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764A - 브라운관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764A
KR20020024764A KR1020010010139A KR20010010139A KR20020024764A KR 20020024764 A KR20020024764 A KR 20020024764A KR 1020010010139 A KR1020010010139 A KR 1020010010139A KR 20010010139 A KR20010010139 A KR 20010010139A KR 20020024764 A KR20020024764 A KR 2002002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kgf
crt
tensile stress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9539B1 (ko
Inventor
정성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MYPI2001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MY128585A/en
Priority to US09/929,096 priority patent/US6597097B2/en
Priority to CNB011324090A priority patent/CN1224999C/zh
Priority to CNB2005100656134A priority patent/CN100339931C/zh
Priority to EP01308178A priority patent/EP1191568A3/en
Priority to JP2001293112A priority patent/JP2002164004A/ja
Publication of KR2002002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네크, 펀넬, 및 프리트 글라스에 의해 상기 펀넬에 융착되는 패널을 갖는 외위기(Envelope)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패널의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두께를 T1, 대각 코너 두께를 T2라 할 때, 1.7≤T2/T1≤2.3이며, 상기 브라운관의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3876x + 128.2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운관은,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패널을 구비한 브라운관에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부분의 내면인장응력을 관리하여 재생 시에 발생하는 파손을 줄여, 그 재생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브라운관{A BRAUN TUBE}
본 발명은 외면이 평면인 패널을 갖는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내, 외면곡률을 수정하여 화면이 평면의 이미지를 갖도록 한 브라운관에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응력분포를 인위적으로 바꿔, 재생(Salvage) 공정시 글라스의 재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의 구성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운관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1)과, 상기 패널(1)의 내측에서 입사되는 전자빔의 색 선별 기능을 갖는 섀도우마스크(3)와, 상기 섀도우 마스크(3)를 고정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4)과, 상기 프레임(4)을 패널(1)에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 핀(6)과, 상기 스터드 핀(6)과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프링(5)과 패널(1)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펀넬(2)과, 상기 펀넬(2)의 후방을 후퇴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부(10)와, 상기 네크부(10)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11)을 방출하는 전자총(8)과, 상기 방출된 전자빔(11)에 작용되는 지자계 등의 외부자계를 차단하기 위하여 프레임(4)에 조립되는 인너쉴드(7)와, 상기 펀넬(2)의 외측을 둘러싸며 전자빔(11)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9)와 상기 패널(1)의 스커트부에 설치되는 방폭밴드(12)로 구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패널의 형상은 내면과 외면 모두 일정곡률을 갖는 구조로 설계되어, 외면의 곡률 때문에 화상 표현 시 화상이 왜곡되어, 눈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외광의 반사가 심해 눈의 피로도를 높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음극선관에서는 도 2(b)의 패널의 구조에서 처럼 눈에 편안한 느낌을 주는 외면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는 패널의 구조가 사용되고, 이는 사용자의 이미지 부상효과를 고려하여 적정 시거리에서 화면의 왜곡을 없애고 눈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평면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이후 FCD라 칭함)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은 패널의 내면에 스크린을 형성하는 공정, 패널(1)과 펀넬(2)을 프리트 글래스(Frit Glass)로 융착하여 봉합하는 실링(Sealing) 공정, 브라운관 내부를 공진공 처리하기 위한 배기공정등 많은 제조공정들을 거치고, 또한 브라운관 내부에는 전자총(8), 새도우마스크(3), 프레임(4), 및 인너실드(7) 등 부품들을 장착한다. 위의 제조공정 중 또는 공정완료 후 특정 부품의 불량이나 특정 공정상 불량이 발생하여 불량 브라운관을 재생(Salvage)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도 3은 브라운관의 재생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우선 분리하고자하는 브라운관의 넥크부를 잘라 내어 진공 해제를 시킨 후, 밴드를 제거하여 착공존에 장착을 시킨다. 다음에, 에칭(Etching)존에서 질산으로 프리트(Frit)를일부 제거하고, 세척존에서 패널과 펀넬에 묻어 있는 질산을 물로서 제거한다. 