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510A -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510A
KR20020018510A KR1020000051868A KR20000051868A KR20020018510A KR 20020018510 A KR20020018510 A KR 20020018510A KR 1020000051868 A KR1020000051868 A KR 1020000051868A KR 20000051868 A KR20000051868 A KR 20000051868A KR 20020018510 A KR20020018510 A KR 20020018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oil pressure
upper body
lower body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상
Original Assignee
박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상 filed Critical 박민상
Priority to KR102000005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8510A/ko
Publication of KR2002001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스로의 힘으로 자세 교체가 불가능한 마비환자들의 자세를 자동적으로 교체하여 주는 욕창 방지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체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는 상체 가동부와; 상기 상체 가동부와 인접하여 연결되며 일렬로 배치되는 중간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와 인접하여 연결되며 일렬로 배치되며 하체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연결된 두 개의 하체 가동부와; 상기 상체 가동부, 중간 연결부, 하체 가동부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인접하여 연결되며 측방향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는 두 개의 측면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Multi Positional Bed For The Prevention Of Bedsores}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스로의 힘으로 자세 교체가 불가능한 마비환자들의 자세를 자동적으로 교체하여 주는 욕창 방지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엉덩이, 장골, 배골부 등 뼈의 돌출부에 경계가 선명한 홍반이 생기고 압통이 심하게 되며, 심할 경우 파르스름해지고 괴사가 됨은 물론 궤양을 만들게 되는 욕창은 신체의 일부가 오랫동안 압박을 받게 되거나 혈액의 변화, 야윔 등 생활력 감퇴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욕창은 병상에 장기간 정지된 자세로 누워 있어야 하는 사지 마비환자 또는 일부 신체 마비 환자에게 발생하기 쉽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는 상기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사람이 일일이 환자의 몸을 주기적으로 마사지하거나 누운 자세를 바꿔주지 않으면 환자에게 욕창이 생기기 쉽게 된다. 실제로 간호사나 가족 등 두 명의 사람이 매2시간 정도마다 환자의 자세를 교체하는 주는데, 간호사, 가족, 환자 모두가 무척 힘들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환자용 침대를 이루는 각 부분이 유압기의 기계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승강함으로써 환자의 자세를 변환, 교체하여 주는 욕창 방지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가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환자 자신이 직접 침대의 각 부분을 승강시킴으로써 자세 교환을 본인 스스로 할 수 있는 욕창 방지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분리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돌출봉과 수납원통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침대 모서리 부분과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상세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측방향으로 승강시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a는 도 4b와 유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측방향으로 승강시의 동작 기능도이다.
도 5b는 도 5a를 하방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지지 방식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상체 가동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하체 가동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하체 가동 유압기와 상체 가동 유압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용 침대는, 상체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는 상체 가동부와; 상기 상체 가동부와 인접하여 연결되며 일렬로 배치되는 중간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와 인접하여 연결되며 일렬로 배치되며 하체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연결된 두 개의 하체 가동부와; 상기 상체 가동부, 중간 연결부, 하체 가동부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인접하여 연결되며 측방향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는 두 개의 측면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는 상하로 승강함으로써 환자의 상체를 올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체 가동부(10)와, 상하로 승강함으로써 환자의 하체 위치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체 가동부(50, 60)와, 환자의 몸통을 지지하여 주고 상기 상체 가동부(10)와 하체 가동부(50, 60)와 일렬로 배치되어 이를 연결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간 연결부(40)와, 상기 상체 가동부(10), 하체 가동부(50, 60), 중간 연결부(40)의 좌우 양 측면에 배치되어 상하로의 승강 작용에 의해 환자의 자세를 좌우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대(20, 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각 구성요소 간의 연결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A는 상기한 각 구성요소(10, 20, 30, 40, 50, 60) 사이의 연결부분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B는 침대 모서리에서의 연결부분을 나타내고, 참조 부호 C는 침대의 가운데에 위치한 구성요소들(10, 40, 50, 60)을 지지부분 및 환자의 자세를 좌우로 변화시키기 위한 작동부분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참조 부호 A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부분을 확대한 분리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부분인 A 부분은 돌출봉(31)과 수납원통(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봉(31)이 수납원통(32) 내부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각 구성요소가서로 연결된다.
도 3b는 도 3a의 돌출봉(31)과 수납원통(32)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에, 참조 부호 B 부분 및 C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침대 모서리 부분과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측면지지대(20, 30)는 각각 돌출봉(41, 41')을 구비하여 이 돌출봉(41, 41')이 침대 모서리의 지지대(44)에 의해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측면 지지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체 가동부(10)는 지지원통(42) 및 관통봉(43)을 구비하여 지지원통(42) 및 그 속에 삽입된 관통봉이 상체 가동부(10)를 지지하고 그 지지력이 관통봉(43)과 연결된 지지봉(45)으로 전달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 4a에서는 예시적으로 상체 가동부(10)만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원통(42) 및 관통봉(43)은 중간 연결부(40)와 하체 가동부(50, 60) 모두를 지지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양호하다.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측방향으로 승강시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방 측면 지지대(20)가 하강하면서 돌출봉(41)은 지지대(44) 상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상체 가동부(10), 중간 연결부(40), 하체 가동부(60)는 지지원통(42) 및 관통봉(43)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며, 타방 측면 지지대(30)는 상승하게 된다.
