볼마다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에 유지된다. 수신데이터 축적부(501)에 유지된 수신 심볼은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관값 산출부(103)로 1심볼씩 출력된다. 이 때, 상관값 산출부(103) 및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8)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 기지국 1을 나타내는 기지국 번호가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103)에서는 상기 기지국 번호에 따라서 기지국 1에 할당되어 있는 확산 코드에 의해서 파일럿 심볼에 대해 역확산 처리가 실시된다.
또, 이 때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는 상기 기지국 번호에 따라서 스위치(202)와 기지국 1의 메모리(204)를 접속한다. 또, 기지국 전환 스위치(504)는 기지국 1의 메모리(204)와 스위치(203)를 접속하고, 기지국 전환 스위치(505)는 기지국 1의 메모리(204)와 2승 가산부(207)를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전환 스위치(506)는 스위치(202)와 기지국 1의 메모리(205)를 접속하고, 기지국 전환 스위치(507)는 기지국 1의 메모리(205)와 스위치(203)를 접속하고, 스위치(508)는 기지국 1의 메모리(205)와 2승 가산부(207)를 접속한다.
또, 이 때 스위치(202) 및 스위치(203)의 전환 제어에 의해 메모리(204)로는 Dplus만이 출력되고, 메모리(205)로는 Dminus만이 출력된다. 따라서,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가 기지국 1에 대해 각각 동상 가산되고, 2승 가산부(207)로 출력된다.
다음에, 기지국 1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신 심볼이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로부터 상관값 산출부(103)로 출력된다. 이 때, 상관값 산출부(103) 및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8)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 기지국 2를 나타내는 기지국 번호가 출력된다.
이후, 기지국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되어,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가 기지국 2에 대해 각각 동상 가산된다. 또, 기지국 3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되어 상관값 산출부(103)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가 기지국 3에 대해 각각 동상 가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plus끼리를 동상 가산하고,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하기 때문에, 실시예 4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비해 작은 회로 규모 및 적은 연산량으로 복수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Dplus끼리 또는 Dminus끼리를 동상 가산하기 위해서, 유지하는 파일럿은 1심볼씩으로도 좋으므로, 수신 데이터 축적부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는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를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주요부 블럭도이다. 또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 축적부(50l)는 무선 수신부(102)로부터 출력된 수신 데이터를 1심볼마다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는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을 순차 선택한다.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5)는 각 기지국마다 파일럿 채널 신호가 동상 가산되도록,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에 의해 전환 제어된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모리(303)는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 수만큼 준비된다. 지금,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신 대상으로 되는 기지국을 기지국 1∼3의 3개로 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무선 수신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이동체 통신 규격 3G TS 25.211 version3.1.0에 의해서 정해져 있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기지국의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심볼만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수신 심볼 제어부(301)는 도 12에 도시하는 망 그어진 부분의 심볼만이 수신되도록 무선 수신부(102)를 제어한다. 즉, 수신 심볼 제어부(301)는 도 12에 도시하는 망 그어진 부분의 심볼이 수신되는 타이밍에서만 무선 수신부(102)를 동작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심볼 제어부(301)는 4심볼마다의 수신 타이밍에서 복수회(도 12에서는 4회) 무선 수신부(102)를 동작시킨 후, 6심볼 후(4심볼+2심볼 후)의 수신 타이밍에서 1회 무선 수신부(102)를 동작시키고, 재차 4심볼마다의 수신 타이밍에서 복수회(도 12에서는 4회) 무선 수신부(102)를 동작시킨다. 이것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기지국에 대해 안테나 2의 +A을 포함하는 심볼과 안테나 2의 -A를 포함하는 심볼이 4회씩 교대로 수신되게 된다.
수신 심볼 제어부(301)의 이러한 제어는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파일럿 심볼의 송신 패턴에 근거하는 것이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송신 패턴에서는 송신 패턴의 반복 주기가 4심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A, -A, -A, +A」의 패턴이 반복된 송신 패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 심볼 제어부(301)가 송신 패턴의 반복 주기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무선 수신부(102)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각 기지국에 대해 안테나 2의 +A을 포함하는 심볼과 안테나 2의 -A를 포함하는 심볼이 4회씩 교대로 수신되게 된다.
무선 수신부(102)에 의해 소정의 무선 처리가 실시된 수신 신호는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에 유지된다.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에 유지된 수신 심볼은 수신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관값 산출부(302)로 출력된다. 이 때, 상관값 산출부(302) 및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5)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 기지국 1을 나타내는 기지국 번호가 출력된다.
