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703A -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703A
KR20020020703A KR1020017014257A KR20017014257A KR20020020703A KR 20020020703 A KR20020020703 A KR 20020020703A KR 1020017014257 A KR1020017014257 A KR 1020017014257A KR 20017014257 A KR20017014257 A KR 20017014257A KR 20020020703 A KR20020020703 A KR 2002002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machine
data
load
index
hydraulic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483B1 (ko
Inventor
와타나베히로시
시바타고이치
아다치히로유키
히라타도이치
스기야마겐로쿠
고마츠히데키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2002002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시장에서 가동하고 있는 유압셔블(1)에 제어기(2)를 구비하고, 엔진(32),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의 각각의 가동시간을 계측하여 그 데이터를 제어기(2)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위성통신, FD 등을 거쳐 기지국 컴퓨터(3)에 전송하여 기지국 컴퓨터(3)의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 기지국 컴퓨터(3)에서는 유압 셔블별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특정의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예를 들면 주행비율)와, 이 특정의 유압셔블과 동일 기종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지표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특정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에 의하여 고객이 실제로 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평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MACHINE, AND ARITHMETIC PROCESSING APPARATUS}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 제조회사는 일반적으로 기계를 구입하고자 하는 고객에 대하여 어떠한 기종이 적합한지를 어드바이스할 때, 고객의 요망을 들은 다음에 카탈로그의 시방 데이터 등에 의거하여 어드바이스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셔블과 같이 프론트 작업기부, 선회부, 주행부 등, 가동시간이 다른 복수의 부위를 가지는 건설기계에 대하여, 고객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최적 기종인 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에 관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최적 기종의 평가 시스템을 구비한 관리시스템의 전체 개요도,
도 2는 기체측 제어기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유압셔블 및 센서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기지국 센터서버의 CPU의 처리기능의 개요를 나타내는 기능블록도,
도 5는 기체측 제어기의 CPU에 있어서의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수집한 가동시간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기체측 제어기의 통신제어부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기체측 제어기로부터 가동시간 데이터가 보내져 왔을 때의 기지국 센터서버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기지국 센터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나타내는 도,
도 9는 사내 컴퓨터 및 사용자측 컴퓨터에 송신하는 일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사내 컴퓨터 및 사용자측 컴퓨터에 송신하는 일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기체측 제어기의 빈도 분포 데이터의 수집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굴삭부하의 빈도 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순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유압펌프의 펌프부하의 빈도 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순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오일온도의 빈도 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순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엔진 회전수의 빈도 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순서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수집한 빈도 분포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기체측 제어기의 통신제어부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기체측 제어기로부터 빈도 분포 데이터가 보내져 왔을 때의 기지국 센터서버의 기체·가동정보 및 교환정보처리부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사내 컴퓨터 및 사용자측 컴퓨터에 송신하는 빈도 분포 데이터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9는 센터서버의 기체정보·최적 기종 평가처리부에 있어서의 기종별 기체정보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기지국 센터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의 기체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나타내는 도,
도 21은 센터서버의 기체정보·최적 기종 평가처리부에 있어서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 번호의 유압셔블의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 분포도를 작성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평가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평가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6은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센터서버의 기체정보·최적 기종 평가처리부에서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8은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 번호의 유압 셔블의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 분포도를 작성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9는 굴삭부하율을 구하기 위한 굴삭부하 빈도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0은 평가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1은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2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3은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체측 제어기의 가동 데이터의 수집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5는 기체측 제어기로부터 가동시간 데이터가 보내져 왔을 때의 기지국 센터서버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6은 기지국 센터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나타내는 도,
도 37은 센터서버의 기체정보·최적 기종 평가처리부에 있어서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8은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 번호의 유압셔블의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 분포도를 작성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39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0은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센터서버의 기체정보·최적 기종 평가처리부에 있어서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2는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 번호의 유압셔블의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 분포도를 작성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3은 굴삭부하율을 구하기 위한 굴삭부하 빈도 분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4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5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6은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4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체측 제어기로부터 가동시간 데이터가 보내져 왔을 때의 기지국 센터서버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8은 조작회수를 부하 보정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49는 미리 설정한 평균굴삭부하(DM)와 부하보정계수(α)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러나 어떠한 기종이 적합한지는 고객이 실제로 어떻게 기계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으로, 고객의 요망과 카탈로그의 시방 데이터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유압셔블의 경우, 고객의 사용상태에 따라 굴삭작업의 빈도, 주행의 빈도가 다르다. 이에 따라 가동시간은 부위별로 다르다. 즉 유압셔블은 엔진, 프론트작업기(이하, 단지 프론트라 함), 선회체, 주행체의 각 부위를 가지고 있고, 엔진은 키스위치를 온함으로써 가동하는 데 대하여 프론트선회체, 주행체는 엔진가동 중에 오퍼레이터가 조작하였을 때에 가동되는 것으로, 엔진가동시간, 프론트조작시간, 선회시간, 주행시간은 각각 다른 값을 취한다.
이에 대하여 종래는 부위마다의 가동시간을 파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객이 실제로 유압셔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없어 최적 기종을 선택평가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실제로 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시장에서 가동하는 복수의 기종을 포함하는 복수대의 건설기계의 각각에 대하여 부위마다의 가동상태를 계측하고, 이들 가동상태를 기지국 컴퓨터에 전송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가동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는 제 1 순서와, 상기 기지국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데이터를 통계처리하고,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 2 순서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고객이 실제로 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가 있고, 이 평가결과를 사용하여 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고객에게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의 사용상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계산하는 제 3 순서를 가지고, 이 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특정의 건설기계의 사용상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계산함으로써 고객이 실제로 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3) 상기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동일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1 상관을 구하는 제 4 순서를 더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지표와 제 1 상관을 구하여 비교함으로써 동일 기종의 다른 건설기계와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건설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고, 이에 의하여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더욱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
(4) 또 상기 (3)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다른 적어도 1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2 상관을 구하는 제 5 순서를 더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와 같이 지표와 제 1 및 제 2 상관을 구하여 비교함으로써 동일 기종의 다른 건설기계 및 다른 기종의 건설기계와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건설기계(특정의 건설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더욱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
(5) 또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순서(S9-S18A, S20-24, S30A-32A)는 상기 부위별 가동상태에 더하여 부위별 부하를 계측하여 상기 기지국 컴퓨터(3)의 데이터 베이스(100)에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고,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부하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가동상태를 부하 보정하는 제 6 순서(S42A, S430-442)를 더 가지고, 이 부하 보정한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부위별로 가동상태뿐만 아니라 부하도 다르고, 각 부위의 부하의 정도에 의해서도 기계의 사용상태가 다르다. 부위별 가동상태를 부하 보정하고, 이것을 가동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평가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그 부하의 상위에 의한 사용상태의 상위를 보정할 수 있고,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더욱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상태는 가동시간과 조작회수의 적어도 한쪽이다.
이에 의하여 가동시간과 조작회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그 기계가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더욱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
(7) 또 상기 (1) 내지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셔블 (1)이며, 상기 부위는 유압셔블의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 엔진(32)의 어느 하나이다.
이에 의하여 유압셔블의 프론트, 선회체, 주행체, 엔진의 각 부위의 가동상태를 계측할 수 있어 그 유압셔블이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더욱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다.
(8) 또한 상기 (1) 내지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 셔블(1)이며, 상기 부위는 유압셔블의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 엔진 (32)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상태는 상기 프론트, 선회체, 주행체, 엔진의 가동시간이며, 상기 지표는 엔진가동시간과 주행시간의 비율, 엔진가동시간과 펌프압이 소정치 이상인 시간과의 비율, 엔진가동시간과 선회시간의 비율과 버킷용량의 곱, 엔진가동시간과 굴삭시간의 비율과 차체 중량의 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유압셔블의 주행, 펌프부하, 버킷·선회작업량, 굴삭력이 요하는 작업량에 관한 사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9) 또 상기 (1) 내지 (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셔블 (1)이며, 상기 부위는 유압셔블의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상태는 상기 프론트, 선회체, 주행체의 조작회수이며, 상기 지표는 모든 조작회수와 주행조작회수와의 비율, 모든 조작회수와 펌프압이 소정치 이상인 조작회수와의 비율, 모든 조작회수와 주행조작회수와의 비율과 버킷용량의 곱, 모든 조작회수와 프론트 조작회수와의 비율과 차체중량의 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서도 유압셔블의 주행, 펌프부하, 버킷·선회작업량, 굴삭력을 요하는 작업량에 관한 사용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10)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시장에서 가동되는 복수의 기종을 포함하는 복수대의 건설기계의 각각에 대하여 부위별 가동상태를 계측, 수집하는 데이터계측수집수단과, 기지국에 설치되어 상기 계측, 수집한 부위별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는 기지국 컴퓨터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컴퓨터는 상기 가동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연산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11) 상기 (1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의 사용상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계산하는 제 1 수단을 가지고, 이 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12) 또 상기 (1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동일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1 상관을 구하는 제 2 수단을 더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13) 또한 상기 (1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 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3 수단을 더 가진다.
(14) 또, 상기 (1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다른 적어도 1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2 상관을 구하는 제 4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15) 상기 (14)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 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5 수단을 더 가진다.
(16) 또 상기 (10)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계측수집수단은 상기부위별 가동상태에 더하여 부위별 부하를 계측, 수집하고, 상기 기지국 컴퓨터(3)는 상기 계측, 수집한 부위별 가동상태와 부하를 데이터 베이스(100)에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부하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가동상태를 부하 보정하는 제 6 수단(S42A, S430-442)을 더 가지고, 이 부하 보정한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생성한다.
