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791A -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북마크들을 갖는 컨텐츠 - Google Patents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북마크들을 갖는 컨텐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791A
KR20020022791A KR1020027001431A KR20027001431A KR20020022791A KR 20020022791 A KR20020022791 A KR 20020022791A KR 1020027001431 A KR1020027001431 A KR 1020027001431A KR 20027001431 A KR20027001431 A KR 20027001431A KR 20020022791 A KR20020022791 A KR 2002002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content
content
viewer
book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텐엡게니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2002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7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시청자에게 많은 흥미가 있을것 같은 정보 컨텐츠의 요소들 또는 부분들을 나타내기 위한 북마크들을 제공한다. 방송국은 북마킹된 위치들에있는 정보 컨텐츠에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한 제 3 자에게 리즈 판매를 위한 이러한 북마크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 자는 시청자가 평가할 것 같은 표시된 부분들에 근접한 정보 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북마크들을 갖는 컨텐츠{Content with bookmarks obtained from an audience's appreciation}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통합된 미국 특허 6,011,895에 프로그램들, 하나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세그먼트들, 및/또는 복수의 프로그램들로부터의 세그먼트들을 검색하는 방법이 공개되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keyword)에 의해 컨텐츠 우선권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세그먼트는 내용(subject matter)에 관하여 분석되고 키워드를 할당받는다. 키워드들은 원하는 세그먼트를 검색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어떤 것이 실행될지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세그먼트들의 키워드 인덱싱(Keyword indexing)은 원하지 않는 내용의 시청을 방지하거나, 또는 원하는 내용의 검색을도와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동일한 특허 문서는 시청자의 미리 설정된 컨텐츠 요구들과 매칭하는 투명한 이음새 없는 비디오 프로그램들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을 기술한다.
공지된 방법은 그들의 컨텐츠들에 따라 프로그램들의 세그먼트들 또는 전체 프로그램들을 분류한다. 공지된 방법은 시청자의 프로그램의 세그먼트의 예상되는 강도를 제출하지 않는다. 삽입된 키워드들은 중립 방식, 즉, 전형적인 시청자에 흥미의 상대적인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또는 프로그램 내의 하이라이트들(highlights)을 주석을 달지 않는 방식으로 세그먼트의 컨텐츠를 기술한다. 삽입된 키워드들은 세그먼트가 프로그램 안에 감지될 때 시청자가 세그먼트를 좋아할지 아닐지의 여부에 대한 어떠한 표시도 주지 않는다. 키워드들은 컨텐츠가 사용자의 선호도를 만족하는 선택된 프로그램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에게 보여질 프로그램들에 앞서 선택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전자 정보 컨텐츠의 특정한 부분들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북마킹된 위치들에 있는 정보 컨텐츠에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제 3 자에게 리스(lease) 판매를 위한 이러한 북마크들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방송국들(content broadcast station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정보 컨텐츠의 부분들을 결정 및 검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의 평가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의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 및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동일한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기 위한 두 개의 다른 시청자들로부터의 평가를 설명하는 다이어그램.