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446A -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446A
KR20020025446A KR1020000057249A KR20000057249A KR20020025446A KR 20020025446 A KR20020025446 A KR 20020025446A KR 1020000057249 A KR1020000057249 A KR 1020000057249A KR 20000057249 A KR20000057249 A KR 20000057249A KR 20020025446 A KR20020025446 A KR 2002002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roll
shaft
b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911B1 (ko
Inventor
김현진
이종범
Original Assignee
김현진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진, 이종범 filed Critical 김현진
Priority to KR10-2000-005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9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2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starting
    • B65H2301/521Stripping web from roll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배출구(12)와 조작패널(20)을 갖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 및 이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루마리(2) 장착용 장착봉(50); 상기 장착봉(50)에 두루마리(2)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에 개폐자재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30); 상기 케이스(10) 내측 하부에서 회전하며 일정한 폭을 갖추어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풀린 화장지를 일정한 크기로 감는 권취수단(100); 상기 권취수단(100)을 회전시켜 화장지가 감기도록 함과 아울러, 화장지를 감는 권취위치와 상기 배출구(12)측으로의 배출위치로 진퇴시키는 회전 및 진퇴수단(130); 상기 권취수단(100)과 상기 두루마리(2) 사이에서, 상기 권취수단(100)에의 화장지권취를 마무리하기 위하여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상기 권취수단(100)dm로 이어져 있는 화장지의 일중간을 절단하는 컷팅수단(170); 및 상기 구동모터(40), 회전 및 진퇴수단, 및 컷팅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두루마리 화장지가 조작자가 원하는 권수로 잘 정렬된 상태로 접혀 자동적으로 배출되므로 화장지의 사용이 한층 편리하고, 특히 한손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Apparatus for Auto-dispensing Tissue from Toilet Roll}
본 발명은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루마리 화장지가 배출 장치 케이스의 내부에서 자동으로 풀리면서 사용하기 용이한 크기로 말려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두루마리 화장지를 풀은 다음, 다시 사용 용도나 취향에 맞게 일일이 접어 사용하는 종래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특히 한손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루마리 화장지는 일상적인 생활에 있어서 예컨대, 얼굴화장을 지우거나, 용변을 처리하거나, 손에 물기를 닦거나, 혹은 바닥의 작은 오염부분을 닦아내는 등 사용범위가 많아 일상생활에서 늘 가까이 하며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두루마리 화장지를 사용할 때는 양손을 사용하여 두루마리로 감겨 있는 화장지를 적당한 만큼 풀어 사용하기에 알맞은 겹수와 크기로 접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일상생활에서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드물고, 예컨대, 한손에 화장품 등의 오염물이 묻어 있거나, 혹은 한손을 다른 일에 사용하고 있는 등의 경우에는 두루마리 화장지를 풀어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특히, 한손이 없거나 부자연스러운 장애인 또는 노약자 등에 있어서, 나머지 한 손으로는 두루마리 화장지를 접기가 여의치 않아 불편을 느끼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에 두루마리 화장지 사용시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특히 한손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루마리 화장지를 자동으로 풀어 접은 다음 배출하여 주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전체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덮개부재를 열고 케이스의 앞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덮개부재를 제거하고, 케이스의 앞 부분과 옆의 배출구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케이스의 배출구측을 제거한 상태에서 바라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케이스의 앞쪽을 제거한 상태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장착봉 부분과 화장지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장착봉과 모터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화장지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9는 도 6의 화장지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10은 도 6의 화장지량 검출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권취수단과 이 권취수단의 회전 및 진퇴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권취수단과 이 권취수단의 회전 및 진퇴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1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 권취수단과 이 권취수단의 회전 및 진퇴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 11의 우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화장지 컷팅수단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누름레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우측면도
도 18은 도 16의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개폐문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케이스의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정면도
도 21은 도 19의 우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권취수단에 화장지를 감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 4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23은 도 22에서 권취수단에 의한 권취가 끝난 후 컷팅수단에 의하여 화장지를 절단하였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4는 도 23에서 화장지를 컷팅한 후 권추수단을 배출구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서 배출구측에 구비되는 압착수단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26은 도 24의 우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전자제어모듈과 각종의 센서 및 액튜에이터의 관계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두루마리 4 : 전자제어모듈
10 : 케이스 12 : 배출구
14,18 : 고정블럭 16 : 설치블럭
20 : 조작패널 22 : 액정 디스플레이부
24 : 선택버튼 30 : 덮개부재
40 : 구동모터 42 : 회전축
44 : 감속기 50 : 장착봉
52 : 보어홀 54 : 일방향 클러치
60 : 레버축 62 : 지지레버
64 : 탄력스프링 70 : 회전판
72 : 결합공 80 : 위상각 감지센서
82 : 발광소자부 84 : 수광소자부
90 : 가동블럭 92 : 슬라이딩 축
94 : 밀판 96 : 압축스프링
98 : 고정축 100 : 권취수단
110 : 회전바 112 : 지지대
114 : 장축 116 : 요홈
120 : 이동바 122 : 지지대
124 : 장봉 130 : 회전 및 진퇴수단
132 : 모터 134 : 구동풀리
136 : 벨트 140 : 구동축
142 : 제1풀리 144 : 벨트
146 : 피동풀리 150 : 나선봉
152 : 제2풀리 160 :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
162 : 스풀 164 : 리미트 스위치
166 : 접촉판 170 : 컷팅수단
172 : 고정커터 174 : 가동커터