이때, 프리트(Frit)에는 많은 오리진(Origin)이 발생하게 되며, 1온수존에서 냉수존을 거치면서 패널, 펀넬, 프리트 내외면에는 각기 다른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유리 성분은 파손 기점인 오리진(origin)에서 인장응력에 의해서 파손이 진행된다. 1온수존에서 냉수존을 거치면 외면에 인장응력이 걸리므로 내면에 압축응력이 존재하는 부분까지 프리트가 분리되며 냉수존에서 2 온수존을 거치면서 반대로 외면에 압축응력이 걸리고 내면에 인장응력이 걸려 프리트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종래의 브라운관 유리 패널은 도 2(a)와 같이 내, 외면이 임의의 곡률을 가지고 있어서 패널 구조강도가 확보되어, 코너부의 두께도 센터 대비 130%미만으로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능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브라운관의 재생문제는 전혀 없었으나, 도 2(b)와 같이 외면은 거의 평면이고 내면은 일정곡률을 가지는 패널(FCD)은 새도우마스크의 구조강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패널 내면은 마스크와 거의 유사한 곡률을 갖게 되고 외면은 거의 평면이 되므로 패널 코너의 두께를 센터 대비 170%이상의 두께로 가져 갈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한 패널 두께의 급격한 증가로 마스크의 강도는 유지 할 수 있으나 패널구조의 구조는 열응력에 대해 매우 불리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패널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응력의 분포는 매우 불균일 하며, 브라운관의 제조시에 새도우마스크와 프레임 결합시에 용접응력을 제거하기 위한 스태비(Stabi)공정, 패널과 펀넬을 융착시키는 프리트 실링(Frit Sealing)공정, 전자빔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기공정 등에서 필수적으로 로(爐)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유리의 응력 구조를 더욱 불균일하게 한다. 이로 인한 패널과 펀넬을 분리시키는 재생(Salvage) 공정에서 파손이 급증하며 재투입 시에도 패널의 강도를 떨어뜨려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패널의 웨지(Wedge)율이 170% 이상 일때는 로내(爐內)열충격에 의한 융착부위의 인장응력이 매무 커지고 이로 인한 패널과 펀넬이 분리 시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각 코너 부위에서의 파손 현상인 "코너 풀(Corner Pull)" 현상으로 인한 파손이 심하게 발생 되어, 통상적으로 FCD 타입 튜브의 원가의 35∼45%를 차지하는 패널 및 펀넬의 재생율 향상은 매우 심각한 문제였다.
이러한 파손율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스태비(Stabi)공정, 프리트 실링(Frit Sealing)공정, 배기공정 등 복잡한 로(爐)공정의 개선, 특히 브라운관의 생산시에 패널과 펀넬을 융착시키는 공정인 프리트 실링(Frit Sealing) 공정에서 응력을 관리하여야 하나, 로(爐) 온도 개선을 위한 엄청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고 제조의 생산성도 급격히 저하하여 제품의 생산원가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투자 필요없이 제조 생산성이 우수한 브라운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운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브라운관의 패널 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브라운관의 재생(salvaage)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4는 펀넬과 패널 분리시 코너 풀(Corner Full) 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도,
도 5은 프리트 실링 공정에서 로(爐) 스케쥴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는 펀넬과 패널의 융합부 위치별 응력과 재생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 내지 도11은 각각 17"FCD, 19"FCD, 21"FCD, 25"FCD, 29"FCD에 대한 펀넬과 패널의 융합부에서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에 따른 재생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및
도 12는 브라운관 유효화면 크기와 재생율에 영향을 주는 내면인장응력(P_in)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패널부2: 펀넬부
3: 새도우마스크 4: 프레임
5: 스프링 6: 스터드 핀
7: 인너실드 8: 전자총
9: 편향요크 10: 네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네크, 펀넬, 및 프리트 글라스에 의해 상기 펀넬에 융착되는 패널을 갖는 외위기(Envelope)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의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두께를 T1, 대각 코너 두께를 T2라 할 때, 1.7≤T2/T1≤2.3이고, 상기 브라운관의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부분의 내면인장응력(P_in)이, -1.3876x + 128.2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운관의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부분의 내면인장응력(P_in)이, -1.4625x + 119.88 이하이면 좋고, -1.4875x + 117.1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자는 패널의 대각축선의 끝부 융착부에서 웨지(Wedge)율에 의한 두께 차이 때문에 매우 불규칙한 온도 분포가 연결 영역에서 발생하는 것에 착안하여, 프리트 실링(Frit Sealing) 로(爐)의 온도 변화가 재생(Salvage)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인자를 찾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도 5는 프리트 실링(Frit Sealing) 로(爐)에서의 온도와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스케쥴 그래프로서, 가열속도(Heating Rate), 유지기간(Keeping Time), 냉각속도(Cooling Rate), 피크온도(Peack Temp.)라는 형태의 인자를 찾을 수가 있다. 도 5에서, 프리트 실링(Frit Sealing) 로(爐)를 통과하는 인덱스별 통과시간을 다르게 하여 실링 로(爐)를 거친 제품들을 대상으로 재생(Salvage)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이때, 모든 제품들에 적용한 재생(Salvage) 공정은 동일한 것으로, 에칭은 스프레이 타입으로 58℃ 190초 동안, 1온수존은 58℃ 90초 동안, 냉수존은 28℃ 38초 동안, 2온수존은 54℃ 45초 동안 처리하였다.
