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335A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335A
KR20020026335A KR1020020013827A KR20020013827A KR20020026335A KR 20020026335 A KR20020026335 A KR 20020026335A KR 1020020013827 A KR1020020013827 A KR 1020020013827A KR 20020013827 A KR20020013827 A KR 20020013827A KR 20020026335 A KR20020026335 A KR 2002002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user
series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학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최재학
주식회사 하이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학, 주식회사 하이홈 filed Critical 최재학
Publication of KR2002002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35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복표의 당첨여부를 기 확인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복표를 구매한 이용자들이 시스템 자체에 의한 일련의 "신규 추첨"에 다시 한번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이 향상되는 경우, 이에 비례하여, 해당 이용자들의 복표 재 구매율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 전체적인 온라인 복표 시장은 종래에 비해, 크게 활성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a lottery ticket based on the on-line network}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복표의 당첨사실을 기 확인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부여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이용자들이 시스템 자체에 의한 일련의 신규 추첨에 다시 한번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예컨대, 복권, 쿠폰 등과 같은 복표를 구매하는 이용자층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복표 관리 시스템이 온라인(On-line) 상에서 개설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6494 호 "인터넷을 이용한 복권사업 운용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6878 호 "인터넷 즉석복권",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42098 호 "복권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58806 호 "인터넷상에서의 복권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59160 호 "포인트점수를 이용한 복권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통상,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 체제하에서, 구매 복표에 대한 복표관리업체측의 추첨 기회는 단지 한번만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복표 구매자들은 자가 구매복표의 당첨 또는 낙첨 사실이 일단 확인되면, 별도의 재 추첨 기회 없이, 결과에 승복할 수밖에 없으며, 이 상태에서, 해당 복표 구매자가 복표 추첨에 한번 더 참여하기 위해서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새로운 복표를 재 구매할 수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의 경우, 복표 낙첨자들을 위한 별도의 구제체계를 전혀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체제하에서, 복표에 낙첨된 많은 이용자들은 낙첨 사실이 확인되는 즉시, 복표 구매 자체에 대한흥미를 잃고 있으며, 그 여파로, 해당 이용자들은 복표의 재 구매를 아예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 하에서, 이용자들의 복표 재 구매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우, 그 영향은 고스란히 온라인 복표 시장에 미칠 수밖에 없으며, 결국,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대처방안이 강구되지 않는 한, 종래의 온라인 복표 시장은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표의 당첨여부를 기 확인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재차 부여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복표를 구매한 이용자들이 시스템 자체에 의한 일련의 신규 추첨에 다시 한번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 향상을 통해, 해당 이용자들의 복표 재 구매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온라인 복표 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웹 페이지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망에 접속중인 임의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한 일련의 당첨확인 프로세스를 완료한후, 해당 이용자의 재 추첨 참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를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앞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에 대응되는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하는 단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반환경을 이루는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100)은 크게, D/B 블록(110), D/B 관리 서버(116),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앞의 D/B 블록(110)에는 이용자 정보 D/B(111), 당첨정보 D/B(112), 재 추첨 정보 D/B(113), 웹 운영정보 D/B(114), 메시지 운영정보 D/B(115) 등이 배치된다.
이때, 이용자 정보 D/B(111)에는 예컨대, "이용자 인증 아이디, 이용자 비밀번호, 이용자 성명, 이용자 주소, 이용자 메일계정, 이용자 복표 구매이력, 이용자 결제이력,‥‥" 등과 같은 일련의 이용자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당첨정보 D/B(112)에는 예컨대, "당첨자 성명, 당첨 복표 번호, 당첨자 주소, 당첨자 연락처, 당첨자 메일계정,‥‥" 등과 같은 일련의 당첨 관련 정보가 저장되고, 재 추첨 정보 D/B(113)에는 예컨대, "재 추첨 대상 복표 정보, 재 추첨 참여자 정보, 재 추첨 진행정보, 재 추첨 당첨결과 정보,‥‥" 등과 같은 일련의 재 추첨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함께, 웹 운영정보 D/B(114)에는 예컨대, "온라인 페이지 그래픽 정보, 온라인 페이지 설정 정보,‥‥" 등과 같은 웹 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한 일련의 웹 운영 관련 정보가 저장되며, 메시지 운영정보 D/B(115)에는 예컨대, "자동응답 음성정보, 자동응답 설정정보‥‥" 등과 같은 자동응답 메시지를 운영하기 위한 일련의 메시지 운영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앞의 D/B 관리 서버(116)는 상술한 이용자 정보, 당첨정보, 재 추첨 정보, 웹 운영정보, 메시지 운영 정보 등을 D/B 블록(110)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앞의 이용자 정보 D/B(111), 당첨정보 D/B(112), 재 추첨 정보 D/B(113), 웹 운영 정보 D/B(114), 메시지 운영정보 D/B(115) 등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 서버(116)는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당첨정보 관리모듈(105),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등을 매개로, D/B 관리 서버(116)를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이용자 정보, 당첨정보, 웹 운영 정보 등의 저장 및 추출 여부가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앞의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재 추첨 정보 관리 모듈(106),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 등을 매개로, D/B 관리 서버(116)를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재 추첨 정보, 웹 운영정보, 메시지 운영정보 등의 저장 및 추출 여부가 상술한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와 다른 루틴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D/B 관리 서버(116)와의 관계와 함께, 상술한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은 제 1·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3,104)을 매개로 하여, 임의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과도 긴밀한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한다.