도 5a는 도 4b와 유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측방향으로 승강시의 동작 기능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간 연결부(40)의 하부에 고정된 한 쌍의 가동 유압기(51, 51')가 연결와이어(52, 52')에 의해 중간 연결부와 연결된다. 이 중 일방 유압기(51)가 수축하여 연결와이어(52)를 당김에 따라 이와 연결된 타방 유압기가 이완하며 결과적으로 중간 연결부가 지지원통(42) 및 관통봉(43)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중간 연결부(40)와 연결된 일방 측면 지지대(20)가 아래쪽으로 하강하며, 타방 측면 지지대(30)는 위쪽으로 상승한다. 양 끝단의 돌출봉(41, 41')은 지지대(20, 30)의 상승 및 하강 정도에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봉 중 일방만 슬라이딩하고 타방은 고정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동 유압기(51, 51')는, 도 5a의 부분 확대도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연결부(4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관(55)의 내부에서 연결와이어(52')가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일방 가동 유압기가 수축하면 타방 가동 유압기가 이완하는 상호작용을 하여 중간 연결부(41)의 회전 및 양 측면 지지대(20, 30)의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진다.
도 5c는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지지 방식을 나타내는 상세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연결부(40)의 하단에 지지원통(42)이 부착되어 있고 그 내부를 관통봉(43)이 통과하며 지지봉(45)과 연결되어 있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다음에 상체 가동부(10)와 하체 가동부(50, 60)의 동작에 대해 상술하기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상체 가동부의 동작 상태도로서, 상체 가동부(10)의 하단에 상체 가동 유압기(61)가 부착되어, 이 상체 가동 유압기(61)가 이완함에 따라 상체 가동부(10)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체 가동부(10)는 중간 연결부(40)와 상기한 돌출봉(31)이 수납원통(32) 내부로 끼워 맞춰지는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체 가동 유압기(61)의 이완에 의해 들어올려져 환자의 상체를 일으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하체 가동부의 동작 상태도로서, 하체 가동부(50, 60)의 하단에 하체 가동 유압기(71)가 부착되어, 이 하체 가동 유압기(71)가 이완함에 따라 하체 가동부(50, 60)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하체 가동 유압기(71)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하체 가동부(50, 60) 중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구성되어도 양호하다. 하체 가동 또한 상기한 상체 가동과 유사한 방식으로서, 유압기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상체 가동과는 달리 하체 가동부(50, 60)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고 그 사이는 상기한 돌출봉(31)이 수납원통(32) 내부로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체 가동부(50, 60) 중 유압기(71)와 연결된 어느 일방이 상승함에 따라 연결된 타방도 상승하며 전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하체 가동부(50, 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다리의 무릎관절에 맞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체 가동부 중 말단부에 위치한 하체 가동부(60)는 유압기(71)의 수축시에 도면에 도시된 지지봉(72)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될수 있다. 물론 상기한 관통봉(43)이 하체 가동부(60)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관통봉(43)에 의해 지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의 하체 가동 유압기와 상체 가동 유압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양 유압기의 작동은 유사하므로 도면에서는 하체 가동 유압기(71)만을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하체 가동부(50)에 연결되어 있는 하체 가동 유압기(71)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하체 가동부(50)와 하체 가동 유압기(71)의 접촉 부분(81)이 연직선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α)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체 가동 유압기(71)의 기저부(82)가 상기 각도(α)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는 상기에서 설명한 측방향 가동 유압기(51, 51'), 상체 가동 유압기(61), 하체 가동 유압기(71)에 이들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격 제어 장치의 부착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환자 자신이 직접 침대의 각 부분을 승강시킴으로써 자세 교환을 본인 스스로 할 수 있으며, 보호자들도 보다 용이하게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에 의하면, 환자용 침대를 이루는 각 부분이 유압기의 기계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승강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환자의 자세를 인력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변환, 교체하여 주어 간호사, 기타 보호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환자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용 침대에 의하면, 침대의 가동 요소들 즉, 측방향 가동 유압기, 상체 가동 유압기, 하체 가동 유압기에 이들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를 부착하여 구성함으로써, 환자 자신이 직접 침대의 각 부분을 승강시킴으로써 자세 교환을 본인 스스로 할 수 있는 욕창 방지용 침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0)

  1. 상체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는 상체 가동부와;
    상기 상체 가동부와 인접하여 연결되며 일렬로 배치되는 중간 연결부와;