[표1] Sealing 온도 Profile분석
Test#1 Test#2 Test#3 Test#4
가열속도(℃/min) 14.1 10.9 11.1 10.8
유지시간(min) 27.7 35.0 32.9 29.6
냉각속도(℃/min) 6.1 6.0 5.7 5.8
피크온도(℃) 454.8 451.0 445.3 443.0
재생율(%) 5 100 75 90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링 로(爐)에서의 가열속도(Heating Rate), 유지기간(Keeping Time), 냉각속도(Cooling Rate), 피크온도(Peack Temp.)라는 인자에 따라 그 재생율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펀넬과 패널의 융합부 위치별 응력과 재생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위치에 따른 응력을 각각 패널 외면응력(P_out) , 패널 중앙응력(P_center),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 펀넬 외면응력(F_out), 펀넬 중앙응력(F_center), 및 펀넬 내면인장응력(F_in)으로 구분하여, 재생율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표2] 응력에 따른 상관성 분석
변수 P_out P_cent P_in F_out F_cent F_in 재생율
P_out 1.000 0.5989 0.4194 0.0331 -0.6696 0.1796 0.3779
P_cent 0.5989 1.0000 0.8917 -0.7277 0.1486 -0.1279 0.9304
P_in 0.4194 0.8917 1.0000 -0.8861 0.3900 -0.5630 0.9863
F_out 0.0331 -0.7277 -0.8861 1.0000 -0.7642 0.6157 -0.9119
F_cent -0.6696 0.1486 0.3900 -0.7642 1.0000 -0.5885 0.4328
F_in 0.1796 -0.1279 -0.5630 0.6157 -0.5885 1.0000 -0.4631
재생율 0.3779 0.9304 0.9863 -0.9119 0.4328 -0.4631 1.0000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위치에 따른 응력과 재생율과의 상관성은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0.98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있다. 결과적으로,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재생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인 것이다.
다음에는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과 실링 로(爐)에서의 가열속도(Heating Rate), 유지기간(Keeping Time), 냉각속도(Cooling Rate), 피크온도(Peack Temp.) 사이의 상관성을 통계적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3에 나타내었다.
[표3] 응력에 따른 Key 인자 분석
Equation R-square F-ratio Correlation
가열속도(℃/min) P_in=155.1-16.2*heat 0.9 0.04 있음
유지기간(min) p_in=204.1-9.6*keep 0.4 0.3 없음
냉각속도(℃/min) p_in=401.1-74*cool 0.3 0.5 없음
피크온도(℃) p_in=1237.5-2.4*peak 0.4 0.4 없음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열속도(Heating Rate)는 R-square가 0.9 이고, F-ratio가 0.04로서, 타인자에 비해 차별적인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통계적 분석법에 의하면 R-square가 0.5 이상, F_ratio가 0.05 이하이면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실링 로(爐)에서의 인자들, 가열속도(Heating Rate), 유지기간(Keeping Time), 냉각속도(Cooling Rate), 피크온도(Peack Temp.) 중, 가열속도(Heating Rate)가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에 가장 상관성이 높으므로,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실링 로(爐)에서 가열속도(Heating Rate)를 포함한 인덱스 시간을 관리하면 가능하다. 예를 들면, 29" FCD 브라운관의 실링 로(爐) 인덱스 시간은 약18∼19초 정도 관리하는데,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은 상술한 인덱스 시간을 길게 하면 작아지고 짧게 하면 커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패널과 펀넬의 융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과 브라운관의 재생율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17"(406㎜), 19"(457㎜), 21"(508㎜), 25"(590㎜), 29"(676㎜) FCD 브라운관에 대한 내면인장응력(P_in)별 재생율을 시험하였고, 그 결과는 각각 표4와 도7, 표5와 도8, 표6과 도9, 표7과 도10, 표8과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4] 17" FCD에 대한 패널 내면인장응력과 재생율 관계
패널내면 인장응력(Kgf/cm2) 56.9 60.4 72.0 92.9 95.0
재생율(%) 90 85 70 30 10
[표5] 19" FCD에 대한 패널 내면인장응력과 재생율 관계
패널내면 인장응력(Kgf/cm2) 49.3 53.1 63.7 90.5 93.4
재생율(%) 90 85 70 30 10
[표6] 21" FCD에 대한 패널 내면인장응력과 재생율 관계
패널내면 인장응력(Kgf/cm2) 36.7 45.9 57.1 88.4 91.6
재생율(%) 95 86 70 30 10
[표7] 25" FCD에 대한 패널 내면인장응력과 재생율 관계
패널내면 인장응력(Kgf/cm2) 29.5 33.8 46.6 76.7 88.2
재생율(%) 90 85 70 30 10
[표8] 29" FCD에 대한 패널 내면인장응력과 재생율 관계
패널내면 인장응력(Kgf/cm2) 13.9 27.1 32.5 68.3 82.6
재생율(%) 92 81 70 30 10