176 : 스크류 180 : 모터
182 : 감속기 184 : 회전축
190 : 감지센서 192 : 캠 프로파일
200 : 누름레버 202 : 액튜에이터
204 : 연결링크 206 : 제1링크
206a : 제2링크 208,208a : 연결공
210 : 개폐문 212 : 가이더
214 : 액튜에이터 216 : 감속기
218 : 축 220 : 레버부재
222 : 장공 224 : 이동축
226 : 닫힘감지스위치 228 : 열림감지스위치
230,232 : 요홈 234 : 제1탄력부재
236 : 제2탄력부재 240 : 풀림감지센서
242 : 발광소자부 244 : 수광소자부
250 : 상부 압착롤러 252 : 하부 압착롤러
254 : 모터 256 : 회동축
258 : 탄력스프링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는, 일측에 배출구와 조작패널을 갖춘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이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루마리 장착용 장착봉; 상기 장착봉에 두루마리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에 개폐자재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 상기 케이스 내측 하부에서 회전하며 일정한 폭을 갖추어 상기 두루마리로부터 풀린 화장지를 일정한 크기로 감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을 회전시켜 화장지가 감기도록 함과 아울러, 화장지를 감는 권취위치와 상기 배출구측으로의 배출위치로 진퇴시키는 회전 및 진퇴수단; 상기 권취수단과 상기 두루마리 사이에서, 상기 권취수단에의 화장지권취를 마무리하기 위하여 상기 두루마리로부터 상기 권취수단으로 이어져 있는 화장지의 일중간을 절단하는 컷팅수단; 및 상기 구동모터, 회전 및 진퇴수단, 및 컷팅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루마리 화장치 자동 배출 장치는, 일측에 배출구(12)와 조작패널(20)을 갖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개폐자재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30)와, 상기 케이스(10)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 및 이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루마리(2) 장착용 장착봉(50)과, 상기 케이스(10) 내측 하부에서 회전하며 일정한 폭을 갖추어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풀린 화장지를 일정한 크기로 감는 권취수단(100)과, 상기 권취수단(100)를 회전시켜 화장지가 감기도록 함과 아울러, 화장지를 감는 권취위치와 상기 배출구(12)측으로의 배출위치로 진퇴시키는 회전 및 진퇴수단(130)과, 상기 권취수단(100)과 상기 두루마리(2) 사이에서, 상기 권취수단(100)에의 화장지권취를 마무리하기 위하여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상기 권취수단(100)로 이어져 있는 화장지의 일중간을 절단하는 컷팅수단(170)과, 상기 구동모터(40), 회전 및 진퇴수단(130), 및 컷팅수단(1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4, 도 26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조작패널(20)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부(22)와 복수의 선택버튼(24)이 구비된다. 상기 선택버튼(24)들은 시작버튼, 화장지의 배출 권수를 선택하기 위한 권수선택버튼과, 모드(자동 또는 수동)선택을 위한 모드선택버튼, 타임 셋업을 위한 타임셋업버튼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며, 이중 적어도 배출권수 선택버튼을 반드시 포함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부(22)에는 전자제어모듈(4)의 제어에 의하여 두루마리(2)에 남아 있는 화장지 량을 디스플레이 하고, 선택된 배출 권수를 디스플레이 하며, 현재 설정된 모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현재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 적어도 현재 남아있는 화장지량 및 배출을 원하는 화장지 권수(겹수)는 반드시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상기 구동모터(40)와 장착봉(50), 및 두루마리 화장지량 검출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의 도면을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와 병행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봉(50)은 그의 중앙 보어홀(52)에 일방향 클러치(54)가 구비되어, 이 일방향 클러치(54)를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축(42)에 삽입식으로 착탈가능하면서 일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축(42)은 감속기(44)에 의하여 감속연결되어 있다.
상기 장착봉(50)에 장착된 두루마리(2)의 화장지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장착봉(50)에 인접하여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블럭(14)에 일측에 지지레버(62)를 갖춘 레버축(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레버축(60)이 탄력스프링(64)으로 회전지지되어 레버축(60)의 지지레버(62)가 상기 장착봉(50)에 장착된 두루마리(2)측으로 탄력밀착되도록 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레버축(60)의 일측에는 회전판(70)이 구비되고, 이 회전판(70)에 인접하여 회전판(70)의 회전위상을 감지함으로써 두루마리(2)에 남아 있는 화장지량을 검출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4)로 검출신호를 인가하는 위상각 감지센서(80)가 구비된다. 이 위상각 감지센서(80)는 본 발명에서는 발광소자부(82)와 수광소자부(84)를 갖는 통상의 투과형 광센서를 복수개로 일정각도로 배치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판(70)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광센서의 수와 빛이 투과되는 개수에 따라 두루마리(2)에 남아 있는 화장지의 량을 검출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를 3개로 구성한 경우에는, 3개의 광센서가 모두 투과되지 않을때는 100% 내지 75%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3개중 1개가 투과할 때는 75% 내지 50%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2개가 투과할 때는 50% 내지 25%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3개가 모두 투과할 때는 화장지가 모두 소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블럭(14)의 일측에 가동블럭(90)이 슬라이딩축(92)으로 회전불가하면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축(92)의 단부에는 두루마리(2)의 측면에 접촉가능한 밀판(94)이 구비되고, 이 밀판(94)과 고정블럭(14) 사이에 압축스프링(96)이 개재되며, 상기 가동블럭(90)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판(70)측을 향한 고정축(98)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70)에는 상기 레버축(60)과 지지레버(62)가 두루마리(2)에 접촉하지 않는 최초위치로 회전된 지점에서 상기 고정축(98)이 이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공(72)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장착봉(50)에 두루마리(2)를 장착하면서 두루마리(2)의 측면으로 상기 밀판(94)을 밀면 상기 압축스프링(96)이 압축되면서 가동블럭(90)이 이동하고, 이에 가동블럭(90)의 고정축(98)이 회전판(70)의 결합공(72)으로부터 이탈되며, 이로써 탄력스프링(64)의 탄발력에 의하여 레버축(60)이 회전되어 레버축(60)의 지지레버(62)가 자동적으로 두루마리(2) 표면에 밀착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권취수단(100)과, 이 권취수단(100)의 회전 및 진퇴수단(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5를 병행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수단(100)은 지지대(112)의 양측에 장축(114)이 갖추어진 회전바(110)와, 지지대(122)의 양측에 장봉(124)을 갖추어 이의 장봉(124)이 상기 회전바(110)의 장축(11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 및 진퇴수단(130)은, 모터(132)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그 선단에 제1풀리(142)가 구비된 구동축(140)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회전바(110)는 상기 제1풀리(142)에 인접하여 상기 구동축(110)에 다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춤과 아울러, 상기 회전바(110)의 지지대(112) 일측에는 상기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에 