상관값 산출부(302)에서는 상기 기지국 번호에 따라서 기지국 1에 할당되어 있는 확산 코드에 의해서, 파일럿 심볼에 대해 역확산 처리가 실시된다.
또, 이 때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는 상기 기지국 번호에 따라서 가산기(304)와 기지국 1의 메모리(303)를 접속한다. 또, 기지국 전환 스위치(504)는 기지국 1의 메모리(303)와 가산기(304)를 접속하고, 기지국 전환 스위치(505)는 기지국 1의 메모리(303)와 2승부(305)를 접속한다. 그리고, 상관값 산출부(302)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가 메모리(303) 및 가산기(304)에 의해 기지국 1에 대해 4회씩 동상 가산된다.
다음에, 기지국 1에 대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신 심볼이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신 데이터 축적부(501)로부터 상관값 산출부(302)로 출력된다. 이 때, 상관값 산출부(302) 및 기지국 전환 스위치(503∼505)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로부터 기지국 2를 나타내는 기지국 번호가 출력된다.
이후, 기지국 1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되어, 상관값 산출부(302)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가 기지국 2에 대해 4회씩 동상 가산된다. 또, 기지국 3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실행되어, 상관값 산출부(302)로부터 출력된 Dplus또는 Dminus가 기지국 3에 대해 4회씩 동상 가산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의하면, 축적형의 무선 수신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plus끼리의 동상 가산과 안테나 2로부터 송신되는 -A에 대응하는 상관값 Dminus끼리의 동상 가산을 소정의 심볼수마다 전환하여 실행하기 때문에, 실시예 5에 따른 무선 수신 장치에 비해 작은 회로 규모로, 복수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면서 다이버시티 이득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A, -A, +A」의 반복 패턴이 무너져 버리는 프레임 경계 전후의 심볼(기지국 3의 사선으로 나타낸 심볼)에 대해서는 상관값 산출부(302)가 상관값의 산출을 실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기지국 제어부(502)가 각 기지국마다의 프레임 경계를 판단하고, 프레임 경계 전후의 심볼에 대해서는 상관값을 산출하지 않도록 상관값 산출부(30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 경계 전후의 심볼에 대해서는 상관값을 산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Dplus와 Dminus가 동상 가산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경계에 있어서 수신 특성이 열화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도 프레임 경계 전후의 심볼에 대해서는 상관값을 산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버시티 송신되는 파일럿 채널 신호에 대해 동상 가산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수신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2000년 4월 28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0-131672 호에 근거하는 것이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 장치나 기지국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7)

  1.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제 1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와 제 2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기와,
    추출된 신호를 추출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同相) 가산하는 가산기
    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기는 제 2 신호에 포함되는 심볼의 배열 패턴에 따라서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의 반복 주기가 쌍방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수신 신호를 2개로 배분하는 배분기와, 한쪽에 배분된 신호와 다른쪽에 배분된 신호의 합과 차를 구하는 것에 의해 수신 신호를 제 1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와 제 2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기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축적기와, 유지된 동일 수신 신호에 대해 복수의 통신 상대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로 각각 역확산 처리를 실행하는 역확산기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4.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를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된 신호를 분리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
    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축적기와, 유지된 동일 수신 신호에 대해복수의 통신 상대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로 각각 역확산 처리를 실행하는 역확산기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6.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중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3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4 신호를 복수 심볼씩 소정의 간격으로 전환하여 수신하는 수신기와,
    제 3 신호끼리 및 제 4 신호끼리를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
    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축적부와, 유지된 동일 수신 신호에 대해 복수의 통신 상대에 대응하는 확산 부호로 각각 역확산 처리를 실행하는 역확산기를 구비하는 무선 수신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가산기는 프레임 경계를 걸치는 심볼끼리의 동상 가산을 실행하지 않는 무선 수신 장치.
  9. 무선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무선 수신 장치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제 1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와 제 2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기와, 추출된 신호를 추출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10. 무선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무선 수신 장치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를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된 신호를 분리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11. 무선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통신 단말 장치로서,
    무선 수신 장치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중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3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4 신호를 복수 심볼씩 소정의 간격으로 전환하여 수신하는 수신기와, 제 3 신호끼리 및 제 4 신호끼리를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
  12. 무선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무선 수신 장치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제 1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와 제 2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기와, 추출된 신호를 추출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13. 무선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무선 수신 장치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를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기와, 분리된 신호를 분리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14. 무선 수신 장치를 탑재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무선 수신 장치는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장치로서, 수신 신호중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3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4 신호를 복수 심볼씩 소정의 간격으로 전환하여 수신하는 수신기와, 제 3 신호끼리 및 제 4 신호끼리를 동상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기지국 장치.
