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181A -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181A
KR20020019181A KR1020000052322A KR20000052322A KR20020019181A KR 20020019181 A KR20020019181 A KR 20020019181A KR 1020000052322 A KR1020000052322 A KR 1020000052322A KR 20000052322 A KR20000052322 A KR 20000052322A KR 20020019181 A KR20020019181 A KR 20020019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optical
station controller
optical cable
transmis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5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181A/ko
Publication of KR20020019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1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기 위한 광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TM) 셀을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에 매핑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와 광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프레임에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추출하는 기지국의 광 정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제어기의 보코더와 중계선/광 변환 장치간을 하이웨이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기지국 제어기의 출력 데이터를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와 이동 교환국의 타임스위치와 중계선/광 변환 장치간을 하이웨이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이동 교환국의 출력 데이터를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하는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교환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광대역의 광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CABLING BY OPTIC CABLE}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간을 연결하는 광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기지국(20)(21)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20)(21)을 관리하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30), 상기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30)를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이동 교환국(4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제어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셀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데 상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E1/T1 등의 디지털 중계선(1) 또는 HDSL(High bit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이 사용된다. 전체 서비스영역을 다수의 기지국 영역(셀)으로 분할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서비스의 특성상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은 매우 장거리가 될 수가 있는데 디지털 중계선은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그 비용이 매우 비싸질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디지털 중계선(2)이 사용되는데, 통상적으로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은 많은 채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동일한 건물(국사)내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과다한 중계선을 소요하여 중계선 연결의 복잡성이 야기되었으며 중계선 정합보드도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즉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디지털 중계선(또는 HDSL)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매우 비쌌고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필요하였으며 중계선 정합보드의 과다 소요에 따라 시스템의 가격이 상승되었다. 게다가 디지털 중계선은 전송대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채널의 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정합되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의 실시예는,
기지국으로 전송될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출력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분석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장치;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에 매핑한 후 상기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분석하여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장치로 전달하는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제어기에 정합되는 기지국의 광 정합장치의 실시예는,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수신하여 자신의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프레임이면 드롭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이패스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드롭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분석하며,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하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이동 교환국에 정합되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다수의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중계선/광 변환 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제어기에 정합되는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의 실시예는,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출력하고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하는 타임스위치;
상기 타임스위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하고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임스위치로 전달하는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 전달하는 중계선/광 변환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기지국 제어기를 이동 교환국과 연결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이동 교환국을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하기 위한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광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 및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기 위한 광 정합장치를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기(110)는 비동기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스위치 장치(ATM Switch Fabric board Assembly: ASFA)(111)와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Synchronous Transfer Module: STM) 인터페이스 장치(ATM to STM-1 Interface board Assembly: AS1A)(113)로 구성되며 광파이버 블럭(Optic Fiber Block: OFB)(115)을 통해 광 전송망(100)에 접속된다. 상기 비동기전송모드/동기디지털계위 인터페이스 장치(113)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이다.
또한 데이지 체인 형태로 연결된 기지국들(120)(130)(140)(150) 각각은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치(BTS Control Processor board Assembly: BCPA)(121)(131)(141)(151)와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BTS STM-1 Interface board Assembly: BTSA)(123)(133)(143)(153)로 구성되며 각자의 광 파이버 블럭(OFB)(125)(135)(145)(155)을 통해 광 전송망(100)에 접속된다.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BTSA)는 기지국의 광 정합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들은 데이지 체인 형태로 연결되나 방사형 및 다른 형태의 연결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광 전송망(100)은 동기디지털계위(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에 따른 동기전송모듈(STM)을 지원한다. 국제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ITU-T)에 권고된 바에 따르면, 동기디지털계위(SDH)란 광매체 상에서 동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넷(Synchronous Optical NETwork: SONET)과 국제적으로 동등하며 광캐리어의 속도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동기전송모듈(STM)로 구현된다. 상기 동기전송모듈은 동기디지털계위(SDH)의 기본이 되는 다중화 단위로서, 기본 단위인 STM-1(STM Level 1)은 155.52Mbps(전화 채널 수 2016)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기지국 제어기(110)에서 생성된 비동기전송모드(ATM) 다중 데이터는 비동기 전송모드 스위치 장치(111)에 의하여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13)로 전달된다. 상기 비동기 전송모드 스위치 장치(111)는 광 전송망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13)로 전달하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는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13)에 의해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의 페이로드(payload) 영역에 매핑된 후 동기디지털계위에 따른 전송회선(즉 광전송망)상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즉 광전송망(100)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표준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상의 페이로드에 비동기전송모드 셀 데이터가 실려진 형태가 된다.
