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640A -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640A
KR20020017640A KR1020000051120A KR20000051120A KR20020017640A KR 20020017640 A KR20020017640 A KR 20020017640A KR 1020000051120 A KR1020000051120 A KR 1020000051120A KR 20000051120 A KR20000051120 A KR 20000051120A KR 20020017640 A KR20020017640 A KR 2002001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erce
insurance
information
client
prem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권
Original Assignee
전영권
(주)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권, (주)신종 filed Critical 전영권
Priority to KR102000005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7640A/ko
Publication of KR2002001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64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판매로 인한 상품의 변질 또는 허위광고나 사기행위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신력있는 금융기관에 상품보험을 가입시키고 거래가 이루어진 뒤 발생하는 상품파손 및 변질, 허위광고나 사기 또는 사기행위로 인한 피해를 보상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Damage protection and Compensation system in an Electronic commerce}
본 발명은 전자 상거래 피해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상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운영자 또는 구매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보상/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통신판매나 홈쇼핑 또는 인터넷쇼핑몰과 같은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와 전자상거래 운영자가 일대일로 거래하고 있는 형태이고, 소비자가 직접 물건을 보고 구매하지 않고 TV나 인터넷 또는 팜플렛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품을 보고 구매신청을 한 뒤 이를 구입하게 된다. 구매된 물품은 물품비가 입금된 후에 배송되므로, 물품이 소비자에게 도착했을 경우, 물품내용이 구매 신청한 물품내용과 동일할 수도 있지만, 소비자가 원하던 물품이 아닌 경우도 있다.
또한, 허위광고를 통하여 실제 품목과 상이한 경우도 발생하게 되며, 물품이 변질되거나 파괴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홈쇼핑이나 인터넷쇼핑몰을 비롯한 통신판매에서 물품이 변질된 경우, 또는 파괴된 경우에 물품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주는 경우는 있지만, 허위광고를 통한 물품구매일 경우 보상받기가 아주 어렵고, 통신판매에 의한 사기일 경우 보상을 받지 못한다. 인터넷 경매의 경우 가상공간에서의 경매이므로 경매품목의 품질에 이상이 있을 수 있고, 경매품목과 실제품목이 다를 경우도 있다. 인터넷경매에서 사기행위를 벌일 경우, 그 범인을 잡기란 힘들고, 이에 피해를 입을 경우 피해보상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10-2000-207 호(2000. 1. 4.)의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 상거래용 보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상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매용 컴퓨터와, 적어도 하나의 판매용 컴퓨터와, 보험용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용 컴퓨터, 상기 판매용 컴퓨터 및 상기 보험용 컴퓨터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되며; 상기 구매용 컴퓨터는 판매용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상품들 중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주문서를 전송한 후, 상기 보험용 컴퓨터로부터 보험 인증 메시지를 전송 받고, 상품 대금을 지불한 상태에서 해당 상품의 수령여부와 수령한 상품의 하자여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판매용 컴퓨터는 상기 보험용 컴퓨터에 보험 가입을 하고, 상기 구매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상품주문서와 상기 보험용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보험인증 메시지를 전송 받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험용 컴퓨터는 판매용 컴퓨터의 보험 가입을 인가하고, 구매용 컴퓨터로부터의 상품주문서를 수신하며, 구매 요구된 상품의 전자상거래 운영자가 보험 가입된 판매용 컴퓨터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해당 구매용 컴퓨터와 판매용 컴퓨터에 보험 인증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용 컴퓨터로부터의 상품 수령여부 및 수령된 상품의 하자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서는 단지 구매자가 물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보험 가입을 유도하고 있어, 구매자가 도난 신용카드로 상품대금을 결재하거나 부정한 수법으로 상품대금을 결재한 경우, 전자상거래 운영자가 피해를 입는 경우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보험 가입에 따른 비용 지불의 방법이 온라인 상태에서 무료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통신판매나 전자상거래가 발달한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통신판매사기나 허위광고 등으로 소비자가 피해를 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향후 전자상거래를 통한 거래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의 경우도 통신판매사기나 허위광고 등으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뿐만 아니라, 훔친 신용카드를 이용한 물품구매나 비슷한 범죄행위로 인한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피해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로부터 구매자를 보호할수 있는 피해 예방 및 보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상거래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로부터 전자상거래 운영자를 보호할 수 있는 피해 예방 및 보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상거래의 피해를 보상할 수 있는 보험에 무료로 