  15.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로부터 제 1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와 제 2 전파 계수로 표시되는 신호를 각각 추출하는 추출 공정과,
    추출된 신호를 추출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 공정
    을 구비하는 무선 수신 방법.
  16.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를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 공정과,
    분리된 신호를 분리된 각각의 신호끼리 동상 가산하는 가산 공정
    을 구비하는 무선 수신 방법.
  17.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만을 포함하고 또한 제 1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1 신호, 및 부호 반전되지 않는 +A 심볼과 부호 반전된 -A 심볼을 포함하고 또한 제 2 전파 계수를 갖는 전파로를 거쳐서 송신된 제 2 신호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방법으로서,
    수신 신호중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3 신호와, 제 1 신호의 +A 심볼 및 제 2 신호의 -A 심볼을 포함하는 제 4 신호를 복수 심볼씩 소정의 간격으로 전환하여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제 3 신호끼리 및 제 4 신호끼리를 동상 가산하는 가산 공정
    을 구비하는 무선 수신 방법.
KR1020017016698A 2000-04-28 2001-04-27 무선 수신 장치와 무선 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KR200200264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31672 2000-04-28
JP2000131672A JP3338421B2 (ja) 2000-04-28 2000-04-28 無線受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PCT/JP2001/003689 WO2001084742A1 (fr) 2000-04-28 2001-04-27 Recepteur radio et procede de reception rad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476A true KR20020026476A (ko) 2002-04-10

Family

ID=1864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698A KR20020026476A (ko) 2000-04-28 2001-04-27 무선 수신 장치와 무선 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20154714A1 (ko)
EP (1) EP1204221A1 (ko)
JP (1) JP3338421B2 (ko)
KR (1) KR20020026476A (ko)
CN (1) CN1381104A (ko)
AU (1) AU5262601A (ko)
WO (1) WO2001084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191A (ja) * 2001-01-19 2004-10-14 Yozan Inc Ds−cdmaシステムにおけるパスサーチ方法および受信装置
KR100710667B1 (ko) * 2005-12-30 2007-04-2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의 경계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065B2 (ja) * 1997-09-11 2000-10-03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信号のレイク受信方法およびレイク受信装置
JPH11251985A (ja) * 1998-02-27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3683128B2 (ja) * 1999-07-06 2005-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機の消費電力制御方法
JP3322246B2 (ja) * 1999-07-21 2002-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スサーチ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262601A (en) 2001-11-12
JP3338421B2 (ja) 2002-10-28
EP1204221A1 (en) 2002-05-08
CN1381104A (zh) 2002-11-20
US20020154714A1 (en) 2002-10-24
JP2001313592A (ja) 2001-11-09
WO2001084742A1 (fr)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344B1 (ko) 이동국 장치 및 통신 상대 선택 방법
JP4193900B2 (ja) Cdma受信装置および方法
US20070224996A1 (e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path search method
KR1007581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초기 셀 검색 방법
KR100335689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무선 수신 방법
KR1999006992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시간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0355327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 방법
JP2001308743A (ja) Cdma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受信機
EP0964529A2 (en) Channel estim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385802B1 (ko) Cdma 수신 장치 및 cdma 수신 방법
EP1124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reception
JP2000156656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アンテナ切替方法
KR20020026476A (ko) 무선 수신 장치와 무선 수신 방법, 통신 단말 장치 및 기지국 장치
KR20000012033A (ko) 부호분할다중액세스이동통신시스템의랜덤액세스채널수신장치
US6788669B1 (en) CDMA demodul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327973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時刻推定方法
FI117779B (fi) Menetelmä ja laite signaalin tunnistamiseksi ja kanavan estimoimiseksi useita antenneja käyttäen
JP4699203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1233561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JP3588043B2 (ja) 受信装置及び自動周波数制御方法
KR100725276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수신기
JP2001235529A (ja) 無線端末位置測定装置
JP4358977B2 (ja) 無線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76759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ssing parameters to rake receiver
EP1026907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