(17)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장에서 가동하는 복수의기종을 포함하는 복수대의 건설기계의 각각에 대하여 부위별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데이터를 통계처리하고,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최적 기종의 평가 시스템을 구비한 관리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며, 이 관리시스템은 시장에서 가동하고 있는 유압셔블(1, 1a, 1b, 1c, …)(이하, 부호 1로 대표함)에 탑재된 기체측 제어기(2)와, 본사, 지사, 생산공장 등에 설치한 기지국의 센터서버(3)와, 지점, 서비스공장, 생산공장 등의 사내에 설치한 사내 컴퓨터(4)와, 사용자측 컴퓨터(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의 센터서버(3)의 설치장소로서는 상기 이 외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복수대의 유압셔블을 소유하는 임대회사이어도 좋다.
각 유압셔블(1)의 제어기(2)는 각각의 유압셔블(1)의 가동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그 수집한 가동정보는 기체정보(기종, 호기번호)와 함께 통신위성(6)에 의한 위성통신으로 지상국(7)에 보내지고, 지상국(7)으로부터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한다. 기체·가동정보의 기지국 센터서버(3)에의 도입은 위성통신 대신에 퍼스널컴퓨터(8)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서비스맨이 제어기(2)에 수집한 가동정보를 기체정보(기종, 호기번호)와 함께 퍼스널컴퓨터(8)에 다운로드하여 퍼스널컴퓨터 (8)로부터 플로피디스크 또는 통신회선, 예를 들면 공중 전화회선, 인터넷 등을 거쳐 기지국 센터서버(3)에 도입된다. 또 퍼스널컴퓨터(8)를 사용하는 경우는 유압 셔블(1)의 기체·가동정보에 부가하여 정기점검시의 점검정보나 수리정보를 서비스맨이 손으로 입력하여 수집할 수도 있어 그 정보도 기지국 센터서버(3)에 도입된다.
기체측 제어기(2)의 구성의 상세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제어기 (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a, 2b), CPU(중앙처리연산부)(2c), 메모리(2d), 타이머 (2e) 및 통신제어부(2f)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a)를 거쳐 센서군(뒤에서 설명함)으로부터 프론트, 선회, 주행 파일럿압의 검출신호, 엔진(32)(도 3참조)의 가동시간(이하, 엔진가동시간이라 함)의 검출신호, 유압시스템의 펌프압의 검출신호, 유압시스템의 오일온도의 검출신호, 엔진회전수의 검출신호를 입력한다. CPU(2c)는 타이머(시계기능을포함함)(2e)를 사용하여 그들의 입력정보를 소정의 가동정보로 가공하여 메모리(2d)에 저장한다. 통신제어부(2f)는 그 가동정보를 정기적으로 위성통신에 의해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한다.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2b)를 거쳐 퍼스널컴퓨터(8)에 가동정보를 다운로드한다.
기체측 제어기(2)는 또 CPU(2c)에 상기의 연산처리를 행하게 하게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이나 연산도중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구비하고 있다.
유압셔블(1) 및 센서군의 상세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유압셔블 (1)은 주행체(12), 주행체(12) 위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13), 선회체(13)의 앞 부분 왼쪽에 설치된 운전실(14), 선회체(13)의 앞 부분 중앙에 부앙동(俯仰動;버킷이 위를 향하고 밑을 향하는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작업기(굴삭 작업장치), 즉 프론트(15)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15)는 선회체(13)에 회동 가능에 설치된 부움(16)과, 이 부움(16)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아암(17)과, 이 아암(17)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유압셔블(1)에는 유압시스템(20)이 탑재되고, 유압시스템(20)은 유압펌프 (21a, 21b)와, 부움제어밸브(22a, 22b), 아암제어밸브(23), 버킷제어밸브(24), 선회제어밸브(25), 주행제어밸브(26a, 26b)와, 부움실린더(27), 아암실린더(28), 버킷실린더(29), 선회모터(30), 주행모터(31a, 31b)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펌프(21a, 21b)는 디젤엔진(이하, 단지 엔진이라 함)(32)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압유를 토출하고(송출), 제어밸브(22a, 22b 내지 26a, 26b)는 유압펌프(21a, 21b)로부터 엑츄에이터 (27 내지 31a, 31b)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유량 및 흐름방향)을 제어하고, 엑츄에이터(27 내지 31a, 31b)는 부움(16), 아암(17), 버킷(18), 선회체(13), 주행체(12)의 구동을 행한다. 유압펌프(12a, 21b), 제어밸브(22a, 22b 내지 26a, 26b) 및 엔진(32)은 선회체(13)의 뒤부분의 수납실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밸브(22a, 22b 내지 26a, 26b) 에 대하여 조작레버장치(33, 34, 35, 3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레버장치(33)의 조작레버를 十자의 일 방향(X1)으로 조작하면 아암클라우드의 파일럿압 또는 아암덤프의 파일럿압이 생성되어 아암제어밸브 (23)에 인가되고, 조작레버장치(33)의 조작레버를 十자의 다른 방향(X2)으로 조작하면 오른쪽 선회의 파일럿압 또는 왼쪽 선회의 파일럿압이 생성되어 선회제어밸브 (25)에 인가된다. 조작레버장치(34)의 조작레버를 十자의 일 방향(X3)으로 조작하면 부움 올림의 파일럿압 또는 부움 내림의 파일럿압이 생성되어 부움제어밸브 (22a, 22b)에 인가되고, 조작레버장치(34)의 조작레버를 十자의 다른 방향(X4)으로 조작하면 버킷클라우드의 파일럿압 또는 버킷덤프의 파일럿압이 생성되어 버킷제어밸브(24)에 인가된다. 또 조작레버장치(35, 36)의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왼쪽 주행의 파일럿압 및 오른쪽 주행의 파일럿압이 생성되어 주행제어밸브(26a, 26b)에 인가된다.
조작레버장치(33 내지 36)는 제어기(2)와 함께 운전실(14)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유압시스템(20)에 센서(40 내지 46)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40)는 프론트(15)의 조작신호로서 아암클라우드의 파일럿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이고, 센서(41)는 셔틀밸브(41a)를 거쳐 인출된 선회 파일럿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이고, 센서(42)는 셔틀밸브(42a, 42b, 42c)를 거쳐 인출된 주행 파일럿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이다. 또 센서(43)는 엔진(32)의 키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센서(44)는 셔틀밸브(44a)를 거쳐 인출된 유압펌프(21a, 21b)의 토출압력, 즉 펌프압을 검출하는 압력센서이고, 센서(45)는 유압시스템(1)의 작동오일의 온도(오일온도)를 검출하는 오일온도센서이다.
또 엔진(32)의 회전수는 회전수 센서(46)에 의해 검출된다. 이들 센서(40 내지 46)의 신호는 제어기(2)에 보내진다.
도 1로 되돌아가 기지국 센터서버(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a, 3b), CPU (3c), 데이터베이스(100)를 형성하는 기억장치(3d)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a)는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의 기체·가동정보 및 점검정보를 입력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3b)는 사내 컴퓨터(4)로부터 기종별 기체정보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를 입력한다. CPU(3c)는 그들 입력정보를 기억장치(3d)의 데이터베이스 (100)에 저장, 축적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 정보를 가공하여 일보, 진단서, 최적 기종평가 결과 보고서 등을 작성하여 이들을 입출력 인터페이스 (3b)를 거쳐 사내 컴퓨터(4) 및 사용자측 컴퓨터(5)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센터서버(3)는 또 CPU(3c)에 상기한 연산처리를 행하게 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한 ROM이나 연산도중의 데이터를 1차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CPU(3c)의 처리기능의 개요를 기능블록도로 나타낸다. CPU(3c)는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 점검정보 처리부 (52), 사내용 비교판정 처리부(53), 사외용 비교판정 처리부(54)의 각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는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입력한 가동정보를 사용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는 사내 컴퓨터(4)로부터 입력한 기종별 기체정보 및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를 사용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뒤에서 설명함). 점검정보처리부(52)는 퍼스널컴퓨터(8)로부터 입력한 점검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축적함과 동시에, 그 정보를 가공하여 진단서를 작성한다. 사내용 비교판정 처리부(53) 및 사외용 비교판정 처리부 (54)는 각각,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 점검정보처리부(52)에서 작성된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축적된 정보 중, 필요한 것을 선별하여 사내 컴퓨터(4) 및 사용자측 컴퓨터(5)에 송신한다.
기체측 제어기(2) 및 기지국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 및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의 처리기능을 플로우차트에 의해 설명한다.
기체측 제어기(2)의 처리기능으로는 크게 구별하여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과, 부위별 부하빈도분포 등의 빈도분포 데이터의 수집기능이 있고, 그것에 대응하여 기지국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에는 가동시간의 처리기능과 빈도분포데이터의 처리기능이 있다.
먼저, 기체측 제어기(2)의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어기(2)의 CPU(2c)에 있어서의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6은 수집한 부위별 가동시간 데이터를 송신할때의 제어기(2)의 통신제어부(2f)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있어서, CPU(2c)는 먼저 센서(46)의 엔진회전수 신호가 소정의 회전수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엔진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S9)를 반복한다. 엔진이 가동 중이라고 판단하면 다음 단계(S10)로 진행하여 센서(40, 41, 42)의 프론트, 선회 주행 파일럿압의 검출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0). 이어서 판독한 프론트, 선회 주행 파일럿압의 각각에 대하여 타이머(2e)의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파일럿압이 소정압을 초과한 시간을 계산하여 날짜 및 시간과 관련지어 메모리(2d)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12). 여기서 소정압이란, 프론트, 선회 주행을 조작하였다고 간주 할 수 있는 파일럿압이다. 또 단계(S9)에서 엔진이 가동 중이라고 판단되고 있는 동안, 타이머(2e)의 시간정보를 사용하여 엔진가동시간을 계산하여 날짜 및 시간과 관련지어 메모리(2d)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14). CPU(2)는 이와 같은 처리를 제어기(2)의 전원이 온인 동안 소정 사이클마다 행한다.
