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512A -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512A
KR20020018512A KR1020000051870A KR20000051870A KR20020018512A KR 20020018512 A KR20020018512 A KR 20020018512A KR 1020000051870 A KR1020000051870 A KR 1020000051870A KR 20000051870 A KR20000051870 A KR 20000051870A KR 20020018512 A KR20020018512 A KR 2002001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ice
received
c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헌
Original Assignee
김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헌 filed Critical 김성헌
Priority to KR102000005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8512A/ko
Publication of KR2002001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6Transmit/receive switching by voice-frequency signals; by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연결을 위한 기지국이나 중계국이 필요치 않는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상대방 무전기만을 호출할 수 있는 개별호출 기능과 통신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보안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코드식별 방식의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은 무전기 내부에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호출 코드를 등록시킨 후, 교신시 개별호출 코드를 통해 특정 상대방 무전기를 개별호출 한 후, 송신되는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녹음-압축-코딩한 무선신호로서 상대방 무전기로 송출함으로써 보안기능을 수행하고, 디지털 무선신호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다시 디코딩-D/A 변환-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동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DIGITAL WALKIE-TALKIE ADAPTED TO CODE IDENTIFICATION FORM AND THEREOF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상호연결을 위한 기지국이나 중계국이 필요치 않는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상대방 무전기만을 호출할 수 있는 개별호출 기능과 통신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보안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코드식별 방식의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무선통신기 중에서 상호 연결을 위한 기지국이나 중계국이 필요치 않는 무전기는 상호 교신 거리의 제한이 따르지만, 통화요금이 부과되지 않고 상호연결을 위한 기지국이나 중계국이 필요치 않다는 장점 때문에 비교적 단거리에 위치한 곳에서 상호 교신용으로 이용된다. 상호 연결을 위해 기지국이나 중계국이 필요치 않는 무전기는 통상적으로 PTT(Press-to-talk) 스위치라 불리는 호출 선택 스위치에 의해 교신을 할 때마다 송수신 절환을 하는 단방향(1-Way) 방식의 무전기로 인식되어 있으며, 이 밖에도 송수신 절환이 필요 없는 양방향(2-Way)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무전기 구성 및 동작을 도 1을 통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도 1은 종래 아날로그 방식 무전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안테나(ANT), 듀플렉서(11), 무선 수신부(13), 무선 송신부(15), 음성증폭부(17), 마이크(MIC), 스피커(SPK), 음성변조부(19), 중앙처리장치(20), 호출선택키(21) 및 채널선택키(23)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11)는 상기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13)로 출력하고, 상기 무선 송신부(15)로부터 공급된 송신 주파수 신호를 상기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13)는 상기 듀플렉서(11)를 통해 공급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다시 중간주파수로 만들고, 상기 중간주파수를 검파 및 복조하여 추출된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증폭부(17)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증폭부(17)는 상기 무선 수신부(13)를 통해 공급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변조부(19)는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의해 송신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송신부(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15)는 상기 음성변조부(19)에서 변조된 송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한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11) 및 안테나(ANT)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한다. 상기 호출 선택키(21)는 예를들어 PTT 스위치로 되어 있어 교신을 할 때마다 키를 온 또는 오프 하여 송수신 절환을 수행하며, 상기 채널 선택키(23)는 다양한 무선 채널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무전기의 단점은 교신할 채널을 일단 선택하면 채널이 일치되는 모든 무전기와 교신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개인의 의사와는 상관없는 통화내용을 청취한다던가, 교신을 원하지 않은 상대방에게도 통화내용이 노출된다는 보안상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무전기에서는 이러한 보안상의 문제와 사용의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어져 왔다. 더욱이 건설현장이나 회사 업무 또는 군사 작전에서 주로 사용되는 무전기는 경우에 따라서 특정 무전기 사용자만을 개별 호출하는 개별호출 기능과, 통신내용을 개별 통신하는 당사자 이외에는 청취할 수 없도록 하는 보안기능이 요구되는데, 현재까지는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키는 무전기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전기에서 특정 무전기 사용자만을 개별 호출하는 개별호출 기능과, 교신내용을 개별 통신하는 당사자 이외에는 청취할 수 없도록 하는 음성을 암호화 및 코딩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는 보안기능이 제공되는 코드식별 방식의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는: 안테나; 송신 또는 수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 메모리에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호출 코드와 호출측이 등록된 개별호출 테이블과 수신되는 코드및 코드의 내용이 등록된 수신코드 테이블을 저장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듀플렉서; 데이터 수신시 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로 출력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해 개별호출에 따른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시키며, 개별호출에 따른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합성부; 음성송신 모드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디코딩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하며, 