표4와 도7, 표5와 도8, 표6과 도9, 표7과 도10, 및 표8과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7"(406㎜) FCD 브라운관은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72.0(Kgf/cm2)인 경우에 재생율 70% 정도로서 그 이상일 경우 재생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마찬가지로 21"(457㎜) FCD 브라운관은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63.7(Kgf/cm2)인 경우에 재생율 70% 정도로서 그 이상일 경우 재생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21"(508㎜) FCD 브라운관은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57.1(Kgf/cm2)인 경우에 재생율 70% 정도로서 그 이상일 경우 재생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25"(590㎜) FCD 브라운관은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내면인장응력(P_in)이 46.6(Kgf/cm2)인 경우에 재생율 70% 정도로서 그 이상일 경우 재생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29"(676㎜) FCD 브라운관은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32.5(Kgf/cm2)인 경우에 재생율 70% 정도로서 그 이상일 경우 재생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도 12는 브라운관 유효화면 크기와 재생율에 영향을 주는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브라운관 유효화면 크기와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상호 선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브라운관 유효화면 크기를 x, 패널 내면인장응력을 y라 할 때, 재생율 70%일 때는 y = -1.3876x + 128.24, 재생율 85%일 때는 y = -1.4625x + 119.88, 재생율 90%일 때는 y = -1.4875x + 117.1 의 관계식이 성립되는데, 이들의 기울기는 대략 유사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브라운관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을 -1.3876x + 128.24 이하로 관리하면 재생 시 재생율을 높일 수 있고, -1.4625x + 119.88 이하로 관리하면 바람직하고, -1.4875x + 117.1 이하로 관리하면 매우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링 로(爐)에서 인덱스 시간을 관리해야 하는데, 인덱스 시간이 길면 길수록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도 작아지고 그 재료가 본래 가지고 있는 한계 인장응력까지 작아진다. 그러나, 재생율이 90∼100%일 경우에 불필요하게 그 인장응력을 낮추기 위해 인덱스 시간을 길게 하는 것은 제조생산성의 수율의 관점에서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각 관종에 대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하한값으로,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은 17"FCD 브라운관은 56.9 ±5(Kgf/cm2), 19"FCD 브라운관은 49.3 ±5(Kgf/cm2), 21" FCD 브라운관은 36.7 ±2 (Kgf/cm2), 25" FCD 브라운관은 29.5 ±3 (Kgf/cm2), 29" FCD 브라운관은 13.9 ±1 (Kgf/cm2)로 하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최적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은 재생율이 약 90∼95% 정도로 나타난 결과이므로, 그 오차범위를 약 5∼10% 정도로 고려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은 현재 존재하는 일부 관종의 유효화면 사이즈를 예로 든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그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을 일정값 이하로 관리하여,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패널을 구비한 브라운관의 재생 시에 발생하는 로(爐)내 파손을 줄여 재생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네크, 펀넬, 및 프리트 글라스에 의해 상기 펀넬에 융착되는 패널을 갖는 외위기(Envelope)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두께를 T1, 대각 코너 두께를 T2라 할 때, 1.7≤T2/T1≤2.3이며;
    상기 브라운관의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3876x + 128.24 (Kgf/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운관의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4625x + 119.88 (Kgf/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운관의 유효화면 크기를 x(단위: cm)라 할 때,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4875x + 117.1 (Kgf/cm2) 이하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4. 네크, 펀넬, 및 프리트 글라스에 의해 상기 펀넬에 융착되는 패널을 갖는 외위기(Envelope)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외면이 거의 평면이고 내면이 일정 곡률을 갖는 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두께를 T1, 대각 코너 두께를 T2라 할 때, 1.7≤T2/T1≤2.3이며;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3.9 ±1 (Kgf/cm2) ≤ P_in ≤ 72.0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유효화면 대각길이가 40.6㎝ 이하이고,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56.9 ±5 (Kgf/cm2) ≤ P_in ≤ 72.0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56.9 ±5 (Kgf/cm2) ≤ P_in ≤ 60.4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유효화면 대각길이가 40.6㎝보다 크고 45.7㎝ 이하이고,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49.3 ±5 (Kgf/cm2) ≤ P_in ≤ 63.7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49.3 ±5 (Kgf/cm2) ≤ P_in ≤ 53.1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유효화면 대각길이가 45.7㎝보다는 크고 50.8㎝ 이하이며,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36.7 ±2 (Kgf/cm2) ≤ P_in ≤ 57.1(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36.7 ±2(Kgf/cm2) ≤ P_in ≤ 56.9(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유효화면 대각길이가 50.8㎝보다는 크고 67.6㎝보다는 작으며,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29.5±3 (Kgf/cm2) ≤ P_in ≤ 46.6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29.5±3 (Kgf/cm2) ≤ P_in ≤ 33.8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유효화면 대각길이가 67.6㎝ 이상이고,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3.9 ±1 (Kgf/cm2) ≤ P_in ≤ 32.5 (Kgf/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된 패널과 펀넬 융합부위의 패널 내면인장응력(P_in)이, 13.9 ±1(Kgf/cm2) ≤ P_in ≤ 27.1 (Kg/cm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KR10-2001-0010139A 2000-09-26 2001-02-27 브라운관 KR10038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013679A MY128585A (en) 2000-09-26 2001-08-03 Cathode ray tube having panel with improved tensile stress
US09/929,096 US6597097B2 (en) 2000-09-26 2001-08-15 Cathode ray tube having panel with improved tensile stress
CNB011324090A CN1224999C (zh) 2000-09-26 2001-08-30 阴极射线管
CNB2005100656134A CN100339931C (zh) 2000-09-26 2001-08-30 阴极射线管
EP01308178A EP1191568A3 (en) 2000-09-26 2001-09-26 Cathode-ray tube
JP2001293112A JP2002164004A (ja) 2000-09-26 2001-09-26 陰極線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539 2000-09-26
KR20000056539 2000-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764A true KR20020024764A (ko) 2002-04-01
KR100389539B1 KR100389539B1 (ko) 2003-06-27

Family

ID=1969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139A KR100389539B1 (ko) 2000-09-26 2001-02-27 브라운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89539B1 (ko)
MY (1) MY1285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11B1 (ko) * 2002-06-26 2004-08-0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1766B2 (ja) * 1993-06-30 1997-10-29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US5536995A (en) * 1993-11-16 1996-07-16 Asahi Glass Company Ltd. Glass bulb for a cathode ray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520695B2 (ja) * 1996-10-30 2004-04-19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JPH1167124A (ja) * 1997-08-14 1999-03-0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KR100300319B1 (ko) * 1998-11-13 2001-10-29 김순택 음극선관
JP3722457B2 (ja) * 1999-05-27 2005-11-3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パネル
KR100347225B1 (ko) * 1999-11-06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음극선관용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11B1 (ko) * 2002-06-26 2004-08-0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28585A (en) 2007-02-28
KR100389539B1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225B1 (ko) 음극선관용 디스플레이 패널
US449888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tube
KR100389539B1 (ko) 브라운관
US6597097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panel with improved tensile stress
EP1386341B1 (en) Detensioning mask frame assembly for a crt
KR100418037B1 (ko) 컬러 평면 음극선관
US7154215B2 (en) Color cathode ray tube capable of reducing stress
KR20050008859A (ko) 음극선관용 유리 패널
US20050052114A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600258B2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US20050052112A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20050116606A1 (en) Cathode ray tube
KR20030089030A (ko) 음극선관의 펀넬 구조
US2002001108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KR100338022B1 (ko) 칼라수상관용새도우마스크와그제조방법
KR20010049033A (ko) 칼라 브라운관용 마스크 구조
EP1048048A1 (en) Color selection electrode for color display tubes
KR100396623B1 (ko) 음극선관용 패널 구조
KR0144813B1 (ko) 음극선관
Smith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21CYP22 21-Inch Glass Color Picture Tube
KR100256980B1 (ko) 완전평면 음극선관
KR100837247B1 (ko) 음극선관용 유리벌브
JPH03297035A (ja) 陰極線管用シャドウマスク構体
KR930000344Y1 (ko) 칼라음극선관의 컨택트 스프링(contact spring)
JPH04190538A (ja) 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