단계(S12, S14)에 있어서, 계산한 각각의 시간을 메모리(2d)에 기억하고 있는 과거에 계산한 시간에 가산하여 누적가동시간으로서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에 있어서, 통신제어부(2f)는 타이머(2e)가 온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20), 타이머(2e)가 온이 되면 메모리(2d)에 저장, 축적한 프론트, 선회 주행의 부위별 가동시간 및 엔진가동시간(날짜 및 시간첨부)과 기체정보를 판독하고 (단계 S22), 이들 데이터를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한다(단계 S24). 여기서 타이머(2e)는 1일의 결정된 시각, 예를 들면 오전 0시가 되면 온하도록 설정하여 둔다. 이에 의하여 오전 0시가 되면 전일(前日)의 1일분의 가동시간 데이터가 기지국 센터서버(3)에 보내진다.
CPU(2c) 및 통신제어부(2f)는 이상의 처리를 매일 반복하여 행한다. CPU (2c)에 저장된 데이터는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 후, 소정일수, 예를 들면 365일(1년)을 경과하면 삭제된다.
도 7은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기체·가동정보가 보내져 왔을 때의 센터서버 (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는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기체·가동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30) 기체·가동정보가 입력되었으면 그들 정보를 판독하여 가동데이터(도 8참조)로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32). 기체정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종, 호기번호가 포함된다. 이어서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소정 일수분, 예를 들면 1개월분의 가동데이터를 판독하여 가동시간에 관한 일보를 작성한다(단계 S34). 그리고, 이와 같이 작성한 일보 및 메인티넌스보고서를 사내 컴퓨터(4) 및 사용자측 컴퓨터(5)에 송신한다(단계 S40).
도 8에 데이터베이스(100)에 있어서의 가동데이터의 저장상황을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종별, 호기별 가동데이터를 저장, 축적한 데이터베이스부분(이하, 가동 데이터베이스라 함)이 있고, 이데이터베이스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기종별, 호기별 가동 데이터베이스에는 기종별, 호기별로 엔진가동시간, 프론트조작시간(이하, 적절히 굴삭시간이라 함), 선회시간, 주행시간이 일보 데이터로서 날짜와 대응하여 적산치로 저장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TNE (1) 및 TD(1)는 각각 기종(A)의 N 호기인 2000년 1월 1일에 있어서의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및 프론트조작시간의 적산치이며, TNE(K) 및 TD(K)는 각각 기종(A)의 N 호기인 2000년 3월 16일에 있어서의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및 프론트조작시간의 적산치이다. 마찬가지로 기종(A)의 N 호기의 선회시간의 적산치[TS(1) 내지 TS (K)] 및 주행시간의 적산치[TT(1) 내지 TT(K)]도 날짜와 관련지어져 저장되어 있다. 기종(A)의 N + 1 호기, N + 2 호기, …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가동 데이터베이스는 빈도분포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사내 컴퓨터(4)및 사용자측 컴퓨터(5)에 송신하는 일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1개월분의 각 가동시간 데이터를 날짜와 대응하여 그래프 및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과거 1개월간의 자기의 유압셔블의 사용상황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의 왼쪽은 과거 반년동안의 부위별 가동시간과 무부하 엔진가동시간을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오른쪽은 과거 반년동안의 유부하 엔진가동시간과 무부하 엔진가동시간의 비율의 추이를 그래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과거 반년동안의 자기의 유압셔블의 사용상황 및 사용효율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체측 제어기(2)의 빈도분포 데이터의 수집기능을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어기(2)의 CPU(2c)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있어서 CPU(2c)는 먼저 센서(46)의 엔진회전수신호가 소정의 회전수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 89). 엔진이 가동 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S89)를 반복한다. 엔진이 가동 중이라고 판단되면 다음 단계(S90)로 진행하여 센서(40, 41, 42)의 프론트, 선회 주행 파일럿압의 검출신호, 센서(44)의 펌프압의 검출신호, 센서(45)의 오일온도의 검출신호, 센서(46)의 엔진회전수의 검출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판단한다(단계 S90). 이어서 판독한 데이터 중, 프론트, 선회 주행의 각 파일럿압 및 펌프압을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 펌프부하의 빈도분포 데이터로서 메모리(2d)에 저장한다(단계 S92). 또 판독한 오일온도, 엔진회전수를 빈도분포 데이터로서 메모리 (3d)에 저장한다(단계 S94).
엔진가동중인 동안 단계(S90 내지 S94)를 반복한다.
여기서 빈도분포 데이터란, 소정시간마다 예를 들면 100시간마다의 각 검출치를 펌프압 또는 엔진회전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분포화한 데이터이며, 소정시간(100시간)이란 엔진가동시간 기준치이다. 또한 각각의 부위별 가동시간 기준으로의 값으로 하여도 좋다.
도 12에 굴삭부하의 빈도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순서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먼저, 본 처리로 들어간 후 엔진가동시간이 100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00), 100시간을 초과하고 있지 않으면 센서(40)의 신호를 사용하여 아암당김 조작 중(굴삭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08), 아암당김 조작 중(굴삭 중)이면 센서(44)의 신호를 사용하여 펌프압이 예를 들면 30MPa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10) 펌프압이 30MPa 이상이면 30MPa 이상의 압력대역의 적산시간(TD1)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D1)으로 하여 둔다(단계 S112). 펌프압이 30MPa 이상이 아니면 이번은 펌프압이 25MPa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14) 펌프압이 25MPa 이상이면 25 내지 30MPa의 압력대역의 적산시간(TD2)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D2)으로 하여 둔다(단계 S116). 마찬가지로 펌프압이 20 내지 25MPa, 5 내지 10MPa, 0 내지 5MPa의 각 압력대역에 대해서도 펌프압이 그 대역에 있는 경우는 각각의 적산시간(TD3, …, TDn-1, TDn)에 단위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D3, …, TDn-1, TDn)으로 하여 둔다(단계 S118 내지 S126).
선회부하 및 주행부하의 빈도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순서도, 도 12의 단계(S108)의 처리순서에서 센서(40)의 신호를 사용하여 아암당김 조작 중(굴삭 중)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 대신에 센서(41)를 사용하여 선회조작 중인지의 여부, 또는 센서(42)를 사용하여 주행조작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12의 처리순서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유압펌프(21a, 21b)의 펌프부하의 빈도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로 진행한다.
먼저 센서(44)의 신호를 사용하여 펌프압이 예를 들면 30MPa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38), 펌프압이 30MPa 이상이면 30MPa 이상의 압력대역의 적산시간(TP1)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P1)으로 하여 둔다(단계 S140). 펌프압이 30MPa 이상이 아니면 이번에는 펌프압이 25MPa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42) 펌프압이 25MPa 이상이면 25 내지 30MPa의 압력대역의 적산시간(TP2)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P2)으로 하여 둔다(단계 S144). 마찬가지로 펌프압이 20 내지 25MPa, …, 5 내지 10MPa, 0 내지 5MPa의 각 압력대역에 대해서도 펌프압이 그 대역에 있는 경우는 각각의 적산시간(TP3, …, TPn-1, TPn)에 단위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P3, …, TPn-1, TPn)으로 하여 둔다(단계 S146 내지 S154).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내는 오일온도의 빈도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로 진행한다.
먼저, 센서(45)의 신호를 사용하여 오일온도가 예를 들면 12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68) 오일온도가 12O℃ 이상이면 120℃ 이상의 온도대역의 적산시간(Tm)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 (T01)으로 하여 둔다(단계 S170). 오일온도가 120℃ 이상이 아니면 이번은 오일온도가 11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172) 오일온도가 110℃ 이상이면 110 내지 120℃의 온도대역의 적산시간(T02)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02)으로 하여 둔다(단계 S174). 마찬가지로 오일온도가 100 내지 110℃, …, -30 내지 -20℃. -30℃ 미만의 각 온도대역에 대해서도 오일온도가 그 대역에 있는 경우는 각각의 적산시간(T03, …, T0n-1, T0n)에 단위시간 (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03, …, T0n-1, T0n)으로 하여 둔다(단계 S176내지 S184).