가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상거래 정보 및 보험인증 요구정보를 보험회사에 전송하는 과정과, 보험회사에서 해당 보험 인증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해당 물품의 판매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하자 내역과 보험금 청구 메시지를 보험회사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자상거래 피해로부터 전자상거래 운영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은 다른 특징은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자쇼핑몰을 운용하는 웹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판매물품의 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화상표시장치를 통해 나타내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물품 구매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 받는 과정과, 전자상거래의 피해 방지를 위한 보험에 가입할 의사를 묻는 화상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화상표시장치를 통해 나타내는 과정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된 선택신호를 분석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가 보험가입을 희망하는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를보낸 경우, 해당 보험료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방법의 세부적 특징은 상기 보험료 지불과정이 클라이언트의 광고청취/시청, 설문지 응답 또는 인터넷 마일리지 사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방법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보험회사의 광고 정보를 전자상거래의 운용 사이트에 게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거래 물품의 가격에 따라 보험회사에서 전자상거래 운영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기준 비율이 차등화 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방법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거래 기간의 경과에 따라 보험회사에서 전자상거래 운영자 또는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기준 비율이 차등화 되는 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 예방 및 보상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 예방 및 보상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 예방 시스템의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자상거래의 피해로부터 전자상거래 운영자를 보호하기 위한 피해예방 및 보상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상거래를 운용하는 웹 사이트에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전자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품의 종류, 가격 등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에 해당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경우에 따라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해당 상품의 광고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S11 과정)
제공된 상품정보들을 살펴본 클라이언트가 물품의 구매의사를 나타내는 동작 즉,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하면 이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물품구매 정보 및 결제 방법을 제공한다. 결제 방법은 온라인 입금 또는 신용카드 결제가 있을 수 있다.(S12 과정)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거래가 성사된 경우, 해당 거래정보를 보험회사 또는 금융업체로 전송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보험회사로 통칭한다.(S13 과정)
보험회사로부터 보험 인증서를 수신한다.(S14 과정)
만일, 판매 물품의 운송 과정이나, 구매자의 결제 카드가 도난 또는 분실카드인 경우 등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수익에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S15 과정) 해당 거래의 보험 인증서 및 보상청구서 정보를 보험회사로 송부하여 피해를 보상받게 된다.(S16 과정)
보험회사의 보험 가입 인증은 전자상거래 운영자가 거래금액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지급하는 경우 또는 보험회사의 광고정보를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전자쇼핑몰의 게시하는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상품보험에 가입하는 다른 방법으로 쇼핑몰사이트에 금융기관의 배너(banner)광고 또는 금융기관의 홈페이지에 연계(link)가 가능하게 하는 클릭버튼을 개설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금융기관에 거래내역을 통보해주고 금융기관은 상품보험료를 부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금융기관은 자신의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고, 상품대금을 자신의 금융기관에 예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며, 소비자의 경우, 상품보험에 가입되어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손해를 보상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쇼핑몰 운영자의 경우, 금융기관의 배너나 클릭버튼을 자사의 홈페이지에 개설함으로써 공신력을 갖출 뿐만 아니라,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신용카드를 비롯한 사기행위로 입을 수 있는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게 된다. 금융기관이 가입하는 상품보험은 거래가 이루어진 상품의 가격에 의해 보상금이 다르게 배정될 수 있고, 거래성립 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서 다르게 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의 금액이 100만원 이상일 경우 보상비율은 90%, 1,000만원 이상일 경우 95%가 될 수 있고, 100만원 미만 10만원 이상일 경우 85%, 10만원 미만일 경우 80%로 산정 할 수 있다. 또한, 거래성립 후 한 달 미만인 경우 상품보상비율에 100%을 곱하여주고, 한달 이상 두 달 미만인 경우 상품보상비율에 90%를 곱하여준다. 만약 1년 이상 경과될 때에는 상품보상비율에 10%를 곱하여주고, 2년경과시에는 1%를 곱하여주는 등, 거래성립 후 경과기간에 따라 다른 보상비율을 산정 할 수 있다.
