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315A -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315A
KR20020025315A KR1020000057012A KR20000057012A KR20020025315A KR 20020025315 A KR20020025315 A KR 20020025315A KR 1020000057012 A KR1020000057012 A KR 1020000057012A KR 20000057012 A KR20000057012 A KR 20000057012A KR 20020025315 A KR20020025315 A KR 20020025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receiving
wireless microphone
transmiss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313B1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다산 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다산 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재
Priority to KR10-2000-005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3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3Circuits using the same oscillator for generating both the transmitter frequency and the receiver local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 마이크에서 송수신 기능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장치의 사용 채널을 탐색하는 기능만 하도록 하므로 1개의 채널만으로 송수신이 가능함으로써, 같은 주파수 대역내에서 사용 채널을 2배로 확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마이크의 전원을 온시키면 채널탐색모드로 전환하여 현재 사용되지 않는 빈 채널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 탐색결과 빈 채널이 검출되면 무선 마이크를 채널탐색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절환한 후 빈 채널코드를 기 설정된 마스터 채널을 통해 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채널을 통해 발신된 빈 채널코드를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분석결과 무선 마이크에서 탐색한 빈 채널을 검출한 후 해당 수신장치를 무선 마이크의 빈 채널에 동조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The method for channel extension of codeless microphone}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멀티채널엑세스(Multi Channel Access : 이하, "MCA"라 약칭함)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채널을 탐색한 후 사용 가능한 채널을 선택하여 음성신호를 송출하므로 다른 방과의 혼신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송수신시 1개의 채널만을 사용하므로 같은 주파수 대역내에서 채널을 2배로 확장 사용이 가능한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송수신장치에 대해 출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출원 등록번호 "제 0169265호"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선 송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이나 음악 신호등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 송신수단(210) 및 무선 송신수단(210)으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수단(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선 송신수단(210) 무선 수신수단(220)은 멀티채널엑세스(Multiple Channel Access : 이하 "MCA"라 약칭함)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오토스캔(Automatic Scan)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MCA기능이란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때 하나의 채널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된 여러개의 채널을 이용하는 기능이며, 여러개의 채널 중 혼신이 없는 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토스캔 기능이란 설정된 여러개의 채널을 자동으로 하나씩 탐색하여 현재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채널을 찾아가는 기능을 말한다. 이와 같은 MCA방식의 송수신장치는 송신과 수신이 별도의 채널 즉, 2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도 1에서, 무선 송신수단(210)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 변조부(211)에서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되며, 변조될 채널 주파수는 주 제어부(213)의 제어를 받은 위상동기루프(PLL) 기능부(214)에서 설정한다. 기 설정되어 있는 여러 채널 중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채널을 선택하여 이 채널 정보를 위상동기루프 기능부(214)로 전해주며, 채널 정보와 사용자 정보등 수신측과 주고받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확인코드(ID code)를 무선신호 송신부(212)로 전해준다. 무선신호 송신부(212)는 주파수 변조부(211)에서 변조된 입력신호와 주 제어부(213)에서 받은 확인코드를 안테나(215)를 통해 무선송출 한다.
한편, 무선 수신수단(220)은 무선 송신수단(21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안테나(226)를 통해 무선신호 수신부(221)로 수신된 라디오 주파수(RF : Radio Frequency) 신호는 먼저 신호변환부(222)에서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된다. 주파수 복조부(223)에서는 상기 중간주파신호를 증폭한 후 복조한다. 주 제어부(224)에서는 무선송신수단(210)에서 보낸 확인코드를 검출하여 현재 수신해야할 채널 정보를 위상동기루프 기능부(25)로 전해주게 된다.
주 제어부(224)는 외부에서 오토스캔 제어신호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토스캔 제어신호는 하나의 무선 송신수단(210)에서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여러개의 무선 수신수단이 수신할 때 필요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장치는 MCA방식의 무선 전화기등의 무선 송수신장치에 사용되는데, 송수신을 동시에 하기 위해 2개의 채널을 사용하게 되므로 안테나 입력에 듀플렉스 필터(Duplex filter)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송수신장치는 송신기능만 사용할 경우에도 2개의 채널을 모두 점유해야 하므로 사용가능 채널 수가 제한되어 있는 환경에서는 채널 수가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선 마이크에서 송수신 기능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장치의 사용 채널을 탐색하는 기능만 하도록 하므로 1개의 채널만으로 송수신이 가능함으로써, 같은 주파수 대역내에서 사용 채널을 2배로 확장하도록 하는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송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마이크의 송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과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1 : 고주파 증폭기302, 304 : 제 1, 제 2 믹서
306 : 반송파 검출부308 : 수정발진기
310 : 송수신 중앙처리장치312 : 위상동기루프
314 : 국부발진기316 : 전압제어발진기
318 : 송신고주파 증폭기401 : 수신고주파 증폭기
402, 404 : 제 1, 제 2 수신믹서406 : FM 검출부
408 : 수신 반송파 검출부410 : 수신 중앙처리장치
412 : 수신 수정발진기414 : 수신 위상동기루프
416 : 수신 국부발진기420 : 수신 데이터비교기
422 : 수신 데이터신장부424 : 수신 음성증폭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은 멀티채널엑세스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마이크의 무선 전송방법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의 전원을 온시키면 채널탐색모드로 전환하여 현재 사용되지 않는 빈 채널을 자동 탐색하는 오토스캔 단계와, 상기 채널 탐색결과 빈 채널이 검출되면 무선 마이크를 채널탐색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절환한 후 빈 채널코드를 기 설정된 마스터 채널을 통해 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채널을 통해 발신된 빈 채널코드를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코드분석결과 무선 마이크에서탐색한 빈 채널을 검출한 후 해당 수신장치를 무선 마이크의 빈 채널에 동조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은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과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의 무선 마이크 송신부의 전원을 온시키면(S102), 송수신 중앙처리장치(310)는 스위치(SW1)를 스위칭 한다. 스위치(SW1)는 수신모드 즉, 탐색모드로 전환하여, 현재 사용되고있지 않은 빈 채널을 탐색하기 위해 고주파를 수신한다.(S104)
스위치(SW1)가 탐색모드로 전환하면 안테나(ANT)에 유기된 고주파(RF)신호는 고주파 증폭기(301)에 의해 일정레벨 증폭되어 제 1 믹서(302)에 가해진다.