나사결합되면서 그 중간에 상기 제1풀리(142)와 벨트(144) 연결되는 제2풀리(152)가 형성된 나선봉(150)이 축방향 이동불가하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140)은 상기 모터(132)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140)이 케이스(10)에 형성된 설치블럭(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터(132)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132)와 구동축(140)에는 서로 대응하는 구동풀리(134)와 피동풀리(146)를 갖추어서, 이의 구동풀리(134)와 피동풀리(146)를 벨트(136)로써 구동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바(120)의 축방향 슬라이딩시 상기 회전바(110)의 수평유지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를 갖추고, 상기 회전바(110)의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의 스풀(162) 선단이 이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요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이동바(120)가 상기 회전바(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를 작동시키면 스풀(162)이 당겨겨서 회전바(110)의 요홈(116)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기 모터(132)를 구동시키면 상기 이동바(120)가 회전바(110)에 밀착되어 있어 이동바(120)의 이동이 더이상 불가능하므로 나선봉(150)을 회전시키는 힘이 회전바(110)에 그대로 전달되어 회전바(110) 및 이동바(120) 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동바(120)상에 화장지가 감기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 및 회전바(110)에 인접한 부분에 리미트 스위치(164)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120)상에는 리미트 스위치(164)에 대응한 접촉판(16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164)는 상기 나선봉(150)의회전에 의하여 이동바(120)가 회전바(110)측에 밀착한 시점에서 접촉판(166)에 의하여 가압작동되며, 회전바(110) 및 이동바(120)의 일체회전시에도 그 회전주기마다 상기 접촉판(166)에 의하여 작동(온 접점)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어모듈(4)은 상기 모터(132)를 동작시킬 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164)가 작동(온 접점)됨에 따라 이동바(120)가 회전바(110)에 밀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모터(132)의 구동을 멈춤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를 작동시켜 스풀(162)로부터 회전바(110)를 해제시키고, 다시 모터(132)를 구동시킴에 따라 회전바(110)와 이동바(120)가 회전되어 화장지가 감져지며, 회전바(110)와 이동바(120)의 매회전 마다 접촉판(166)이 리미트 스위치(164)를 작동시킴으로써 그 작동 횟수를 가산하여 화장지의 권수를 판단한다.
첨부도면 도 14 및 도 15는 상기 컷팅수단(17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주의할 것은 상기 도 15는 상기 도 14의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러한 도 14 및 도 15를 상기한 도 1 내지 도 5를 병행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컷팅수단(170)은, 상기 케이스(10)측에 고정되는 고정커터(172)와, 이 고정커터(172)와 쌍을 이루어 모터(180)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동커터(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커터(172)는 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블럭(18)에 스크류(176)를 통하여 체결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180)로부터 감속기(182)를 통하여 나온 회전축(184)이 상기 고정블럭(18)을 회전가능하게 통과하여 상기 가동커터(174)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동커터(174)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4)로 감시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모터(18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센서(190)를 구비하고 있는 바,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감지센서(190)를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커터(174)의 단부를 캠 프로파일(192)로 형성하여 가동커터(174)가 고정커터(172)로부터 대략 90도 각도로 회전된 지점에서 온(on) 접접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6 내지 도 18은 누름레버(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5를 병행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누름레버(200)는 상기 컷팅수단(170)에 의하여 컷팅되어서 상기 권취수단(100)에 감겨진 화장지에 위에 얹혀지는 화장지 단부를 눌러주도록 하는 것으로, 이의 누름레버(200)는 액튜에이터(202)에 연결되어 회전작동한다. 상기 액튜에이터(202)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통상적인 모터의 출력연결 방법과 마찬가지로 모터의 회전이 감속기(도면에서는 액튜에이터(202) 내부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함)를 통하여 감속된 후 누름레버(200)에 전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튜에이터(202)와 누름레버(200)의 연결구성으로서, 상기 액튜에이터(202)로부터 인출된 축에 제1링크(206)를 구비하고, 누름레버(200)측에는 제2링크(206a)를 구비하여 이들을 연결링크(204)로써 연결하되, 상기 제1,2링크(206)(206a)에는 각각 복수의 연결공(208)(208a)을 일렬로 배치하여, 상기 연결링크(204)의 양단을 상기 연결공(208)중 하나와 상기 연결공(208a)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첨부도면 도 19 내지 도 21은 개폐문(21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5를 병행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폐문(2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2)를 개폐하도록 채용된다.
이러한 개폐문(210)은 케이스(10)측에 형성되는 두개의 가이더(212)에 의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액튜에이터(214)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어서 케이스(10)의 배출구(12)를 폐쇄하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액튜에이터(214)로부터는 다수의 기어열로 이루어지는 감속기(216)가 연결되고, 이 감속기(216)로부터 출력되는 축(218)에 레버부재(220)가 회동연결되고, 이 레버부재(220)에는 장공(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문(210)의 하측 중간에는 상기 장공(2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축(224)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220)의 상,하부에는 레버부재(220)의 상,하 회동을 감지함으로써 개폐문(210)의 개폐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전자제어모듈(4)에 인가하기 위한 닫힘감지스위치(226)와 열림감지스위치(22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210)의 양측에는 각각 요홈(230)(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 양측에는 상기 개폐문(210)이 닫힌상태와 열린상태에서 각각상기 요홈(230)(232)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개폐문(210)을 폐쇄 또는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제1탄력부재(234)및 제2탄력부재(236)가 구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도면들(특히, 도 3 및 도 4에 잘 나타남)에서 미설명된 부호 '240'은 케이스(10)의 바닥에 설치되는 '풀림감지센서'를 나타낸다. 이의 풀림감지센서(24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바닥에서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풀려내려오는 화장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모듈(4)로 인가한다.