이때, 이용자는 예컨대, PC, PDA 등과 같은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로그인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 이용자측 통신기, 예컨대,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로그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용자의 시스템(100) 로그인 경로는 해당 이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를 활용하여, 시스템(100)에 로그인 하는 경우,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은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웹 운영정보 D/B(114) 등을 통한, 일련의 웹 페이지 운영과정을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일련의 온라인 복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이와 달리, 이용자가 유선 전화기(2), 무선 전화기(3) 등을 활용하여, 시스템(100)에 로그인 하는 경우,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은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 메시지 운영정보 D/B(115) 등을통한, 일련의 자동응답 메시지 운영과정을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에게 일련의 온라인 복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환경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으로부터 일련의 "시스템 로그인 이벤트",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 등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당첨정보 관리모듈(105),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 등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예컨대, 이용자 로그인 관리 프로세스, 복표 당첨확인 가이드 프로세스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총괄·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기반환경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으로부터 일련의 "복표 재 추첨 참여 이벤트",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 등이 발생하는 경우,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 등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예컨대, 복표 재 등록 프로세스, 재 추첨 복표 당첨확인 프로세스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시키는 역할을 총괄·진행한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시스템(100)에 접속중인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 이벤트 데이터를 상술한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처리하여, 이 정보들을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이와 함께,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은 예컨대, 통신 게이트웨이(4)를 통해 시스템(100)에 접속중인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 음성 데이터를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자동응답 정보들을 처리하여, 이 정보들을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으로 전달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여기서, 상술한 당첨정보 관리모듈(105)은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의 제어 하에, 예컨대, 당첨정보 D/B(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당첨정보를 탄력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복표 당첨확인 가이드 프로세스"의 실질적인 진행을 전담하며, 재 추첨 정보 관리 모듈(106)은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의 제어 하에, 예컨대, 재 추첨 정보 D/B(1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재 추첨 정보를 탄력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복표 재 등록 프로세스", "재 추첨 복표 당첨확인 프로세스" 등의 실질적인 진행을 전담한다.
또한,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 등은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의 제어 하에, 예컨대, 이용자 정보 D/B(111), 웹 운영정보 D/B(114), 메시지 운영정보 D/B(115) 등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이용자 정보, 웹 운영정보, 메시지 운영정보 등을 탄력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등의 세부적인 운영사항을 총괄적으로 보조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 내에는 앞의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 뿐만 아니라, D/B 관리 서버(116)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재 추첨 운영서버(109)가 더 배치된다. 이 경우, 재 추첨 운영 서버(109)는 임의의 이용자들이 구매한 복표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 복권업체들과 무관하게, 일련의 추첨 프로세스를 시스템(100) 자체적인 규칙에 따라 진행함으로써, 해당 이용자들이 "복권업체측의 추첨"에서 당첨/낙첨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동일 복표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다시 한번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반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 추첨 운영 서버(109)의 재 추첨 진행 결과는 D/B 관리 서버(116)를 통해, 예컨대, 재 추첨 정보 D/B(113)에 실시간으로 저장·반영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본 발명 고유의 복표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일련의 온라인 복표 구매과정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이용자는 예컨대,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를 활용하여, 본 발명의 온라인 복표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는 전산환경을 미리 준비한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를 매개로, 일련의 로그인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와 순차적으로 웹 페이지를 교환함으로써, 자신의 회원가입 여부를 인증 받는다(단계S100).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일련의 이용자 로그인 과정이 완료되면,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을 활용하여, 웹 운영정보 D/B(114)에 저장되어 있던 웹 운영정보를 추출한 후, 이 웹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일련의 초기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초기 페이지를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 경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된 초기 페이지(201)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온라인 복표 활용과정을 자유롭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반환경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이용자는 예컨대, 초기 페이지(201)의 당첨확인 항목(202)을 선택하여, 일련의 당첨 확인 프로세스(단계 S101)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스템(100)측의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당첨 관리 모듈(105), 당첨정보 D/B(112) 등을 활용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와 순차적으로 웹 페이지를 교환함으로써, 이용자의 복표 당첨확인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물론, 이러한 이용자의 당첨 확인 프로세스는 시스템(100)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당첨 확인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이러한 당첨 확인 완료 사실을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로 통지한다.
