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273A -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 Google Patents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273A
KR20020021273A KR1020000054039A KR20000054039A KR20020021273A KR 20020021273 A KR20020021273 A KR 20020021273A KR 1020000054039 A KR1020000054039 A KR 1020000054039A KR 20000054039 A KR20000054039 A KR 20000054039A KR 20020021273 A KR20020021273 A KR 20020021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urification
waste water
septic tan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건
Original Assignee
이명립
(주)상생시대성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립, (주)상생시대성립 filed Critical 이명립
Priority to KR1020000054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273A/ko
Publication of KR20020021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13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using anaerobic contact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오폐수를 모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해 주는 집수조와, 여기에서 공급되는 오폐수를 화학약품 부패, 미세물 부패, 그리고 자여부패 방식으로 찌꺼기를 부패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패조와, 이렇게 부패된 오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와 찌꺼기로 분리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조 및 필터수단을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정화조에는 내부의 하면에 침전되는 찌꺼기를 부패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압력으로 뽑아 내고 이 찌꺼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재공급하기 위한 집수탱크를 포함하는 침전물 정화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정화조 내부에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 침전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이용해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Sewage disposal facilitates for a water-purifier tank}
본 발명은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압에 의해 침전된 침전물이 폐수와 함께 집전탱크로 모이게 하고, 이 집전탱크에서 발생된 가스를 다시 정화조에 제공하여 기포를 생성시킴으로써, 정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나 공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는 일정한 정화장치에서 모아 이를 어느 정도 정화한 다음 공장용이나 농업용 등으로 재활용 하게 된다.
이러한 정화 장치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폐수를 모아 주는 집수조(10)와, 이 집수조에 모인 오폐수를 일정한 시간동안 화학 약품이나 미세물을 이용한 부패 또는 자연 부패 방식으로 부패시켜 주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부패조(20)와, 부패된 오폐수를 용도에 맞게 정화하여 정화수를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조(30) 및 필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정화 장치에는 첨부도면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각 집수조(10), 부패조(20), 정화조(30) 그리고 필터수단(40)은 독립적으로 밀폐되어 있으면서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구성 요소들(10,20,30,40)은, 정화조를 나타내는 첨부도면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탑형상의 탱크로 상면에는 개폐식 뚜껑(31)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필터(33)가 내장되어 있으면서 그 주변을 발효 찌꺼기를 한데 모으기 위한 모임구배(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구성 요소(10,20,30,40)는 첨부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씩 일렬로 배치되어 인접한 다른 구성 요소들과 연통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오폐수의 부패와 정화 과정을 거쳐 정화수를 얻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정화 장치는 정화를 대량으로 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구성 요소들의 갯수를 많이 구비하여 사용하거나, 정화 촉진제와 같은 화학물질이나 미세물의 추가하는 등 정화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정화 장치는 오폐수의 정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찌꺼기가 각 구성 요소의 하부에 함침되게 되는데, 이 찌꺼기가 오폐수(정화수)의 압력 때문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찌꺼기 제거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어 제작 단가가 높아지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오폐수를 모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해 주는 집수조와, 여기에서 공급되는 오폐수를 화학약품 부패, 미세물 부패, 그리고 자여부패 방식으로 찌꺼기를 부패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패조와, 이렇게 부패된 오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와 찌꺼기로 분리시켜 주는 적어도하나 이상의 정화조 및 필터수단을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정화조에는 내부의 하면에 침전되는 찌꺼기를 부패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압력으로 뽑아 내고 이 찌꺼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재공급하기 위한 집수탱크를 포함하는 침전물 정화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정화조 내부에 침전물의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 침전물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이용해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는 찌꺼기가 집진되는 정화조 내부의 하면 중앙에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지게 설치된 집진구와, 일단이 이 집진구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타단부가 상기 집수탱크에 연결되어 오폐수의 압력으로 찌꺼기를 배출시켜 주는 찌꺼기 배출관과, 상기 집수탱크와 집진구의 상면을 연통시켜 주면서 이 집수탱크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정화조에 공급해 주는 가스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는 각각의 부패조 및 필터수단에도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수탱크는 내부에 집진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집진구에는 상기 찌꺼기 배출관의 단부가 장착되어 집수탱크 내부의 와류 발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의 정화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정화 촉진 구조를 적용한 오폐수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정화 촉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화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조 20 : 부패조