마이크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녹음한 후, 압축 및 코딩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 코드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입력부; 및 교신을 할 때마다 키를 온 또는 오프 하여 송수신 절환을 수행하는 피티티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성처리부는: 상기 피티티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부,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피티티 스위치가 오프 될 때까지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레코딩부, 상기 녹음된 음성신호를 압축 및 코딩하는 압축/코딩부로 구성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디코딩 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가청음 대역으로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로 구성되는 수신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제어방법은: 특정 코드 키를 눌러 눌러진 코드 키에 대응하는 싱글 채널로 호출하는 개별호출 단계; 피티티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계; 상기 피티티 스위치가 원상태로 돌아가 오프 될 때까지를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는 녹음단계; 녹음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단계;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코딩단계; 상기 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개별 호출된 채널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수신되는 무선신호 중에서 음성의 무선신호를 디코딩 하는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단계; 상기 아날로그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청음 대역으로 증폭하는 단계; 및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아날로그 방식 무전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식 무전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송신시의 동작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수신시의 동작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성처리부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송신시의 동작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수신시의 동작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듀플렉서 113: 무선 수신부
114: 주파수 합성부 115: 무선 송신부
121: PTT 스위치 122: 키 입력부
123: 표시부 124: 링거부
125: 스위치부 120: 중앙처리장치
130: 음성처리부 131: 오디오부
132: 오디오 증폭부 133: A/D 변환부
134: D/A 변환부 135: 녹음부
136: 디코딩부 137: 압축/코딩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처리흐름과 같은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식 무전기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방식 무전기의 블록구성도로서,
중앙처리장치(120)는 무전기의 송신 또는 수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 메모리에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호출 코드와 호출측이 등록된 개별호출 테이블과 수신되는 코드 및 코드의 내용이 등록된 수신코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개별호출 테이블 및 수신코드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상기 개별 호출 테이블과 수신코드 테이블은 일 예로 하기의 표 1 및 표 2와 같다.
코 드 값 구 분
1 A 직원 호출
2 B 직원 호출
3 C 직원 호출
4 A 그룹 호출
5 B 그룹 호출
6 비상 호출
7 전체 호출
‥‥ ‥‥
수신 코드 값 구 분
1 자기 개별호출 수신 코드
2 그룹 호출 수신 코드
3 전체 호출 코드
4 비상 호출 코드
‥‥ ‥‥
듀플렉서(111)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수신부(113)로 출력하며, 무선 송신부(115)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113)는 데이터 수신시 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로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30)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11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해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시키며,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115)는 음성송신 모드시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처리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114)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112)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30)는 상기 무선 수신부(113)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복조하여 스위치부(125)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하며, 마이크(MIC)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스위치부(117)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레코딩(Recording)한 후, 압축 및 암호화의 코드화 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115)로 출력한다. 링거부(12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에 의해 호출이 있는 경우 링거음을 출력한다. 키입력부(122)는 개별호출을 위한 다수의 키들과 각종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로 출력한다. 표시부(123)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전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한다. PTT 스위치(121)는 교신을 할 때마다 키를 온 또는 오프 하여 송수신 절환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송신시의 동작구성과 수신시의 동작구성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PTT 스위치(121)가 온 되어 마이크(MIC)를 통해 음성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면 상기 음성처리부(130)에 구비되는 오디오부(Audio부)(131)를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가 되어 A/D변환부(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33)로 입력된다. 상기 A/D변환부(133)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데, 이 신호를 레코딩부(Recording부)(135)에서 상기 PTT 스위치(121)가 오프될 때까지를 녹음하여 이를 압축/코딩부(137)에서 다시 압축 및 코딩한다. 이렇게 상기 음성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압축/코딩된 음성 신호는 상기 무선 송신부(115)에서 상기 주파수 합성부(114)에서의 캐리어 신호에 더하여 듀플렉서(111)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된다.