광 전송망(100)의 데이터는 먼저 마스터 기지국(120)의 광 정합장치인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3)로 수신된다.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3)는 수신된 데이터가 자신의 기지국에 해당하는 셀인지를 확인하여 맞으면 드롭하여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치(121)로 전달하고 맞지 않으면 바이패스한다. 바이패스된 데이터는 다음단의 슬레이브 기지국(130)으로 전달된다. 만일 기지국(120)이 다른 기지국(130)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있다면 이 데이터는 상기 바이패스되는 데이터에 애드되어 다음단의 기지국(130)으로 전달된다.
기지국의 광 정합장치인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는 광 송수신부와 동기전송모듈 레벨-1 물리적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준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상의 페이로드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3)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3)는 광 송수신부(161)(165)와 동기전송모듈 레벨-1 물리적 인터페이스부(162)(166),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163), 선입선출(First Input First Output)(167) 메모리, 버스 인터페이스부(164) 및 상기의 모든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168)로 구성된다.
도 3의 구조는 기지국 제어기(110)에 가장 먼저 연결되는 마스터 기지국(120)의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3)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일단의 광 송수신부(161)는 기지국 제어기(110)와 연결되고 타단의 광 송수신부(165)는 슬레이브 기지국(130)과 연결된다. 다른 예로서, 도 3의 구조가 슬레이브 기지국에 적용되는 경우 일단의 광 송수신부(161)는 전단의 기지국(마스터 또는 다른 슬레이브)에 연결되고 타단의 광 송수신부(165)는 후단의 기지국(후단의 기지국이 없는 경우에는 전단의 기지국)에 연결되며, 단일 기지국 구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광 송수신부(161)(165)는 모두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된다.
이하 도 3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110)로부터 광 전송망(100)을 통해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3)로 수신된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형태의 데이터는 먼저 광 송수신부(161)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 동기전송모듈 레벨-1 물리적 인터페이스부(162)에 의하여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상의 페이로드가 추출된다. 상기 페이로드는 기지국 제어기(110)의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13)에 의하여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에 매핑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이다.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163)는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역다중화한 후 버스 인터페이스부(164)로 전달된다. 버스 인터페이스부(164)는 상기 분석된 데이터(즉 비동기전송모드 셀 데이터)를 셀 버스를 통해 상위의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121)로 전달한다.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10)나 다른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이 수행된다. 즉, 상위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치(121)로부터 버스 인터페이스부(164)를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면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163)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비동기전송모드 헤더를 부가하여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생성한다.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 데이터가 기지국 제어기(110)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은 동기전송모듈 레벨-1 물리적 인터페이스부(162)로 전달된다. 동기전송모듈 레벨-1 물리적 인터페이스부(162)는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에 매핑하여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은 광 송수신부(161)에 의하여 광 전송망(100)에 실리게 되고 광 전송망(100)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110)로 전송된다.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 데이터가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163)에서 생성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은 동기전송모듈 레벨-1 물리적 인터페이스부(166)로 전달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기지국의 광케이블 정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이동 교환국(40)에는 다수개의 기지국 제어기(31 내지 34)가 점대점(point to point)으로 연결되며, 이동 교환국(40)과 각각의 기지국 제어기(31 내지 34)간은 동기전송모듈 레벨-1에 의한 광케이블로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기지국 제어기를 이동 교환국과 연결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1920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64개의 E1/T1 디지털 중계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표준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64×1920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광 정합장치를 구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는, 보코더 뱅크(Transcoder and Air Termination Bank: XAB)(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며 제어 프로세서와 타임 스위치 및 E1/T1 프레이머로 구성되는 다수의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XAB E1 Interface board Assembly: X1EA)(210), 상기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210)를 실장하는 다수의 백패널(XAB Back Panel: XABP)(220), 다수의 중계선/광 변환 장치(Trunk to Optic Conversion board Assembly-BSC: TOCA-B)(240) 및 상기 중계선/광 변환 장치를 실장하는 다수의 백패널(Trunk to Optic conversion Back Panel-BSC: TOBP-B)(2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지국 제어기는 광케이블(3)에 정합되는데, 상기 광케이블(3)은 기지국과 연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기전송모듈 레벨-1에 따른 동기디지털계위(SDH)를 사용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보코더 뱅크에서 생성되고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210)에서 출력된데이터는 디지털 중계선(E1/T1) 프레이머(215)에 의하여 프레임 형태로 변환된 후, 제어 프로세서(211)에 의하여 제어되는 타임 스위치(213)에 의해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의 백패널(XABP)(220)과 중계선/광 변환 장치의 백패널(TOBP-B)(230)간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하이웨이(highway) 중 하나로 선택 출력된다.