위 단계를 통해,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로부터 이용자의 당첨 확인 완료 사실이 통보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을 활용하여, 웹 운영정보 D/B(1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웹 운영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웹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일련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를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
이 경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204a,204b)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복권업체측의 추첨에 응모하여, 당첨 또는 낙첨된 이용자가 동일 복표를 매개물로 하여,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다시 한번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앞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204a,204b)에 대응되는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때, 이용자가 재 추첨 참여를 원하지 않아,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별도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별도의 절차 없이, 예컨대,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204a,204b)의 재 추첨 참여항목(205a,205b)을 선택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재 추첨 정보 D/B(1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재 추첨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한다(단계 S3).
이러한 등록과정이 완료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을 활용하여, 웹 운영정보 D/B(1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웹 운영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웹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일련의 당첨 확인절차 가이드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당첨 확인절차 가이드 페이지를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4).
이 경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당첨 확인절차 가이드 페이지(206)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자신의 당첨 여부를 언제 확인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추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용자는 복표의 당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스템(100)에 재 로그인 하게 되며, 이 경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에는 앞의 초기 페이지(201)가 다시 게시된다(단계 S102).
이 상태에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때, 이용자가 복표의 당첨확인을 위한 별도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별도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예컨대, 별도의 절차없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초기 페이지(201)의 재 추첨 확인 항목(203)을 선택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예컨대, 재 추첨 정보 D/B(113)에 저장되어 있는 재 추첨 진행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6).
이어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앞의 재 추첨 진행정보를 토대로 하여, 재 추첨 프로세스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재 추첨 운영 서버(109)에 의한 재 추첨 프로세스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을 활용하여, 예컨대, "귀하께서 참여하신 복권의 추첨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사오니, 좀더‥‥" 등과 같은 일련의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오류 메시지를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8).
그러나, 재 추첨 운영 서버(109)에 의한 일련의 재 추첨 프로세스가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재 추첨 정보 D/B(1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재 추첨 당첨결과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재 추첨 당첨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용자의 복표가 당첨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S10).
이때, 이용자의 복표가 낙첨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 대상 이용자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이때, 복표 재 추첨 참여 제한횟수가 예컨대, 5회인데 반해, 이용자의 복표 재 추첨 참여횟수가 6회째 이어서,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 대상 이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예컨대, 별도의 절차 진행 없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복표 재 추첨 참여 제한횟수가 5회이고, 이용자의 복표 재 추첨 참여횟수가 이보다 적은 3회째 이어서,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 대상 이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플로우를 앞서 언급한 단계 S1로 리턴시킴으로써,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복표 재 추첨 서비스를 한번 더 진행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10에서, 이용자의 복표가 당첨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예컨대, 당첨정보 D/B(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당첨정보를 갱신함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추후에 적절한 경품 또는 상품을 지급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단계 S12).
이어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을 활용하여, 웹 운영정보 D/B(1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웹 운영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이 완료된 웹 운영정보를 활용하여, 일련의 당첨통지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당첨통지 페이지를 제 1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3).
이 경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된 당첨통지 페이지(207)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에서 당첨되었다"는 사실을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후,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8)는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상술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 웹 운영정보 관리모듈(107), D/B 관리 서버(116) 등을 긴밀하게 연계시켜, 당첨 확인이 기 진행된 복표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재 추첨 운영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온라인 복표룰 좀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복표 관리방법에서, 이용자는 이용자측 통신기, 예컨대, 이용자측 유선 전화기(2), 이용자측 무선 전화기(3) 등을 매개로, 일련의 로그인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와 순차적으로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자신의 회원 가입여부를 인증 받는다(단계 S200).
이러한 로그인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용자는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의 버튼을 선택하여, 일련의 당첨 확인 프로세스(단계 S201)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스템(100)측의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당첨 관리 모듈(105), 당첨정보 D/B(112) 등을 활용하여, 이용자측 클라이언트(1)와 순차적으로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이용자의 복표 당첨확인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물론, 이러한 이용자의 당첨 확인 프로세스는 시스템(100)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당첨 확인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는 그 즉시, 이러한 당첨 확인 완료 사실을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로 통지한다.
