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064A -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064A
KR20020019064A KR1020017015647A KR20017015647A KR20020019064A KR 20020019064 A KR20020019064 A KR 20020019064A KR 1020017015647 A KR1020017015647 A KR 1020017015647A KR 20017015647 A KR20017015647 A KR 20017015647A KR 20020019064 A KR20020019064 A KR 20020019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at
sensor
assembly
ben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커티스브라이언엠.
Original Assignee
웰스 러셀 씨
지멘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스 러셀 씨, 지멘스 오토모티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웰스 러셀 씨
Publication of KR2002001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0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01G19/41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for controlling activation of safety devices, e.g. airbag systems

Abstract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에어백의 적절한 사용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은 좌석 라이저에 장착된 제1 단부와 좌석 프레임 또는 트랙 부재에 장착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중량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중량 센서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굽힘가능한 중앙부를 가지고 있다. 변형을 집중하기 위하여 굽힘가능한 중앙부의 외측면의 하나에 홈이 형성된다. 굽힘가능한 중앙부의 측정된 편향에 따라 중량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홈으로부터 반대쪽인, 각각의 중량 센서의 표면에는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 조립체가 장착된다. 중앙 프로세서는 중량 신호에 근거한 승차자 중량을 결정하고 에어백 제어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승차자 중량에 근거하여 에어백의 전개 힘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조립체{WEIGHT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SEAT OCCUPANT WEIGHT}
대부분의 자동차는 고속 충돌로 인한 심한 부상으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함께 작동하는 에어백과 좌석벨트 구속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격에 근거하여 에어백의 전개 힘과 좌석벨트 예비인장기의 힘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힘을 제어하는 한 방식은 승차자의 중량을 모니터하는 것이다. 만약 어린이 또는 유아와 같은 작은 사람이 조수석에 앉는다면, 좌석에 대한 중량은 어른이 앉은 경우보다 작을 것이다.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현재의 시스템들은 복잡하며 고가이다. 이런 시스템들 중의 한 종류는 좌석 바닥 포옴내에 장착된 압력감응 호일매트를 사용한다. 다른 시스템은 좌석 바닥 쿠션내의 복수의 위치에 놓인 센서를 사용한다. 매트 또는 센서들로부터 조합된 출력은 승차자의 중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센서들은 승차자의 중량으로 인한 수직의 힘 뿐만 아니라, 또한 가속, 감속, 선회에 의한 수평 및 측방향의 힘도 받게 된다. 센서에 의해 더해지는 수평 및 측방향 힘은 중량 측정에 에러 성분을 포함시킨다. 이 센서들은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높은 측정 민감성을 제공하고 그리고 수평 및 측방향 힘에 낮은 민감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 및 복잡한 밴딩요소를 사용하는 아주 정교한 것이다.
또한, 좌석 바닥내에 이 센서들을 장착하는 것은 어렵고 시간이 걸린다. 정확한 측정을 제공하면서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다양한 위치를 모두 수용하는 각각의 센서을 위한 장착위치를 찾아내는 것은 어렵다. 게다가,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움직임은 센서를 제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거나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들이 좌석 바닥에 장착되기 때문에, 자동차에 좌석이 설치된 후에 센서를 다시 위치시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정확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상술한 종래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한 단순화된 승차자 중량측정 시스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센서 장치는 좌석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어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 측정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에어백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자동차에 앉은 승차자의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중량측정 시스템을 통합한 좌석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센서 조립체의 장착을 나타내는 도 2의 좌석의 부분적으로 절결된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의 센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중량측정 시스템을 통합한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6A 는 센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사시도이다.
도 6B 는 도 6A의 센서 조립체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C 는 도 6A의 6C-6C를 따라 취한 센서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중량 센서의 변경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 은 중량 센서의 변경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은 자동차 구조부에 장착된 좌석 요소, 좌석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중량 센서 조립체는 좌석 요소와 좌석 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된다. 각각의 중량 센서 조립체는 바닥면과 상부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중 하나에는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full bridge strain gage)가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중량 센서 조립체는 좌석 라이저와 같은 좌석 요소에 장착된 제1 단부, 좌석 프레임 또는 트랙 부재와 같은 좌석 지지부재에 장착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굽힘가능한 중앙부가 뻗어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개개의 센서 조립체를 위한 굽힘가능한 중앙부의 측정된 편향에 따라 중량 신호를 각각 발생시킨다. 중앙 프로세서는 중량 신호에 근거한 승차자 중량을 결정한다. 에어백 제어 모듈은 승차자 중량에 근거하여 에어백의 전개 힘을 제어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와 통신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센서는 상부면 또는 바닥면중의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있다. 이 홈은 굽힘가능한 중앙부에 변형을 집중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센서의 폭을 따라 뻗어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홈으로부터 반대쪽인,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다른 하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저렴하고, 정확하며, 설치하기 쉽고, 간소화 된 승차자 중량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아래의 내용과 도면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자동차는 도 1에 12로 표시된 자동차 좌석 조립체와 에어백 시스템(14)을 포함하고 있다. 좌석 조립체(12)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좌석중의 하나일 수 있으며 좌석 등받이(16)와 좌석 바닥(18)을 포함하고 있다. 자동차 승차자(20)가 좌석(12)에 착석할 때, 수직의 힘(Fv)이 좌석 바닥(18)에 대항하여 가해진다. 수직의 힘(Fv)은 승차자(20)의 중량을 나타낸다.
