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308A -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 Google Patents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308A
KR20020025308A KR1020000056994A KR20000056994A KR20020025308A KR 20020025308 A KR20020025308 A KR 20020025308A KR 1020000056994 A KR1020000056994 A KR 1020000056994A KR 20000056994 A KR20000056994 A KR 20000056994A KR 20020025308 A KR20020025308 A KR 2002002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urchase
contents
informa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953B1 (ko
Inventor
김재형
김지한
홍종철
김용건
김홍근
진시현
Original Assignee
김지한, 김재형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한, 김재형,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김지한, 김재형
Priority to KR10-2000-005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9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953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과, 클라이언트들이 온-라인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컨텐츠 판매서버로 이루어지는 판매시스템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관련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시켜 저장하고, 구매 클라이언트가 검색한 컨텐츠에 구매이벤트가 발생하면, 구매정보를 입력받고 구매정보를 저장하며, 컨텐츠 구매 대금결제가 확인되면, 판매되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삭제함과 동시에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서 컨텐츠 판매서버와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를 항상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 판매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contents able to hold potential client}
본 발명은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시스템 및 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고, 인기있는 컨텐츠를 구매함으로서 잠재적인 클라이언트들을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로 흡수할 수 있으며,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 변경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텐츠 판매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판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컨텐츠의 법적보호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적절한 가격을 지급하고 정식으로 컨텐츠를 구매하려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이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해서 아웃소싱으로 제작을 의뢰하거나, 대응하는 컨텐츠를 보유한 업체를 어렵게 검색하여 협의를 통해 구매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수준에 머무르기 때문에 창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고,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게 검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매되는 컨텐츠에 대한 클라이언트들의 관심을 반영하는히트수 등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없어 컨텐츠의 가치가 검증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는 컨텐츠 판매방법과 판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기있는 컨텐츠를 구매함으로서 잠재적인 클라이언트들을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로 흡수할 수 있는 컨텐츠 판매방법과 판매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 변경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텐츠 판매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판매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방법에 적용되는 컨텐츠 등록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등록된 컨텐츠를 구매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컨텐츠의 판매여부에 따라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웹 브라우저 상에 구현된 컨텐츠 등록모듈의 일예이다.
도 6은 등록된 컨텐츠를 디렉토리 방식으로 분류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7은 검색된 컨텐츠들이 리스트-업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도 7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9는 검색된 컨텐츠들에 판매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리스트-업되어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등록된 컨텐츠 또는 판매된 컨텐츠의 위치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위치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 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과, 클라이언트들이 온-라인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컨텐츠 판매서버로 이루어지며, 컨텐츠 판매서버는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시키는 컨텐츠 등록모듈; 컨텐츠 등록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컨텐츠를 컨텐츠 정보DB에 저장하거나 구매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정보DB로부터 추출하며,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구매될 컨텐츠를 추출하며,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될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컨텐츠 관리모듈; 컨텐츠 정보DB에 저장된 컨텐츠를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검색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판매된 컨텐츠를 구매한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를 링크시키는 컨텐츠 표시모듈;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를 입력받아 컨텐츠 구매정보DB에 저장하고,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대금결제를 확인한 후, 구매되는 컨텐츠를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판매모듈;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듈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등록된 컨텐츠들 중에서 구매 클라이언트의 키워드 입력에 의해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모듈 또는 등록된 컨텐츠를 불법 복제 또는 무단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사방지모듈 또는 판매된 콘텐츠들에 대해서 컨텐츠 위치정보를 구매 클라이언트가 직접 일괄적으로 변경함으로서 판매된 컨텐츠에 대한 위치정보가 판매서버와 항상 링크되도록 하는 위치정보 변경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텐츠 정보DB에 저장된 컨텐츠는 계층적 디렉토리 방식으로 표시되며, 등록모듈은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명, 제작자명, 컨텐츠명, 컨텐츠내용, 샘플화상, 판매가격, 컨텐츠의 위치정보(URL)나 업로드할 파일 및 계좌번호를 입력받고, 등록번호와 등록일을 지정한다.
본 발명의 판매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과, 클라이언트들이 온-라인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컨텐츠 판매서버로 이루어지는 인터넷을 통한 판매시스템에 적용되며,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시키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판매서버의 컨텐츠 표시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컨텐츠들을 계층적 디렉토리 분류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구매 클라이언트가 계층적으로 분류된 디렉토리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컨텐츠 검색모듈을 통하여 키워드의 조합으로 관련되는 컨텐츠들을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컨텐츠들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관련정보를 참조하여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를 입력받고, 구매정보를 컨텐츠 구매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컨텐츠 구매 대금결제가 확인되면, 판매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함과 동시에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서 컨텐츠 판매서버와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를 항상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 정보를 갱신하며, 판매된 컨텐츠들에 대해서 컨텐츠 위치정보를 구매 클라이언트가 직접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텐츠 판매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매시스템은 다수의 클라이언트들(100)과, 이 클라이언트들(100)이 온-라인,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300)가 구축된 컨텐츠 판매서버(200)로 이루어진다.