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에게 가장 흥미있을 것 같은 주어진 정보 컨텐츠의 부분들을 효과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장 높은 흥미를 유발시키거나 가장 높은 관심을 끌 것 같은 정보 컨텐츠의 이러한 부분을 마크(mark)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부분들의 마킹으로부터 입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정보 컨텐츠의 요소를 표시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요소는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는시청자로부터 예상되거나 또는 테스트된 평가(appreciation)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표현 "정보 컨텐츠(information content)"는 정보 컨텐츠가 시간에 따라 개발되고 플레이 아웃(play out)된 경우 사용자가 감지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 양상은 시청자가 평가할 것 같은 정보 컨텐츠의 요소들 또는 부분들을 결정하고 참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요소는 특정 시간 길이 동안 시청자에 의해 감지된 정보 컨텐츠의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부분은 몇 초들, 몇 분들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예를 들면, 스냅 샷(snap shot) 또는 프레임과 같은 특정순간에서 발생하는 정보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에서, 요소는 영화의 장면, 소리, 또는 영상 내에 나타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 "평가(appreciation)"은 선호하는 비평적 가치판단(critic estimate)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북마크(bookmark)"는 정보 컨텐츠 내에서 특유한 요소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북마크는 시청자가 좋아하거나 또는 평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 컨텐츠 내의 요소에 라벨을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시청자에 의해 긍정적으로 평가될 것 같은 정보 컨텐츠의 부분들이 미리 결정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이다. 시청자는 임의로 선택된 맴버들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타겟이된 시청자는, 예를 들면, 인구 통계학적이거나 지리적인 표준(demographic or geographic criteria)에 기초하여 선택된 특정 관객들(spectators)의 그룹이다. 배경기술부에 공지된 방법과 비교하여, 프로그램은 시청자에 그것의 전체가 전달된다. 본 발명은 특정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요구들에 따랐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않고 시청자에게 전달되야하거나 또는 전달되지 말아야할 세그먼트들의 부분들을 선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로서 프로그램 또는 다른 정보 컨텐츠에 대한 긍정적인 접근을 채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호될 것 같은 정보 컨텐츠의 부분들만을 선택하고 마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컨텐츠를 인식하는 시청자의 평가에 기초한 정보 컨텐츠로 데이터를 삽입하는 권리를 판매하거나 리스하기 위해 제공 방법을 공급한다. 이러한 권리는 서비스 공급자에게 팔릴 것이다. 그러므로, 서비스 공급자는 정보 컨텐츠에 선전과 같은 데이터를 삽입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는 요소 또는 시청자가 평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 컨텐츠의 요소에 근접하여 광고들을 삽입한다. 그러므로, 광고들은 시청자의 주의 레벨이 높을 것 같은 곳의 정보 컨텐츠에 입력되기 때문에 시청자에 의해 감지될 더 많은 기회를 갖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신호(S1)로부터 시작되는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에 관련된 다이어그램이다. 다음의 "컨텐츠"라는 표현은 "정보 컨텐츠"로 간주된다. 컨텐츠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라디오 또는 컴퓨터 상의 인터넷을 통해 시청되거나 또는 들려질 수 있는 비디오 프로그램 또는 오디오 프로그램이다. 신호(S1)는 시간 도메인에서 컨텐츠(C1)의 선형 물리적 표현이다. 신호(S1)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형적인 물리량이다.
북마크(Bi)는 컨텐츠의 요소를 나타낸다. 이 요소는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평가(appreciation)"는 시청자에 의해 주어진 선호하는 비평적 가치판단의 개념을 포함한다. 북마크(Bi)는 신호(S1)에 삽입되거나 또는 하기에 설명된 것처럼 신호(S1)로부터 따로 따로 공급된다. 북마크(Bi)가 신호(S1)에 삽입될 때, 북마크(Bi)는 컨텐츠(S1)내의 요소를 식별하는 것을 허용하고 신호(S1)내의 북마크로서 인식되고 식별될 수 있다.
시청자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며, 몇몇의 청취자들(auditors) 또는 단일 청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보 컨텐츠는 특정 타겟의 시청자에 대하여 의도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우선, 컨텐츠가 실질적으로 타겟이되는 특정한 시청자를 나타내는, 시험 시청자가 선택된다. 컨텐츠는 시험 시청자의 평가를 결정하고 특정 시청자에 의해 평가될것같은 테스트 시청자에 의해 평가될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 시험 시청자에게 실행된다. 그 후에, 컨텐츠는 컨텐츠(C1)가 타겟이되는 특정 시청자에게 실행될 수 있다.
도 1의 다이어그램(100)은 시간에 따른 컨텐츠의 전개(evolution)에 따라 청중의 평가의 측정의 전개를 준다. 다이어그램(100)은 임의의 유닛에서 수직 축상에 평가의 측정을 준다. 평가는 시청자의 주의 레벨에 의해 , 예를 들면,갈채(applauding), 웃음 등과 같은 컨텐츠 내의 흥미를 보이는 사람의 수 있다. 평가는 시청자에 의해 만들어진 소음의 강도에 의해 또한 측정될 수 있다. 이 수 또는 강도의 변화는 컨텐츠에 따른다. 청중에 의한 컨텐츠의 요소의 평가는 동일한 컨텐츠의 다른 요소들과 비교하여 평가된다. 실질적으로, 평가의 변화는 어떤 부분이 비교적 흥미있는지를 나타낸다.