다음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엔진회전수의 빈도분포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로 진행한다. 먼저 센서(46)의 신호를 사용하여 엔진회전수가 예를 들면 2200rpm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208) 엔진회전수가 2200rpm 이상이면 2200rpm 이상의 엔진회전수의 적산시간(TN1)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N1)으로 하여 둔다(단계 S210). 엔진회전수가 2200rpm 이상이 아니면 이번은 엔진회전수가 2100rpm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212) 엔진회전수가 2100rpm 이상이면 2100 내지 2200rpm의 엔진회전수 대역의 적산시간(TN2)에 단위시간(연산의 사이클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TN2)으로 하여 둔다(단계 S214). 마찬가지로 엔진회전수가 2000 내지 2100rpm, …, 600 내지 700rpm, 600 rpm 미만의 엔진회전수 대역에 대해서도 엔진회전수가 그 대역에 있는 경우는 각각의 적산시간(TN3, …, TNn-1, TNn)에 단위시간(ΔT)을 가산하여 새로운 적산시간 (TN3, …, TNn-1, TNn)으로 하여 둔다(단계 S216 내지 S224).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가 끝나면 도 12의 단계(S100)로 되돌아가 엔진가동시간으로 100시간 이상이 되기까지 상기한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로 들어 간 후, 엔진가동시간이 100시간 이상 경과하면 적산시간(TD1 내지 TDn, TS1 내지 TSn, TT1 내지 TTn, TP1 내지 TPn, T01 내지 T0n, TN1 내지 TNn)을 메모리(2d)에 저장하고(단계 S102), 적산시간을 TD1 내지 TDn = 0, TS1 내지 TSn = 0, TT1 내지 TTn = 0, TP1 내지 TPn = 0, T01 내지 T0n = 0, TN1 내지 TNn = 0으로 초기화하고(단계 S104), 상기와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수집한 빈도분포 데이터는 제어기(2)의 통신제어부(2f)에 의해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된다. 이 때의 통신제어부(2f)의 처리기능을 도 16에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먼저, 도 12에 나타내는 단계(S100)의 처리와 동기하여 엔진가동시간이 100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230) 100시간을 초과하였으면 메모리 (2d)에 저장, 축적한 빈도분포 데이터와 기체정보를 판독하여(단계 S232) 이들 데이터를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한다(단계 S234). 이에 의하여 빈도분포 데이터는 엔진가동시간 100시간분이 축적될 때마다 기지국 센터서버(3)에 보내지게 된다.
CPU(2c) 및 통신제어부(2f)는 이상의 처리를 엔진가동시간기준으로 100시간 마다 반복하여 행한다. CPU(2c)에 저장된 데이터는 기지국 센터서버(3)에 송신 후, 소정일수, 예를 들면 365일(1년)을 경과하면 삭제된다.
도 17은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빈도분포 데이터가 보내져 왔을 때의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에 있어서,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는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 펌프부하, 오일온도, 엔진회전수의 각 빈도분포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240)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들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동데이터(도 8참조)로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단계 S242). 이어서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 펌프부하, 오일온도, 엔진회전수의 각 빈도분포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보고서로서 정리하여(단계 S244) 사내 컴퓨터(4) 및 사용자측 컴퓨터(5)에 송신한다(단계 S246).
도 8로 되돌아가 데이터 베이스(100)에 있어서의 빈도분포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1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종별, 호기별 가동 데이터 베이스의 섹션이 있고, 여기에는 기종별, 호기별의 날마다의 가동시간 데이터가 일보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되어 있다. 또 가동 데이터베이스에는 기종별, 호기별로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 펌프부하, 오일온도, 엔진회전수의 각 빈도분포 데이터의 값이 엔진가동시간을 기준으로 100시간마다 저장, 축적되어 있다. 도 8에는 기종(A)의 N 호기의 펌프부하와 오일온도의 빈도분포의 예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펌프부하의 빈도분포로서는 최초의 1OO 시간에 대하여 Ohr 이상 내지 100hr 미만의 영역에 0MPa 이상 내지 5MPa 미만 : 6hr 5MPa 이상 내지 10MPa 미만 : 8hr, …, 25MPa 이상 내지 30MPa 미만 : 10hr, 30MPa 이상 : 2hr와 같이 5MPa마다의 펌프압력대역에서의 가동시간으로 저장되어 있다. 또 그 후의 1OO 시간마다에 대해서도 1OOhr 이상 내지 200hr미만, 200hr 이상 내지 300hr 미만, …, 1500hr 이상 내지 1600hr 미만의 영역에 각각 마찬가지로 저장되어 있다.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의 빈도분포, 오일온도 빈도분포, 엔진회전수 빈도분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단,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의 빈도분포에서는 부하를 펌프부하로 대표한다. 즉 펌프압으로 0MPa 이상 내지 5MPa 미만, 5 MPa 이상 내지 10MPa 미만, …, 25MPa 이상 내지 30MPa 미만, 30MPa 이상의 각 압력대역에서의 굴삭, 선회, 주행의 각각의 가동시간을 수집하여 굴삭부하, 선회부하, 주행부하의 빈도분포로 한다.
도 18에 사내 컴퓨터(4) 및 사용자측 컴퓨터(5)에 송신하는 빈도분포 데이터의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는 각각의 부하 빈도분포를 엔진가동시간 100시간 중에서 각각의 가동시간베이스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즉 예를 들면 굴삭부하 빈도분포는 엔진가동시간 100시간 중의 굴삭시간(예를 들면 60시간)을 100%로 하고, 이 60시간에 대한 펌프압의 각 압력대역별 적산시간의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선회부하 빈도분포, 주행부하 빈도분포, 펌프부하 빈도분포도 마찬가지이다. 오일온도 빈도분포, 엔진회전수 빈도분포는 엔진가동시간 100시간을 100%로 하고, 이것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유압셔블의 부위별 사용상황을 부하 관련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9에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에 있어서의 기종별 기체정보의 처리기능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19에 있어서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는 사내 컴퓨터(4)로부터예를 들면 서비스맨에 의해 기종별 기체정보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500) 기체정보가 입력되었으면 그 때마다 기체정보를 판독하여 기체 데이터(도 20참조)로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502). 여기서 기종별 기체정보란, 예를 들면 기체중량, 버킷용량, 트랙슈폭(track shoe width) 등, 기체의 시방에 관한 데이터이다.
도 20에 데이터베이스(100)에 있어서의 기체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도 8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에 더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종별 기체 데이터를 저장, 축적한 기체 데이터베이스부분(이하, 기체 데이터베이스라 함)이 있고,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도 20에 있어서, 기체 데이터베이스에는 기종별로 그 기종의 기체의 시방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WA는 기종(A)의 중량(예를 들면 6.5톤)이며, BA는 기종(A)의 버킷용량(예를 들면 0.3㎥)이고, SA는 기종(A)의 트랙슈폭(예를 들면 500mm)이다. 다른 기종(B, C,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기체의 시방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도 21에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에 있어서의 최적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21에 있어서,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는 사내 컴퓨터(4)로부터 예를 들면 영업사원에 의해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510)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가 입력되었으면 그 정보를 판독한다(단계S512). 여기서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입력이란, 고객이 사용하고 있는 유압셔블의 기종 및 호기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어서, 데이터베이스(100)에 엑세스하여 동일한 호기번호의 가동데이터를 판독하여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에 대한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 분포도를 작성한다(단계 S514). 여기서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란, 유압셔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굴삭비율, 선회비율, 주행비율(뒤에서 설명함) 등이 있다. 이어서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평가를 행하고(단계 S 516), 그 평가결과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518).
도 22에 상기 단계(S514)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22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에 엑세스하여 도 8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종(A)의 호기별로 가동시간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520). 여기서 기종(A)은 도 21의 단계(S512)에서 판독한 기종이다.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모든 주행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주행시간의 적산치 TT(K)]을 과거의 모든 엔진가동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TNE(K)]으로 나누어 주행비율(%)을 계산한다 단계 S522). 여기서「주행비율」이란, 모든 가동시간 중 주행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이며, 유압셔블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주행에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구한 각 호기번호의 주행비율을 집계하여 주행비율에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한다(단계 S524). 예를 들면 주행비율을 1% 이상 내지 5% 미만, 5% 이상 내지 10% 미만, …, 90% 이상 내지 95% 미만, 95% 이상이라는 바와 같이 단위폭으로 구분하여 각 주행비율범위별로 그 범위에 속하는 가동대수를 계산하여 각 주행비율범위와 가동대수를 관련짓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고, 이 분포도에 입력호기의 주행비율을 부기한다(단계 S526).
마찬가지로 다른 지표로서 펌프부하율에 대하여 분포 데이터를 구하고, 입력호기의 펌프부하율을 붙인 분포도를 작성한다(단계 S528 내지 단계 S532). 여기서 펌프부하율이란, 모든 가동시간(엔진가동시간)중에 있어서의 펌프부하압이 소정압 이상의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이고, 유압셔블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펌프를 가동하는 작업에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펌프부하압이 소정압 이상인 시간은 예를 들면 펌프가동시간으로 구할 수 있고, 펌프가동시간은 프론트조작시간, 선회시간, 주행시간의 합[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프론트조작시간의 적산치 TD(K), 최신 선회시간의 적산치 TS (K), 최신 주행시간의 적산치 TT(K)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부하율은 그 합을 모든 엔진가동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TNE(K)]으로 나눈 값이 된다(단계 S528).
다른 예로서 펌프가동시간은 도 8에 나타낸 가동빈도 분포데이터에 있어서의 펌프부하 빈도분포 데이터를 사용하여 직접 소정의 펌프압 이상의 시간을 구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소정의 펌프압 이상의 시간은 도 8에 나타낸 가동빈도 분포 데이터의 가동시간 1OOhr마다의 펌프부하빈도 분포 데이터를 적산하여 유압펌프의 모든 가동시간에 있어서의 펌프부하빈도 분포를 구하여 소정의 펌프압(예를 들면 5MPa 이상)이상의 시간을 합계함으로써 구해지고, 이 시간을 모든 엔진가동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TNE(K)]으로 나눈 값이 펌프부하율이 된다.
굴삭부하율(굴삭시간/모든 가동시간), 선회부하율(선회시간/모든 가동시간) 등, 그 이외의 지표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설정하여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 21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의 단계(S516)에 있어서의 평가처리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23에 있어서, 먼저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이 평균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40). 여기서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은 도 22의 단계(S522)의 처리에서 구해지고 있고, 평균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는 도 22의 단계 (S524)의 처리에서 얻은 분포 데이터 중 가장 가동대수가 많은 주행비율범위로하여 구한다. 그리고 주행비율이 소정범위보다 크면 평균 이상으로 주행에 사용하는 비율이 높다고 판단하여 주행강화형의 기종을 어드바이스한다(단계 S542).