한편, 송수신 중앙처리장치(310)는 위상동기루프(PLL)(312)를 제어하고, 국부발진기(Local OSC)(314)에서 튜닝 컨트롤된 발진신호를 제 1 믹서(302)에 공급하면 고주파신호와 발진신호는 제 1 믹서(302)내에서 제 1 중간주파신호로 변환되어 제 2 믹서(304)에 공급된다.
제 2 믹서(304)에서는 제 1 중간주파신호와 수정발진기(308)에서 발생된 신호와 혼합하여 제 2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반송파 검출부(306)에서 감지하여 로레벨(Low level) 또는 하이레벨(High level)로 변환해서 송수신 중앙처리장치(310)에 반송파의 유무 정보를 제공한다.
송수신 중앙처리장치(310)는 반송파의 유무에 따라 빈 채널 여부를 결정하는데, 만약 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의 채널을 빈 채널로 판단한다.(S106)(S108)
송수신 중앙처리장치(310)에서 빈 채널을 검출하면 스위치(SW1)를 송신모드로 스위칭시킴과 동시에 반송파가 없는 채널을 선택하는 데이터를 위상동기루프(312)에 보내어 전압제어발진기의 주파수를 제어하게 된다.(S110)
따라서, 송신고주파 증폭기(318)를 통하여 송신되는 채널은 혼신 가능성이 없는 주파수로 발신한다. 즉, 음성신호 전송에 사용하지 않는 마스터 채널을 설정하여 빈 채널 코드를 전송하게 된다.(S112)
빈 채널 코드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장치의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신장치를 온시키면(S116) 설정된 마스터 채널로 수신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마스터 채널로 수신하게 된다.(S118)
마스터 채널로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송출된 고주파 신호는 무선 수신장치의 수신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고주파 증폭기(401)를 통하여 일정레벨 증폭한 후 제 1 수신믹서(402)에 인가된다.
제 1 수신믹서(402)에서는 수신고주파 증폭기(401)에서 출력된 고주파신호와 수신 국부발진기(416)로부터 출력된 발진신호를 혼합하여 제 1 수신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한 후 제 2 수신믹서(404)로 출력한다.
제 2 수신믹서(404)에 공급된 제 1 수신중간주파신호는 수신 수정발진기(412)의 발진신호와 혼합되어 제 2 수신 중간주파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제 2 수신믹서(404)에서 출력된 제 2 수신 중간주파신호는 수신 반송파 검출부(408)에서 반송파의 유무를 검출하고, FM 검출부(406)에서는 수신중간주파신호에서 변조된 음성신호와 코드를 검출하여 수신데이터 비교기(420)와 수신데이터 신장부(422)에 각각 인가된다.
수신데이터 비교기(420)에서는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코드를 분리하여 수신중앙처리장치(410)에 전송하고, 수신 중앙처리장치(410)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송신장치에서 전송된 빈 채널을 검출한다.(S118)(S122)
수신 중앙처리장치(410)는 이와 같이 분석된 채널의 주파수에 수신장치를 동조시킨다.(S124) 이를 위해 수신 중앙처리장치(410)는 수신위상동기루프(414)를 제어하고, 수신위상동기루프(414)에서는 해당 채널에 맞는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국부발진기(416)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동일 주파수로 동조되면 수신장치에서는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S126)
즉, 송신장치에서는 마이크(32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증폭기(322), 압축기(324), 전압제어발진기(316), 송신고주파 증폭기(318), 스위치(SW1)와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 고주파로 송출되면, 수신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음성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먼저 수신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신호는 수신고주파 증폭기(401)와 제 1 수신믹서(402), 제 2 수신믹서(404)를 통해 제 2 중간주파신호를 발생하고 FM 검출부(406)에서 변조된 주파수를 검출한다.