에어백 시스템(14)은 어떤 충돌상태하에서 에어백(24)을 적절하게 사용한다. 도1에 점선으로 도시된 에어백(24)의 전개 힘은 승차자(20)의 중량에 따라 변한다. 자동차는 승차자(2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독특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이 독특한 시스템은 도 2에 26으로 표시된 좌석 프레임 또는 트랙 부재내에 통합된다.
좌석(12)은 바람직하게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26b)상의 자동차 구조부(30)에 장착된다.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와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26b)는 모두 제1 트랙 부재(28)와 제2 트랙 부재(3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트랙 부재(28)는 일반적으로 좌석 라이저(34)에 또는 플로어와 같은 자동차 구조부(30)에 직접 장착된다. 제2 트랙 부재(32)는 제1 트랙 부재(28)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장착되므로 좌석(12) 위치는 자동차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전방 및 후방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 조립체(36)는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 및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26b)의 제1 트랙 부재(28)와 라이저(34) 사이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4개의 센서 조립체(36)는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의 전방에 가까이 위치된 제1 센서 조립체(36a),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의 후방에 가까이 위치된 제2 센서 조립체(36b),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26b)의 전방에 가까이 위치된 제3 센서 조립체(36c), 및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26b)의 후방에 가까이 위치된 제4 센서 조립체(36d)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 조립체(36a,36b,36c,36d)는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42)로 제1 트랙 부재(28)에 장착된 제1 단부(40),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42)로 라이저(34)에 장착된 제2 단부(44)를 가지고 있다. 센서(36)를 장착하기 위해서 어떤 타입의 파스너도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결합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굽힘가능한 중앙부(46)는 센서 조립체(36)의 제1 단부(40)와 제2 단부(44) 사이에 뻗어 있다. 자동차 승차자(20)의 수직방향 힘(Fv)이 좌석 바닥(18)에 가해질 때, 각각의 센서조립체(36a,36b,36c,36d)의 굽힘가능한 중앙부(46)는 편향되거나 또는 센서(36)의 한 부분은 압축상태에 다른 부분은 인장상태에 있어 S자 형태로 구부려진다.
도 3과 4의 실시예에서, 제1 단부(40) 및 제2 단부(44)는 굽힘가능한 중앙부(46)의 위/아래로 상승하여 굽힘가능한 중앙부(46)의 양쪽에 스텝(38)이 형성된다. 스텝(38)의 높이는 변경될 수 있다. 이 형상은 센서(36)와 트랙 부재(28) 사이에 그리고 센서(36)와 라이저(34) 사이에 갭을 형성하므로 휘어짐을 용이하게 한다.
스트레인 게이지(50)는 굽힘가능한 중앙부(46)에서 휨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센서 조립체(36a,36b,36c,36d)에 장착된다. 센서 조립체(36)는 좌석 바닥(18)을 향하는 상부면(52), 라이저(34)를 향하는 바닥면(54)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 완전한 브리지를 형성하는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조합은 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부면(52)과 바닥면(54)의 하나에 장착된다. 따라서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편향을 측정하기 위한 휘트스톤 브리지처럼 사용되도록 조합된다. 휘트스톤 브리지의 작동은 당해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 게이지(50)는 센서(36)의 상부면(52)상에 장착된다. 파스너(42)를 수용하기 위한 제1 구멍(56)은 센서(36)의 제1 단부(40)에 형성되며 제2 구멍(58)은 센서(36)의 제2 단부(44)에 형성된다. 스트레인 게이지(50)는 상부면(52)의 구멍(56,58) 사이에 위치된다. 보다 정확한 판독을 위하여,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50)는 센서(36)의 한쪽 표면에만 장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만약 스트레인 게이지(50)가 상부면(52)에 장착되면 바닥면(54)에는 어떠한 스트레인 게이지 구성요소도 장착되어서는 안되며, 만약 스트레인 게이지(50)가 바닥면(54)에 장착되면 상부면(52)에는 어떠한 스트레인 게이지 구성요소도 장착되어서는 안된다.