또 도 24에 있어서, 먼저 입력 호기의 펌프부하율이 평균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50). 여기서 입력 호기의 펌프부하율은 도 22의 단계(S528)의 처리에서 구해져 있고, 평균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는 도 22의 단계(S530)의 처리에서 얻은 분포 데이터 중 가장 대수가 많은 펌프부하율 범위로서 구한다. 그리고 펌프부하율이 소정범위내에 없으면 이번은 펌프부하율이평균치를 포함하는 소정범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별하여(단계 S552) 펌프부하율이 소정범위보다 크면 1 랭크 위의 기종을 어드바이스하고(단계 S554), 펌프부하율이 소정범위보다 크지 않으면 1 랭크 아래의 기종을 어드바이스한다(단계 S556).
도 25 및 도 26에 도 21의 단계(S518)의 처리에서 작성, 출력하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는 기종(A)의 주행비율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도와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을 나타내는 보고서의 예이고, 분포도 중에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이 세로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이 평균치(분포도의 피크치)보다 높기 때문에 평가결과로서「주행강화형을 추천합니다」의 메시지가 첨부되어 있다.
도 26은 기종(A)의 펌프부하율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도와 입력 호기의 펌프부하율을 나타내는 보고서의 예이고, 분포도 중에 입력 호기의 펌프부하율이 세로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입력 호기의 펌프부하율이 평균치(분포도의 피크치)보다 낮기 때문에 평가결과로서「1 랭크 아래의 기종을 추천합니다」의 메시지가 첨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장에서 가동되는 복수대의 유압셔블(1)의 각각에 데이터계측 수집수단으로서 센서(40 내지 46) 및 제어기(2)를 설치하여 이 센서(40 내지 46) 및 제어기(2)에 의해 유압셔블별로 가동시간이 다른 복수의 부위[엔진(32),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에 대하여 부위별 가동시간을 계측하고, 이 부위별 가동시간을 기지국 컴퓨터(3)에 전송하여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고, 기지국 컴퓨터(3)에 있어서, 유압셔블별로 그 가동 데이터를 판독하여 주행비율 등, 특정의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와, 이 특정의 유압 셔블과 동일 기종의 유압셔블에 대하여 해당 지표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특정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기때문에 동일 기종의 다른 유압셔블과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유압셔블(특정의 유압셔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그 유압셔블이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또 사용자측에 가동정보의 일보나 보수점검결과의 진단서 등을 적절하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측에서 자신의 유압셔블의 가동상황을 날마다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측에서의 유압셔블의 관리가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27 내지 도 33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입력 호기에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평균치가 가까운 다른 기종의 가동대수 분포도도 나타냄으로써 최적 기종의 평가를 더욱 이해하기 쉽게 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의 전체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시스템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기체측 제어기(2) 및 기지국 센터서버(3)는 하기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 4도 내지 도 26을 사용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에 있어서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플로우차트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있어서,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처리(단계 S510),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를 판독하는 처리(단계 S512)는 도 2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그리고 그 후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100)에 엑세스하여 동일한 호기번호의 가동데이터에 더하여 기체 데이터를 판독하고,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에 대한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 가동대수의 분포를 연산하여 분포도를 작성한다(단계 S 564). 또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평가를 행하여(단계 S566) 그 평가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단계 S568).
도 28에 상기 단계(S564)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28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에 엑세스하여 도 8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 및 도 20에 나타낸 기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종(A)[도 27의 단계 (S512)에서 판독한 기종)의 호기별 가동시간 데이터 및 기체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570).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모든 주행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주행시간의 적산치 TT(K)]을 과거의 모든 엔진가동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TNE(K)]으로 나누어 주행비율(%)을 계산하고 (단계 S572), 이 주행비율을 집계하여 주행비율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 (단계 S574), 이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여 이 분포도에 입력 호기의주행비율을 부기한다(단계 S576). 이들 단계(S572) 내지 단계(S576)의 처리는 도 22에 나타낸 단계(S522) 내지 단계(S526)의 처리와 동일하다.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전 선회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주행시간의 적산치 TS(K)]을 과거의 모든 엔진가동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엔진가동시간의 적산치 TNE(K)]으로 나누어 선회비율(%)을 계산하여 이 선회비율에 기종(A)의 버킷용량[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WA)을 곱한 값을 구한다(단계 S578).
여기서「선회비율」이란, 모든 가동시간 중의 선회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이고, 유압셔블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선회에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 유압 셔블의 선회는 토사의 적재작업 등, 버킷에 토사를 쌓아 행하는 것이 많고, 선회시간에 버킷용량을 곱한 값으로부터 작업량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선회비율에 버킷용량을 곱한 값에 의해 유압셔블의 작업량의 비율을 추정한다. 이하, 이 값을 작업량지표치라 부른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작업량 지표치를 집계하여 작업량 지표치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한다(단계 S580). 이 분포의 구하는 방법도 도 22의 단계 (S524)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즉 작업량 지표치를 단위폭으로 구분하여 각 범위별로 그 범위에 속하는 가동대수를 계산하여 각 범위와 가동대수를 관련짓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고, 이 분포도에 입력호기의 작업량 지표치를 부기한다(단계 S582).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전 프론트조작시간[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N호기의 최신 프론트조작시간의 적산치 TD(K)]에 있어서의 굴삭부하율을 계산하여 이것에 기종(A)의 차체중량을 곱한 값을 구한다(단계 S584).
여기서 전 프론트조작시간에 있어서의 굴삭부하율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한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의 가동빈도 분포 데이터에 있어서의 도시 생략한 가동시간 1OOhr마다의 굴삭부하빈도 분포 데이터를 적산하여 최신 프론트조작시간의 적산치[TD(K)]에 있어서의 펌프부하빈도 분포(= 굴삭부하빈도 분포)를 구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굴삭부하빈도 분포의 일례를 도 29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 굴삭부하분포의 부하율을 연산한다.
굴삭부하율의 계산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전 프론트조작시간을 1020hr라 하면 그 동안의 소정 굴삭부하, 예를 들면 펌프압 20Mp 이상의 시간비율을 산출하여 이것을 굴삭부하율로 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도 29에 나타낸 굴삭부하빈도 분포의 적분치의 중심을 구하여 굴삭부하율로 하여도 좋다. 도 29에 그 중심위치를 ×표로 나타낸다.
여기서 「굴삭부하율」은 전 프론트조작시간에 프론트에 작용한 부하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것에 차체중량을 곱한 값으로부터 유압셔블의 굴삭력을 알 수 있다. 이하 이 값을 굴삭력 지표치라 부른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구한 굴삭력 지표치를 집계하여 굴삭력 지표치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한다(단계 S590). 이 분포의 구하는 방법도 도 22의 단계(S 524)의 처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은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고 이 분포도에 입력 호기의 굴삭력 지표치를 부기한다(단계 S592).
도 30에 도 27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의 단계(S566)에 있어서의 평가처리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30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에 엑세스하여 도 8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 및 도 20에 나타낸 기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 기종의 호기별 가동시간 데이터 및 기체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600).
이어서 모든 기종에 대하여 주행비율의 분포 데이터를 구한다(단계 S602). 이 구하는 방법은 A 기종이 모든 기종이 된 점을 제외하고 도 28의 단계(S572 및 S574)의 처리와 동일하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구한 모든 기종의 주행비율의 분포 데이터와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을 비교하여 가장 주행비율의 평균치(분포 데이터에 있어서의 가장 가동대수가 많은 주행비율)가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에 가까운 분포 데이터를 선택하고 (단계 S604), 이 선택한 분포 데이터의 분포도를 작성하여 도 28의 플로우차트의 단계(S576)에서 작성한 기종(A)의 분포도에 합성한다(단계 S606).
작업량 지표치, 굴삭력 지표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모든 기종에 대하여 분포 데이터를 연산하고, 그 중으로부터 입력 호기의 것에 평균치가 가까운 분포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 분포도를 도 28의 플로우차트의 단계(S582, S592)에서 작성한 기종(A)의 분포도에 합성한다(단계 S608, S610).
도 31 내지 도 33에 도 27의 단계(S568)의 처리에서 작성, 출력하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1은 기종(A)의 주행비율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도와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 및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에 가장 주행비율의 평균치가 가까운 기종(ATR)(주행강화형)의 분포도를 합성하여 나타내는 보고서의 예이며, 분포도 중에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이 세로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이 기종 (ATR)의 주행비율의 평균치에 가깝기 때문에 평가결과로서「주행강화형을 추천합니다」의 메시지가 첨부되어 있다.
도 32는 기종(A)의 작업량 지표치(선회비율 ×버킷용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도와 입력 호기의 작업량 지표치 및 입력 호기의 작업량 지표치에 가장 작업량지표치의 평균치가 가까운 기종(B)(1 랭크 위의 기종)의 분포도를 합성하여 나타내는 보고서의 예이며, 분포도 중에 입력 호기의 작업량 지표치가 세로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입력 호기의 작업량 지표치가 기종(B)의 작업량 지표치의 평균치에 가깝기 때문에 평가 결과로서「기종(B)을 추천합니다」의 메시지가 첨부되어 있다.