한편 위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비자의 보험 가입도 가능한데, 그 진행과정은 도 2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전자상거래를 운용하는 웹 사이트에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전자쇼핑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품의 종류, 가격 등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에 해당 상품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경우에 따라 오디오 출력장치를 통해 해당 상품의 광고 정보가 출력될 수도 있다.(S21 과정)
제공된 상품정보들을 살펴본 클라이언트가 물품의 구매의사를 나타내는 동작 즉,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자의 정보를 입력하면 이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물품구매 정보 및 결제 방법을 제공한다. 결제 방법은 온라인(On-line) 입금 또는 신용카드 결제가 있을 수 있다.(S22 과정)
전자쇼핑몰 운영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보험 가입의사 여부를 묻는 질의사항을 전송한다.(S23 과정)
클라이언트로부터 보험가입 여부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한다.(S24 과정)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한 결과,(S25 과정) 클라이언트가 보험가입을 희망하는 경우 해당 거래 내역을 보험회사에 송부한다.(S26 과정)
보험회사로부터 거래 내역 정보를 근거로 산출된 보험료 정보를 수신한다.(S27 과정)
해당 보험료를 지불한다. 이때, 보험료의 지불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위에 예시되었던 바와 같이, (1)보험회사의 광고를 전자쇼핑몰에 게시하는 방법, (2)금융기관의 광고를 전자쇼핑몰에 게시하고, 금융기관에서 해당 보험료를 보험회사에 제공하는 방법, (3)클라이언트가 해당 보험료에 상응되는 인터넷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방법, (4)클라이언트가 전자쇼핑몰에 게시된 배너(banner)광고를 시청 또는 청취하여 발생되는 광고청취에 따른 수익으로 해당 보험료에 상응토록 하는 방법, (5)전자쇼핑몰로부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송되는 설문조사 정보에 응답하여 해당 보험료에 상응토록 하는 방법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보험료 또한 경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거래 물품의 가격에 따라 또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거래 성립 후 경과되는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S28 과정)
통신수단을 통해 보험 회사로부터 보험 인증서 정보를 수신 받아(S29 과정)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한다.(S30 과정)
이후, 물품 운송에 하자가 발생하거나, 전자쇼핑몰을 통해 구매한 제품의 파손 등 보험금 지급 사유가 발생하게 되면(S31 과정) 해당 거래의 보험 인증서 및 보험금 청구서를 보험회사로 전송함으로써 전자상거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비자의 피해를 보상하게 된다.(S32 과정)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상거래 피해 방지 방법 및 구제 방법은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전자상거래나 통신판매에서 소비자나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피해도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소비자와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피해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구매를 통한 상품 도착이후에 발생하는 피해를 예방하여 줌으로써 전자상거래나 통신판매에서의 피해를 줄여주고 전자상거래나 통신판매를 발전시키는 효과를 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전자상거래를 수행하는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상거래 정보 및 보험인증 요구정보를 보험회사에 전송하는 과정과,
    보험회사에서 해당 보험 인증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해당 물품의 판매에 하자가 발생할 경우, 전자상거래 서버에서 하자 내역과 보험금 청구 메시지를 보험회사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자상거래 피해로부터 전자상거래 운영자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 예방 및 보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 인증에 따른 보험료는,
    전자상거래의 운용 사이트에 보험 회사의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3.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자쇼핑몰을 운용하는 웹서버에 접속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판매물품의 정보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화상표시장치를 통해 나타내는 과정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물품 구매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 받는 과정과,
    전자상거래의 피해 방지를 위한 보험에 가입할 의사를 묻는 화상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화상표시장치를 통해 나타내는 과정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제공된 선택신호를 분석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가 보험가입을 희망하는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를 보낸 경우, 해당 보험료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 지불과정은,
    클라이언트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해당하는 보험료에 도달할 때까지 광고 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송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연결된 화상표시장치를 통해 나타냄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 지불과정은,
    클라이언트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해당하는 보험료에 도달할 때까지 설문지 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의 해당 설문 응답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 지불과정은,
    클라이언트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에 해당하는 보험료에 상응하는 인터넷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 지불과정은,
    전자상거래의 운용 사이트에 보험 회사의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는 거래 물품의 가격에 따라 보상 기준 비율이 차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료는 거래 경과 시간에 따라 보상 기준 비율이 차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 시스템.
KR1020000051120A 2000-08-31 2000-08-31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KR20020017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20A KR20020017640A (ko) 2000-08-31 2000-08-31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20A KR20020017640A (ko) 2000-08-31 2000-08-31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640A true KR20020017640A (ko) 2002-03-07

Family

ID=1968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20A KR20020017640A (ko) 2000-08-31 2000-08-31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7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3353B2 (en) Conducting commerce between individuals
US200200137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onymous shipping services
KR20080044123A (ko) 온라인 쿠폰유통방법
US20030130959A1 (en) Closed loop electronic factoring
JPH10261021A (ja) パーソナルレジサービス方式及び有料情報の閲覧方式
KR100923038B1 (ko) 선불형 전자화폐를 사용하는 전자결제시스템
KR100459498B1 (ko) 인터넷상에서의 보상결제 전자상거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O2020130970A1 (en) A system for suggesting insurance product
JP2002140590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KR100669540B1 (ko)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1033447A1 (en) Auction fee processing method using computer network system
KR102006960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JP5271633B2 (ja) 物流決済仲介システム、物流決済仲介方法、物流決済仲介プログラム、および前記物流決済仲介システムと共同する通信端末
US90761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sales by hosting site with RSS feeds controlled by user/buyer
KR20020017640A (ko) 전자상거래 피해예방 및 보상시스템
KR20050008144A (ko) 편의점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주문배달시스템 및 방법
KR20020014973A (ko) 중개 서버와 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한 전자 상거래 대금의직접 지불 방법 및 시스템
Soegoto et al. The Security of Transactions on E-Commerce as Media Business
KR20020071144A (ko) 지불유보 은행계좌를 이용한 대금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71931A (ko) 전자 상거래를 위한 상품 보증 시스템 및 방법
JP2002007715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Vishal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E-Commerce Customers and Businesses: In Indian Perspective
JP2002109232A (ja) 支払専用口座による安全な決済方法
KR20010088480A (ko)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실물 주식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37777A (ko) 이용자간 중고명품 거래 매칭과 검수가 가능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