다이어그램(100)은 컨텐츠를 따라서 요소들의 위치들을 나타내는 참조부호(x)를 가로축 상에 준다. 컨텐츠 내의 어떠한 요소는 컨텐츠 또는 대응적으로 신호(S1) 내의 그것의 위치(Xi)에 의해 식별된다. 신호(S1)가 컨텐츠의 시작이기 때문에, 신호(S1)의 위치들과 컨텐츠 내의 위치들 간의 상호간의 대응이 있다. 컨텐츠 안의 요소는, 예를 들면, 컨텐츠를 실행하는 시작과 요소의 발생 사이에서 패스된 실행 시간에 의해 참조된다. 그 후에, 이 예에서, 컨텐츠 안의 요소의 참조부호(Xi)는 요소가 시청자에 의해 감지되는 시간의 순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의 결과로서 신호(S1)는 연속된 세그먼트들로 세분되고 측정된 평가의 단일 측정은 전체 세그먼트들에 기인한 것이다. 주어진 세그먼트들에 기인한 평가의 측정은, 예를 들면, 전체 세그먼트를 통해 측정된 시청자의 평가의 평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프로그램은 장면으로 세분되고 시청자에 의한 평가는 1 내지 5 등급으로 된다. 5 등급을 받은 장면은 가장 사람들을 이끄는 장면이다. 1등급을 받은 장면은 시청자가 비교적 좋아히지 않는, 즉, 프로그램의 다른 장면들과 비교하여 좋아하지 않는 장면이다.
다이어그램(100)은 시청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내에 이러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위치들(X1, X2 및 X3)에서 발생하는 3개의 피크들을 도시한다. 요소는 비디오 또는 비디오/오디오 컨텐츠 내의 영상, 장면, 동작이 될수 있고, 또는 오디오 컨텐츠 내의 톤, 연속적인 톤들, 심포니의 움직임 또는 노래 가사의 부분 등이 될 수 있다. 북마크들(B1, B2 및 B3)은 평가의 피크들을 나타내는 위치들(X2, X2, X3)에서 신호(S1)에 삽입된다. 하나는 피크들의 정확한 위치들(X1, X2, X3)에서 북마크들(B1, B2, B3)를 삽입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가 흥미의 피크들이 발생 후 또는 전에 임의의 길이로 북마크들을(B1, B2, B3)을 삽입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북마크들(Bi)은 평가가 선정된 임계값보다 위인 신호들(S1) 내의 위치들에서 또한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200)를 도시한다. 시청자(210)는 컨텐츠(C)를 감지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실행 장치(200)는 신호(S)로부터 컨텐츠(C)의 렌더링(rendering)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장치(200)는 다른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장치(200)의 제 1 가능한 기능성은 컨텐츠(C)의 플레이 아웃(play out)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장치(200)는 신호(S)로부터 시청자(210)에게 컨텐츠(C)를 렌더링하는 것을 허용하는 실행 유닛(21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장치(200)는 컴퓨터, 라디오 또는 홈 시어터를 포함하고, 유닛(201)은 VCR, C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한다. 신호(S)는 비디오 테이프,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다른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다.
장치(200)의 제 2 가능한 기능성은 신호(S)의 기록을 허용하는 것이다. 장치(200)는 적절한 저장 매체 상에 신호(S)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유닛(202)을 포함한다. 장치(200)는, 예를 들면,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 CD 레코더, 비디오 카메라 또는 어떤 다른 데이터 레코더를 포함한다. 신호(S)는, 예를 들면, 방송회사(broadcaster)와 같은 외부 센더(sender)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망을 통해 다운로드 될 수 도 있다. 장치(200)는 라이브 정보 컨텐츠 또는 라이브 이벤트로부터 얻어진 신호(S)를 기록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카메라 또는 오디오 레코더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 정보 컨텐츠는 집(230)으로 상징된다.
장치(200)는 신호(S) 내의 북마크들(Bi)을 삽입하기 위한 마커(203)를 더 포함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것처럼 신호(S) 내의 북마크들(Bi)을 삽입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있다.
제 1 방법은 컨텐츠(C)를 감지하는 시청자(210)의 명령에 응답하여 신호(S)에 북마크(Bi)를 삽입하는 것이다.