이때, 상기 송신측 무전기는 사용자가 특정 개별호출 코드를 압압하여 상대방을 호출하는 싱글 채널을 사용한다. 그러면, 수신측 무전기에서는 상기 듀플렉서(111)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113)에 보내고, 상기 무선 수신부(113)는 이 중 무선 음성신호를 상기 음성처리부(130)에 구비되는 디코딩부(136)로 보내어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음성 신호는 D/A변환부(134)를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오디오 증폭부(132)를 통해 가청음 대역으로 증폭한 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음성처리부(130)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오디오부(131), 오디오증폭부(132), A/D변환부(133), D/A변환부(134), 레코딩부(135), 압축/코딩부(137), 디코딩부(136)로 구성되며, 각 구성부의 상세동작은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다.
상술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송신시의 동작흐름을 도 6의 흐름도를 통해 설명하고, 수신시의 동작흐름을 도 7의 흐름도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송신시의 동작흐름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특정 상대방 무전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상기 키입력부(122)를 통해 특정 코드 키 값을 누른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상기 키입력부(122)에서 발생된 신호에 해당하는 코드 값을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호출 테이블에서 독출하여 싱글 채널 호출을 통해 상대방 무전기를 호출한다.
이후의 음성 송신시의 동작은 도 6에 도시된 흐름에 따라 201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PTT 스위치(121)가 눌러진 상태에서 203단계에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입력한다. 이렇게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오디오부(131)를 통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로 된다. 다음 205단계에서 상기 A/D변환부(133)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데, 207단계에서 이 신호를 레코딩부(135)에서 상기 PTT 스위치(121)가 원상태로돌아가 사용자에 의해 오프 될 때까지를 녹음한 후, 209단계에서 압축한 데이터를 압축시킨다. 이후 211단계에서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다시 코딩부(137)를 거쳐 암호화를 포함하는 코딩된다. 이렇게 음성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213 및 215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해 개인코드가 부여된 채널로 되어 무선 전송한다.
이렇게 송신측 무전기에서 송신한 무선신호는 수신측 무전기로 수신되는데, 이때의 동작을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301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20)는 듀플렉서(111) 및 무선 수신부(113)를 통해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 중 음성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113)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처리부(130)에 구비되는 디코딩부(136)로 보내어 303단계에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음성 신호는 305단계에서 상기 D/A변환부(134)를 통해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307단계에서 오디오 증폭부(132)는 상기 D/A 변환부(134)를 통해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청음 대역으로 증폭한 후, 스위치부(125) 및 스피커를 통해 309단계에서 외부로 출력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는 무전기 내부에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호출 코드를 등록시킨 후, 교신시 개별호출 코드를 통해 특정 상대방 무전기를 개별호출 한 후, 송신되는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녹음-압축-코딩한 무선신호로서 상대방 무전기로 송출함으로써 보안기능을 수행하고, 디지털 무선신호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다시 디코딩-D/A 변환-증폭하여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전기에서 특정 무전기 사용자만을 개별 호출하는 개별호출 기능과, 교신내용을 개별 통신하는 당사자 이외에는 청취할 수 없도록 하는 음성을 암호화하는 보안기능이 부가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교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안테나;
    송신 또는 수신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 메모리에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호출 코드와 호출측이 등록된 개별호출 테이블과 수신되는 코드 및 코드의 내용이 등록된 수신코드 테이블을 저장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입력되는 송신 신호를 상기 안테나를 통해 출력하는 듀플렉서;
    데이터 수신시 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출력하고, 수신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로 출력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해 개별호출에 따른 수신 채널에 대응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발생시키며, 개별호출에 따른 송신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합성부;
    음성송신 모드시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을 디코딩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고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하며, 마이크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녹음한 후, 압축 및 코딩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 코드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는 키입력부; 및
    교신을 할 때마다 키를 온 또는 오프 하여 송수신 절환을 수행하는 피티티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는:
    상기 피티티 스위치가 온 되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면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부,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상기 피티티 스위치가 오프 될 때까지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레코딩부,