이러한 풀림감지센서(240)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부(242)와 수광소자부(244)로 이루어진 통상의 광센서가 적합하다.
첨부도면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서 배출구(12)로 배출되는 화장지를 압착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로 공급하기 위하여 채용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즉,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상기 배출구(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권취수단(100)에 감겨져서 배출구(12)로 배출되는 화장지를 압축하기 위한 상,하 한쌍의 압착롤러(250)(252)가 구비되고, 이 상,하부 압착롤러(250)(252)중 하나(도시된 예에서는 하부 압착롤러(252))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254)에 회전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롤러(도시된 예에서는 상부 압착롤러(250))는 회동축(25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서 이의 회동축(256)이 케이스(10)의 일측에 탄력스프링(258)에 의하여 상기 모터(254)에 연결된 압착롤러측으로 탄력적으로 회동되도록 한 구조이다.
첨부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전자제어모듈과 각종의 센서 및 액튜에이터의 관계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전자제어 모듈(4)에서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모듈(4)에는 전술한 선택버튼(24) 즉, 시작버튼(24a), 모드선택버튼(24b), 겹수선택버튼(24c) 들의 조작에 의한 조작자의 주문정보가 입력된다.
이러한 조작자의 주문정보가 입력되면,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각 동작부에 구비된 각종의 센서 즉, 전술한 레버축의 위상각 감지센서(80), 화장지의 풀림감지센서(240), 이동바의 리미트 스위치(164), 가동커터의 회전각 감지센서(190), 개폐문 닫힘감지스위치(226), 및 개폐문 열림감지스위치(22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장착봉 구동모터(40), 회전 및 진퇴수단의 구동축 구동모터(132), 권취수단의 수평유지를 위한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 가동커터 구동모터(180), 누름레버 액튜에이터(202), 개폐문 작동 액튜에이터(214), 압착롤러 구동모터(254)를 제어하여 동작시키고, 액정 디스플레이부(22)에 화장지 잔존량, 현재 선택된 모드상태, 선택된 화장지 권수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출 장치에 화장지가 감겨진 두루마리(2)를 장착하기 위하여, 케이스(10)의 상부에 개폐자재하게 구비된 덮개부재(30)를 연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는 구동모터(40)가 갖추어져 있고, 이의 구동모터(40) 회전축(42)에 장착봉(50)이 갖추어져 있으므로, 이의 장착봉(50)에 두루마리(2)를 끼워 장착한다. 이 경우, 상기 장착봉(50)은 회전축(42)에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54)를 통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헛돌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40)에 의하여 장착봉(50)이 회전되는 방향과 두루마리(2)에서 화장지가 풀리는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여 장착한다.
상기 두루마리(2)를 장착봉(50)에 끼우면서 두루마리(2)를 완전하게 밀면, 두루마리(2)의 측면이 자연스럽게 밀판(94)을 밀게된다. 이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판(94)은 슬라이딩축(92)을 통하여 고정블럭(14)에 회전불가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슬라이딩축(92)과 고정블럭(14)사이에 압축스프링(96)이 갖추어져 있으면서, 밀판(94)의 반대측 슬라이딩축(92)에는 가동블럭(9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두루마리(2)가 밀판(94)을 밀게 됨에 따라 압축스프링(96)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딩축(92)이 슬라이딩하고, 이에 가동블럭(90)이 고정블럭(14)으로부터 이격되며, 이러한 가동블럭(90)의 이동에 따라 가동블럭(92)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축(98)이 회전판(70)의 결합공(72)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회전판(70)은 구속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로 되는데, 이 회전판(70)은 레버축(60)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레버축(60)은 탄력스프링(6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의 탄력스프링(64)에 의하여 레버축(60)이 상승회전하게 됨으로써, 레버축(60)에 형성된 지지레버(62)가 상승회전되어 두루마리(2)의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도 4 및 도 10 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블럭(90)과 밀판(94)은 슬라이딩축(92)상에 구비된 압축스프링(96)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위치로 복귀하려고 하는데, 가동블럭(90)에는 고정축(98)이 갖추어져 있고, 이 고정축(98)이 삽입되었던 결합공(72)은 회전판(70)의 회전에 의하여 고정축(98)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므로, 상기 가동블럭(90)은 고정축(98)의 단부가 회전판(70)에 밀착할 때까지 복귀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축(98)은 상기 압축스프링(96)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전판(70)을 가압하는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다음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두루마리(2)로부터 화장지를 사용함에 따라 두루마리(2)에 남아 있는 화장지량이 검출되는 동작을 먼저 설명하면, 상기 두루마리(2)에서 화장지가 점차 감소되면 두루마리(2)의 외경이 줄어들게 되는데, 상기 지지레버(62)는 탄력스프링(64)에 의하여 상기 두루마리(2)의 표면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두루마리(2)의 외경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지지레버(62)도 자연스럽게 상승회전하며, 이로써 지지레버(62)와 레버축(60)으로 연결된 회전판(70)도 상승회전하게 된다.