시청자(210)는, 텔레비전 상의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C)를 시청하는 가정의 최종 사용자가 될 수 있고, 컨텐츠(C)는 방송회사로부터 얻어진다. 사용자(210)는 장치(200)에 의해 저장 매체 상의 신호(S)를 기록한다. 북마크들(Bi)은 신호(S)가 실질적으로 기록되는 동안 삽입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신호(S)는 방송되지 않고 도 2의 라이브 이벤트(203)로부터 얻어지고 이러한 경우 장치(200)는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신호(S)는 미리 기록되고, 실행되고, 북마크들(Bi)은 미리 기록된 신호(S)에 삽입된다. 장치(200)는 기록된 신호로부터 사용자(210)에게컨텐츠(C)를 랜더링 하는 것을 허용한다. 컨텐츠(C)를 감지할 때, 사용자(210)는, 그/그녀가 컨텐츠(C) 이 요소에 특히 흥미가 있을 때마다 장치(200)에 명령어를 보낸다. 명령은 사용자(210)가 원격 제어기 상의 버튼을 누를 때, 보내질 수 있다. 이 명령어에 응답하여, 마커(203)는 북마크(Bi)를 신호(S)에 삽입한다. 북마크(Bi)는 현재 실행되는 요소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거나, 선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C) 및 신호(S)가 세그먼트들로 세분되면, 이러한 프로토콜은 북마크(Bi)가 그것의 컨텐츠가 현재 실행되는 세그먼트의 시작에서 삽입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제 2 방법은 시청자의 평가의 공지된 통계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북마크(bi)를 신호(S)에 삽입하는 것이다. 실제로, 컨텐츠(C)의 특정 요소들이 시청자(210)에 의해 평가될 다른 것들 보다 더 많은 기회를 갖는 컨텐츠(C)와 내용적으로 근접한 다른 컨텐츠들을 이전의 경험들로부터 미리 알 수 있을 수도 있다. 북 마크들(Bi)은 이러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위치들(Xi)에 신호(S)에 삽입된다. 숙고할만한 컨텐츠(C)가 축구 경기일 때, 예를 들면, 북마크(Bi)는 스코어된 골 또는 골의 재연을 나타내는 위치(Xi)에서 신호(S)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실제로, 축구 경기의 이 예에서, 지난 경험으로부터 알 수 있는 골들은 시청자(210)의 주목 레벨이 높을 것 같은 요소들이 된다.
북마크(Bi)를 삽입하는 제 3 방법은 테스트 시청자의 측정된 평가에 기초한다. 컨텐츠(C)는 타겟이된 시청자(210)에 방송되도록 예정될 수도 있고, 그것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은 공지되었다. 방송회사는 컨텐츠를 타겟이되는 시청자(210)에게방송하기 전에 북마크들(Bi)을 삽입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방송회사는 타겟이된 시청자(210)를 나타내는 테스트 시청자를 임의로 선택한다. 컨텐츠(C)는 이 테스트 시청자에게 렌더링되고, 북마크들(Bi)은 이 테스트 시청자의 평가에 기초하여 신호(S)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쇼는 선택된 테스트 시청자에게 생방송으로 실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신호(S)는 기록된다. 이 테스트 시청자의 평가는 신호가 기록됨으로써 측정되고 그러므로 북마크들(Bi)이 기록동안 신호(S)에 삽입될 수 있다.
북마크들(Bi)은 하기 도시된 것처럼 몇몇의 사용자들을 가질 수 있다.
양호하게, 방송회사는 서비스 공급자에게 신호(S) 내의 북마크들(Bi)의 위치들(Xi)을 판매를 위해 제공한다. 이러한 위치들(Xi)은, 이러한 위치들이 많은 수의 청취자들에 의해 보여질 것같기 때문에 광고들을 삽입하기 위한 컨텐츠(C)의 가장 가치 있는 가능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신호(S)내의 북마크들(Bi)은 신호(S)에 광고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내장된 데이터(ADi)를 포함하는 얻어진 신호는 데이터(ADi)에 대응하는 광고들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이끈다. 예를 들면, 컨텐츠(C)가 비디오 컨텐츠일 때, 광고는 제공자의 서비스 또는 상품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된 영상 내에 삽입된 시각 요소 또는 로고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광고는 또한 북마크 위치에서 컨텐츠(C)에 삽입된 짧은 비디오 클립일수 도 있다. 그 후에 컨텐츠(C)는 비디오 클립 동안 방해된다. 광고들은 컨텐츠가 방송되지 전에 컨텐츠(C)에 삽입된다.