컨텐츠 판매서버(200)는 컨텐츠 등록모듈(210), 복사방지모듈(220), 컨텐츠 관리모듈(240), 컨텐츠 표시모듈(250), 컨텐츠 판매모듈(260), 컨텐츠 검색모듈
(270) 및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듈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컨텐츠 판매서버(200)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00)는 컨텐츠 정보DB(310)와 컨텐츠 구매정보DB(320)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회원정보DB 등을 별도로 구축할 수 있다.
컨텐츠 등록모듈(210)은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등록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등록모듈(210)의 일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판매서버(200)에 접속한 경우, HTML의 형태로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에 제공된다.
클라이언트(100)는 컨텐츠 등록모듈(210)을 통하여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한다. 컨텐츠와 관련되어 입력되는 항목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명, 제작자명, 컨텐츠명, 컨텐츠내용, 샘플화상, 판매가격, 컨텐츠의 위치정보(URL)나 업로드할 파일 및 계좌번호 등이 입력된다. 입력된 항목은 기본필드로서 등록번호와 등록일이 지정되어 컨텐츠 정보DB(310)에 저장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트건수 또는 일일 평균히트건수 필드가 추가적으로 생성된다.
복사방지모듈(220)은 컨텐츠 판매서버(200)에 등록된 컨텐츠를 불법 복제 또는 무단 도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복사방지모듈(220)에 적용되는 기술로는 현재 인터넷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워터마킹기술, 암호키 기술, 프린트방지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모듈(240)은 컨텐츠 등록모듈(210)을 통하여 등록된 컨텐츠를 컨텐츠 정보DB(310)에 저장하거나 클라이언트(100)가 선택한 컨텐츠를 컨텐츠 정보
DB(310)로부터 추출하는 등 컨텐츠를 관리하며, 컨텐츠 등록후에 발생되는 컨텐츠 히트건수 등을 컨텐츠 정보DB(310)에 저장한다. 또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구매될 컨텐츠를 추출하여 컨텐츠 판매모듈(260)에 제공하고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정보DB(320)의 컨텐츠 정보를 갱신한다.
컨텐츠 표시모듈(250)은 컨텐츠 정보DB(310)에 저장된 컨텐츠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한다. 일실시예로, 컨텐츠 표시모듈(250)은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들을 디렉토리 분류 방식으로 제공하여 클라이언트(100)가 보다 용이하게 필요로 하는 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100)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샘플화상이나 관련정보와 함께 표시하며, 검색되어 표시되는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이미 판매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구매정보를 참조하여 구매 클라이언트 홈페이지를 링크시킨다.
컨텐츠 검색모듈(270)은 등록된 다수의 컨텐츠들 중에서 클라이언트의 키워드 입력에 의해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1차 검색으로 추출되는 컨텐츠들의 리스트가 제공되면, 클라이언트(100)는 이들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판매모듈(260)은 클라이언트에 의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 예를 들어, 구매 클라이언트명, 위치정보(URL) 등을 입력받아 컨텐츠 구매정보DB(320)에 저장한다. 또한,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대금결제를 확인한 후, 구매될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모듈(240)을 통하여 컨텐츠 정보DB(310)로부터 추출하여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정보 변경모듈(280)은 이미 판매된 콘텐츠에 대해서 컨텐츠 위치정보를 구매 클라이언트가 직접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 판매된 컨텐츠에 대한 위치정보를 판매서버(300)와 항상 링크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판매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 판매방법에 적용되는 컨텐츠 등록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컨텐츠를 판매하려고 하는 클라이언트(100)는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 판매서버(200)에 접속한다(단계 S110).
접속한 후, 컨텐츠 등록항목을 선택하며, 판매서버(200)의 컨텐츠 등록모듈
(210)은 등록화면을 클라이언트(100)의 웹 브라우저로 전송하며, 클라이언트(100)는 등록화면에 표시된 항목에 대응하여 컨텐츠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120). 입력되는 항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명, 제작자명, 컨텐츠명, 컨텐츠내용, 샘플화상, 판매가격, 컨텐츠의 위치정보(URL)나 업로드할 파일 및 계좌번호일 수 있다. 이들 컨텐츠 정보는 후에 수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등록후의 히트건수에 대응하여 판매 클라이언트는 판매가격 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최종적으로 컨텐츠를 업로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130)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에는 조정의 업로드 방식, 예를 들어, FTP, HTML 또는 파일업로드 컴포넌트 등을 이용하여 판매할 컨텐츠를 업로드한다(단계 S140).