화장지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회전판(70)은 위상각 감지센서(80)를 모두(3개의 광센서) 차단하고 있어 전자제어모듈(4)은 액정 디스플레이부(22)에 잔존 화장지량을 75%에서 100%로 표시하고 있으나, 화장지가 계속적으로 사용되면 회전판(70)이 상승회전하여 상기 위상각 감지센서(80)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지나치게 된다. 그러면 위상각 감지센서(80)의 발광소자부(82)로부터 조사된 빛이 대응하는 수광소자부(84)에 도달되고, 이의 도달 신호가 전자제어모듈(4)로 인가되면 전자제어모듈(4)은 위상각 감지센서(8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수를 확인(합산)하여 그 신호의 수에 해당되는 값으로 화장지의 잔존량을 액정 디스플레이부(22)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두루마리(2)의 화장지가 모두 소진된 다음, 액정 디스플레이부(22)의 화장지 잔존량 없음 표시에 따라 신품의 두루마리(2)로 교체하기 위한 동작으로, 장착봉(50)으로부터 두루마리(2)를 제거한 다음 지지레버(62)를 아래로 누르면, 지지레버(62)의 레버축(60)과 회전판(7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의 회전판(70)에 형성된 결합공(72)은 상기 레버축(60)과 지지레버(62)가 두루마리(2)에 접촉하지 않는 최초위치로 회전된 지점에서 상기 고정축(98)에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레버(62)를 최초 위치로 회전시키면 회전판(70)의 결합공(72)에 가동블럭(90)의 고정축(98)이 일치하게 되고, 압축스프링(96)의 탄력에 의한 가동블럭(90)의 이동에 따라 가동블럭(90)의 고정축(98)이 상기 결합공(72)에 삽입되어 회전판(70)의 회전과 레버축(6) 및 지지레버(62)가 최초위치로 구속되게 된다.
다시, 장착봉(50)에 두루마리(2)를 장착한 후 화장지를 인출하여 사용할때 까지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봉(50)에 두루마리(2)를 장착한 상태에서 조작패널(20)상의 선택버튼(24)을 조작하여 원하는 배출권수를 선택하고 시작버튼을 누르면 전제제어모듈(4)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모터(40)가 회전되어 두루마리(2)가 회전됨으로써 두루마리(2)로부터 화장지가 풀려내려오게 된다. 그러면,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화장지가 계속적으로 풀려나와서 권추수단(100)의 가운데 즉, 이동바(120)의 장봉(124) 사이를 지나 케이스(10)의 바닥에 미치게 되면, 화장지가 케이스(10) 바닥에 구비된 풀림감지센서(240)의 발광소자부(242)와 수광소자부(244) 사이를 차단하게 되고, 전자제어모듈(4)은 이의 신호를 감지하여 화장지가 충분히 풀린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40)로의 전류를 차단해 두루마리(2)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다음, 상기 전자제어모듈(4)의 제어에 의하여 회전 및 진퇴수단(130)이 작동되는데, 첨부도면 도 11, 12, 13 및 2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및 진퇴수단(130)의 모터(132)가 작동되면 모터(312)의 구동풀리(134)에 벨트(136)로써 연결된 피동풀리(146)가 회전한다. 상기 피동풀리(146)는 구동축(140)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구동축(140)은 다시 케이스(10)측의 설치블럭(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동풀리(140)의 회전력이 구동축(140)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140)에는 회전바(110)의 지지대(1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과 아울러 구동축(140)의 단부에는 제1풀리(142)가 형성되어 있고, 제1풀리(142)는 나선봉(150)에 형성된 제2풀리(152)에 벨트(144)로써 연결되어 있으며, 이 나선봉(150)은 상기 회전바(110)의 지지대(1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축(140) 및 제1풀리(142)의 회전에 따라 나선봉(152)이 벨트(144)구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이로써이동바(120)의 지지대(122)가 회전바(110)의 지지대(112)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된다. 엄밀하게는 제1,2풀리(142,152)의 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이동바(120)가 회전바(110) 측으로 밀착하는 동작과정으로 설명되었지만, 정확하게는 먼저 조작자에게 화장지를 배출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된 최초의 상태인 것이다.
또한, 이 상태는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상에 구비된 접촉판(166)이 케이스(10)측의 리미트 스위치(164)를 가압하는 상태로서, 리미트 스위치(164)의 작동신호가 전자제어모듈(4)에 인가되어 전자제어모듈(4)은 모터(132)의 구동을 멈추고 화장지를 감기 위한 동작을 시작한다. 즉, 리미트 스위치(16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에 전류를 인가하여 그의 스풀(162)을 당기고, 모터(132)에도 전류를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스풀(162)이 회전바(110)의 지지대(112)에 형성된 요홈(116)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바(110)가 자유롭게 되는데, 이의 회전바(110)는 그 지지대(112)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1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동축(120)이 회전축(110)으로 밀착되어서 나선봉(150)이 회전하여도 이동축(150)이 더이상 회전축(110)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32)에 의하여 구동축(140)과 그 선단의 제1풀리(142)가 회전하고, 이의 제1풀리(142)에 벨트(144) 연결된 제2풀리(152)가 회전되어도 나선봉(150)이 회전할 수가 없다. 따라서 나선봉(150)을 회전시키려고 하는 회전력이 이동바(120)를 통하여 그대로 회전바(110)에 전달됨으로써, 회전바(110)와 이동바(12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바(110)와 이동바(120)의 일체회전에따라 이동바(120)의 장봉(124) 사이로 늘어져 있던 화장지가 이동바(120)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장지가 감기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바(110)의 매 회전주기 마다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상에 구비된 접촉판(166)이 리미트 스위치(164)를 작동시키게 되며, 전자제어모듈(4)에서는 이의 리미트 스위치(164)의 매회 작동신호를 가산하여 화장지의 감김 권수를 판단하게 되며, 이를 조작자가 입력한 선택권수와 확인하게 된다.