위 단계를 통해, 온라인 복표 관리 서버(101)로부터 이용자의 당첨 확인 완료 사실이 통보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을 활용하여, 메시지 운영정보 D/B(115)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지를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1).
이 경우,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예컨대, "김XX님이 구입하신 제 121회 XX복권이 당첨(낙첨)되었습니다. 본 시스템에서는 담첨(낙첨)된 복권을 대상으로 재 추첨 이벤트를 진행하오니‥‥" 등과 같은 내용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시킴으로써, 복권업체측의 추첨에 응모하여, 당첨 또는 낙첨된 이용자가 동일 복표를 매개물로 하여,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다시 한번 획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상태에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앞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에 대응되는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
이때, 이용자가 재 추첨 참여를 원하지 않아,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별도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별도의 절차 없이, 예컨대,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재 추첨 참여를 결정하여,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재 추첨 정보 D/B(1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재 추첨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한다(단계 S23).
이러한 등록과정이 완료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을 활용하여, 메시지 운영정보 D/B(115)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당첨 확인절차 가이드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당첨 확인절차 가이드 메시지를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4).
이 경우,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되는예컨대, "김XX님이 구입하신 제 121회 XX복권이 재 추첨 대상으로 접수‥‥당첨여부는 20XX.2.x~2.X 사이에 본 시스템을 통해 확인 가능‥‥"과 같은 내용을 담은 당첨 확인절차 가이드 메시지를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자신의 당첨 여부를 언제 확인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추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용자는 복표의 당첨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 S202를 통해, 시스템(100)에 재 로그인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5).
이때, 이용자가 복표의 당첨확인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별도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예컨대, 별도의 절차없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이용자가 복표의 당첨확인을 위한 버튼을 선택하여,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예컨대, 재 추첨 정보 D/B(113)에 저장되어 있는 재 추첨 진행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26).
이어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앞의 재 추첨 진행정보를 토대로 하여, 재 추첨 프로세스의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7).
이때, 재 추첨 운영 서버(109)에 의한 재 추첨 프로세스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을 활용하여, 예컨대, "귀하께서 참여하신 복권의 추첨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사오니, 좀더‥‥" 등과 같은 일련의 오류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오류 메시지를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28).
그러나, 재 추첨 운영 서버(109)에 의한 일련의 재 추첨 프로세스가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재 추첨 정보 D/B(113)에 기 저장되어 있던 재 추첨 당첨결과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재 추첨 당첨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용자의 복표가 당첨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9,S30).
이때, 이용자의 복표가 낙첨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 대상 이용자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이때, 복표 재 추첨 참여 제한횟수가 예컨대, 5회인데 반해, 이용자의 복표 재 추첨 참여횟수가 6회째 이어서,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 대상 이용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예컨대, 별도의 절차 진행 없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그러나, 복표 재 추첨 참여 제한횟수가 5회이고, 이용자의 복표 재 추첨 참여횟수가 이보다 적은 3회째 이어서,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 대상 이용자인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플로우를 앞서 언급한 단계 S21로 리턴시킴으로써, 이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복표 재 추첨 서비스를 한번 더 진행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30에서, 이용자의 복표가 당첨된 것으로 판단되면,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그 즉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을 활용하여, 예컨대, 당첨정보 D/B(112)에 기 저장되어 있던 당첨정보를 갱신함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추후에 적절한 경품 또는 상품을 지급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한다(단계 S32).
이어서,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2)는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을 활용하여, 메시지 운영정보 D/B(114)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일련의 당첨통지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당첨통지 메시지를 제 2 인터페이스 모듈(104)을 매개로 하여,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 전송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33).
