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427A -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427A
KR20020017427A KR1020000050761A KR20000050761A KR20020017427A KR 20020017427 A KR20020017427 A KR 20020017427A KR 1020000050761 A KR1020000050761 A KR 1020000050761A KR 20000050761 A KR20000050761 A KR 20000050761A KR 20020017427 A KR20020017427 A KR 20020017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formation
broadcast
im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022B1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0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역 다중화하는 디먹스와,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와, 사용자의 주 시청 채널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구비한 티브이에서, 디먹스를 통해 역 다중화된 부가정보에서 추출된 방송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와, 방송안내 정보를 OSD 형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수에 따라 화면을 다중 할당하고, 디먹스에서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할당된 다중 화면상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다중영상 처리부와, 사용자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 선택에 따라 전원 온(on)시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각각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 및 다중영상 처리부를 통해 영상 처리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티브이 전원 온(on)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티브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broadcast of TV}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브이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국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채널 선택에 따른 방송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튜너(11)와, 상기 튜너(11)에서 선국된 방송신호 즉,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역 다중화하기 위한 디먹스(12)와, 상기 디먹스(12)에서 역 다중화된 소정의 영상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3)와, 상기 영상 처리부(13)에서 영상 처리된 신호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출력부(14)와, 상기 디먹스(12)에서 역 다중화된 소정의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16)와, 상기 음성 처리부(16)에서 처리된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7)와, 사용자가 티브이 전원 오프(off)시 최후에 시청한 채널 정보를 내부 메모리(15a)에 저장하고, 티브이 전원 온(on)시 해당 채널이 선국되도록 상기 튜너(11) 및 시스템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11)는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리모콘(18)을 통해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국한다.
이어서 디먹스(12)는 상기 튜너(11)에서 선국된 방송신호 즉,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입력받아 역 다중화한다.
여기서 상기 디먹스(12)에서 역 다중화되어 소정의 영상정보, 음성정보, 부가정보로 분리된 정보는 영상 처리부(13), 음성 처리부(13), 제어부(15)로 각각 인가된다.
이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13)는 상기 디먹스(12)에서 분리된 소정의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여 영상 출력부(14)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처리부(16)는 상기 디먹스(12)에서 분리된 소정의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음성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17)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디먹스(12)에서 분리된 소정의 부가정보를 입력받아 내부 메모리(15a)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티브이 전원을 오프(off)할 경우에 사용자가 최후 시청한 채널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내부 메모리(15a)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사용자가 티브이 전원 온(on)할 경우에 상기 내부 메모리(15a)에 저장된 최후 시청 채널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채널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튜너(11)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튜너(11)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는 영상 처리부(13)에 의해 영상 처리되어 상기 영상 출력부(14)를 통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결국, 사용자가 티브이 전원을 온(on)할 경우에 티브이의 화면에는 사용자가 최후에 시청한 채널의 방송이 항상 디스플레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티브이 전원을 온(on)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둘째, 티브이 전원을 온(on)할 때, 디스플레이 되는 채널 이외의 타 채널의 방송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는 리모콘을 통해 직접 채널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티브이의 전원 온(on)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채널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한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및 정보 표시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서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10 : 튜너
120 : 디먹스 130 : 다중영상 처리부
130a : 다중화면 할당부 130b : 영상크기 조절부
130c : 제 2 메모리 130d : 디스플레이 방향부
140 : 음성 처리부 150 : 음성 출력부
160 : 영상 처리부 170 : 제어부
170a : 내부 메모리 180 :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190 :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 200 : OSD 처리부
210 : 스위칭부 220 : 영상 출력부
230 : 제 1 메모리 240 : 리모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역 다중화하는 디먹스와,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와, 사용자의 주 시청 채널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구비한 티브이에서,디먹스를 통해 역 다중화된 부가정보에서 추출된 방송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와, 방송안내 정보를 OSD 형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수에 따라 화면을 다중 할당하고, 디먹스에서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할당된 다중 화면상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다중영상 처리부와, 사용자의 화면 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 선택에 따라 전원 온(on)시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각각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 및 다중영상 처리부를 통해 영상 처리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를 참조하여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를 리모콘을 통해 선택 가능한 티브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옵션키를 선택하는 단계와, 옵션키가 선택되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옵션키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화면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화면 종류 선택이 완료되면, 해당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옵션키 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은 소정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방송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및 내부 메모리를 구비한 티브이에 있어서, 티브이 전원 온(on)되면,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방송안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OSD 형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전원 오프(off)시 최후에 시청한 채널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어 있으면,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었으면, 제 1 메모리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영상 처리하고,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및 정보 표시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화면 및 정보 