수신데이터 신장부(422)에서는 FM 검출부(406)로부터 출력된 압축된 음성신호를 복원한 후 수신음성 증폭기(424)를 통해 일정 레벨 증폭한 후 음성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마이크의 채널 탐색모드에서 사용되고있지 않은 빈 채널을 탐색한 후 송신모드로 스위칭하여 기 설정된 마스터 채널로 100ms 이내에 코드를 송신함에 따라 빈 채널로 수신장치를 동조하도록 하므로, 송신과 수신을 위한 각 채널영역을 별도로 점유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스터 채널 외에 모두 음성신호 전송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되어 있는 주파수 영역에서 많은 무선 마이크와 수신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노래방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혼신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은 무선 마이크에서 송수신 기능을 동시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신장치의 사용 채널을 탐색하는 기능만 하도록 하므로 1개의 채널만으로 송수신이 가능함으로써, 듀플렉스 필터회로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같은 주파수 대역내에서 사용 채널을 2배로 확장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 많은 무선 시스템을 사용해야하는 경우 혼신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멀티채널엑세스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마이크의 무선 전송방법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의 전원을 온시키면 채널탐색모드로 전환하여 현재 사용되지 않는 빈 채널을 자동 탐색하는 단계;
    상기 채널 탐색결과 빈 채널이 검출되면 무선 마이크를 채널탐색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절환한 후 빈 채널코드를 기 설정된 마스터 채널을 통해 발신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채널을 통해 발신된 빈 채널코드를 수신장치에서 수신한 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분석결과 무선 마이크에서 탐색한 빈 채널을 검출한 후 해당 수신장치를 무선 마이크의 빈 채널에 동조하여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빈 채널탐색 단계는 각 채널별로 반송파를 검출하여 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으면 현재 사용되고있지 않은 빈 채널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
  3. 제 1 항에서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가 수신대기상태에 있을 때는 마스터 채널로 수신대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채널은 무선 마이크와 수신장치를 제 1 채널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 노래방에서 사용 가능한 무선 헤드셋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의 채널확장방법.
KR10-2000-0057012A 2000-09-28 2000-09-28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KR10038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12A KR100381313B1 (ko) 2000-09-28 2000-09-28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012A KR100381313B1 (ko) 2000-09-28 2000-09-28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15A true KR20020025315A (ko) 2002-04-04
KR100381313B1 KR100381313B1 (ko) 2003-04-26

Family

ID=1969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012A KR100381313B1 (ko) 2000-09-28 2000-09-28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28B1 (ko) * 2005-11-30 2008-08-19 이경석 무선 마이크 시스템
US20120052799A1 (en) * 2010-08-25 2012-03-01 Ming-Fure Jeng Wireless digital audio reproduction system capable remote control
CN116546365A (zh) * 2023-07-06 2023-08-04 深圳市湖山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寻锁信道的无线麦克风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28B1 (ko) * 2005-11-30 2008-08-19 이경석 무선 마이크 시스템
US20120052799A1 (en) * 2010-08-25 2012-03-01 Ming-Fure Jeng Wireless digital audio reproduction system capable remote control
CN116546365A (zh) * 2023-07-06 2023-08-04 深圳市湖山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寻锁信道的无线麦克风
CN116546365B (zh) * 2023-07-06 2023-09-26 深圳市湖山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寻锁信道的无线麦克风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1313B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0680B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detecting interference waves
US5428824A (en) Radio transceiver capable of avoid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JP2003174394A (ja) 通信機
EP1354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sing frequency hopping transceivers
KR19980042852A (ko) 초기 주파수 획득 장치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EP0269643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radio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entral station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remote stations, a radio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ystem, and a remote station
KR100381313B1 (ko) 무선 마이크의 채널 확장방법
US20040037365A1 (en) Remote transmitter system and method
CN100512024C (zh) 一种甚高频至特高频波段无线话筒
WO2003032611A3 (en) Rf receivers with reduced spurious response for mobile stations and methods therefor
US20070281618A1 (en) Transmitter-receiver for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JPH11239074A (ja) 同調型予選択フィルター
EP4070462B1 (en) Wakeup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H0691485B2 (ja) 無線通信機
KR100365731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89454A (ja)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充電架台
JPH07202785A (ja) 受信電界レベル検出回路
KR100300185B1 (ko) 이동통신기기의채널전환장치및그방법
KR100438556B1 (ko) 트라이 모드 이동 단말기에서의 고주파 신호 처리 장치 및방법
JPH066253A (ja) 無線通信装置
WO2001082517A1 (fr) Emetteur-recepteur a glissement de frequence
EP1033818A1 (en) Signal generating circuit, and transmitter, receiver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ing the circuit
JPH11154881A (ja) トーンスケルチ制御無線機
KR0131154B1 (ko) 무선 전화기의 송신출력 조절방법 및 장치
KR200169234Y1 (ko) 자동주파수변환시스템 및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