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602A -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25602A KR20020025602A KR1020000057526A KR20000057526A KR20020025602A KR 20020025602 A KR20020025602 A KR 20020025602A KR 1020000057526 A KR1020000057526 A KR 1020000057526A KR 20000057526 A KR20000057526 A KR 20000057526A KR 20020025602 A KR20020025602 A KR 20020025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p
- case part
- stopper
- crops
- cra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강종 크롭의 냉각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크롭을 처리할 수 있는 연속주소 시 발생된 크롭의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어 크롭을 수용하고 상부에 러그가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측에 스톱퍼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와이어를 상기 스톱퍼와 상기 러그 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하며, 상기 크레인으로 상기 케이스부를 들어 올리면 상기 스톱퍼가 개방측을 막도록 구성되는 크롭 낙하 방지부와; 상기 러그 측의 와이어에 잠금 키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적소에 힌지 회동 가능한 터치 바를 상기 잠금 키와 연결시킴과 동시에 설치하며, 상기 크롭이 케이스부의 내부로 수용 시 상기 터치 바를 밀게 되면 상기 잠금 키가 해제되어 상기 크레인에 의한 와이어의 당김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해제부와; 상기 크롭박스에 걸쳐지는 고정판이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채 격발 가능한 타격수단이 설치되는 크롭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주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연속주조 시 작업 주편의 선말단에 개입된 이(異) 강종을 냉각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주조는 직접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분괴공정을 생략한 연주법으로 특징은 설비비 삭감 외에 에너지절감, 제품실수율향상, 제품생산 원가절감, 납기단축 등 큰 이점이 있으며 자동화, 기계화가 용이한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인발되어 나오는 주편은 토치 커팅 머신에 의해 초주편, 중간주편, 말주편으로 구분하여 절단한다.
여기서 중간주편은 정정작업을 거쳐 후공정으로 불출이 되지만 초, 말주편(이하 크롭이라 칭함)은 전기로로 회수하여 재 장입을 통한 고철로 이용된다.
이 과정에서 크롭의 강종별 성분이 일치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크롭(C)을 크롭 리모블카(2)에 태우고, 크롭 리모블카(2)를 크롭 절단위치에서 배출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시킨 상태에서 크롭 리모블카(2)를 경동시키면 크롭(C)이 배출판(4)을 따라 크롭박스(6) 내부로 채워진다.
하지만 강종별 성분이 상이한 경우 하나의 크롭박스(6)에 서로 다른 크롭(C)을 함께 채워 넣지 않고, 각각의 강종에 해당하는 크롭박스(6)로 분류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정상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표면온도 약 800도 이상 고온의 크롭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롭(C)을 쉬프팅 테이블 말단 위치(8)에서 충분히 냉각시키고 나서 크롭 처리용 와이어(10)를 이용한 처리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시간이 촉박할 경우에는 크롭 리모블카(2) 상부의 크롭(C)을 크롭 공냉적치대(12)로 이동시켜 냉각시킨 후 크롭 처리용 와이어(10)를 이용해 처리하며, 이렇게 크롭 공냉적치대(12)에 크롭(C)을 이동시켜 처리하는 이유는 크롭 리모블카(2)가 후속작업인 크롭 절단작업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크롭을 와이어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크롭 처리용 와이어가 크롭에 의해 열화되어 끊어져서, 크롭 운반 시 크롭이 추락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는 크롭이 냉각되었다고는 하나 상온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인 상태에서 크롭 처리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크롭을 반복해서 처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시 주도되어 나오는 주편의 크롭 절단을 위해서 빠른 시간 내에 이미절단된 크롭을 처리 되어야만 하나 처리시간의 여유가 적어 작업자의 심적, 육체적 피로가 가중되고, 이런 상태에서 일을 서두르다 더 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강종 크롭의 냉각시간의 지연을 방지하고 안전한 처리작업을 위해 열간 상태에서의 크롭을 처리할 수 있는 연속주소 시 발생된 크롭의 운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롭 운반장치가 배치된 전체 작업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롭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롭 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롭 운반장치에서 크롭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크롭의 운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크롭의 운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크롭 H...크레인 후크
100...케이스부 106...지지판
108...러그 200...크롭 낙하 방지부
202...후크 걸이판 204...스톱퍼
300...잠금 해제부 302...잠금 키
304...터치 바 400...크롭 배출부
402...고정판 404...타격수단
406...걸이대 408...거치홈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되어 크롭을 수용하고 상부에 러그가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개방측에 스톱퍼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와이어를 상기 스톱퍼와 상기 러그 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하며, 상기 크레인으로 상기 케이스부를 들어 올리면 상기 스톱퍼가 개방측을 막도록 구성되는 크롭 낙하 방지부와; 상기 러그 측의 와이어에 잠금 키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적소에 힌지 회동 가능한 터치 바를 상기 잠금 키와 연결시킴과 동시에 설치하며, 상기 크롭이 케이스부의 내부로 수용 시 상기 터치 바를 밀게 되면 상기 잠금 키가 해제되어 상기 크레인에 의한 와이어의 당김을 가능하게 하는 잠금 해제부와; 상기 크롭박스에 걸쳐지는 고정판이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채 격발 가능한 타격수단이 설치되는 크롭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롭 운반장치가 배치된 전체 작업라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롭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크롭의 운반장치는 케이스부(100)와, 크롭 낙하 방지부(200)와, 잠금 해제부(300)와, 크롭 배출부(400)로 이루어진다. 이 장치를 각 부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부(100)는 다수의 빔을 용접하여 제작하되 일측(102)이 개방되게 하고 내부에는 크롭(C)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개방측(102)의 하단에는 슬라이드 경사면(104)이 형성되어 크롭(C)이 슬라이드 경사면(104)을 타고 원활하게 수용공간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부(100)의 상부에는 복수의 지지판(106)이 설치되며, 지지판(106)의 하부에는 관통공(106a)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판(106)의 상부를 가로질러 러그(108)가 설치된다.