합산된 리미트 스위치(164) 작동신호 횟수와 조작자가 입력한 선택권수가 일치하면 전자제어모듈(4)은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를 오프시켜 그의 스풀(162)을 전진시키며, 이에 스풀(162)은 회전바(110)의 마지막 회전시에 회전바(110)의 지지대(112)에 형성된 요홈(116)에 일치하여 삽입됨으로써 회전바(110)를 수평상태로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바(1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 첨부도면 도 22와 같은 상태로 두루마리(2)로부터 권취수단(100)까지 화장지(T)가 길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전자제어모듈(4)에서 컷팅수단(170)을 동작시키게 되는데, 첨부도면 도 14, 도 15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가동커터(174)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모터(180)를 구동하면 모터(180)의 감속기(182)를 통하여 나온 회전축(184)이 가동커터(174)를 회전시킨다. 이때 고정커터(172)는 스크류(176)를 통하여 고정블럭(18)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커터(174)가 고정커터(172)측으로 회전되면서회장지(T)를 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커터(174)가 회전하면, 가동커터(174)에 형성된 캠 프로파일(192)에 의하여 감지센서(190)의 접점이 오프작동되고, 이의 작동신호를 전자제어모듈(4)에서 감지하여 상기 모터(180)를 반대로 회전시켜 가동커터(172)를 초기 위치로 벌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커터(172)가 완전히 벌어지면 캠 프로파일(192)에 의하여 감지센서(190)가 접점 온 작동되고, 이를 다시 전자제어모듈(4)이 감지하여 모터(180)를 멈추게 한다.
다음, 첨부도면 도 16, 17, 18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동작으로 화장지(T)를 자르고 나면, 잘라진 화장지(T) 끝은 권취수단(100)에 감겨진 화장지의 상면에 얹혀진다. 이의 얹혀진 화장지를 눌러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누름레버(200)를 동작시킨다. 즉, 전자제어모듈(4)은 가동커터(174) 복귀후 모터(180)의 구동을 멈추고, 누름레버(200)의 액튜에이터(202)를 동작시키며, 이러한 액튜에이터(202)의 동작에 따라 액튜에이터(202)측의 제1링크(206)가 회전한다. 그러면, 이의 제1링크(206)에 연결링크(204)로써 연결된 제2링크(206a)가 회전됨으로써 누름레버(200)가 하향회전되어 화장지를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레버(200)로 화장지를 누른 다음에는 회전 및 진퇴수단(130)을 동작시켜 권추수단(100)에 감져진 화장지를 배출한다. 즉, 전자제어모듈(4)이 모터(132)를 일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모터(132)의 구동풀리(134)에 벨트(136)연결된 피동풀리(146)에 의하여 구동축(140)이 회전하고, 구동축(140)의 단부에 형성된 제1풀리(142)가 회전하며, 이에 제1풀리(142)에 벨트(144)로써 구동연결된 제2풀리(152)의 구동에 의하여 나선봉(150)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바(110)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의 스풀(162)에 의하여 그의 지지대(112)가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회전바(110) 및 이동바(120)는 자체 회전을 하지 못하고, 상기 나선봉(150)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선봉(150)이 회전하면 나선봉(150)은 상기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대(122)에 형성된 장봉(124)이 상기 회전축(110)의 장축(112)에 슬라이딩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선봉(150)의 회전에 따라 이동바(120)가 케이스(10)의 배출구(12)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첨부도면 도 24와 같이 화장지를 배출하게 된다. 조작자는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화장지를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배출구(12)측에 압착롤러(250)(252)를 갖춘 경우에는(첨부도면 도25 및 도 26 참조), 상기 이동바(120) 및 이에 감겨진 화장지가 배출구(12)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자제어모듈(4)에 의하여 모터(254)가 구동하여 하부 압착롤러(252)가 회전함과 아울러 하부 압착롤러(252)에 탄력스프링(258)에 의하여 탄력접촉하고 있는 상부 압착롤러(250)가 회전하게 되는 바, 화장지가 이동하여 상기 압착롤러(250)(252)에 닿아 압착롤러(250)(252)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력스프링(258)의 탄력에 의하여 압착된다.
다시, 화장지의 배출이 끝난 다음에는 모터(132)가 반대로 회전하고, 이에따른 나선봉(150)의 반대 회전으로 이동바(120)가 회전바(110)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한 끝에서는, 앞서 이동바(120)가 회전바(110) 측으로 밀착하는 동작과정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상에 구비된 접촉판(166)이 케이스(10)측의 리미트 스위치(164)를 가압하고, 리미트 스위치(164)의 작동신호에 따라 전자제어모듈(4)이 모터(132)의 구동을 멈추고 다음의 화장지를 감기위한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라서 배출구(12)측에 개폐문(210)을 구비한 경우에 개폐문을 여닫는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첨부도면 19,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모듈(4)에 의하여 액튜에이터(214)가 폐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의 감속기(216) 축(218)상에 형성된 레버부재(220)가 상승회동하는데, 상기 개폐문(210)은 그의 이동축(224)이 레버부재(220)의 장공(22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레버부재(220)의 상승에 따라 상기 이동축(224)이 상기 장공(222)내에서 상승이동하여 개폐문(210)을 상승시켜 케이스(10)측의 배출구(12)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문(21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레버부재(220)에 의하여 닫힘감지스위치(226)가 작동되어 전자제어모듈(4)은 액튜에이터(214)의 구동을 멈춤도록 하며, 개폐문(210)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230)(232)중 일측의 요홈(230)에 제1탄력부재(234)가 탄력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개폐문(210)이 상승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화장지를 인출하여 사용하고자 개폐문(210)을 하강시켜 배출구(12)를 개방시킬 경우에는, 액튜에이터(214)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개폐문(210)이 하강하게 되며, 하강의 끝에서는 레버부재(220)에 의하여 열림감지스위치(228)가 작동되어 전자제어모듈(4)이 액튜에이터(214)의 구동을 멈추도록 한다. 그러면 개폐문(210)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230)(232)중 일측의 요홈(232)에 제2탄력부재(234)가 탄력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개폐문(210)이 하강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에 의하면, 두루마리 화장지가 조작자가 원하는 권수로 잘 정렬된 상태로 접혀 자동적으로 배출되므로 화장지의 사용이 한층 편리하고, 특히 한손이 불편한 사람이나 노약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2)

  1. 일측에 배출구(12)와 조작패널(20)을 갖춘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0) 및 이 구동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루마리(2) 장착용 장착봉(50);
    상기 장착봉(50)에 두루마리(2)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에 개폐자재하게 구비되는 덮개부재(30);
    상기 케이스(10) 내측 하부에서 회전하며 일정한 폭을 갖추어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풀린 화장지를 일정한 크기로 감는 권취수단(100);
    상기 권취수단(100)을 회전시켜 화장지가 감기도록 함과 아울러, 화장지를 감는 권취위치와 상기 배출구(12)측으로의 배출위치로 진퇴시키는 회전 및 진퇴수단(130);
    상기 권취수단(100)과 상기 두루마리(2) 사이에서, 상기 권취수단(100)에의 화장지권취를 마무리하기 위하여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상기 권취수단(100)으로 이어져 있는 화장지의 일중간을 절단하는 컷팅수단(170); 및
