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277A -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277A
KR20020021277A KR1020000054045A KR20000054045A KR20020021277A KR 20020021277 A KR20020021277 A KR 20020021277A KR 1020000054045 A KR1020000054045 A KR 1020000054045A KR 20000054045 A KR20000054045 A KR 20000054045A KR 20020021277 A KR20020021277 A KR 20020021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
voice
call
information terminal
portab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00005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277A/ko
Publication of KR2002002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277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비디오 처리수단(28)과, 네트웍 처리수단(29)을 포함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수단(21a)과, 실행과정, 사용상태 및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21b)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 및 네트웍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를 비롯한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 OS 프로그램 및 음성통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수단(23);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임의의 음성통화 관련 데이타를 수신하는 네트웍 송수신수단(24);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중에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는 통화처리수단(25): 상기 통화처리수단(25)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대방을 음성을 출력하고, 자신자의 음성을 입력처리하는 사운드 처리수단(27); 을 포함하며,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나 컴퓨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휴대전화기 없이도 이동중에 전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WITH FUNCTION OF PHONE}
본 발명은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나 컴퓨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휴대전화기 없이도 이동중에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PC)와 전화 시스템을 연동하여 정보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를 위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해당 PC와 전화 시스템을 연결시키는 모든 형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전화 통합(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기술이 개발되어 고전적인 정보 처리 기능과 함께 교환 네트워크의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공중전화망에 가입되어 있는 일반 전화를 인터넷망과 접속시켜 주기 위해서는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Internet Telephony Gateway)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장치란 공중전화망에 가입되어 있는 일반 전화를 인터넷망과 인터페이스 시켜주기 위해 관문(Gateway)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같은 인터넷 텔레포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개인용컴퓨터(PC)와 일반 전화기간에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피씨투폰(PC-to-phone) 서비스를 하는 기업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피씨투폰 서비스를 이용하면, 개인용컴퓨터(PC)와 일반 전화기간에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등의 개인휴대 단말기에서는 일반 전화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나 컴퓨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휴대전화기 없이도 이동중에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5a는 시작화면 예시도이고, 도 5b는 폰콜화면 예시도이며, 도 5c는 공동작업창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개인휴대정보단말기 21a : 키입력수단
21b : 터치스크린 22 : 제어수단
23 : 메모리수단 24 : 네트웍 송수신수단
25 : 통화처리수단 26 : 화이트보드 처리수단
27 : 사운드 처리수단 28 : 비디오 처리수단
29 : 네트웍 처리수단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은 사운드 처리수단과, 비디오 처리수단과, 네트웍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수단과, 실행과정, 사용상태 및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 및 네트웍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를 비롯한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OS 프로그램 및 음성통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임의의 음성통화 관련데이타를 수신하는 네트웍 송수신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중에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는 통화처리수단: 상기 통화처리수단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대방을 음성을 출력하고, 자신자의 음성을 입력처리하는 사운드 처리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는 비디오 처리수단(28)과, 네트웍 처리수단(29)과, 전화번호,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수단(21a)과, 실행과정, 사용상태 및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21b)을 포함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 및 네트웍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를 비롯한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과, OS 프로그램 및 음성통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수단(23)과,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임의의 음성통화 관련데이타를 수신하는 네트웍송수신수단(24)과,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중에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는 통화처리수단(25)과, 상기 통화처리수단(25)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대방을 음성을 출력하고, 자신자의 음성을 입력처리하는 사운드 처리수단(2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는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21b)으로 공동작업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터치스크린(21b)의 공동작업창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내용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네트윅 송수신수단(22)으로 제공하는 화이트보드 처리수단(26);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적용되는 시스템은 인터넷(50)을 통해서 복수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30-1~30-n)와 개인용컴퓨터(40)간에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인터넷에 접속된 음성통화 서비스 서버(60)는 이 음성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복수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30-1~30-n)와 개인용컴퓨터(40)간에 음성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음성통화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추가되어야 한다.
도 4는 도 2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고, 도 5a는 시작화면 예시도이고, 도 5b는 폰콜화면 예시도이며, 도 5c는 공동작업창 예시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에서 수행되는 음성통화와 공동작업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에서 수행되는 음성통화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의 전원을 온시키면, 이에따라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제어수단(22)은 내부 각부에 대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그 다음, 상기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의 사용자가 입력수단(21)을 통해 음성통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터치스크린(21b)에 음성통화를 위한 시작화면이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되며, 이 화면에서는 인터넷을 통해서 음성통화 서비스 서버(60)에 접속되었는지를 표시한다.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의 사용자가 입력수단(21)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네트웍 송수신수단(24)에 의해서 음성통화 서비스 서버(60)에 접속되며, 이 경우 사용자는 음성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해로드인한다.
그 다음,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에서는 음성통화를 원하는 콜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반복적으로 체크하며, 이와같은 수신신호를 체크하면서 수신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원하는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개인휴대정보 단말기(20)의 터치스크린(21b)에 디스플레이된 시작화면에서 폰콜(전화걸기)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대방의 단말기 종류와 사용자 ID 및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폰콜화면이 상기 터치스크린(21b)에 디스플레이되며, 이 화면에 상대방을 선택하면, 이 상대방의 IP주소를 요청받고, 네트웍 송수신수단(24)에 의해 상대방의 전화전호로 콜을 요청한다.
이와같이 하여,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음성통화 서비스 서버(60)에 음성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을 검색하고, 이 검색한 상대방의 IP 어드레스를 요청받는다.
그 다음, 이와같은 제공받은 상대방의 IP 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개인휴대 단말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상대방의 IP 어드레스 및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개인휴대 단말기로 콜을 요청하여 상대방의 개인휴대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가 있으면, 음성통화처리수단(25)은 사운드 처리수단(27)과 연동하여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화처리수단(25)은 또한, 통화중에 상대방의 음성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저장된 음성을 원하는 시간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저장 및 메모리로부터의 재생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같이 재생되는 음성과 음성입력은 상기한 바와같이 사운드 처리수단(27)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음성통화는 콜이 상대방으로부터 요청되어 수신한 경우에도 이루어지는데, 그 음성통화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음성통화를 수행후에는 전원을 오프하지 않으면, 상기 초기화된 이후의 상태로 뒤돌아 간다.
한편, 개인휴대정보단말기(20)에서 수행되는 공동작업기능을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같은 음성통화와 함께, 또는 음성통화와 무관하게 공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메뉴에 표시된 공작작업을 선택하면,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화이트보드 처리수단(26)에 의해 터치스크린(21b)에 표시되는 공동작업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같이 디스플레이된 공동작업창에 원하는 작업, 예를들어, 그림, 글자, 약도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이 작업내용은 화이트보드 처리수단(26)이 정보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송신할 상대방을 선택하면,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상기한 네트웍 송수신수단(26)이 화이트보드 처리수단(26)에 의해 작업내용을 상대방의 개인 휴대정보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전송이 이루어지면, 이 전송되는 작업 내용은 상대방의 단말기에서는 팝업 화면으로 전송한 작업 내용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개인 휴대 단말기간에 공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나 컴퓨터와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휴대전화기 없이도 이동중에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2)