상기 프레이머(215)와 타임 스위치(213)간은 별도의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회로보드장치(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BA) 패턴에 의해 서로간에 연결되므로, 상기 패턴을 변경하면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를 백패널(220)로 연결할 수 있다. 백패널(2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는 하이웨이를 통해 백패널(230)로 전달된다.
다수(도 5에서 16개)의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210)로부터 출력된 다수개의 하이웨이들은 백패널(22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도 5에서 16개) 하이웨이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하이웨이 커넥터로부터 출력된 다수의 2×5 하이웨이 케이블은 백패널(23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도 5에서 16개)의 하이웨이 커넥터에 연결된다. 16개의 하이웨이 커넥터마다 4개씩 연결되는 16×4개의 상기 하이웨이 케이블은 백패널(230)(220)을 서로간에 연결한다.
상기 하이웨이 케이블을 통해 백패널(230)로 수신된 데이터는 중계선/광 변환 장치(240)에 의하여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으로 다중화된 후 백패널(230)의 광 커넥터를 통해 광케이블(3)에 실린다. 광케이블(3)에 실린 데이터는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된다.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기지국 제어기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와는반대의 동작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이동 교환국을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하기 위한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6은 도 5의 기지국 제어기와 대응하여 64×1920 채널을 수용할 수 있는 이동 교환국의 액세스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ASS)을 구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는 광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Local optic Transfer and Receiver Interface board Assembly: LTRIA)(310), 제어와 유지보수 기능을 가지는 타임스위치(Time Switch Control Maintenance board Assembly: TSCMA)(320),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Sub-highway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board Assembly: SMDXA)(330),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310)와 타임스위치(320) 및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30)를 실장하는 백패널(Time Switch Back Panel Assembly: TSBPA)(340), 중계선/광 변환 장치(Trunk to Optic Conversion board Assembly-MSC: TOCA-M)(360) 및 상기 중계선/광 변환장치(360)를 실장하는 백패널로 구성된다. 상기 중계선/광 변환장치(360)는 비상시를 위해 이중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 교환국은 광케이블(3)에 정합되는데, 상기 광케이블(3)은 기지국과 연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기전송모듈 레벨-1에 따른 동기디지털계위(SDH)를 사용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광케이블(3)은 중계선/광 변환장치(360)의 백패널(350)상에 구성된 광 커넥터에 접속되며, 광케이블(3)을 통해 수신된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데이터는 백패널(350)을 통해 중계선/광 변환장치(360)로 수신된다. 중계선/광 변환장치(360)는 상기 수신된 동기전송모듈 레벨-1 프레임 데이터를 6개의 DS0 신호로 역다중화한 뒤 다시 백패널(350)로 전달한다. 백패널(350)에는 16개의 하이웨이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하이웨이 커넥터에는 3×7 하이웨이 케이블이 연결된다. 상기 하이웨이 케이블의 다른 한쪽은 백패널(340)에 형성되어 있는 하이웨이 커넥터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백패널(350)과 백패널(340)이 서로간에 연결된다. 백패널(350)로부터 하이웨이 케이블을 통해 백패널(340)로 수신된 데이터는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30)로 전달되어 다중화되고 타임 스위치(320)에 의해 해당되는 경로로 스위칭된 후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310)에서 광으로 전환되어 상위의 공간 스위치인 상호접속 네트워크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INS)(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된다.
이때 이동 단말기간의 호를 위한 데이터는 타임스위치(320)에 의해 루프되어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30)와 백패널(340)(350) 및 중계선/광 변환 장치(360)를 통해 해당하는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된다.
상기의 이동 교환국은 광케이블(3)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는 한편 다른 가입자 시스템, 예를 들어 유선 전화기와의 통화를 위하여 디지털 트렁크(Digital Trunk: DTR) 블럭(370)을 통해 공중교환 전화네트워크(Public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50)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30)는 2매로 구성되어 1매는 기지국 제어기용으로 사용되고 다른 1매는 PSTN용으로 사용된다.