    상기 구동모터(40), 회전 및 진퇴수단(130), 및 컷팅수단(1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봉(50)은 그의 중앙 보어홀(52)에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54)가 구비되어, 이 일방향 클러치(54)를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40)의 회전축(42)에 삽입식으로 착탈가능하면서 일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봉(50)에 장착된 두루마리(2)의 화장지량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장착봉(50)에 인접한 고정블럭(14)에 지지레버(62)를 갖춘 레버축(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레버축(60)이 탄력스프링(64)으로 회전지지되어 레버축(60)의 지지레버(62)가 상기 장착봉(50)에 장착된 두루마리(2)의 표면에 탄력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레버축(60)의 일측에 회전판(70)이 구비되고, 이 회전판(70)에 인접하여 회전판(70)의 회전위상을 감지함으로써 두루마리(2)에 남아 있는 화장지량을 검출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4)로 검출신호를 인가하는 위상각 감지센서(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14)의 일측에 가동블럭(90)이 슬라이딩축(92)으로 회전불가하면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축(92)의 단부에는 두루마리(2)의 측면에 접촉가능한 밀판(94)이 구비되고, 이 밀판(94)과 고정블럭(14) 사이에 압축스프링(96)이 개재되며, 상기 가동블럭(90)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판(70)측을 향한 고정축(98)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70)에는 상기 레버축(60)과 지지레버(62)가 두루마리(2)에 접촉하지 않는 최초위치로 회전된 위치에 상기 고정축(98)이 이탈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공(7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각 감지센서(80)는 발광소자부(82)와 수광소자부(84)를 갖는 통상의 투과형 광센서를 복수개로 일정각도로 배치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판(70)의 회전에 따라 발광소자부(82)와 수광소자부(84)에 순차적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100)은 지지대(112)의 양측에 장축(114)이 갖추어진 회전바(110)와, 지지대(122)의 양측에 장봉(124)을 갖추어 이의 장봉(124)이 상기 회전바(110)의 장축(11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및 진퇴수단은, 모터(132)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축 선단에 제1풀리(142)가 갖추어지고 이의 제1풀리(142)에 인접하여 축상에 상기 회전바(110)가 다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140)과, 상기 회전바(110)의 지지대(112)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바(120)의 지지대(122)에 나사결합되고 중간부분에는 상기 제1풀리(142)와 벨트(144) 연결되는 제2풀리(152)가 형성된 나선봉(15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40)은 상기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132)는 구동축(140)과 떨어져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132)에는 구동풀리(134)가 갖추어지고, 상기 구동축(140)에는 상기 구동풀리(134)에 대응하는 피동풀리(146)를 갖추어서, 상기 구동풀리(134)와 피동풀리(146)가 벨트(136)로써 구동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120)의 축방향 슬라이딩시 상기 회전바(110)의 수평유지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를 갖추고, 상기 회전바(110)의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160)의 스풀(162) 선단이 이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요홈(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11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화장지의 감김수를 검출하고, 동시에 상기 이동바(120)가 회전바(110)에 밀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4)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도록 상기 회전바(110)에 인접하여 리미트 스위치(164)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수단(100)의 이동바(120)상에 이동바(120)가 회전바(110)측으로 밀착되었을 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164)를 동작시키는 접촉판(16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수단(170)은,
    상기 케이스(10)측에 고정되는 고정커터(172)와, 이 고정커터(172)와 쌍을 이루어 모터(180)에 의하여 회전하는 가동커터(17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커터(174)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어모듈(4)로 감시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모터(18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센서(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바닥에 상기 두루마리(2)로부터 풀려내려오는 화장지의 유무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전자제어모듈(4)로 인가하는 풀림감지센서(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감지센서(240)는 발광소자부(242)와 수광소자부(244)를 갖는 통상의 투과형 광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소자부(242)와 수광소자부(244)를 케이스(10)내의 앞부분과 둣부분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수단(10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컷팅수단(170)에 의하여 컷팅되어서 상기 권취수단(100)위에 얹혀지는 화장지를 눌러주도록 하는 누름레버(200)가 구비되고, 상기 누름레버(200)를 회전작동시키는 액튜에이터(20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202)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202)와 상기 누름레버(200)는 액튜에이터(202)축에 구비되는 제1링크(206)와, 누름레버(200)측에 구비되는 제2링크(206a)와, 상기 제1링크(206)와 제2링크(206a)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04)로 연결되되. 상기 제1,2링크(206)(206a)에는 각각 복수의 연결공(208)(208a)을 일렬로 배치하여 상기 연결링크(204)의 양단을 상기 연결공(208)중 하나와 상기 연결공(208a)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2)의 내측에는 양측에 개폐문(210)이 구비되되, 이 개폐문(210)은 두개의 가이더(212)에 의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개폐문(210)에 구동연결되어 개폐문(210)을 상,하작동시키는 액튜에이터(2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214)로부터 출력되는 축(218)에 레버부재(220)가 구비되어 있고, 이 레버부재(220)에는 장공(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문(210)의 하측 중간에는 상기 장공(2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축(224)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220)의 상,하부에는 레버부재(22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개폐문(210)의 개폐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전자제어모듈(4)에 인가하기 위한 닫힘감지스위치(226)와 열림감지스위치(2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210)의 양측에는 각각 요홈(230)(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 양측에는 상기 개폐문(210)이 닫힌상태와 열린상태에서 각각 상기 요홈(230)(232)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개폐문(210)을 폐쇄 또는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제1탄력부재(234)와 제2탄력부재(2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상기 배출구(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권취수단(100)에 감겨져서 배출구(12)로 배출되는 화장지를 압축하기 위한 상,하 한쌍의 압착롤러(250)(252)가 구비되고, 이 상,하부 압착롤러(250)(252)중 