이 경우,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는 시스템(100)측으로부터 전송된 예컨대, "김XX님께서 재 추첨 의뢰하신 제 121회 XX복권이 당첨되었‥‥경품이 제공‥‥" 등과 같은 내용의 당첨통지 메시지를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복표 재 추첨에서 당첨되었다"는 사실을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후, 복표 재 추첨 관리 서버(108)는 이용자측 유/무선 전화기(2,3)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될 때마다, 상술한 재 추첨 정보 관리모듈(106), 메시지 운영정보 관리모듈(108), D/B 관리 서버(116) 등을 긴밀하게 연계시켜, 당첨 확인이 기 진행된 복표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재 추첨 운영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온라인 복표룰 좀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표의 당첨여부를 기 확인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재 추첨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모듈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복표를 구매한 이용자들이 시스템 자체에 의한 일련의 "신규 추첨"에 다시 한번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용자들의 복표 구매의욕이 향상되는 경우, 이에 비례하여, 해당 이용자들의 복표 재 구매율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경우, 전체적인 온라인 복표 시장은 종래에 비해, 크게 활성화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온라인망에 접속중인 임의의 이용자측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한 일련의 당첨확인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 해당 이용자의 재 추첨 참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를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재 추첨 참여 가이드 페이지에 대응되는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재 추첨 진행정보를 검색하여, 재 추첨 프로세스의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재 추첨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해당 재 추첨 결과를 추출하여,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가 당첨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가 당첨된 경우, 기 저장되어 있던 당첨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일련의 당첨 통지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이 완료된 당첨 통지 페이지를 상기 이용자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3. 통신망에 접속중인 임의의 이용자측 통신기의 요청에 의한 일련의 당첨확인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 해당 이용자의 재 추첨 참여를 가이드 하기 위한 일련의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지를 상기 이용자측 통신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 통신기로부터 상기 재 추첨 참여 가이드 메시지에 대응되는 일련의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 통신기로부터 상기 재 추첨 참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해당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표를 재 추첨 대상 복표로 등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이용자측 통신기로부터 일련의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측 통신기로부터 상기 재 추첨 대상 복표 당첨확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련의 재 추첨 진행정보를 검색하여, 재 추첨 프로세스의 완료 여부를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재 추첨 프로세스가 완료된 경우, 해당 재 추첨 결과를 추출하여,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가 당첨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이용자가 구매한 복표가 당첨된 경우, 기 저장되어 있던 당첨정보를 갱신함과 아울러, 일련의 당첨 통지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이 완료된 당첨 통지 메시지를 상기 이용자측 통신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KR1020020013827A 2002-02-09 2002-03-14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KR20020026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736 2002-02-09
KR20020007736 2002-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35A true KR20020026335A (ko) 2002-04-09

Family

ID=19719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827A KR20020026335A (ko) 2002-02-09 2002-03-14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633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733A (ko) * 2000-07-18 2001-02-05 권대웅 추첨된 복권의 미당첨번호에 대한 재추첨 방법
KR20010054425A (ko) * 1999-12-06 2001-07-02 곽석 웹사이트내에서의 복권 추첨 방법
KR20010067000A (ko) * 2000-11-13 2001-07-12 김응천 낙첨 복권에 대한 온라인 재추첨 방법
KR20030006726A (ko) * 2001-07-14 2003-01-23 학교법인 호서학원 낙첨복권의 재추첨을 통한 복권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425A (ko) * 1999-12-06 2001-07-02 곽석 웹사이트내에서의 복권 추첨 방법
KR20010007733A (ko) * 2000-07-18 2001-02-05 권대웅 추첨된 복권의 미당첨번호에 대한 재추첨 방법
KR20010067000A (ko) * 2000-11-13 2001-07-12 김응천 낙첨 복권에 대한 온라인 재추첨 방법
KR20030006726A (ko) * 2001-07-14 2003-01-23 학교법인 호서학원 낙첨복권의 재추첨을 통한 복권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823B2 (en) Processing of a game-playing transaction based on location
US82264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warding group participation in lottery games
US11776355B2 (en) Processing of a game-playing transaction based on location
US20020155885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user community where users can bet against each other
US20090177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based rewards system using interactive devices and software
US10217326B2 (en) Processing of a user device game-playing transaction based on location
EA014195B1 (ru) Мобильная лотерея
JP2008504911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方法
EA005452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компьютерной игры
KR20130036855A (ko) 스마트 기기를 위한 포인트 기반 대전 게임용 게임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US10467858B2 (en) Social media instant win method and system
KR20020026335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복표 관리방법
KR20000072417A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복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24231A1 (en) Electronic attendance challenge
RU71199U1 (ru) Система проведения моментальной лотереи для абонентов сетей мобильной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AU2019271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at a gaming device is communicating with a gaming server
KR20000054418A (ko) 가상화폐 활성화를 위한 리서치 및 퀴즈 방식의 지식 정보제공 형태를 가진 씨 투 씨형 게임 시스템 및 방법
EP1441297A1 (en) Distributed lottery game
US200902701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a ring-in game
KR20160015461A (ko) 행운권 추첨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03379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окупк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в сети интернет с помощью лотереи
JP5941779B2 (ja) 遊技場用システム
KR20170136241A (ko) 에스엔에스를 이용한 당첨금 처리 방법
KR20040107175A (ko) 게임 경쟁을 통한 최저가 제품구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그 방법
RU2408932C2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одель игровой системы как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нтерактивной sms-игр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