    상기 중간 연결부와 인접하여 연결되며 일렬로 배치되며 하체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며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연결된 두 개의 하체 가동부와;
    상기 상체 가동부, 중간 연결부, 하체 가동부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인접하여 연결되며 측방향 가동 유압기에 의해 승강하는 두 개의 측면 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가동 유압기, 하체 가동 유압기, 측방향 가동 유압기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원격 제어 장치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가동부와 중간 연결부와 하체 가동부와 측면 지지대 사이의 연결은 상호 연결되는 상기 구성요소 중 일방에 형성된 돌출봉이 타방에 형성된 수납원통 내부로 끼워 맞춰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지지대는 침대 모서리에 구비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봉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돌출봉은 측면 지지대가 승강함에 따라 지지대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가동부, 중간 연결부, 하체 가동부의 하단은 지지원통과 관통봉을 구비하며, 지지원통 속에 삽입된 관통봉과 연결되는 지지봉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가동 유압기와 하체 가동 유압기는 상체 가동부 및 하체 가동부의 상승에 따른 접촉 부분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가동 유압기는 연결 와이어를 구비하며, 일방 유압기가 수축하여 연결와이어를 당김에 따라 타방 유압기가 이완하며 중간 연결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시에 일방 측면 지지대는 하강하며 타방 측면 지지대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가동 유압기는 상체 가동부의 하단에 연결 와이어로 연결·배치되며, 상체 가동 유압기가 이완함에 따라 상체 가동부가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가동 유압기는 하체 가동부의 하단에 연결 와이어로 연결·배치되며, 하체 가동 유압기가 이완함에 따라 하체 가동부가 환자 다리의 무릎관절에 맞게 구부러지는 형상을 취하며 상승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 가동부 중 말단부에 위치한 하체 가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침대.
KR1020000051868A 2000-09-02 2000-09-02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KR20020018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868A KR20020018510A (ko) 2000-09-02 2000-09-02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868A KR20020018510A (ko) 2000-09-02 2000-09-02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510A true KR20020018510A (ko) 2002-03-08

Family

ID=1968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868A KR20020018510A (ko) 2000-09-02 2000-09-02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5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67B1 (ko) * 2010-11-05 2013-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8A (ja) * 1981-06-27 1983-01-06 井浦 忠 ベツド
JPH05317366A (ja) * 1992-05-26 1993-12-03 Daiyamondo Bed Kk 寝返り機能付ベッド
JPH07163623A (ja) * 1993-12-10 1995-06-27 Yoshiro Nakamatsu 床ずれ防止及び/又は内臓器官活性化ベッド
JPH10113365A (ja) * 1996-10-11 1998-05-06 Daiki:Kk 介護用ベ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48A (ja) * 1981-06-27 1983-01-06 井浦 忠 ベツド
JPH05317366A (ja) * 1992-05-26 1993-12-03 Daiyamondo Bed Kk 寝返り機能付ベッド
JPH07163623A (ja) * 1993-12-10 1995-06-27 Yoshiro Nakamatsu 床ずれ防止及び/又は内臓器官活性化ベッド
JPH10113365A (ja) * 1996-10-11 1998-05-06 Daiki:Kk 介護用ベ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67B1 (ko) * 2010-11-05 2013-0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0386B1 (en) Sickbed
US7464422B2 (en) Inflatable device for turning people on their side and back again
US8640285B2 (en) Hospital bed seat section articulation for chair egress
KR101630381B1 (ko) 리프트를 구비한 욕창방지용 침대
US20060168728A1 (en) Bariatric patient management system
ATE345760T1 (de) Krankenbett
KR101227967B1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KR101493467B1 (ko) 의료용 침대
KR101318724B1 (ko)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US7451505B2 (en) Bed tilting apparatus
KR200214428Y1 (ko) 병상
KR20200105987A (ko) 신체 위치 변환형 욕창 방지용 침대
CN108852690A (zh) 一种多功能康复护理床
KR101364405B1 (ko) 다기능의 의료용 침대
KR20020018510A (ko) 욕창 방지용 다목적 자동침대
KR101223769B1 (ko)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JPH03212211A (ja) 椅子状態変換機構を備えたベッド
US9572736B2 (en) Adjustable bed with improved shear reducing mechanism
KR20180083109A (ko)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KR100671285B1 (ko) 욕창방지 침대용 무전단 등받이 기구
US20200230000A1 (en) Bed Support
US20080168604A1 (en) Supporting device for bed
KR102437399B1 (ko) 욕창 방지용 베드
CN114795725B (zh) 一种护理床翻身机构及电动翻身护理床
CN220860256U (zh) 护理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