센서(36a,36b,36c,36d)는 센서(36a,36b,36c,36d)의 개별적인 위치에서 휨을 야기하는 승차자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각각 발생시킨다(도 5 참조). 따라서 제1 센서(36a)는 제1 신호(60)를 발생시키고, 제2 센서(36b)는 제2 신호(62)를 발생시키고, 제3 센서(36c)는 제3 신호(64)를 발생시키고, 제4 센서(36d)는 제4 신호(66)를 발생시킨다. 신호(60,62,64,66)는 공통 인터페이스 유닛(68)에 전달되고 그 다음에 당해기술에 공지된 중앙 프로세서 유닛 또는 전자제어유닛(ECU)(70)에 제공된다. ECU(70)는 승차자(20)의 중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신호(60,62,64,66)를 조합한다. 그 다음에 ECU(70)는 시스템 컨트롤러(74)에 제어신호(72)를 보낸다. 바람직하게, 시스템 컨트롤러(74)는 ECU(70)와 통신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이며, 에어백(24)의 전개 힘은 승차자 중량에 근거하여 제어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70)는 승차자의 중량에 근거하여 좌석 벨트 예비인장기의 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동차 충돌 센서(76)는 또한 에어백(24)에 대한 제어 지시를 준비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에어백 제어 모듈(74)에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당해 기술에 공지된 파워 서플라이(78)를 사용한다.
중량 센서(136)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6A∼6C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센서 조립체(136a,136b,136c,136d)는 센서(36)의 상부면(52) 또는 바닥면(54)중 하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80)을 포함하고 있다. 홈(80)은 굽힘가능한 중앙부(46)에 변형을 집중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센서 조립체(36)의 폭을 따라 뻗어 있다.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50)는 홈(80)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향한 반대쪽 표면에 위치된다(도 6B 참조). 본 실시예에서, 홈(80)은 센서(36)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뻗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중량 센서(236)의 변경 실시예에서, 한쌍의 홈(80a,80b)은 굽힘가능한 중앙부(46)에 변형을 집중하도록 상부면(52) 또는 바닥면(54)중 하나에 형성된다. 홈(80a,80b)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센서(36)의 폭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뻗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레인 게이지(50)는 홈(80a,80b) 사이에 장착된다.
도 8에 도시된 중량 센서(336)의 다른 변경실시예에서, 센서 조립체(36)는 대체로 평탄한 굽힘가능한 중앙부(46)를 가지고 있다. 한쪽 단부에 형성된 노치(84)는 센서(36)를 인터페이스(68)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한쌍의 구멍(86)을 분리한다.
본 발명은 승차자(20)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간단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트랙과 라이저는 대부분의 자동차 좌석(12)을 위한 공통 구성요소이므로 트랙(28)과 라이저(34) 사이에 센서(36)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량 측정 시스템은 어떤 종류의 좌석 형태에도 용이하게 통합된다. 측정된 중량은 좌석 위치에 무관하며 좌석(12)상의 다양한 승차자 위치에서 정확하게 제공된다.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26a)와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26b)의 모두 4개의 위치에서 편향을 측정하므로, 모든 센서(36a,36b,36c,36d)의 출력의 합계에 비례하는승차자의 중량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장치 및 인터페이스(68)는 당해기술에 공지된 트랙 조립체(26a,26b)내에 수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많은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첨부의 청구항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 구조부에 장착된 좌석 요소;
    좌석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 지지부재; 및
    상기 좌석 요소와 상기 좌석 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된 복수의 중량 센서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상기 중량 센서 조립체는 바닥면과 상부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중 하나에는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바닥면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요소는 자동차 플로어에 장착되는 좌석 라이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부재는 상기 라이저에 고정된 좌석 트랙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조립체는 상기 좌석 트랙에 고정된 제1 단부, 상기 라이저에 고정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굽힘가능한 중앙부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굽힘가능한 중앙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조립체는 굽힘가능한 중앙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굽힘가능한 중앙부에 변형을 집중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센서 조립체의 폭을 따라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홈으로부터 반대쪽인,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다른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 조립체는 승차자의 중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신호는 승차자 중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에어백의 전개 힘은 승차자 중량에 기초한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1.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차 구조부에 장착된 좌석 라이저;
    좌석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좌석 프레임 부재;
    상기 좌석 라이저에 장착된 제1 단부, 상기 좌석 프레임에 장착된 제2 단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굽힘가능한 중앙부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복수의 중량 센서;
    상기 굽힘가능한 중앙부의 측정된 변형에 따라 중량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중량 센서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하나에만 장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 조립체;
    상기 중량 신호에 기초한 승차자 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중앙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에어백의 전개 힘은 승차자 중량에 기초한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굽힘가능한 중앙부에 변형을 집중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센서의 폭을 따라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조립체는 상기 홈으로부터 반대쪽인,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다른 하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조립체는 풀 브리지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풀 브리지 게이지는 상기 센서의 상기 바닥면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16.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좌석 바닥;