도 33은 기종(A)의 굴삭력 지표치(굴삭부하율 ×차체중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도와 입력 호기의 굴삭력 지표치 및 입력 호기의 굴삭력 지표치에 가장 굴삭력 지표치의 평균치가 가까운 기종(C)(1 랭크 아래의 기종)의 분포도를 합성하여 나타내는 보고서의 예이며, 분포도 중에 입력 호기의 굴삭력 지표치가 세로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입력 호기의 굴삭력 지표치가 기종(C)의 굴삭력 지표치의 평균치에 가깝기 때문에 평가결과로서「기종(C)을 추천합니다」의 메시지가 첨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압셔블(1)의 부위별 가동시간을 포함하는 가동 데이터로부터 특정의 유압셔블의 주행비율 등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와, 이 특정의 유압셔블과 동일 기종의 유압셔블에 대한 해당 지표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와, 특정의 유압 셔블과 다른 기종의 유압셔블에 대한 해당 지표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 3자를 비교하여 특정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동일 기종의 다른 유압셔블 및 다른 기종의 유압셔블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유압셔블(특정의 유압셔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그 유압셔블이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더욱 적절하게 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 도 34 내지 도 4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건설기계의 각 부위의 가동상태로서 가동시간 대신에 조작회수를 검출하여 사용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의 전체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시스템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기체측 제어기(2)는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을 가지고, 그것에 대응하여 기지국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에는 가동시간의 처리기능이 있다. 또 기지국 센터서버(3)는 기체정보·최적기종평가처리부(51)를 가지고 있다.
먼저 기체측 제어기(2)의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에 대하여설명한다.
도 34는 제어기(2)의 CPU(2c)에 있어서의 유압셔블의 부위별 가동시간의 수집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CPU(2c)는 먼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센서(46)의 엔진회전수 신호가 소정의 회전수 이상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로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9) 엔진이 가동 중이라고 판단되면 센서(40, 41, 42)의 프론트, 선회 주행 파일럿압 및 센서(44)의 펌프압의 검출신호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10A). 이어서 판독한 프론트, 선회 주행 파일럿압의 각각으로부터 프론트, 선회 주행의 각 조작회수를 카운트하여 날짜 및 시각과 관련지어 메모리(2d)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12A). 여기서 조작회수는 파일럿압이 소정압 이상이 되면 1회로 카운트한다. 또 프론트의 조작회수는 예를 들면 굴삭작업에서 필수가 되는 아암당김의 파일럿압으로 카운트한다. 또한 부움, 아암, 버킷의 조작 파일럿압의 각각에 1회로 카운트하여도 좋으나, 이 경우는 복합조작을 1회로 카운트하기 때문에 부움, 아암, 버킷의 조작 파일럿압 중 어느 하나가 소정압 이상에 있을 때에 다른 조작 파일럿압이 소정압 이상으로 되었을 때는 그들의 "OR"을 취하여 1회로 카운트한다. 이어서 엔진가동시간을 메모리(2d)에 저장, 축적한 후 단계(S14), 단계(S12A)에서 조작회수가 카운트될 때마다 소정시간(예를 들면 2 내지 3초) 경과후의 펌프압을 검출하여 조작회수에 대응지어 메모리(2d)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 16A).
이와 같이 저장, 축적된 기체·가동정보는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1일에 1회, 기지국 센터서버(3)에 보내진다.
도 35는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기체·가동정보가 보내져 왔을 때의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5에 있어서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는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기체·가동정보(프론트, 선회 주행의 각 조작회수 및 펌프압, 엔진가동시간)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단계 S30A) 기체·가동정보가 입력되었으면 그들 정보를 판독하여 가동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 축적한다(단계 S32A).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소정 일수분, 예를 들면 1개월분의 가동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들 가동 데이터에 관한 일보를 작성한다(단계 S34A). 그리고 이와 같이 작성한 일보 및 메인티넌스 보고서를 사내 컴퓨터(4) 및 사용자측 컴퓨터(5)에 송신한다(단계 S 40).
도 36에 데이터베이스(100)에 있어서의 가동 데이터의 저장상황을 나타낸다. 데이터베이스(100)의 기종별, 호기별 가동 데이터베이스에는 엔진가동시간, 프론트조작회수(굴삭회수), 선회 조작회수, 주행 조작회수가 날짜와 대응하여 적산치로 저장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TNE(1) SD(1)는 각각 기종(A)의 N 호기의 2000년 1월 1일에 있어서의 엔진가동시간 적산치 및 프론트조작회수 적산치이고, TNE(K) 및 SD(K)는 각각 기종(A)의 N 호기의 2000년 3월 16일에 있어서의 엔진가동시간 적산치및 프론트조작회수 적산치이다. 마찬가지로 기종(A)의 N 호기의 선회 조작회수 적산치[SS(1) 내지 SS(K)] 및 주행 조작회수의 적산치[ST(1) 내지 ST(K)]도 날짜와 관련지어 저장되어 있다. 기종(A)의 N + 1 호기, N + 2 호기, …, 기종(B), 기종 (C),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기종별, 호기별 가동 데이터베이스에는 프론트, 선회 주행의 각 부위의 조작별로 펌프부하빈도 분포가 날짜와 관련지어 저장, 축적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2000년 1월 1일의 프론트조작의 영역에 0MPa 이상 내지 5MPa 미만 : 12회, 5MPa 이상 내지 10MPa 미만 : 32회, …, 25MPa 이상 내지 30MPa 미만 : 28회, 30MPa 이상 : 9회라는 바와 같이 5MPa의 펌프압력대역별로 조작회수가 저장되어 있다. 선회조작, 주행조작의 영역 및 그 후의 날짜 영역에도 각각 마찬가지로 펌프부하빈도가 저장되어 있다.
기지국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기종별 기체정보의 처리기능과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종별 기체정보의 처리기능은 도 19 및 도 20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도 37에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에 있어서의 최적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도 38에 도 37의 단계(S514A)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37의 단계(S510 및 S512)의 처리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37의 단계(S514A)에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로 유압셔블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에 대한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 분포도를 작성한다.
도 38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에 엑세스하여 도 36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종(A)의 호기별로 가동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520A). 이어서 호기 번호별로 과거의 모든 프론트조작회수[예를 들면 도 36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프론트조작회수의 적산치(SD(K))], 모든 선회조작회수(SS(K)), 모든 주행조작회수(TT(K))를 가산함으로써 모든 조작회수를 계산하고, 모든 주행회수(TT(K))를 그 모든 조작회수로 나누어 주행비율(%)을 계산한다(단계 S522A).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하여 구한 각 호기번호의 주행비율을 집계하여 주행비율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단계 S524), 이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여 이 분포도에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을 부기한다(단계 S526).
마찬가지로 다른 지표로서 펌프부하율에 대하여 분포 데이터를 구하여 입력호기의 펌프부하율을 붙인 분포도를 작성한다(단계 S528A 내지 단계 S532). 여기서 펌프부하율은 호기번호별 모든 조작회수 중에 있어서의 펌프부하압이 소정압 이상의 조작회수가 차지하는 비율로서 구한다. 펌프부하압이 소정압 이상인 조작회수는 도 36에 나타낸 프론트, 선회 주행의 모든 조작의 펌프부하빈도 분포로부터 소정압 이상의 조작회수를 합계함으로써 구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펌프부하율이란, 유압 셔블이 고부하 작업에 사용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소정의 펌프압은 예를 들면 15MPa 정도로 설정된다.
굴삭부하율(굴삭조작회수/모든 조작회수), 선회부하율(선회조작회수/모든 조작회수) 등, 그 이외의 지표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설정하여 마찬가지로 구할 수 있다.
도 37로 되돌아가, 단계(S516 및 S518A)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평가를 행하고, 그 평가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도 39 및 도 40에 도 37의 단계(S518A)의 처리에서 작성, 출력하는 평가결과 보고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보고서는 주행비율 및 펌프부하율의 설명이 주행비율 = 주행조작회수/모든 조작회수, 펌프부하율 = 소정 펌프압 이상의 조작회수/모든 조작회수로 되어 있는 이외, 제 1 실시형태의 도 25 및 도 26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가동상태로서 조작회수를 사용하여 동일 기종의 다른 유압셔블과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유압셔블(특정의 유압셔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때문에 그 유압셔블이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 도 20, 도 36, 도 41 내지 도 46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건설기계의 각 부위의 가동상태로서 가동시간 대신에 조작회수를 검출하여 사용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의 전체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시스템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기체측 제어기(2)의 처리기능, 기지국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 (50)의 처리기능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지국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 (51)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종별 기체정보의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다.또 처리부(51)는 다음과 같은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41에 센터서버(3)의 처리부(51)에 있어서의 최적 기종의 평가요구의 처리기능을, 도 42에 도 41의 단계(S564A)에 있어서의 처리의 상세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다. 도 41의 단계(S510 및 S512)의 처리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41의 단계(S564A)에서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로 유압셔블의 사용상태로 관한 지표의 종류별로 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에 대한 지표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연산하여 분포도를 작성한다.
도 42에 있어서, 먼저 데이터베이스(100)에 엑세스하여 도 36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 및 도 20에 나타낸 기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기종(A)[도 41의 단계 (S512)에서 판독한 기종)의 호기별 가동시간 데이터 및 기체 데이터를 판독한다(단계 S570A).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모든 프론트조작회수[예를 들면 도 36에 나타낸 N 호기의 최신 프론트조작회수의 적산치(SD(K))], 모든 선회조작회수(SS(K)), 모든 주행조작회수(TT(K))를 가산함으로써 모든 조작회수를 계산하고, 모든 주행회수(TT (K))를 그 모든 조작회수로 나누어 주행비율(%)을 계산한다(단계 S572A).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행비율을 집계하여 주행비율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단계 S574), 이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여 이 분포도에 입력 호기의 주행비율을 부기한다(단계 S576).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모든 선회조작회수 (SS(K))를 상기에서 구한 모든 조작회수로 나누어 선회비율(%)을 계산하고, 이 선회비율에 기종(A)의 버킷용량(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WA)을 곱한값, 즉 작업량 지표치를 구한다(단계 S578A).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작업량 지표치를 집계하여 작업량 지표치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여(단계 S580) 이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고, 이 분포도에 입력 호기의 작업량 지표치를 부기한다(단계 S582).