업로드된 컨텐츠는 판매서버(200)의 복사방지모듈(220)에 의해 복사방지가 설정된다(단계 S150). 복사방지 기술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워터마킹기술, 암호키 기술, 프린트방지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를 업로드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매할 컨텐츠의 위치정보, 구체적으로는 판매할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의 URL을 입력한다(단계 S170).
이와 같이 업로드된 컨텐츠나 컨텐츠 위치정보는 다른 관련정보들과 함께 컨텐츠 정보DB(310)에 저장된다(단계 S160). 컨텐츠 정보의 저장은 컨텐츠 관리모듈
(240)에 의해 수행되며, 컨텐츠 관리모듈(240)에 의해 자동적으로 등록번호와 등록일이 지정되며, 필요에 따라 히트건수, 일일 평균히트건수 또는 구매여부 체크필드가 추가적으로 생성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판매하려고 하는 컨텐츠는 컨텐츠 판매서버(200)에 등록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등록된 컨텐츠를 구매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판매서버(200)의 컨텐츠 표시모듈(250)은 등록된 컨텐츠들을 계층적 디렉토리 분류방식으로 표시한다(단계 S210).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디렉토리로 "엔터테인먼트", "참고자료", "사회과학"... 등으로 분류되고, 각각의 메인 디렉토리의 서브디렉토리로 "엔터테인먼트"에서는 "동영상", "플래시"... 등으로 분류된다. 디렉토리의 종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디렉토리를 세분화함으로서 목표로 하는 컨텐츠에 보다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어 클라이언트는 계층적으로 분류된 디렉토리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컨텐츠 검색모듈(270)을 통하여 키워드의 조합으로 관련되는 컨텐츠들을 검색한다(단계 S220). 도 7은 클라이언트가 계층적 디렉토리로부터 "엔터테인먼트 - 플래시 - 만화 - 시사만화"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서 관련되는 컨텐츠가 나열된 것을 보여준다. 어느 방식에 의한 검색이 효율적인지는 컨텐츠 정보DB(310)에 저장된 각각의 컨텐츠에 관련된 인덱스 키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부여되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나열되는 컨텐츠들은 클라이언트들에 의한 히트건수가 병기되며, 이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질적 가치 또는 인기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열되는 컨텐츠들 중에서 이미 구매가 이루어진 컨텐츠는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와 링크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관련되는 컨텐츠들이 나열되면, 그 중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표시한다(단계 S230).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관련정보들이 상세하게 표시된다. 즉, 제작자, 판매가격, 총히트건수, 일일평균히트건수, 컨텐츠 내용, 등록일 및 등록번호 등의 서지정보와 샘플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등록된 컨텐츠의 관련정보가 판매서버(200)에 없고, 컨텐츠의 위치정보만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가 선택되면 컨텐츠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를 소유한 판매 클라이언트 측으로 이동하여 관련정보를 표시한다.
클라이언트는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관련정보를 참조하여 구매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240), 구매할 것을 결정한 경우에는 도 8의 표시화면에서 구매버튼을 눌러 구매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컨텐츠 판매서버(200)의 컨텐츠 판매모듈(260)은 클라이언트에 의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 예를 들어, 구매 클라이언트명, 위치정보(URL) 등을 입력받고(단계 S250), 이들 구매정보를 컨텐츠 구매정보DB(320)에 저장한다(단계 S260).
이어, 컨텐츠 관리모듈(240)은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정보DB(310)의 컨텐츠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270).
클라이언트(100)에 의한 컨텐츠 구매 대금결제가 확인되면(단계 S280), 컨텐츠 판매모듈(260)은 컨텐츠 관리모듈(240)이 컨텐츠 정보DB(310)로부터 추출한 컨텐츠를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한다(단계 S290).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정보DB(310)로부터 컨텐츠가 추출되어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다는 것은 판매되는 컨텐츠의 저작권과 컨텐츠에 관련된 잠재 클라이언트를 함께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단 판매가 이루어진 컨텐츠에 대해서는 그 내용이 컨텐츠 정보DB(310)로부터 삭제되어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에 부착되는 컷 앤드 페이스트(cut & paste)의 개념이 적용된다. 또한, 컨텐츠의 내용이 컨텐츠 정보DB(310)로부터 삭제되기는 하지만, 판매이후의 컨텐츠의 위치정보가 컨텐츠 구매정보DB(320)에 남아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해당 컨텐츠에 관련된 잠재 클라이언트는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와 항상 연결된다.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에 의해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컨텐츠의 판매여부에 따라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컨텐츠 검색모듈(270)을 통하여 또는 계층적 디렉토리의 순차적 선택에 의해 해당되는 컨텐츠들을 검색하면, 컨텐츠 관리모듈(240)은 컨텐츠 정보DB(310)를 열고(단계 S310), 검색된 컨텐츠들을 추출하여 표시한다(단계 S315).