    서로 이격되어 있고 자동차 구조부에 장착되며, 좌석 라이저에 장착된 제1 트랙과 상기 제1 트랙에 대하여 운동하도록 장착된 제2 트랙을 각각 가지고 있는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와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
    상기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의 전방부분 가까이 위치된 제1 중량 센서;
    상기 차량 내측 트랙 조립체의 후방부분 가까이 위치된 제2 중량 센서;
    상기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의 전방부분 가까이 위치된 제 3 중량 센서;
    상기 차량 외측 트랙 조립체의 후방부분 가까이 위치된 제 4 중량 센서;
    상기 제1 트랙에 고정된 제1 단부, 상기 라이저에 고정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굽힘가능한 중앙부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각각의 상기 중량 센서;
    각각의 상기 센서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굽힘가능한 중앙부에 변형을 집중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센서의 폭을 따라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개개의 센서의 굽힘가능한 중앙부의 측정된 변형에 따라 중량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홈에 대향하는 각각의 상기 센서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의 다른 하나에 장착되는 풀 브리지 스트레인 게이지 조립체;
    상기 중량 신호에 기초한 승차자 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중앙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하는 에어백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에어백의 전개 힘은 승차자 중량에 기초한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에 앉은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017015647A 1999-06-25 2000-06-22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조립체 KR200200190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10599P 1999-06-25 1999-06-25
US60/141,105 1999-06-25
PCT/US2000/017237 WO2001000454A1 (en) 1999-06-25 2000-06-22 Weight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seat occupant w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064A true KR20020019064A (ko) 2002-03-09

Family

ID=2249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647A KR20020019064A (ko) 1999-06-25 2000-06-22 승차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89787B1 (ko)
JP (1) JP2003503700A (ko)
KR (1) KR20020019064A (ko)
CN (1) CN1362922A (ko)
BR (1) BR0011921A (ko)
DE (1) DE60017562T2 (ko)
WO (1) WO2001000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4094B1 (en) 1999-06-25 2004-07-2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Weight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seat occupant weight
US6636792B2 (en) 2000-09-29 2003-10-21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Weight classification system
US6670560B2 (en) 2000-10-02 2003-12-30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ensor integrated bracket for weight classification
DE10256741B3 (de) 2002-12-05 2004-07-01 Dr.Ing.H.C. F. Porsche Ag Sitzkonsole für einen Fahrzeugsitz
GB2402531B (en) * 2003-06-06 2006-02-0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GB2416896B (en) * 2004-07-22 2009-03-11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US7211753B2 (en) * 2004-11-22 2007-05-01 Sears Manufacturing Co. Vehicle seat assembly with operator presence switch
ITBO20050736A1 (it) 2005-12-02 2007-06-03 Ferrari Spa Metodo per montare un sedile provvisto di sensori di peso su di un telaio di un autoveicolo
JP5627556B2 (ja) * 2011-10-31 2014-11-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荷重検出装置
US9551609B2 (en) 2013-07-30 2017-01-24 The Boeing Company Modal acoustic aircraft weight system
DE102014214926A1 (de) 2014-07-30 2016-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Zuladung und Verfahren zum Überprüfen der Zuladu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344A (en) * 1998-01-09 2000-03-21 Trw Inc. Vehicle occupant weight sens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7562D1 (de) 2005-02-24
EP1189787B1 (en) 2005-01-19
CN1362922A (zh) 2002-08-07
BR0011921A (pt) 2002-03-19
WO2001000454A1 (en) 2001-01-04
EP1189787A1 (en) 2002-03-27
DE60017562T2 (de) 2005-06-09
JP2003503700A (ja) 200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825B2 (en) Sensor assembly for measuring weight applied to a vehicle seat
US6129168A (en) Weight sensor for vehicular safety restraint systems
EP1020320B1 (en) Sitting passenger detecting apparatus and sitting passenger detecting method
US75846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eat occupant weight
US6494482B2 (en) Weight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seat occupant weight
KR20010031876A (ko) 차량 좌석 착석 승객의 중량과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시스템
US6293585B1 (en) Torsional sensing load cell
US65574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eat occupant weight
EP1189788B1 (en) Seat belt force sensor system
EP1189787B1 (en) Weight sensor assembly for determining seat occupant weight
US6689960B2 (en) Seat weight measuring apparatus which determines the weight value based on a value other than the adder output when sensor output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EP1156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eat occupant weight
US6670560B2 (en) Sensor integrated bracket for weight classification
US7261179B2 (en) Detection apparatus for occupant of a seat
US20020105178A1 (en) Combination sensor systems for occupant sensing
KR20130131132A (ko) 차량좌석용 중량센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