30 : 정화조 31 : 개폐식 뚜껑
32 : 모임구배 33 : 필터
40 : 필터수단 50 : 침전물 정화 구조
51, 55 : 집진구 52 : 찌꺼기 배출관
53 : 가스 공급관 54 : 집수탱크
56, 57 : 체크 밸브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가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전체 구성도로, 종래 정화장치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탑형으로 설치하여 사용되는 각각의 정화조(30) 내부에 침전물 정화 구조(50)를 장착하고, 이 구조(50)를 이용해서 각 정화조(30) 바닥으로 침전되어 누적되는 찌꺼기를 집수탱크(54)로 배출한 다음, 이 집수탱크(54)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다시 정화조(30)의 하부로 공급함으로써, 각 정화조(30)의 하부에서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 현상으로 찌꺼기의 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정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50)는 현재 사용되는 여러가지 정화장치, 예를 들어 정화 촉진을 위해 화학물질이나 미세물 등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장치나 자연 부패 등을 통해 정화시켜 주는 장치에 간단하게 장착해서 정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50)는 각 정화조(30)의 내부에서 토출되는 찌꺼기 및 오폐수의 일부를 모아 가스르 발생시켜 주는 집수탱크(54)를 포함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집수탱크(54)에는 내부 바닥면의 중앙에 후술하게 될 집진구(55)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집진구(55)를 이용해서 정화조(30)에서와 마찬가지로 와류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50)는 이러한 집수탱크(54) 이외에 집진구(51), 찌꺼기 배출관(52), 가스 공급관(53)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를 각 구성 요소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집진구(51)는 정화조(30)의 내부면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중앙으로 구배진 바닥면의 중앙에 설치되는데, 전체적인 형상은 용기(사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집진구(51)는 밀폐된 바닥면이 위를 향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화조(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는 상기 바닥면에 누적되는 찌꺼기가 와류 현상에 의해 쉽게 정화조(30) 바닥으로부터 일어 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집진구(51)의 내부에는 후술하게 될 가스 공급관(53)이 장착되는데, 이 공급관(53)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상기 집진구(51)에 의해 바로 정화조(30) 상부로 올라가지 않고 옆으로 흘러 나오면서 와류 현상을 더욱 가중시켜 주도록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집수탱크(54)에 장착되는 집진구(55) 또한 상술한 집진구(51)와 같은 형태로 장착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찌꺼기 배출관(52)으로부터 공급되는 오폐수에 의해 와류 현상을 가중시켜 주게 된다.
상기 찌꺼기 배출관(52)은 일단을 집진구(51)의 하부에 오도록 정화조(30)바닥면의 중앙에 위치하게 설치하게 되며, 이렇게 설치된 찌꺼기 배출관(52)은 상기 부패로(20) 또는 인접한 정화조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오폐수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차이만큼 정화조(30)의 하부에 침전되는 찌꺼기와 오폐수를 정화조(30) 외부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찌꺼기 배출관(52)의 타단부는 상술한 집진구(55)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장착된 찌꺼기 배출관(52)로부터 정화조(30)의 외부로 배출되는 오폐수의 일부는 상기 집수탱크(54)에서 분출되면서 와류 현상에 의해 찌꺼기 끼리의 충돌과 와류 현상 등으로 찌꺼기의 분해 및 바닥면으로부터의 이탈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찌꺼기 배출관(52)에는 체크 밸브(56)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체크 밸브(56)는 정화조(30)로부터 집수탱크(53)쪽으로만 오폐수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찌꺼기 배출관(52)은 정화조(30)로 고압의 오폐수가 유입됨에 따라 그 압력 증가 분만큼의 오폐수를 정화조(30)의 하부로부터 집수탱크(54)로 배출시켜 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정화조(30)의 하부에 많이 집진되는 찌꺼기를 같이 배출시켜 주게 되어 찌꺼기가 상기 정화조(30)의 하부에 누적되는 것을 막아 주게 된다.
상기 가스 공급관(53)은 상술한 정화조(30)와 집수탱크(54)를 연결시켜 주는 관으로, 상기 집수탱크(54)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정화조(30)의 하부에 공급하여 와류를 이용해서 찌꺼기의 분해 및 파괴를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공급관(53)은 일단이 집수탱크(53)의 상부에 장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집진구(51)의 상면을 관통하여 이 집진구(51)와 정화조(30)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장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집진구(51)에 장착되는 타단부는 용기 형상의 집진구(51) 내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장착된 가스 공급관(53)은 집수탱크(54)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집진구(51)에 의해 정화조(30)의 하부에 넓게 퍼지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가스 공급관(53)으로부터 제공되는 가스는 정화조(30)의 상부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렇게 상승중인 가스가 상기 집진구(51)에 붇히치면서 옆으로 퍼지면서 정화조(30) 상부로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는 정화조(30) 내부에서 오폐수의 와류를 더욱 촉진시켜 찌꺼기가 정화조(30)의 바닥면에 눌러 붙는 것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찌꺼기 끼리의 충돌 등에 의해 찌꺼기의 분해 효과를 더욱 높여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정화조(30)에 유입된 오폐수는 가스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 현상으로 각 정화조 내에 누적되는 찌꺼기량을 없애고 특히, 정화나 부패되지 않고 남은 찌꺼기량 