이동 단말기로부터 유선 전화기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상호접속 네트워크 서브시스템(INS)에서 루프된 후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310)와 타임스위치(320) 및 PSTN용의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330)를 통해 디지털 트렁크(DTR) 블럭(370)으로 전달된다. 상기 디지털 트렁크 블럭(370)의 일측은 하이웨이를 사용하여 백패널(340)에 연결되며 다른 측은 64개의 외부 중계선을 통해 공중교환 상호접속 네트워크(50)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간 및 기지국 제어기와 이동 교환국간을 광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정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의 구성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광대역의 광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정합되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전송될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출력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분석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장치;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의 페이로드 영역에 매핑한 후 상기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분석하여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스위치 장치로 전달하는 비동기전송모드/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장치로 구성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2.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제어기에 정합되는 기지국의 광 정합장치에 있어서,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수신하여 자신의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프레임이면 드롭하고 그렇지 않으면 바이패스하며,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드롭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분석하며,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하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치로 구성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동기전송모듈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 또는 상기 다른 기지국과 연결되어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송수신부;
    상기 광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을 비동기전송모드 셀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전송모듈 물리적 인터페이스부;
    상기 동기전송모듈 물리적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어 비동기전송모드 셀을 다중화 또는 역다중화하는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를 셀 버스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 장치로 연결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부;
    선입선출 메모리를 이용하여 상기 동기전송모듈 물리적 인터페이스부와 비동기전송모드 셀 처리부 및 버스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전송모듈 프레임은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되며 상기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비동기전송모드 셀이 매핑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5.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이동 교환국에 정합되는 기지국 제어기의 광 정합장치에 있어서,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출력하며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다수의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광케이블을 통해 이동 교환국으로 전송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이동 교환국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하이웨이를 통해 상기 보코더/중계선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하는 다수의 중계선/광 변환 장치로 구성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6.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제어기에 정합되는 이동 교환국의 광 정합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광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출력하고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상기 광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달하는 타임스위치;
    상기 타임스위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출력하고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상기 타임스위치로 전달하는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하고 광케이블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 전달하는 중계선/광 변환장치로 구성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중계선을 통해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중계선을 통해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하이웨이 다중화/역다중화 장치로 전달하는 디지털 트렁크 블럭을 더 포함하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위치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상기 기지국 제어기 또는 다른 기지국 제어기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루프시키는,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KR1020000052322A 2000-09-05 2000-09-05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KR20020019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322A KR20020019181A (ko) 2000-09-05 2000-09-05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322A KR20020019181A (ko) 2000-09-05 2000-09-05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181A true KR20020019181A (ko) 2002-03-12

Family

ID=1968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322A KR20020019181A (ko) 2000-09-05 2000-09-05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1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99B1 (ko) * 2002-05-30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2세대 및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거리 정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299B1 (ko) * 2002-05-30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2세대 및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거리 정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7039A (en) System and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within a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unit using ATM adaptation layers
EP0432678B1 (en) High-speed synchronous transmission line access terminal
CN100373884C (zh) 电信网络的交换设备、其中使用的部件和交换数据流的方法
US7561801B2 (en) Optical transceiver with electrical ring distribution interface
JPH07170284A (ja) 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そのメインステーション及びサブステーション
US6577623B1 (en) Fixed-length cell data and time-division data hybrid multiplexing apparatus
EP1428355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a time-division multiplexed communication link of a signal transfer point, and a corresponding signal transfer point
KR100260035B1 (ko) 음성 및 광대역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통신시스템의인터페이스 장치
JPH07221764A (ja) オーダワイヤ中継方式
KR20020019181A (ko)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JPH089058A (ja) 伝送路バックアップ機能付の多重化装置
KR100233939B1 (ko) 멀티미디어형 다중화 장치 및 그 실장 장치
US20010043625A1 (en) Transmission line sharing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network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network system
KR100724854B1 (ko) 모국장치 가입자와 자국장치 가입자간 통신방법 및 장치
KR100246998B1 (ko) 교환시스템에서시분할스위치장치
KR100233099B1 (ko) 양방향 stm-1 정합을 갖는 시분할 스위치 장치
KR0153933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고정속도 서비스 연동을 위한 셀 조립/분해 장치
JPH10285120A (ja) 光通信加入者サービス方式
KR100252511B1 (ko) 수요밀집형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클럭 제공 및 광 송수신 유니트 제어방법
KR100314354B1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 종합정보통신망의 기본속도정합장치
KR0157387B1 (ko) 전전자 교환시스템에서의 링크/스위치 정합장치
KR100404564B1 (ko) 에이지 시스템의 가입자 정합 장치
JP3033038B2 (ja) 専用線用isdn端末収容装置
KR20000046387A (ko) 수요밀집형 광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e1프레임 처리장치
KR20080050257A (ko) 광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전화 가입자 정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