표시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에서 화면 및 정보 표시 종류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역 다중화하는 디먹스(120)와,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200)와, 사용자의 주 시청 채널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170a)를 구비한 티브이에서,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부가정보에서 추출된 방송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180)와, 상기 방송안내 정보를 OSD 형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와, 상기 내부 메모리(170a)에 저장된 채널 수에 따라 화면을 다중 할당하고, 상기 디먹스(120)에서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상기 할당된 다중 화면상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다중영상 처리부(130)와, 사용자의 화면 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 선택에 따라 전원 온(on)시 상기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180)및 내부 메모리(170a)에 저장된 정보가 각각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 및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130)를 통해 영상 처리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정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230)와,사용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를 통해 단일화면 및 소정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 및 상기 제 1 메모리(230)에 저장된 소정 정보표시 종류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60)와,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130) 또는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 또는 영상 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170a)에 저장된 채널 수에 해당되는 화면을 다중 할당하는 다중화면 할당부(130a)와, 상기 다중화면 할당부(130a)에서 할당된 화면수에 따라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해당 할당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해당 영상 크기를 조절하는 영상크기 조절부(130b)와,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130b)에서 조절된 소정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130c)와,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130c)를 통해 조절된 영상정보를 일정방향으로 소정 화면에 각각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향부(130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튜너(110)는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리모콘(240)을 통해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국한다.
이어서 상기 튜너(110)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는 디먹스(120)로 전송되고, 상기 디먹스(120)는 입력되는 방송신호 즉, 시간적으로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 다중화한다.
그리고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소정의 음성정보는 음성 처리부(140)로 전송되고, 상기 음성 처리부(140)는 상기 디먹스(12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15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음성 출력부(150)는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소정의 영상정보는 영상 처리부(160)와 다중영상 처리부(130)로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처리부(160)와 다중영상 처리부(130)로 인가된 영상정보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영상 처리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소정의 부가정보로부터 해당 시간/채널별 방송 프로그램 제목 등 방송안내 정보 화면을 구성하기위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리모콘(240)을 통해 사용자가 주 시청 채널로 선택한 소정의 채널 정보를 내부 메모리(170a)에 각각 저장한다.
그리고 제 1 메모리(230)에는 소정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를 저장되고, 또한,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소정의 부가정보로부터 추출한 각 채널의 정보를 저장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티브이 전원 온(on)시 화면상에 사용자가 최후 시청한 채널 방송 이외에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방송 및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채널 방송이 아닌 다중 채널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 가능하며, 채널 번호, 시각, 프로그램 명, 텍스트 채널 등과 같은 정보표시 종류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240)을 통해 옵션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메모리(230)에 저장된 옵션키 정보 즉, 소정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를 읽어들여 OSD 처리부(2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OSD 처리부(20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소정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가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해당 신호를 스위칭부(21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2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OSD 처리부(2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 출력부(220)로 전송하고, 상기영상 출력부(220)는 해당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한다.
결국, 사용자는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옵션키 정보 중 화면종류를 선택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종류에 관한 다중화면, 단일화면, 방송안내 정보화면 등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 화면종류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다중화면을 선택하면 해당 다중화면 선택 후, 소정의 주 시청 채널 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단일화면을 선택할 경우에는 티브이 전원 온(on)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될 원하는 채널 번호 하나를 입력한다.
그리고 티브이 전원 온(on)시 화면상에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결국, 사용자는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 화면종류를 참조하여 해당 화면종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화면종류 선택을 완료한 후, 상기 옵션키 정보 중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표시 종류에 관한 현재 시각, 현재 채널 명, 현재 방송 프로그램 명, 텍스트 채널 등이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정보표시 종류 중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메모리(230)에 저장된다.
여기서 티브이 전원 온(on)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선택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리모콘(240)을 이용하여 옵션키를 선택한다(S10).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240)을 이용하여 옵션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옵션키 정보를 제 1 메모리(230)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OSD 처리부(200)를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OSD 처리부(20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옵션키 정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OSD 형태로 처리하여 스위칭부(2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부(2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OSD 처리부(200)에서 전송되는 해당 신호를 스위칭하여 영상 출력부(220)에 인가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220)는 해당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옵션키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종류를 선택한다(S20).
이어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소정의 화면종류 중 하나를 선택한다(S30).
즉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OSD 형태로 화면종류가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는 해당 OSD를 참조하여 다중화면, 단일화면, 방송안내 정보화면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어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OSD를 참조하여 소정 화면종류 선택 후, 상기 옵션 키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한다(S40).