  1. 비디오 처리수단(28)과, 네트웍 처리수단(29)을 포함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개인휴대정보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키입력을 위한 키입력수단(21a)과, 실행과정, 사용상태 및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21b)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 및 네트웍 수신에 응답하여, 음성통화를 비롯한 해당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
    OS 프로그램 및 음성통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수단(23);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 관련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임의의 음성통화 관련데이타를 수신하는 네트웍 송수신수단(24);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음성통화중에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저장 및 재생을 수행하는 통화처리수단(25):
    상기 통화처리수단(25)의 동작과 연동하여 상대방을 음성을 출력하고, 자신자의 음성을 입력처리하는 사운드 처리수단(27);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는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21b)으로 공동작업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터치스크린(21b)의 공동작업창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내용을 신호 처리하여 상기 네트윅 송수신수단(22)으로 제공하는 화이트보드 처리수단(2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KR1020000054045A 2000-09-14 2000-09-14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KR20020021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045A KR20020021277A (ko) 2000-09-14 2000-09-14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045A KR20020021277A (ko) 2000-09-14 2000-09-14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277A true KR20020021277A (ko) 2002-03-20

Family

ID=1968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045A KR20020021277A (ko) 2000-09-14 2000-09-14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2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304A (ko) * 2002-05-17 2003-11-21 홍윤식 단말기간의 실시간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304A (ko) * 2002-05-17 2003-11-21 홍윤식 단말기간의 실시간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45816A1 (en) Shared book reading
KR101616160B1 (ko) 이동 통신 장치를 위한 사용자 선택가능 환경
US9509841B2 (en) Directory features in a distributed telephony system
JP2010530572A (ja) インターフェース接続されるpdaのアプリケーションを直接制御するホスト
US20080248818A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Multimode Response Options to an Incoming Voice or Text Message
US7406167B2 (en) Exchange system and method using icon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plurality of terminals
KR20020094234A (ko)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JP4867321B2 (ja) 接続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045462B (zh) 用于异构会话管理的统一接口的方法和装置
KR1004385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화기능 연결 방법
JPWO2008081945A1 (ja) 携帯情報端末
US20030059025A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selectable appliance modules
JP2003259405A (ja) 電話システム
US20050020306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KR20020021277A (ko) 음성통화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US20060019704A1 (en) Integrating wireless telephone with external call processor
JP2002057795A (ja) 電話端末用音声ファイル機能追加サービス方法、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20060015362A (ko)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TWI396094B (zh) 訊息顯示暨回覆之系統及其方法
KR1006475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에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방법
JP2009294922A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KR200200466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방법
KR2005005579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메모 방법
KR101245585B1 (ko) 사용자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497350B1 (ko) 일대일 통신기능을 갖는 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