각각의 추출된 컨텐츠들로부터 판매된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320), 판매된 컨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명과 간단한 설명 및 히트건수를 리스트-업하여 표시한다(단계 S360).
개별적으로 판단한 컨텐츠가 이미 판매된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 판매모듈(260)은 구매관련 정보가 저장된 컨텐츠 구매정보DB(320)를 오픈하여(단계 S325), 판매된 컨텐츠의 등록번호에 연결된 구매정보를 추출한다(단계S330). 구매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매 클라이언트명, 위치정보(URL) 또는 구매일 등일 수 있다.
컨텐츠 표시모듈(250)은 추출된 구매정보 중에서 위치정보를 판매된 컨텐츠와 링크시켜 다른 컨텐츠들과 함께 표시한다(단계 S335).
도 9를 참조하면, 이미 판매된 컨텐츠인 "100% 플래시 완전시사 - 더 이상 시사만화는 없다"는 이 컨텐츠를 현재 구매하여 소유하고 있는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인 "http://www.realtimes.co.kr/default.asp"가 링크된다.
따라서, 구매 클라이언트가 판매된 컨텐츠를 선택하면(단계 S340), 이 컨텐츠에 링크된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컨텐츠의 내용을 표시한다(단계 S345).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판매된 컨텐츠의 위치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컨텐츠를 구매한 클라이언트는 컨텐츠 판매서버(200)에 접속하면, 위치정보 변경모듈(280)은 구매된 컨텐츠의 구매현황을 리스트-업한다.
구매 클라이언트가 위치정보를 변경하기 위해 수정버튼을 클릭하면, 위치정보 변경 이벤트가 발생되고, 위치정보 변경모듈(280)은 현재 구매 클라이언트의 확인절차를 거친 후, 구매 클라이언트로부터 변경된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
컨텐츠 판매모듈(260)은 컨텐츠 구매정보DB(320)를 오픈하여 새로이 입력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컨텐츠의 위치정보를 변경시킨다.
이와 같이 위치정보 변경모듈(280)을 이용함으로서 구매 클라이언트는 구매한 컨텐츠가 다수개일 때, 이들에 대한 위치정보를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항상 판매서버(30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 변경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를 열람하기 위한 전용 뷰어를 구매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을 갖는다.
먼저,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판매하려고 하는 컨텐츠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이들을 계층적 디렉토리로 분류하거나 적절한 인덱스 키를 부여하여 효율적으로 검색되도록 함으로서 신속하고 용이한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검색된 컨텐츠들이 히트건수 등과 같은 정보와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인기도나 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므로 양질의 컨텐츠를 확보하는데 있어 신뢰성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기있는 컨텐츠를 구매함으로서 판매서버의 인기도에 비례하는 잠재적인 클라이언트들을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로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더욱이, 구매 컨텐츠에 대한 위치정보 변경에 의해 항상 판매서버와 연결함으로서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 변경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온-라인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컨텐츠 판매서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텐츠 판매서버는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시키는 컨텐츠 등록모듈;
    상기 컨텐츠 등록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정보DB에 저장하거나 구매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정보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등록된 컨텐츠에 대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구매될 컨텐츠를 추출하며,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될 컨텐츠의 관련정보를 갱신하는 컨텐츠 관리모듈;
    상기 컨텐츠 정보DB에 저장된 컨텐츠를 일정한 방식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검색된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판매된 컨텐츠를 구매한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를 링크시키는 컨텐츠 표시모듈;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컨텐츠 구매정보DB에 저장하고,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대금결제를 확인한 후, 구매되는 컨텐츠를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판매모듈;
    상기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듈들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컨텐츠들 중에서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의 키워드 입력에 의해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직접적으로 검색하는 컨텐츠 검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불법 복제 또는 무단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사방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DB에 저장된 컨텐츠는 계층적 디렉토리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된 콘텐츠들에 대해서 컨텐츠 위치정보를 구매 클라이언트가 직접 일괄적으로 변경함으로서 상기 판매된 컨텐츠에 대한 위치정보가 상기 판매서버와 항상 링크되도록 하는 위치정보 변경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모듈은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명, 제작자명, 컨텐츠명, 컨텐츠내용, 샘플화상, 판매가격, 컨텐츠의 위치정보
    (URL)나 업로드할 파일 및 계좌번호를 입력받고, 등록번호와 등록일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시스템.