그리고 사용자는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 정보표시 종류를 참조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S50).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 정보표시 종류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옵션키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 선택이 완료되면, 해당 OSD를 종료한다(S60).
결국, 사용자는 티브이의 전원 온(on)시 해당 화면에 원하는 채널의 방송 및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240)을 통해 다중화면을 선택한 후, 소정의 주 시청 채널 번호 즉, 채널 A, 채널 B, 채널 C, 채널 D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정보를 상기 내부 메모리(170a)에 저장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티브이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내부 메모리(170a)에 저장된 소정 채널이 선국되도록 상기 튜너(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튜너(1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채널 A, 채널 B, 채널 C, 채널 D에 해당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130)의 다중화면 할당부(130a)를 통해 상기 내부 메모리(170a)에 저장된 채널 수와 동일하게 화면이 할당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영상크기 조절부(130b)는 상기 다중화면 할당부(130a)에서 할당된 각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가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수가 4개이므로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각각의 영상정보가 할당된 각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해당 영상크기를 1/4로 조절한다.
이어서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130b)를 통해 크기 조절된 각각의 영상을 제 2 메모리(130c)에 저장하고, 또한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130b)를 통해 조절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향부(130d)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부(130d)는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130b)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영상이 일정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해당 각각의 영상을 상기 스위칭부(21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스위칭부(2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130)의 디스플레이 방향부(130d)에서 전송되는 신호 즉 영상을 스위칭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220)에 인가한다.
결국, 사용자가 티브이 전원을 온(on)하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각각의 채널 방송이 다중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240)을 통해 단일화면을 선택한 후 티브이 전원 온(on)시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을 입력하고, 소정 정보표시 종류 중 현재 시각, 현재 채널, 현재 방송 프로그램 명, 텍스트 채널 등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정보를 제 1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티브이 전원 온(on)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메모리(230)에 저장된 채널이 선국되도록 상기 튜너(110)를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디먹스(120)는 상기 튜너(110)에서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역 다중화 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부가정보로부터 현재 시각, 현재 채널 명, 현재 방송 프로그램 명, 텍스트 채널 등과 같은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16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160)는 상기 디먹스(120)를 통해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와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입력되는 현재 시각, 현재 채널 명, 현재 방송 프로그램 명, 텍스트 채널 등과 같은 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여 상기 스위칭부(2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채널에는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 1 메모리(230)에 저장된 소정 채널 정보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어서 상기 스위칭부(2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해당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220)에 인가하고, 상기 영상 출력부(220)는 전송되는 해당 신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결국, 사용자는 티브이 전원을 온(on)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240)을 통해 화면종류 중 방송안내 정보화면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상기 제 1메모리(2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티브이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는 상기 제어부(170)에서 전송되는 방송안내 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 처리하여 상기 스위칭부(2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21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스위칭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220)에 인가하며, 상기 영상 출력부(220)는 해당 신호를 디스플레이 한다.
결국, 사용자는 티브이 전원을 온(on)할 경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안내 정보화면을 시청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화면종류를 하나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화면에 원하는 정보표시 종류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티브이의 전원 온(on)이 인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상기 판단 결과(S100), 티브이에 전원이 인가되었으면,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화면이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00),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화면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 의해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0).
상기 판단 결과(S300), 사용자에 의해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선택되었으면, 상기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190)로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가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처리한다(S400).
한편, 상기 판단 결과(S300), 사용자에 의해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사용자가 최후 시청한 채널의 방송을 디스플레이 한다(S500).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200),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었으면,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0).
상기 판단 결과(S600), 소정의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었으면, 선택된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를 소정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700).