이어서, 호기번호별로 과거의 모든 프론트조작회수에 있어서의 굴삭부하율을 계산하고, 이것에 기종(A)의 차체중량을 곱한 값, 즉 굴삭력 지표치를 구한다(단계 S584A). 여기서 모든 프론트조작회수에 있어서의 굴삭부하율의 계산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든 프론트조작시간에 있어서의 굴삭부하율의 계산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36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의 펌프부하빈도 분포의 데이터로부터 과거의 모든 일수분의 프론트조작에 관한 데이터를 적산하여 펌프부하빈도 분포(= 굴삭부하빈도 분포)를 구한다. 이와 같이 구한 굴삭부하빈도 분포의 일례를 도 43에 나타낸다. 다음에 이 굴삭부하분포의 부하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모든 프론트조작회수에 대한 소정의 굴삭부하, 예를 들면 펌프압 20Mp 이상의 프론트조작회수의 비율을 산출하고, 이것을 굴삭부하율로 한다. 도 43에 나타낸 굴삭부하빈도 분포의 적분치의 중심(×표)을 구하여 굴삭부하율로 하여도 좋다. 도 29에 그 중심위치를 ×표로 나타낸다.
이어서,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굴삭력 지표치를 집계하여 굴삭력 지표치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단계 S590), 이 분포 데이터를 분포도로 하여 이 분포도에 입력 호기의 굴삭력 지표치를 부기한다(단계 S592).
도 41로 되돌아가, 단계(S566A 및 S568A)에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입력 호기번호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평가를 행하고, 그 평가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단, 도 41의 단계(S566A)에 있어서의 평가처리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서 도 30에 나타낸 상세처리의 단계(S600, S602, S608, S610)의 처리에서 도 4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가동시간 대신 조작회수를 사용한다. 또 도 41의 단계(S568A)에서는 도 44 내지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보고서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이 보고서는 주행비율, 선회비율, 굴삭부하율의 설명이, 주행비율 = 주행 조작회수/모든 조작회수, 선회비율 = 선회조작회수/모든 조작회수, 굴삭부하율 = 소정 펌프압 이상의 프론트조작회수/모든 프론트조작회수로 되어 있는 이외에 제 2 실시형태의 도 31 내지 도 33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가동상태로서 조작회수를 사용하여 동일 기종의 다른 유압셔블 및 다른 기종의 유압셔블과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유압셔블(특정의 유압셔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때문에 그 유압셔블이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더욱 적절하게 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도 47 내지 도 49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각 부위의 가동상태를 부하보정하여 건설기계의 사용상태에 관한 지표의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최적 기종의 평가를 더욱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7은 기체측 제어기(2)로부터 기체·가동정보가 보내져 왔을 때의 센터서버(3)의 기체·가동정보처리부(50)의 처리기능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7에 있어서, 단계(S30, S32A, S34A, S40)의 처리는 도 35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계(S33A)에서 프론트, 선회 주행의 각 부위별 조작회수의 적산치를 판독하고, 이들을 부하보정하여 다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도 48은 조작회수를 부하보정하는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8에 있어서 먼저 기종(A)의 호기번호(1 내지 Z)의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기 위하여 호기번호(N)가 Z 이하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여(단계 S600) N 이 Z 이하이면 도 36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N 호기의 프론트조작영역의 펌프부하빈도 분포를 모든 일수분 판독하고, 그들을 집계하여 굴삭부하빈도 분포를 연산한다(단계 S602). 이 계산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42의 단계 (S584A)에서 굴삭부하율을 구하는 데 연산한 굴삭부하빈도 분포의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고, 그 분포는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다음에 프론트조작 1회당의 평균굴삭부하(DM)를 연산한다(단계 S604). 이 평균굴삭부하(DM)는 예를 들면 단계 (S602)에서 구한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삭부하빈도 분포로부터 각 펌프압과 프론트조작회수와의 곱을 구하고, 이들의 합을 프론트조작회수로 나눔으로써 구한다. 또 도 43에 나타낸 부하빈도 분포의 적분치의 중심(×표)의 위치를 구하고, 이 중심위치에 있어서의 펌프압을 평균굴삭부하(DM)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평균굴삭부하(DM)가 구해지면 다음에 평균굴삭부하(DM)로부터 부하보정계수(α)를 구한다(단계 S606). 이 계산은 예를 들면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리 설정한 평균굴삭부하(DM)와 부하보정계수(α)의 관계를 사용하여 행한다.
도 49에 있어서 평균굴삭부하(DM)와 부하보정계수(α)의 관계는 DM이 표준부하 시에 α= 1이고, DM이 표준부하보다 커지면 α가 1보다도 점차로 커지고, DM이 표준부하보다 작아지면 α가 1보다도 점차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부하보정계수(α)를 구하면 도 36에 나타낸 가동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최신의 프론트조작회수의 적산치(SD(K))를 판독하고, 이 적산치(SD(K))를 보정계수(α)로 다음과 같이 보정하여 조작회수(S'D(K))를 구한다(단계 S608).
그리고 이와 같이 구한 조작회수(S'D(K))를 부하보정한 조작회수로서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한다.
선회조작회수, 주행조작회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부하보정한 조작회수를 구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단계 S610, S620). 그리고 이 처리를 호기번호(1 내지 Z)의 모두에 대하여 행하고, 기종(A)의 모든 유압셔블에 대하여 부하보정한 조작회수를 구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 기종(B) 등, 다른 기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모든 유압셔블에 대하여 부하보정한 조작회수를 구하여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한다(단계 S630).
본 실시형태의 그 이외의 처리는 도 34 내지 도 40에서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도 41 내지 도 46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조작회수를 부하보정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유압셔블의 가동시간 및 부위별 가동시간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이들 가동시간에 대해서도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회수와 마찬가지로 부하보정할 수 있다.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부위별 가동상태 뿐만 아니라 부하도 다르고, 각 부위의 부하의 정도에 의해서도 사용상태가 변화된다. 본 실시형태로서는 부위별 가동상태(가동시간 또는 조작회수)를 부하보정하고, 이 부하보정한 가동상태 (가동시간 또는 조작회수)를 통계처리하여 고객이 실제로 유압셔블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때문에 부하의 상위에 의한 사용상태의 상이를 수정하여 그 유압셔블이 고객에게 있어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평가할 수 있어 더욱 적절하게사용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평가시스템에 최적 기종의 평가처리부[도 21의 단계(S516) 및 도 27의 단계(S566)]를 설치하여 시스템 자체에서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판별까지 행하도록 하였으나, 특정의 유압셔블의 작업상태량과 이 특정의 유압 셔블과 동일 기종의 유압셔블에 대하여 작업상태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의 2종류의 데이터, 또는 이것에 특정의 유압셔블의 작업상태량과 작업상태량의 평균치가 가까운 다른 기종의 유압셔블에 대하여 작업상태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더한 3종류의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여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영업사원 등의 사람이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시장에서 가동하고 있는 유압셔블의 가동시간에대한 가동대수의 분포 데이터 및 분포도의 작성·송신은 센터서버(3)에서 일보의 작성·송신과 함께 매일 행하였으나, 매일이 아니어도 좋고, 분포 데이터의 작성만 매일 행하고, 분포도의 작성·송신은 일주일별로 행하는 등, 빈도를 다르게 하여도 좋다. 또 분포 데이터의 작성은 센터서버(3)에서 자동으로 행하고, 분포도의 작성·송신은 사내 컴퓨터를 사용하여 서비스맨의 지시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또 양쪽 모두 서비스맨의 지시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센터서버(3)의 기체정보·최적 기종평가처리부(51)에 있어서 최적 기종의 평가처리의 모두를 사내 컴퓨터부터의 데이터의 입력때마다 행하였으나, 미리 모든 기종 및 모든 작업상태량에 대하여 분포 데이터를 구하여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하여 둠으로써 특정의 유압셔블이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의 평가가 필요할 때의 처리량을 적게 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에 의하여 응답 좋게 평가결과를 알 수 있다.
또한 엔진가동시간의 계측은 엔진회전수센서(46)를 사용하였으나, 센서(43)에 의해 엔진 키스위치의 온·오프를 검출하여 이 신호와 타이머를 사용하여 계측하여도 좋고, 엔진에 부속되는 올터네이터의 발전신호의 온·오프와 타이머로 계측하거나, 그 올터네이터의 발전으로 시간계를 회전시켜 엔진가동시간을 계측하여도 좋다.