방송회사는 이 요소에 대하여 측정된 평가의 비교값에 기초하여 컨텐츠(C)내의 요소를 표시하는 주어진 위치(Xi)의 가격을 조절한다. 평가의 더 높게 측정된 값은 더 높은 가격에 될 수 있다.
사용자(210)는 컨텐츠(C)를 스케닝하기 위한 북마크들(Bi)을 또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단 북마크들(Bi)이 기록된 신호(S)에 삽입되면, 북마크들(Bi)은 컨텐츠(C)내의 요소들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호하게, 신호(S)는 디지털이고, 실행 유닛(201)은 컨텐츠(C)를 스케닝할 때 하나의 북마크(Bi)로부터 다른 하나로 점핑하는 기능성을 허용한다. 이 기능성은 사용자가 그가 선호하는 컨텐츠(C) 내의 요소들만을 실행하도록 허용한다. 원격 제어기의 키를 누름으로서, 사용자는 하나의 북마크로부터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디지털 신호(S)를 통해 네비게이트(navigate) 할 수 있다. 플레이 유닛(201)은 반드시 연속적이지는 않은 하나의 북마크로부터 다른 북마크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북마크들(Bi)은 신호(S)에 내장되지 않을수도 있다. 신호 내의 위치들(Xi)을 나타내기 위한 북마크들(Bi)을 포함하는 분리 신호가 또한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떠한 북마크도 삽입되지 않은 신호(S)로부터 컨텐츠(C) 내의 요소들을 검색하도록 분리 신호는 처리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200)는 신호(S)와 위치들(Xi)을 나타내는 북마크들(Bi)을 포함하는 분리 신호의 조합을 허용한다. 신호(S)와 분리 신호의 이 조합으로부터, 장치(200)는 사용자들이 공급된 북마크들(Bi)에 의해 표시된 컨텐츠(C) 내의 요소들을 엑세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북마크들(Bi)을 포함하는 분리 신호는,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컨텐츠(C)는 제 1 시청자(301) 및 시청자(301)와 다른 제 2 시청자(302)에 제출된다. 청취자들은 그들의 연령, 취향 또는 그들이 여성인지 남성인지의 여부에 따라 시청자(301)로부터 시청자(301)로 변화할 수도 있다. 시간에 따라 플레이 아웃된 컨텐츠(C)를 따라 시청자(301)에 의한 평가의 측정의 전개를 도시하는 제 1 다이어그램(311)이 얻어졌다. 시간에 따라 플레이 아웃된 컨텐츠(C)를 따라 시청자(302)로부터의 평가의 측정의 전개를 도시하는 제 2 다이어그램(312)이 얻어졌다. 두 다이어그램들(311 및 312)에 대하여, 평가는 임의의 유닛에 주어진다. 다이어그램(311)을 고려하여, 시청자(301)로 부터의 평가의 3개의 피크들은 신호(S)내의 위치들(X11, X21, X31)에서 검출된다. 북마크들(B11, B12, B13)의 세트(32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이 위치들(X11, X21, X31)에서 신호(S)에 삽입된다. 다른 한편으로, 다이어그램(312)을 고려할 때, 시청자(302)의 평가의 3개의 피드들은 컨텐츠(C)를 따라 검출된다. 이들 피크들은 컨텐츠(C) 또는 대응하는 신호(S)의 위치들(X12, X22, X32)에 위치된다. 북마크들(B21, B22 및 B23)의 세트(32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이 위치들(X12, X22 및 X23)에서 신호(S)에 삽입된다.
세트(321) 또는 세트(322)의 사용은 컨텐츠(C)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타겟이되는 시청자의 타입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세트(322)는 시청자(302)와 많이 유사한 시청자에 컨텐츠(C)가 실행될 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시청자(302)는 오직 여성 청취자들에 의해 구성될 것이다. 시청자(301)는 혼합된다. 거의 여성이 TV를 시청할 때, TV 프로그램인, 컨텐츠(C)를 실행하기를 원하는방송회사는 신호(S)에 광고들 데이터(AD21, AD22, AD23)를 삽입하기 위해 북마크들(B21, B22, B23)을 사용한다.