하나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에 의하여 제어되는 모터(254)에 회전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롤러는 회동축(25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면서 이의 회동축(256)이 케이스(10)의 일측에 탄력스프링(258)에 의하여 상기 모터(254)에 연결된 롤러측으로 탄력적으로 회동되도록 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20)에는 적어도 화장지의 배출 권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24)을 포함함과 아울러, 각종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하고, 이의 액정 디스플레이부(22)에는 상기 전자제어모듈(4)의 제어에 의하여 적어도 두루마리(2)에 남아 있는 화장지 량, 선택된 배출 권수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KR10-2000-0057249A 2000-09-29 2000-09-29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KR10037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249A KR100371911B1 (ko) 2000-09-29 2000-09-29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249A KR100371911B1 (ko) 2000-09-29 2000-09-29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354U Division KR200220259Y1 (ko) 2000-09-29 2000-09-29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446A true KR20020025446A (ko) 2002-04-04
KR100371911B1 KR100371911B1 (ko) 2003-02-11

Family

ID=1969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249A KR100371911B1 (ko) 2000-09-29 2000-09-29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9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236A1 (fr) * 2003-06-18 2004-12-23 Shao, Wanxiu Distributeurs pour serviettes de papier
KR200446908Y1 (ko) * 2006-12-07 2009-12-09 미카엘 셰크 자동 감지배출기
WO2020210541A1 (en) * 2019-04-12 2020-10-15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Dispenser with automatic stub roll drop down
US11089920B2 (en) 2018-03-08 2021-08-17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Stub roll dispenser system
KR200494582Y1 (ko) * 2021-01-20 2021-11-05 고은숙 이미용 헤어 커팅 연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891B1 (ko) * 2002-02-23 2004-06-25 정대성 건수건 제조장치
KR100986510B1 (ko) 2004-08-17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내부 바닥 청결 시스템
KR100969610B1 (ko) 2007-11-01 2010-07-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장치
KR101046262B1 (ko) 2008-04-08 2011-07-04 권치호 두루마리 화장지 디스펜서
KR102418351B1 (ko) * 2020-08-28 2022-07-06 장영덕 두루마리 휴지 자동 배출장치
KR102570274B1 (ko) 2021-11-11 2023-08-2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휴지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4016A (ja) * 1990-03-13 1991-11-25 Aichi Electric Co Ltd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供給装置
KR930007333B1 (ko) * 1990-05-25 1993-08-09 유키노부 와타나베 변소용 화장지 자동공급장치
JPH04170926A (ja) * 1990-10-31 1992-06-18 Aichi Electric Co Ltd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切断・供給装置
JPH04297213A (ja) * 1991-03-26 1992-10-21 Aichi Electric Co Ltd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巻取・切断装置
JPH05111442A (ja) * 1991-10-22 1993-05-07 Aichi Electric Co Ltd トイレツトペーパー自動供給装置
KR950003608B1 (ko) * 1992-10-02 1995-04-17 이장우 휴지걸이
KR960000388B1 (ko) * 1993-04-17 1996-01-06 이장우 휴지걸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236A1 (fr) * 2003-06-18 2004-12-23 Shao, Wanxiu Distributeurs pour serviettes de papier
KR200446908Y1 (ko) * 2006-12-07 2009-12-09 미카엘 셰크 자동 감지배출기
US11089920B2 (en) 2018-03-08 2021-08-17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Stub roll dispenser system
US11678776B2 (en) 2018-03-08 2023-06-20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Stub roll dispenser system
WO2020210541A1 (en) * 2019-04-12 2020-10-15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Dispenser with automatic stub roll drop down
US11241124B2 (en) 2019-04-12 2022-02-08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Dispenser with automatic stub roll drop down
US11844471B2 (en) 2019-04-12 2023-12-19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Inc. Dispenser with automatic stub roll drop down
KR200494582Y1 (ko) * 2021-01-20 2021-11-05 고은숙 이미용 헤어 커팅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1911B1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832A (en) Automatic dispenser for paper towels severable from a continuous roll
KR100371911B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US9282855B2 (en) Automatic towel dispenser
AU2005339238B2 (en) Dispenser load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loading a dispenser
US7168602B2 (en) Sheet material dispenser with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8555761B2 (en) Pap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US20070176041A1 (en) Automated toilet paper dispenser
CN1232213C (zh) 卷纸自动抽出装置
AU654722B2 (en) Paper hand towel dispenser with paper
KR200220259Y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US4676559A (en) Towel dispenser
JP2000287872A (ja) ロール紙自動繰り出し装置
US11230452B1 (en) Smart toilet paper dispenser
KR100395970B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판매기
EP2846669B1 (en) Paper sheet material dispenser apparatus
KR100417618B1 (ko)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100969610B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장치
KR100417619B1 (ko)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200234087Y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판매기
CA2093578A1 (en) Automatic dispenser for paper towels severable from a continuous roll
JPH04170926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自動切断・供給装置
US20030080136A1 (en) Machine for dispensing sheets of material
KR910005073Y1 (ko) 휴지 자동 판매기
JPH0580894B2 (ko)
CA2560441A1 (en) Automated toilet paper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