  7. 다수의 클라이언트들과, 상기 클라이언트들이 온-라인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고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컨텐츠 판매서버로 이루어지는 인터넷을 통한 판매시스템에 적용되며,
    컨텐츠를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관련정보를 입력받아 등록시키고, 상기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판매서버의 컨텐츠 표시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컨텐츠들을 계층적 디렉토리 분류방식으로 표시하는 단계;
    구매 클라이언트가 상기 계층적으로 분류된 디렉토리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컨텐츠 검색모듈을 통하여 키워드의 조합으로 관련되는 컨텐츠들을 검색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컨텐츠들로부터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 관련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컨텐츠들의 관련정보를 참조하여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구매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구매정보를 상기 컨텐츠 구매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컨텐츠 구매 대금결제가 확인되면, 판매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게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컨텐츠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서 상기 컨텐츠 판매서버와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의 홈페이지를 항상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에 의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구매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데이터베이스의 컨텐츠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된 컨텐츠들에 대해서 컨텐츠 위치정보를 상기 구매 클라이언트가 직접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 판매방법.
KR10-2000-0056994A 2000-09-28 2000-09-28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KR10039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994A KR100397953B1 (ko) 2000-09-28 2000-09-28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994A KR100397953B1 (ko) 2000-09-28 2000-09-28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08A true KR20020025308A (ko) 2002-04-04
KR100397953B1 KR100397953B1 (ko) 2003-09-13

Family

ID=1969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994A KR100397953B1 (ko) 2000-09-28 2000-09-28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9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1167A1 (en) * 2004-02-21 2005-09-01 Cheol Su Lee Method for servicing an electronic certificate for a big-name brand
KR100807264B1 (ko) * 2006-04-29 2008-02-28 강찬구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253A (ja) * 1997-10-20 1999-04-30 V Sink Technology:Kk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
JP3555415B2 (ja) * 1997-11-27 2004-08-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10027764A (ko) * 1999-09-15 2001-04-06 원동학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정보 거래 방법
KR20010104086A (ko) * 2000-05-12 2001-11-24 김태진 커뮤니티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홍보 및 판매 중개 서비스방법
KR20000058652A (ko) * 2000-06-22 2000-10-05 구자홍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KR20020001217A (ko) * 2000-06-27 2002-01-09 박성준 컨텐츠 거래 중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1167A1 (en) * 2004-02-21 2005-09-01 Cheol Su Lee Method for servicing an electronic certificate for a big-name brand
KR100807264B1 (ko) * 2006-04-29 2008-02-28 강찬구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953B1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8744B1 (en) Rich media file format and delivery methods
US20190236533A1 (en) Network-based distribution of application products
US20190205893A1 (en) Method for providing a bulletin board for placing an image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album service
US85388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aided research and shopping
US20080147680A1 (en) Electronic shop providing method, site search method, and bulletin board providing method
US20090094050A1 (en) Electronic shop customer registration method
US20080004992A1 (en) Federated marketplace for electronic commerce
US20090099853A1 (en) Contextual product placement
EP1703425A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113929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avigable path between pages of a network platform based on linking database entries of the network platform
KR101140318B1 (ko) 동영상 정보에 대응되어 저장되는 상업적 태그 등의 메타정보 기반 키워드 광고 서비스 방법 및 그 서비스를 위한시스템
JP7019933B2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KR100397953B1 (ko) 잠재 클라이언트의 흡수가 가능한 컨텐츠의 판매방법 및판매시스템
KR101017939B1 (ko) 디지털콘텐츠 표시시스템 및 디지털콘텐츠 표시수단 생성방법
US8131752B2 (en) Breaking documents
CN106294469A (zh) 一种基于浏览器的搜索方法和装置
KR20020011670A (ko) 인터넷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축하여 판매하는 방법
KR20060015034A (ko) 이미지 관리 및 거래가 가능한 웹 하드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7257625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1765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user shopping over computer networks
KR20020005928A (ko) 인터넷 쇼핑몰 방송국 구축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25887B1 (ko) 온라인 사이트에서의 동영상 결합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U2006100544A4 (en) Content Presentation
GB2367156A (en) Online brand repository system and methods for submission thereto, searching thereof and management thereof
KR20050096572A (ko) 검색 키워드를 판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