또한 센터서버(3)에서 작성한 정보는 사용자측 및 사내에 송신하였으나, 다시 유압셔블(1)측으로 되돌리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기계의 부위별 가동시간을 포함하는 가동 데이터로부터 특정의 건설기계의 작업상태량과, 이 특정의 건설기계와 동일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작업상태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때문에 동일 기종의 다른 건설기계와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건설기계(특정의 건설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기계의 부위별 가동시간을 포함하는 가동 데이터로부터 특정의 건설기계의 작업상태량과, 이 특정의 건설기계와 동일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작업상태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와, 특정의 건설기계와 다른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한 작업상태량에 대한 가동대수의 분포를 구하고, 3자를 비교하여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동일 기종의 다른 건설기계및 다른 기종의 건설기계와의 비교에 의해 고객이 실제로 건설기계(특정의 건설기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적절하게 작업상태에 따른 최적 기종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Claims (17)

  1. 시장에서 가동되는 복수의 기종을 포함하는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의 각각에 대하여 부위(12, 13, 15, 32)별 가동상태를 계측하고, 이들 가동상태를 기지국 컴퓨터(3)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는 제 1 순서(S9-14, S20-24, S30-32, S89-94, S240-246)와;
    상기 기지국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 2 순서(S500-502, S510-518, S510-56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 중 특정의 건설기계의 사용상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계산하는 제 3 순서(S514)를 가지고, 이 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특정의 건설기계와 동일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1 상관을 구하는 제 4 순서(S5l4)를 더욱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 중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다른 적어도 1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여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2 상관을 구하는 제 5 순서(S564)를 더욱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순서(S9-S10A, S30-32A)는 상기 부위별 가동상태에 더하여 부위별 부하를 계측하여 상기 기지국 컴퓨터(3)의 데이터베이스(100)에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고,
    상기 제 2 순서는 상기 부하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가동상태를 부하보정하는 제 6 순서(S33A)를 더욱 가지고, 이 부하 보정한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상태는 가동시간과 조작회수의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7.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셔블(1, 1a, 1b, 1c)이고, 상기 부위는 유압셔블의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 엔진(3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셔블(1, 1a, 1b, 1c)이고, 상기 부위는 유압셔블의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 엔진(32)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상태는 상기 프론트선회체, 주행체, 엔진의 가동시간이고, 상기 지표는 엔진가동시간과 주행시간과의 비율, 엔진가동시간과 펌프압이 소정치 이상인 시간과의 비율, 엔진가동시간과 선회시간과의 비율과 버킷용량의 곱, 엔진가동시간과 굴삭시간과의 비율과 차체중량의 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9.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기계는 유압셔블(1, 1a, 1b, 1c)이고, 상기 부위는 유압셔블의 프론트(15), 선회체(13), 주행체(12)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상태는 상기 프론트선회체, 주행체의 조작회수이고, 상기 지표는 모든 조작회수와 주행조작회수와의 비율, 모든 조작회수와 펌프압이 소정치 이상인 조작회수와의 비율, 모든 조작회수와 주행조작회수와의 비율과 버킷용량의 곱, 모든 조작회수와 프론트조작회수와의 비율과 차체중량의 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10. 시장에서 가동되는 복수의 기종을 포함하는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의 각각에 대하여 부위(12, 13, 15, 32)별 가동상태를 계측, 수집하는 데이터계측수집수단(2, 40-46, S9-14, S20-24, S89-94)과;
    기지국에 설치되어 상기 계측, 수집한 부위별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는 데이터베이스(100)를 가지는 기지국 컴퓨터(3, 50, S30-32, S240-246)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컴퓨터는 상기 가동 데이터를 통계처리하고,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연산수단(51, S500-502, S510-518, S510-56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 중 특정의 건설기계의 사용상태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지표를 계산하는 제 1 수단(51, S514)을 가지고, 이 지표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동일 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1 상관을 구하는 제 2 수단(51, S514)을 더욱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상관을 비교하고,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3 수단(51, S516)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평가 데이터로서 상기 가동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 중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와 다른 적어도 1기종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건설기계별로 상기 지표를 계산하고, 이 지표와 가동대수의 제 2 상관을 구하는 제 4 수단(1, S564)을 더욱 가지고,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특정의 건설기계의 지표와 상기 제 1 및 제 2 상관을 비교하여 그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5 수단(51, S566)을 더욱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계측수집수단(2, 40-46, S9-S16A)은 상기 부위(12, 13, 15, 32)별 가동상태에 더하여 부위별 부하를 계측, 수집하고,
    상기 기지국 컴퓨터(3, 50, S30-32A)는 상기 계측, 수집한 부위별 가동상태와 부하를 데이터베이스(100)에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부하의 정도에 따라 상기 가동상태를 부하 보정하는 제 6 수단(51, S33A)을 더욱 가지고, 이 부하 보정한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상기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17. 시장에서 가동되는 복수의 기종을 포함하는 복수대의 건설기계(1, 1a, 1b, 1c)의 각각에 대하여 부위(12, 13, 15, 32)별 가동상태를 가동 데이터로서 저장, 축적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여 상기 복수대의 건설기계 중 특정의 건설기계가 최적 기종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산처리장치.
KR10-2001-7014257A 2000-03-31 2001-04-02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KR10046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8118 2000-03-31
JPJP-P-2000-00098118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703A true KR20020020703A (ko) 2002-03-15
KR100460483B1 KR100460483B1 (ko) 2004-12-08

Family

ID=1861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257A KR100460483B1 (ko) 2000-03-31 2001-04-02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49884B1 (ko)
EP (1) EP1262604B1 (ko)
JP (1) JP4170622B2 (ko)
KR (1) KR100460483B1 (ko)
CN (1) CN1153873C (ko)
WO (1) WO20010732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407A (ko) * 2013-01-11 2014-07-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장비 또는 산업차량의 사용과 관련된 특정시간을 관리하는 아워 미터 및 이에 의한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858B1 (ko) * 2000-03-31 2005-10-14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DE10057972A1 (de) * 2000-11-22 2002-07-1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Ermittlung von Getriebekenngrößen
JPWO2003000997A1 (ja) * 2001-06-20 2004-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設定システム
AU2002356029A1 (en) * 2001-08-16 2003-03-03 R. Morley Incorporated Machine control over the web
JP3948286B2 (ja) * 2002-01-15 2007-07-2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CN100402763C (zh) * 2002-09-26 2008-07-16 日立建机株式会社 建筑机械
US7983820B2 (en) 2003-07-02 2011-07-19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xy control functions in a work machine
JP4246039B2 (ja) * 2003-11-18 2009-04-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稼働情報管理装置
US20060041845A1 (en) * 2004-05-20 2006-02-23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isplay data between machines
US7640683B2 (en) * 2005-04-15 2010-01-05 Topcon Position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atellite positioning of earth-moving equipment
US7873455B2 (en) * 2006-09-25 2011-01-18 Cnh America Llc Work vehicle acces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7925439B2 (en) * 2006-10-19 2011-04-12 Topcon Positioning Systems, Inc. Gimbaled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US7725294B2 (en) * 2007-12-04 2010-05-25 Clark Equipment Company Power machin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20100145865A1 (en) * 2008-05-16 2010-06-10 Berger Thomas R Managing and securing construction and rental equipment
JP5350916B2 (ja) * 2009-07-03 2013-11-27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の管理システム、排気浄化装置の管理方法
AU2011252963B2 (en) 2010-05-14 2014-07-10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Predictive analysis for remote machine monitoring
US20130190933A1 (en) * 2012-01-20 2013-07-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air flow control
WO2014045397A1 (ja) * 2012-09-21 2014-03-27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鉱山機械の稼働管理装置
US20140372427A1 (en) * 2013-06-13 2014-12-18 Sap Portals Israel Ltd Real-time analytic report analysis and retrieval framework
WO2016065022A1 (en) * 2014-10-23 2016-04-28 Carrier Corporation Mobile equipment maintenance monitoring system
JP6392101B2 (ja) * 2014-12-05 2018-09-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7036606B2 (ja) * 2018-01-31 2022-03-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積込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3951076B1 (en) * 2019-03-26 2024-05-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 machine
CN112581155A (zh) * 2019-09-30 2021-03-30 北京国双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230046835A1 (en) * 2021-08-11 2023-02-16 Oshkosh Corporation Equipment utiliz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321A (ja) 1989-06-15 1991-01-25 Komatsu Ltd メンテナンスモニタ装置
JP2584371B2 (ja) 1991-09-11 1997-0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標識灯
JP2584371Y2 (ja) * 1992-10-12 1998-10-3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パワーショベルの作動状況把握装置
US5737215A (en) * 1995-12-13 1998-04-07 Caterpil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machines in fleet
JP3335106B2 (ja) 1997-07-16 2002-10-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機械のメンテナンス時期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0027236A (ja) * 1998-07-07 2000-01-25 Komatsu Ltd 建設機械の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1407A (ko) * 2013-01-11 2014-07-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장비 또는 산업차량의 사용과 관련된 특정시간을 관리하는 아워 미터 및 이에 의한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3226A1 (fr) 2001-10-04
KR100460483B1 (ko) 2004-12-08
US6449884B1 (en) 2002-09-17
CN1153873C (zh) 2004-06-16
EP1262604B1 (en) 2011-08-03
JP4170622B2 (ja) 2008-10-22
CN1366569A (zh) 2002-08-28
EP1262604A1 (en) 2002-12-04
EP1262604A4 (en)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483B1 (ko)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KR100534534B1 (ko)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KR100521858B1 (ko) 건설기계의 관리방법과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KR100656578B1 (ko) 건설기계의 관리방법 및 시스템 및 연산처리장치
AU2006200556B2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machine performance
KR100487598B1 (ko) 고장대처법 출력방법
US8073653B2 (en) Component life indicator
AU2005232289B2 (en) Tire maintenance system
CN105518554B (zh) 作业机械的运转数据收集装置
JP4856163B2 (ja) 建設機械の診断情報提供装置
JP4689136B2 (ja) 作業現場に配備された作業機械の実稼動時間の検出方法、データ収集・管理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US10443215B2 (en) Construction machine management system
JP2000297443A (ja) 建設機械の情報管理装置
JP4619386B2 (ja) 建設機械の情報管理装置
RU2801635C1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износа детал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ограничивающей модели
WO2001073222A1 (fr) Procede d'etablissement de rapport de machine de chantier, et systeme et appareil d'etablissement asso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