러그(108)에는 케이스부(100)의 수용공간으로 진입된 크롭(C)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크롭 낙하 방지부(200)가 설치된다.
이 크롭 낙하 방지부(200)는 상술한 러그(108) 측에 후크 걸이판(202)을 설치하고, 스톱퍼(204)를 케이스부(100)의 개방 측(102)에 설치하며, 후크 걸이판(202)과 스톱퍼(204)를 와이어(206)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후크 걸이판(202)은 러그(108)를 관통한 고정볼트(208)의 끝단에 설치되며, 고정볼트(208)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후크 걸이판(202)을 탄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후크 걸이판(202)의 양측 적소에는 각각 와이어(206)의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206)는 지지판(106)의 관통공(106a)을 통과하여 다수의 롤러(210)를 거치며, 와이어(206)의 끝단은 스톱퍼(204)에 연결된다.
상술한 스톱퍼(204)는 케이스부(100)의 개방측(102) 하부에 내삽되어지며, 스톱퍼(204)의 양단 적소에 와이어(206)의 끝단이 연결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크롭 낙하 방지부(200)는 잠금 해제부(300)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다.
잠금 해제부(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러그(108) 측에 잠금 키(302)를 설치하고, 케이스부(100)의 하부에 터치 바(304)를 힌지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잠금 키(302)와 터치 바(304)를 와이어(306)로 연결하여 터치 바(304)의 젖혀지는 작동에 의해 잠금 키(302)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잠금 키(302)는 일단이 후크 걸이판(202)에 힌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러그(108) 측에 스프링 연결되어 있다.
한편 터치 바(304)는 회전축(304a)이 케이스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축(304a)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로드(304b)가 형성된다.
로드(304b)의 중간은 케이스부(100)에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잠금 해제부(300)는 케이스부(100)의 수용공간으로 진입된 크롭(C)이 터치 바(304)를 밀게 되면 와이어(306)로 연결된 잠금 키(302)가러그(108)에서 이탈되고, 이때서야 후크 걸이판(202)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크롭 배출부(4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0)의 후측에 설치되어 운반장치의 안정된 위치 선점과 케이스부(100) 내부의 크롭을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크롭 배출부(400)는 케이스부(10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판(402)과, 상기 고정판(402)의 적소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채 격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타격수단(40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402)은 케이스부(100)에 스프링(402a)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판(402)의 측면에는 걸이대(406)가 결합되어 이 걸이대(406)와 고정판(402) 사이에 거치홈(408)이 형성된다.
이 거치홈(408)은 크롭박스(6)의 측벽에 기워져 운반장치의 크롭 배출자세를 확보케 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크롭 운반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롭(C)이 쉬프팅 테이블의 말단(8)에 위치한 크롭 리모블카(2)의 상부에서 절단되고, 절단된 크롭(C)을 실은 크롭 리모블카(2)는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다가 본 발명에 따른 크롭 운반장치 앞에 멈추게 된다.
이렇게 멈춘 상태에서 크롭(C)은 푸시용 유압실린더에 의해 밀려 케이스부 (100)의 수용공간 내부로 진입된다.
이때 케이스부(100)의 개방측(102)에 형성된 슬라이드 경사면(104)은 크롭(C)의 진입을 원활하게 한다.
수용공간에 진입된 크롭(C)은 로드(304b)를 밀어서 뒤로 젖히게 하고, 그 결과 와이어(306)로 연결된 잠금 키(302)도 함께 젖혀지게 되어 잠금 키(302)가 러그(108)에서 이탈된다.
잠금 키(302)가 러그(108)에서 이탈되면, 크레인 후크(H)를 후크 걸이판 (202)에 건 후 상부로 권상시킨다.
그러면 크롭 운반장치의 하중에 의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와이어(206)를 당기게 되고, 당겨진 와이어(206)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204)가 상승되어 케이스부(100)의 개방측(102)에 턱을 형성한다.