또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가 정화조에장착된 상태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침전물 정화 구조는 정화조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패조 및 필터수단에 장착하는 경우 상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폐수를 모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해 주는 집수조와, 여기에서 공급되는 오폐수를 화학약품 부패, 미세물 부패, 그리고 자여부패 방식으로 찌꺼기를 부패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패조와, 이렇게 부패된 오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와 찌꺼기로 분리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조 및 필터수단을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정화조에는 내부의 하면에 침전되는 찌꺼기를 부패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압력으로 뽑아 내고 이 찌꺼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재공급하기 위한 집수탱크를 포함하는 침전물 정화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오폐수의 압력에 의해 찌꺼기가 집진탱크로 모이고 여기서 발생된 가스가 다시 정화조로 재분배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와류 현상으로 찌꺼기가 누적되는 것을 막아 찌꺼기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2) 특히, 상기 찌꺼기의 최소화로 인해 정화조 내부의 하면에 누적되는 찌꺼끼가 줄어 들기 때문에, 고압으로 굳어지는 찌꺼기를 없애기 위한 제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어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3) 또한, 오폐수의 주입 압력에 의해 찌꺼기의 이송 및 여기서 발생된 가스를 재사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오폐수를 모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해 주는 집수조와, 여기에서 공급되는 오폐수를 화학약품 부패, 미세물 부패, 그리고 자여부패 방식으로 찌꺼기를 부패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패조와, 이렇게 부패된 오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와 찌꺼기로 분리시켜 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화조 및 필터수단을 포함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정화조에는 내부의 하면에 침전되는 찌꺼기를 부패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압력으로 뽑아 내고 이 찌꺼기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재공급하기 위한 집수탱크를 포함하는 침전물 정화 구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는 찌꺼기가 집진되는 정화조 내부의 하면 중앙에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지게 설치된 집진구와, 일단이 이 집진구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타단부가 상기 집수탱크에 연결되어 오폐수의 압력으로 찌꺼기를 배출시켜 주는 찌꺼기 배출관과, 상기 집수탱크와 집진구의 상면을 연통시켜 주면서 이 집수탱크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정화조에 공급해 주는 가스 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정화 구조는 각각의 부패조 및 필터수단에도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탱크는 내부에 집진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집진구에는 상기 찌꺼기 배출관의 단부가 장착되어 집수탱크 내부의 와류 발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KR1020000054039A 2000-09-14 2000-09-14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KR20020021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039A KR20020021273A (ko) 2000-09-14 2000-09-14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039A KR20020021273A (ko) 2000-09-14 2000-09-14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273A true KR20020021273A (ko) 2002-03-20

Family

ID=1968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039A KR20020021273A (ko) 2000-09-14 2000-09-14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2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56B1 (ko) * 2012-09-12 2013-04-25 대우산업 주식회사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9774U (ko) * 1977-10-26 1979-05-17
JPS56147687A (en) * 1980-04-18 1981-11-16 Hitachi Kiden Kogyo Ltd Cyclone type sewage purifying device
JPH05345191A (ja) * 1992-01-27 1993-12-27 Kenta Yamashita 浄化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9774U (ko) * 1977-10-26 1979-05-17
JPS56147687A (en) * 1980-04-18 1981-11-16 Hitachi Kiden Kogyo Ltd Cyclone type sewage purifying device
JPH05345191A (ja) * 1992-01-27 1993-12-27 Kenta Yamashita 浄化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56B1 (ko) * 2012-09-12 2013-04-25 대우산업 주식회사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96819A (zh) 用于游泳池的过滤系统
CN207418477U (zh) 一种乳化液废水处理移动设备及系统
CN2892839Y (zh) 轻油污水集成处理装置
KR100458564B1 (ko) 오수 처리방법 및 장치
CN108423931A (zh) 一种可循环在线清洗的污水杂质分离方法
CN201962160U (zh) 一种新型连续工作的洗车污水处理回用装置
CN208562084U (zh) 一种集成式污水处理装置
CN201492976U (zh) 一种含油污泥处理设备及其污泥分离器
KR20080031772A (ko) 수처리용 침전조
KR20020021273A (ko) 오폐수 정화 장치의 정화 촉진 구조
KR101790872B1 (ko) 고도 정수처리 시스템
CN211896559U (zh) 一种油气田压裂返排液的废水处理装置
JP3175010B2 (ja) 固液分離装置
US4752392A (en) Filtr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beds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0763463B1 (ko) 경사판이 결합된 오존소독 및 부상분리 일체형 이중 원통형반응조
CN216513131U (zh) 一种原子灰涂料废水处理装置
CN2316315Y (zh) 组合式高效污水净化装置
KR20200084665A (ko) 오수 처리 장치
CN211283848U (zh) 一种无动力消化槽
CN103332808A (zh) 一种多功能洗扫车污水净化回用一体化装置
KR100323852B1 (ko) 현탁물질제거 및 난분해성 물질제거장치
CN213853464U (zh) 一种污泥分离装置
CN204097220U (zh) 压力除污净水装置
CN215693130U (zh) 一种臭气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