한편, 상기 판단 결과(S600), 사용자에 의해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종류를 통해 해당 채널의 방송을 디스플레이 한다(S8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티브이의 전원 온(on)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소정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채널 방송을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선택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티브이 전원 인가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방송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티브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둘째, 다중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시에 다중 채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Claims (7)

  1.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역 다중화하는 디먹스와,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OSD 처리하는 OSD 처리부와, 사용자의 주 시청 채널을 각각 저장하기 위한 내부 메모리를 구비한 티브이에서,
    상기 디먹스를 통해 역 다중화된 부가정보에서 추출된 방송안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상기 방송안내 정보를 OSD 형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수에 따라 화면을 다중 할당하고, 상기 디먹스에서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상기 할당된 다중 화면상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처리하는 다중영상 처리부; 그리고,
    사용자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 선택에 따라 전원 온(on)시 상기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각각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 및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를 통해 영상 처리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면종류는 다중화면, 단일화면, 방송안내 정보화면 등이고, 상기 소정의 정보표시 종류는 현재 시각, 현재 채널 명, 현재 방송 프로그램 명, 텍스트 채널 등임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사용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를 통해 단일화면 및 소정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 및 상기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 정보표시 종류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 또는 상기 방송안내 정보화면 생성부 또는 영상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영상 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채널 수에 해당되는 화면을 다중 할당하는 다중화면 할당부와,
    상기 다중화면 할당부에서 할당된 화면수에 따라 상기 디먹스를 통해 역 다중화된 영상정보가 해당 할당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 되도록 해당 영상 크기를 조절하는 영상크기 조절부와,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에서 조절된 소정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와,
    상기 영상크기 조절부를 통해 조절된 영상정보를 일정방향으로 소정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5. 사용자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OSD를 참조하여 소정의 화면 및 정보표시 종류를 리모콘을 통해 선택 가능한 티브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을 통해 옵션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옵션키가 선택되면, 화면상에 OSD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옵션키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화면종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화면종류 선택이 완료되면, 해당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 옵션키 정보를 참조하여 원하는 정보표시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6. 소정의 화면종류 및 정보표시 종류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와 방송안내 정보를 저장하는 방송안내 정보 저장부 및 내부 메모리를 구비한 티브이에 있어서,
    티브이 전원 온(on)되면,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방송안내 정보화면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방송안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OSD 형태로 처리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사용자가 전원 오프(off)시 최후에 시청한 채널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다중 또는 단일 화면이 선택되어 있으면,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었으면, 상기 제 1 메모리 및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영상 처리하고,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정보표시 종류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종류를 통해 해당 채널의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2000-0050761A 2000-08-30 2000-08-30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7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761A KR100370022B1 (ko) 2000-08-30 2000-08-30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761A KR100370022B1 (ko) 2000-08-30 2000-08-30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427A true KR20020017427A (ko) 2002-03-07
KR100370022B1 KR100370022B1 (ko) 2003-01-29

Family

ID=1968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761A KR100370022B1 (ko) 2000-08-30 2000-08-30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02B1 (ko) * 2001-03-09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76196B1 (ko) * 2004-10-11 2007-11-1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프로그램 목록 출력 방법
KR101102389B1 (ko) * 2005-01-18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채널정보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471A (ja) * 1995-05-30 1996-12-13 Toshiba Corp 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199938B1 (ko) * 1995-12-26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젼의 방송 순서 안내방법
KR970057194A (ko) * 1995-12-26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젼의 전원 온시 이전 시청 내용 안내 방법
KR970057234A (ko) * 1995-12-29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전의 전원on시 방송프로그램 표시장치
JPH09261551A (ja) * 1996-03-18 1997-10-03 Hitoshi Ida ホームテレビガイドシステム及びテレビ受像器
KR19990020636U (ko) * 1997-11-27 1999-06-15 전주범 전원온시 장르별 방송순서 안내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002B1 (ko) * 2001-03-09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76196B1 (ko) * 2004-10-11 2007-11-1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방송 프로그램 목록 출력 방법
KR101102389B1 (ko) * 2005-01-18 2012-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의 채널정보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022B1 (ko)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624B1 (ko) 텔레비전 수신기의 언어 설정 장치 및 방법
US7930718B2 (e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KR100518945B1 (ko) 전자식 텔레비전 스케줄 시스템을 위한 고선명/표준 선명 가이드 변환기
KR20050032928A (ko) 영상표시기기의 프로그램정보 구현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67960A (ko) 방송 신호 처리방법,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8235A (ko) 채널 정보 표시 장치와 방법
KR2006012755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02702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370022B1 (ko) 티브이의 방송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5028074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200627944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723579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7068321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2006100949A (ja) 番組表映像信号生成装置,番組表映像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8253864B2 (en) Method of viewing a data broadcast and a recei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US20100110296A1 (en) Method of watching data broadcast and a receiving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0426103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보조 모자이크 이피지 영상표시방법 및 장치
KR10068865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음성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0083408A (ko) 다중화면을 이용한 티브이 채널 선택장치 및 방법
KR20000066668A (ko) 다중화면 설정방법
JP4071669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0072203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JP2006140593A (ja) チャンネル選択装置,チャンネル選択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00028057A (ko) 티 브이의 채널 전환장치
KR19980040483A (ko) 텔레비전의 채널선국제어장치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