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998A - 환경수로관 - Google Patents

환경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998A
KR20020016998A KR1020000050041A KR20000050041A KR20020016998A KR 20020016998 A KR20020016998 A KR 20020016998A KR 1020000050041 A KR1020000050041 A KR 1020000050041A KR 20000050041 A KR20000050041 A KR 20000050041A KR 20020016998 A KR20020016998 A KR 2002001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waterway
water pipe
environmental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술
Original Assignee
이영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술 filed Critical 이영술
Priority to KR102000005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6998A/ko
Publication of KR2002001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9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보호용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의 외부로 나오기가 용이함과 더불어 수로관의 측벽에서 수초등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환경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하여 일정길이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수로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부배수부(14)에서 측판부(12)의 상부면으로 미생물등이 기어서 올라 갈 수 있도록 상기 측판부(12)의 내측에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경수로관{Drain pipe for environment protection}
본 발명은 환경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의 외부로 나오기가 용이함과 더불어 수로관의 측벽으로 수초등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 환경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지를 개간한 후에는 농업용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로를 형성하고, 이 용수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수로를 조성하고 있으며, 이 조성된 수로는 배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수로상에 오염물질이 고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수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배수등이 지반에 침하되어 수로가 파손되지 않도록 해야만 한다.
한편,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상기 수로를 조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지반에 수로를 조성하고 이 수로에 콘크리트등으로 형성한 수로관을 연속하여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로관은 내측면이 절벽으로 이루어져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의 외측으로 기어나올 수가 없어 생물의 서식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서식할 수 있도록 한 환경수로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로관의 경사면과 연장되는 평면을 만들어 배수와 함께 휩쓸려 내려가는 것을 줄이고, 물고갈시에는 생물이 수로관의 위로 올라와서 서식할 수 있는 환경수로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수로관의 측벽에 생물등이 먹이로 이용할 수 있는 수초등이 자랄 수 있도록 된 환경수로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수로관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수로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수로관만을 사용하여 수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수로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수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수로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 - 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수로관의 또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수로관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환경수로관만을 사용하여 수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환경수로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수로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수로관 11,21: 하부베이스부
12,22: 측판부 13,23: 배수연결부
14,24: 하부배수부 15,16a,16b,25,26a,26b,26c: 경사부
16c,27a,27b,27c,27d: 평면 17: 연결돌기
18: 내측판부 28: 수초서식구멍
29: 연결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하여 일정길이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수로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부배수부에서 측판부의 상부면으로 생물이 기어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사부에 일정간격으로 하부배수부와 평행한 다수개의 평면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부에는 다수개의 수초서식구멍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배수부가 양쪽 상기 측판부의 중앙에서 분리됨과 더불어, 분리단면에서 수직이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철근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수로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립하여 일정길이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수로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부배수부(14)에서 측판부(12)의 상부면으로 생물등이 기어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측판부(12)의 내측에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로관(1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에 형성된 하부베이스부(11)의 양측면에 측판부(12)가 연장되고, 상기 하부베이스부(11)의 상부이면서 측판부(12)의 내측에 배수연결부(13)가 형성되도록 하부배수부(14)가 일체로 연장되며, 이 하부배수부(14)의 양단에는 경사부(15)가 소정높이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경사부(15)의 상부에서 상기 측판부(12)의 상부면과 연장되는 경사부 (16a,16b)가 형성되면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배수연결부(13)와 결합되는 연결돌기(17)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6a,16b)의 사이에는 생물이 올라갈 때 쉴 수 있도록 평면(16c)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배수부(14)는 배수연결부(13)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또다른 수로관(10)의 연결돌기(17)가 배수연결부(13)에 조립되었을 때 하부배수부 (14)의 물이 마르더라도 그 이상 물이 남아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로관(10)을 도 3과 같이 다수개를 연속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경사부(16a,16b)가 없는 수로관(100)을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으로 수로관(10)을 설치하게 되면,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10)의 경사부(16a,16b)를 이용해 외부로 기어나와 서식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수로관(10)의 연결돌기(17)를 다른 수로관(10)의 배수연결부(13)에 연속해서 끼우게 되면 도 3과 같은 수로가 구성되므로, 상기 하부배수부(14)와 측판부(12)의 안내를 받으며 물이 배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로관(10)에 서식하는 생물은 상기 경사부(15,16a,16b)와 평면 (16c)를 이용해 기어올라가 수로의 주위로 이동하여 서식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경수로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 B선 단면도로서, 수로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부배수부에서 측판부의 상부면으로 생물이 기어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경사부가 구비된 수로관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6a,26b,26c)의 상하부에 하부배수부 (24)와 평행한 다수개의 평면(27a, 27b, 27c,27d)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로관(2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에 형성된 하부베이스부(21)의 양측면에 측판부(22)가 연장되고, 상기 하부베이스부(21)의 상부이면서 측판부(22)의 내측에 배수연결부(23)가 형성되도록 하부배수부(24)가 일체로 연장되며, 이 하부배수부(24)의 양단에는 경사부(25)가 소정높이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경사부(25)의 상부에 경사부(26a,26b,26c)가 하부배수부(24)와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평면(27a,27b, 27c,27d)과 연장되어 상기 측판부(12)의 상부면까지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경사부(26a)의 아래쪽과 윗쪽에는 평면(27a,27b)가 연장되고, 상기 경사부(26b)에는 평면(27b,27c)가 연장되며, 상기 경사부(26c)에는 평면(27c,27d)가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판부(22)에는 다수개의 수초서식구멍(28)이 관통형성되어 수초들이 수로관(20)의 내부로 서식할 수 있고, 상기 배수연결부(23)의 반대쪽에는 이 배수연결부(23)에 안착되어 연결되도록 돌출된 연결돌기(29)가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T는 홈으로 수로관(2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과 중복되는 부위의 설명은 생략하고 요부만을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의 수로관(20)에서 하부배수부(24)가 양쪽 상기 측판부(22)의 중앙에서 분리됨과 더불어 분리단면에서 수직이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철근(21a)이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리된 수로관(20)의 철근(21a)이 일정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배치하고 콘크리트(W)를 타설하게 되면 수로관(20)의 폭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로관(20)을 도 9와 같이 다수개를 연속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도 10와 같이 경사부(25,26a,26b,26c)가 없고 결합돌기(210)만이 돌출된 수로관 (200)을 사이에 두고 일정간격으로 수로관(20)을 설치하게 되면,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20)의 하/경사부(25,26a,26b,26c)를 따라 외부로 기어나와 서식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수로관(20)의 연결돌기(29)를 다른 수로관(20)의 배수연결부 (23)에 연속해서 끼우게 되면 도 9와 같은 수로가 구성되므로, 상기 하부배수부 (24)와 측판부(22)의 안내를 받으며 물이 배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홈(T)에는 수로관(20)이 설치될 때 흙이 메워져 수로관(20)의 이동과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로관(20)에 서식하는 생물등은 상기 경사부(25)를 따라 상기 평면(27a)으로 이동하고, 이후 평면(27a)에서 경사부(26a)를 따라 평면 (27b)로 기어오르게 되며, 이 평면(27b)에서 경사부(26b)를 따라 평면(27c)로 기어오르고, 이 평면(27c)에서 경사부(26c)를 따라 평면(27d)로 올라가 수로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수초서식구멍(28)으로는 측판부(22)의 외측에 있는 흙으로부터 풀등이 자라서 수로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수초의 서식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생물의 먹이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의하면,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올라갈 수 있도록 하여 산란 및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수로관의 경사면과 연장되는 평면을 만들어 배수와 함께 휩쓸려 내려가는 것을 줄이고, 물고갈시에는 양서류나 파충류등이 수로관의 위로 올라와서 서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로관의 측벽에 미생물등이 먹이로 이용할 수 있는 수초등이 자랄 수 있고, 또 수로관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조립하여 일정길이로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에 있어서,
    수로의 바닥을 구성하는 하부배수부에서 측판부의 상부면으로 미생물등이 기어서 올라갈 수 있도록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하부배수부와 평행한 평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수로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에는 다수개의 수초서식구멍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수로관.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부가 양쪽 상기 측판부의 중앙에서 분리됨과 더불어, 분리단면에서 수직이면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철근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L형수로관.
KR1020000050041A 2000-08-28 2000-08-28 환경수로관 KR20020016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041A KR20020016998A (ko) 2000-08-28 2000-08-28 환경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041A KR20020016998A (ko) 2000-08-28 2000-08-28 환경수로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23U Division KR200211526Y1 (ko) 2000-08-28 2000-08-28 환경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98A true KR20020016998A (ko) 2002-03-07