더욱이 북마크들(B23 및 B13)은 신호(S) 내의 동일한 위치(X32)에 위치된다. 이 위치(X32)에서 삽입되는 데이터(AD23)로부터 시작되는 광고는 컨텐츠(C)내의 어떤 다른 위치에서 삽입되는 광고보다 다 많은 청취자들에 의해 시청되는 더 좋은 기회를 갖음이 명백하다.
북마크들의 다양한 세트들이 하나 또는 몇몇의 시청자들의 평가에 따라 삽입되는 신호(S)를 공급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안에 있다. 예를 들면, 축구 경기 컨텐츠(C)에서, 북마크들의 제 1 세트는 팀들중 하나의 득점 기회일 때의 게임의 부분들을 나태내기 위해 신호(S)로 삽입된다. 북마크들의 제 2 다른 세트는 컨텐츠(C)안의 골들의 재생을 나타내기 위한 신호(S)에 또한 삽입된다. 방송회사는 두 개의 세트들의 북마크들이 내장된 신호(S)를 공급한다. 방송회사에 의해 공급되는 두 개의 세트의 북마크들을 갖는 미리 기록된 신호(S)를 갖는 사용자는 두 개의 세트들 중 하나의 북마크들에 의해 나타내지는 게임 요소들만을 시청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북마크들의 제 1 세트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고, 두팀들 중 한 팀의 득점 기회때 게임의 부분만을 시청한다. 또는, 사용자는 북마크들의 제 2 세트를 사용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고, 골을 재생하는 게임의 부분만을 시청할 수 있다. 방송회사는 제 1 광고 공급자에게 하나의 세트의 북마크들만의 위치들을 판매하도록 제공하는 것 및 다른 제공자에게 제 2 세트의 북마크들의 위치들을 판매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에 대하여, 변형들 및 개선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제안될 수 있음을 주목하라.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법은 배선된 전자 회로 또는 대안적으로 컴퓨터-저장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의 세트와 같은 몇몇의 방법들로 실행될 수도 있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회로들의 적어도 한 부분에 되돌려지고, 상기 되돌려진 회로들 내에 채워진 것처럼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디지털 처리기의 제어 하에서 실행된다.

Claims (18)

  1. 정보 컨텐츠(C)내의 요소를 나타내는 북마크(Bi)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정보 컨텐츠를 감지(perceiving)하는 시청자(210)의 평가(appreciation)로부터 결정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컨텐츠(C)는 디스플레이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시청자의 평가의 공지된 통계로부터 결정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정보 컨텐츠를 반송하는 제 1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
    · 상기 북마크를 포함하는 제 2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은 상기 요소 근방의 상기 정보 컨텐츠(C)에 광고(ADi)를 삽입하는단계를 포함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은 상기 요소 근방의 상기 정보 컨텐츠에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컨텐츠는 연속 영상들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영상에 삽입된 시각 요소(visual element)인,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컨텐츠는 오디오 및 비디오 프로그램이고, 상기 데이터는 비디오 클립인,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방송회사가 상기 정보 컨텐츠를 방송하기 전에 상기 데이터를 삽입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는 정보 컨텐츠를 반송하는 신호(S)에 삽입된,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방송회사가 상기 신호(S)를 방송하기 전에 상기 북마크(Bi)를 삽입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는 미리 기록된 신호에 삽입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는 상기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삽입되는, 북마크를 사용하는 방법.
  14. 정보 컨텐츠 내의 요소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북마크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상기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결정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 상기 정보 컨텐츠를 플레이 아웃(play out)하도록 허용하는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수단 및;
    · 상기 신호를 기록하는 동안 상기 신호에 상기 북마크를 삽입하는 마커(marker)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 신호로부터 상기 정보 컨텐츠를 플레이 아웃하기 위한 플레이어,
    · 컨텐츠를 플레이 아웃하는 동안 신호에 북마크를 삽입하는 마커를 포함하는, 장치
  17. 정보 컨텐츠의 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북마크가 삽입된 디지털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신호에 의해 반송되고, 상기 요소는 상기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결정되는, 저장매체.
  18. 정보 컨텐츠를 반송하는 북마킹된 신호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정보 컨텐츠의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북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상기 정보 컨텐츠를 감지하는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결정되는, 북마킹된 신호.