    상기 녹음된 음성신호를 압축 및 코딩하는 압축/코딩부로 구성되는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가청음 대역으로 증폭하는 오디오 증폭부로 구성되는 수신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호출 테이블 및 수신코드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는 개별호출에 따른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해 링거음을 출력하는 링거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하에 상기 무전기의 상태 및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6.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특정 코드 키를 눌러 눌러진 코드 키에 대응하는 싱글 채널로 호출하는 개별호출 단계;
    피티티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단계;
    상기 피티티 스위치가 원상태로 돌아가 오프 될 때까지를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는 녹음단계;
    녹음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단계;
    상기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코딩단계;
    상기 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개별 호출된 채널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수신되는 무선신호 중에서 음성의 무선신호를 디코딩 하는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단계;
    상기 아날로그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가청음 대역으로 증폭하는 단계; 및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에는 개별호출을 위한 개별호출 코드와 호출측이 등록된 개별호출 테이블과 수신되는 코드 및 코드의 내용이 등록된 수신코드 테이블이 미리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호출 테이블 및 수신코드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호출이 수신된 경우 링거음을 발생하여 호출을 알리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의 제어방법.
KR1020000051870A 2000-09-02 2000-09-02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1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870A KR20020018512A (ko) 2000-09-02 2000-09-02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870A KR20020018512A (ko) 2000-09-02 2000-09-02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512A true KR20020018512A (ko) 2002-03-08

Family

ID=1968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870A KR20020018512A (ko) 2000-09-02 2000-09-02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51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981A (ko) * 2002-10-25 2004-05-04 주식회사 세유기술 다자간 양방향 통신과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무선 송수신기
WO2006039834A1 (fr) * 2004-10-12 2006-04-20 Hui Lin Certification d'un appareil de transmission sans fil de fichier image audio compresse
KR100870640B1 (ko) * 2008-05-14 2008-11-26 주식회사 브이아이지에스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9157B1 (ko) * 2009-07-01 2010-03-25 주식회사 네오정보통신 디지털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0494701Y1 (ko) 2020-06-17 2021-12-03 대구도시철도공사 3d 프린터를 이용한 휴대용무전기의 ptt버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981A (ko) * 2002-10-25 2004-05-04 주식회사 세유기술 다자간 양방향 통신과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한 디지털무선 송수신기
WO2006039834A1 (fr) * 2004-10-12 2006-04-20 Hui Lin Certification d'un appareil de transmission sans fil de fichier image audio compresse
KR100870640B1 (ko) * 2008-05-14 2008-11-26 주식회사 브이아이지에스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9157B1 (ko) * 2009-07-01 2010-03-25 주식회사 네오정보통신 디지털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200494701Y1 (ko) 2020-06-17 2021-12-03 대구도시철도공사 3d 프린터를 이용한 휴대용무전기의 ptt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158B1 (en) Dual mode mobile phone operating as a two-way radio
KR100672394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정보 송수신 방법
US6216017B1 (en) Separable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20018512A (ko) 코드식별 방식을 적용한 디지털 무전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JPS6136420B2 (ko)
KR1006952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을 이용하여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방법
JPH11196468A (ja) 携帯通信端末の着信形態設定方法
JPH11187084A (ja) 呼出音登録方法、受信装置、及び呼出音登録装置
US7295858B2 (en) Mobile station capable of outputting ring tones coming from a base station without storing them locally on the mobile station
KR200256982Y1 (ko) 무선전화기의 생활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100606127B1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0121964B1 (ko)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감청하는 방법
KR200190082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조회장치
KR100308476B1 (ko) 휴대폰의자동응답방법
KR20010056430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JP3981995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3115920A (ja) 通信端末
JPH08335978A (ja) 無線通信装置
KR20050001560A (ko) 착신 휴대폰으로 벨소리를 전송하는 시스템
KR200168443Y1 (ko) 적외선을 이용한 혼합 통신방식의 전화기
JP20003242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1044946A (ja) 通信端末装置
KR20000020442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디티엠에프 신호 수신방법
JPH09149099A (ja) 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