Family

ID=1968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041A KR20020016998A (ko) 2000-08-28 2000-08-28 환경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69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933B1 (ko) * 2008-06-13 2011-03-08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생태보호형 보강 수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933B1 (ko) * 2008-06-13 2011-03-08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생태보호형 보강 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526Y1 (ko) 환경수로관
KR200418383Y1 (ko) 환경 친화용 수로관
KR20020016998A (ko) 환경수로관
KR101355112B1 (ko) 친환경 수로관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H06299530A (ja) 水路用ブロック
KR100981411B1 (ko)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KR200408872Y1 (ko) 조립식 개거 수로관
KR200236021Y1 (ko) 생태계 보호용 풀룸관
KR200267791Y1 (ko)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
KR100509317B1 (ko) 친환경 농업용 용수로
JP2005240363A (ja) 小動物保護用開架側溝部材
KR200497306Y1 (ko) 수로관 사이에 설치되는 소형동물 탈출장치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101356763B1 (ko) 농업용 배수로의 제조방법
KR100981417B1 (ko) 친환경 수로관
KR100981414B1 (ko) 친환경 수로관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JPH09125342A (ja) 水棲歩行動物等の昇降を可能にした水路構造
KR100321672B1 (ko) 농업용 흙막이
KR200441253Y1 (ko) 친환경 조립식 콘크리트 수로관
KR101887850B1 (ko) 동물의 이동 통로가 구비된 수로구조물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KR100658439B1 (ko) 하천용 어소블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