KR1020027001431A 2000-06-01 2001-05-08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북마크들을 갖는 컨텐츠 KR20020022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582500A 2000-06-01 2000-06-01
US09/585,825 2000-06-01
PCT/EP2001/005191 WO2001093091A2 (en) 2000-06-01 2001-05-08 Content with bookmarks obtained from an audience's appreci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791A true KR20020022791A (ko) 2002-03-27

Family

ID=2434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431A KR20020022791A (ko) 2000-06-01 2001-05-08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북마크들을 갖는 컨텐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07830A2 (ko)
JP (1) JP2003535535A (ko)
KR (1) KR20020022791A (ko)
CN (1) CN1630869A (ko)
WO (1) WO200109309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68B1 (ko) * 2007-08-06 2010-02-16 브이마크 코리아(유)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한 광고, 공유, 전송 및 검색방법
KR101270516B1 (ko) * 2011-12-08 2013-06-04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실시간 오디오 스트림의 플레이 중 연관된 영상 컨텐트 구간을 획득/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409A1 (de) 2002-10-17 2004-04-29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Programmauswahl am Empfangsgerät eines Broadcast-Mediums
US20080169930A1 (en) * 2007-01-17 2008-07-1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 user's level of attention to content
FR2934730B1 (fr) * 2008-07-29 2010-08-27 Alcatel Lucent Procede de mesure de l'audience de flux media disponibles a la demande dans un reseau ims et serveur d'application media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5052691B1 (ja) * 2011-06-29 2012-10-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5554523A (zh) * 2015-12-04 2016-05-04 珠海多玩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直播频道的信息交互方法及服务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4940A (en) * 1994-10-21 1997-03-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information with indexing
US5574845A (en) * 1994-11-29 1996-11-12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video data management
US5969755A (en) * 1996-02-05 1999-10-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based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6137544A (en) * 1997-06-02 2000-10-2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ignificant scene detection and frame filtering for a visual indexing system
WO1999041684A1 (en) * 1998-02-13 1999-08-19 Fast Tv Processing and delivery of audio-video information
WO2000005884A1 (en) * 1998-07-20 2000-02-03 Mate - Media Access Technologies Ltd. A method of automatic selection of video chann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268B1 (ko) * 2007-08-06 2010-02-16 브이마크 코리아(유) 멀티미디어 북마크를 이용한 광고, 공유, 전송 및 검색방법
KR101270516B1 (ko) * 2011-12-08 2013-06-04 주식회사에어플러그 실시간 오디오 스트림의 플레이 중 연관된 영상 컨텐트 구간을 획득/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93091A3 (en) 2003-02-27
CN1630869A (zh) 2005-06-22
EP1307830A2 (en) 2003-05-07
WO2001093091A2 (en) 2001-12-06
JP2003535535A (ja) 200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5646B2 (en) Content ancillary to sensory work playback
US201802884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media content
US20080040768A1 (en) Approach for associating advertising supplemental information with video programming
US20050060741A1 (en) Media data audio-visual device and metadata sharing system
WO2017045592A1 (zh) 可控电子屏的广告显示方法及装置
US20120233646A1 (en) Synchronous multi-platform content consumption
US20050220439A1 (en)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US20010021994A1 (en) Television
US20090276807A1 (en) Facilitating indication of metadata availbility within user accessible content
KR20040095360A (ko) 비디오 프로그램용 상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JP2005518123A (ja) ビデオコンテンツの早送り/巻き戻しにおける映像要約
JPWO2006059436A1 (ja) 映像コンテンツ再生支援方法、映像コンテンツ再生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US90553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7524321A (ja) ビデオトレーラ
TW462194B (en) A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storage in consumer platforms, broadcast transmitt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2009212857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20022791A (ko) 시청자의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북마크들을 갖는 컨텐츠
CA2456090C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codes for audiovisual programs
US200702018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tion, Delivery, Recording, And Viewing Of Video And Similar Content Primarily Intended To Be Viewed In Step-Frame/Frame-Advance Mode
US7231131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ent codes for audiovisual programs by multiple viewers
JP2008042333A (ja) 映像再生方法及び装置
JP4487250B2 (ja) コマーシャル放送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JP2004072403A (ja) ストリーミング視聴動作分析装置及びその分析結果に基づく広告挿入位置決定装置
JP2000188726A (ja) 放送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受信装置
Campbell Film Viewing in the Interactive 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