이것은 수용공간으로 진입한 크롭(C)이 개방측(102)을 통해 외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이 작동하여 크롭 운반장치를 크롭박스(6)로 이동시킨 후 거치홈(408)이 크롭박스(6)의 측벽에 끼워지도록 크레인을 풀어 크롭 운반장치를 하강시킨다.
크롭박스(6)에 거치된 크롭 운반장치는 압축되었던 크롭 낙하 방지부(200)의 스프링이 원상복귀되면서 당겼던 와이어(206)를 풀게 되고, 그 결과 개방측(102)을 막고 있던 스톱퍼(204)도 하강되어 크롭(C)은 배출 가능상태가 된다.
특히 크롭 운반장치가 크롭박스(6)에 거치된 상태는 고정판(408)이 설치된 측이 크롭박스(6)의 측벽에 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부(100)의 개방측(102)이 자연스럽게 크롭박스(6)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타격수단(404)이 크롭(C)을 치게 되면 크롭(C)은 크롭박스(6)의 내부로 투하된다.
크롭(C)이 투하되면 케이스부(100)의 터치 바(304)는 원상 복귀됨과 동시에 크롭 낙하 방지부(200)의 스프링도 복귀되고, 잠금 키(302)도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어 러그(108)의 내부로 진입된다.
이어서, 크레인 후크(H)를 후크 걸이판(202)에 건 후, 크레인을 작동시켜 크롭 운반장치를 최초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이 완료되면 다른 크롭이 재 삽입시의 준비단계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크롭을 와이어로 처리하지 않고 크롭 운반장치의 내부에 수용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와이어의 열화로 인한 끊김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크롭 운반 시 크롭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크롭의 낙하가 방지되어 작업라인의 진행을 중단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크롭이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크롭 운반장치에 적재하여 운반해도 되기 때문에 작업 진행이 원활해진다.
Claims (1)
- 티씨엠에 의해 리모블카 상부에서 절단된 크롭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크롭박스로 운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크롭을 수용하고 상부에 러그가 설치되는 케이스부와;상기 케이스부의 개방측에 스톱퍼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와이어를 상기 스톱퍼와 상기 러그 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하며, 상기 크레인으로 상기 케이스부를 들어 올리면 상기 스톱퍼가 개방측을 막도록 구성되는 크롭 낙하 방지부와;상기 러그 측의 와이어에 잠금 키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적소에 상기 잠금 키와 연결되는 터치 바가 힌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크롭이 케이스부의 내부로 수용 시 상기 터치 바를 밀게 되면 상기 잠금 키가 해제되어 상기 크레인에 의한 와이어의 당김을 가능케 하는 잠금 해제부와;상기 크롭박스에 걸쳐지는 고정판이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스프링으로 탄지된 채 격발 가능한 타격수단이 설치되는 크롭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7526A KR20020025602A (ko) | 2000-09-29 | 2000-09-29 |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7526A KR20020025602A (ko) | 2000-09-29 | 2000-09-29 |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25602A true KR20020025602A (ko) | 2002-04-04 |
Family
ID=1969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7526A KR20020025602A (ko) | 2000-09-29 | 2000-09-29 |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25602A (ko) |
-
2000
- 2000-09-29 KR KR1020000057526A patent/KR2002002560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80344A (en) | System for cooling large, hot metal slabs | |
US5127567A (en) | Rail processor | |
US8167025B2 (en) | Dummy bar for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KR20020025602A (ko) | 연속주조 시 발생된 크롭 운반장치 | |
JPH08150438A (ja) | 鋳造装置 | |
US4121652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a starter bar having a starter bar head from a hot strand crop-end in a continuous casting plant | |
KR100978714B1 (ko) | 강재 이송 가이드 장치 | |
US3198570A (en) | Ingot flipper tongs | |
JP2687990B2 (ja) | スクラップ処理設備 | |
KR101817568B1 (ko) | 스크랩의 배출이 용이한 버킷장치 | |
KR101142489B1 (ko) | 코크스와프의 코크스 인출장치 | |
KR200177638Y1 (ko) | 연속주조설비 주형의 용강 비산 방지장치 | |
KR100885959B1 (ko) |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 |
KR100782723B1 (ko) | 빌레트 제조용 더미바 헤드 크롭 자동분리장치 | |
KR20070060736A (ko) | 주조 시스템의 소재이송대차 | |
JP3612958B2 (ja) | 出銑口開孔用金棒のストッカ装置 | |
CN209758114U (zh) | 一种废料转运装置 | |
JPH0224620B2 (ko) | ||
KR100822969B1 (ko) | 고중량 롤 이송용 통 크레인 | |
JP5393221B2 (ja) | プレスシステム | |
JP4625871B1 (ja) | 車載用移動式コンテナ | |
US2765934A (en) | Charging car and open hearth plant, including same | |
US3123876A (en) | maring | |
KR100823657B1 (ko) | 래들 용강의 비상 주입장치 | |
JP3100279U (ja) | スラグ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