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882A -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882A
KR20020015882A KR1020000049017A KR20000049017A KR20020015882A KR 20020015882 A KR20020015882 A KR 20020015882A KR 1020000049017 A KR1020000049017 A KR 1020000049017A KR 20000049017 A KR20000049017 A KR 20000049017A KR 20020015882 A KR20020015882 A KR 2002001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oler
power steering
oil
f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926B1 (ko
Inventor
김대기
권문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2000-004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9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에 설치되는 오일 쿨러 튜브에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재 핀을 확관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하여 이른 바 핀 앤 튜브(Fin & Tube) 쿨러를 제조하여 목표로 하는 오일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하고 확관 접합에 의한 쿨러의 제조에 의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일을 냉각시키는 쿨러로서,
상기 쿨러는, 튜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벤딩하여 상기 튜브의 직경에 맞는 홀이 천공된 얇은 판재 핀을 상기 튜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고 상기 튜브의 직경을 확관시켜 상기 튜브에 판재 핀을 확관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Power Steering Cooler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사용되는 오일 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일 튜브에 판재 핀을 확관 접합시켜 파워스티어링용 쿨러를 제조하는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의 유압으로 스티어링오일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는 장치로서, 압력을 높인 오일을 스티어링장치와 연동하는 실린더에 넣어 피스톤에 의해 핸들의 조작력이 가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워스티어링 장치는 압력에 의한 것이므로 오일의 온도가 125∼ 130℃ 이상이 되면 오일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며 유막이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슬라이딩 부분이 소결된다. 따라서 오일을 냉각시켜 약 70∼80℃ 정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50은 오일탱크, 52는 석션 호스, 54는 오일펌프, 56은 프레셔 라인, 58은 기어박스, 60은 핸들, 62는 리턴라인, 64는 쿨러, 66은 리턴라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있어 오일을 냉각시키도록 리턴라인(62)(66) 사이에 배치 연결된 쿨러(64)는 단순 튜브 형태로서, 이 쿨러(64)를 자연 냉각시키기 위하여 자동차 범퍼 빔의 뒤쪽에 위치시켜 냉각시키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의 고성능화와 소음에 대한 운전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소음의 차단을 목적으로 차폐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고, 더불어 차량의 배기량 증가 및 차량연료의 단위 리터당 출력이 증가하므로 엔진룸의 온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튜브 차체만으로 성형된 쿨러(64)로 오일을 냉각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목표로 하는 오일의 온도로 냉각시킬수가 없다.
한편 자동차의 열교환기로 널리 사용되는 에어컨의 컨덴서나 라디에이터와 같은 방법으로 파워스티어링용 쿨러를 제작하여 오일을 냉각시킬 경우에는 부품 제조의 특성상 작동 보증 압력이 낮고 쿨러의 열교환으로 엔진의 냉각특성이 변화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또한 제조시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제조가격 매우 높고 설계자유도가 낮아 특정 공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에 설치되는 오일 쿨러 튜브에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재 핀을 확관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하여 이른 바 핀 앤 튜브(Fin & Tube) 쿨러를 제조하여 목표로 하는 오일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게 하고 확관 접합에 의한 쿨러의 제조에 의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일을 냉각시키는 쿨러로서,
상기 쿨러는, 튜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벤딩하여 상기 튜브의 직경에 맞는 홀이 천공된 얇은 판재 핀을 상기 튜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고 상기 튜브의 직경을 확관시켜 상기 튜브에 판재 핀을 확관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와 판재 핀은 모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의 인장강도는 140Mpa 이하이고, 판재 핀의 인장강도는 120M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튜브의 인장강도는 130Mpa 이하이고, 판재 핀의 인장강도는 131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에 설치브래킷을 함께 확관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브래킷의 접합홀을 내구성을 갖도록 3점 모따기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 앤 튜브 쿨러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핀 앤 튜브 쿨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설치브래킷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
도 6은 일반적인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핀 앤 튜브 쿨러 20 : 튜브
30 : 판재 핀 32 : 설치브래킷
32a : 접합홀 32b : 3접 모따기
40 : 확관봉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핀 앤 튜브 쿨러의 제조공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튜브(20)를 준비하고 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소정의 형태로 벤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튜브(20)의 직경에 맞는 홀이 천공된 판재 핀(30)을 상기 튜브(20)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 상태에서 확관봉(40)을 이용하여 튜브 (20)의 내경을 확관시킴으로서 상기 튜브(20)가 확관되면서 판재 핀(30)이 튜브 (20)의 외경에 기계적으로 접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확관을 시행한 후에 튜브(20)의 단부를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과 고무호스를 매개로 연결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엔드 포밍(End Forming)을 실시하여 제품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핀 앤 튜브 쿨러(10)에 따르면 튜브(20) 내부로 흐르는오일의 열은 튜브(20)를 통해 판재 핀(30)으로 전달되고, 판재 핀(30)이 공기 중으로 열을 발산하여 오일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튜브(20)와 판재 핀(30)의 확관을 통한 접합은 확관량이 많을수록 접합이 잘 이루어진다. 그러나 확관량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키우게 되면 확관봉(40)이 튜브(20)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거나 튜브(20)와 판재 핀(30)이 심하게 변형이 되어 제품 제조를 못하게 된다. 그리고 판재 핀(30)의 방열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나, 핸들링(운반 시) 시에 쉽게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판재 핀(30)의 두께를 0.25㎜로 고정시키고 튜브(20)와 판재 핀(30)의 인장강도를 변화시켜 확관 실험과 판재 핀(30)의 손상유무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튜브와 판재 핀의 인장강도에 따른 확관 실험 결과(튜브와 판재 핀은 알루미늄임)
번호 튜브(Mpa) 판재 핀(Mpa) 판정(0:좋음, ×:나쁨)
1 110 76 ×
2 130 76 ×
3 150 76 ×
4 175 76 ×
5 200 76 ×
6 110 110 ×
7 130 110 ×
8 175 110 ×
9 200 110 ×
10 110 131 0
11 130 131 0
12 175 131 ×
13 200 131 ×
14 110 159 0
15 130 159 0
16 175 159 ×
17 200 159 ×
표 1의 결과로부터 알루미늄 튜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130Mpa 이하이며, 알루미늄 판재 핀(30)의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131Mpa 이상인 경우에 이상적으로 확관 작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핀 앤 튜브 쿨러(10)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설치브래킷(32)이 포함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설치브래킷(32)은 튜브(20)를 확관시켜 판재 핀(30)을 접합한 것과 마찬가지로 설치브래킷(32)에 튜브(20)의 직경에 맞는 접합홀(32a)을 천공하고 확관봉(40)을 이용하여 튜브(20)의 내경을 확관시킴으로서 상기 튜브(20)가 확관되면서 설치브래킷(32)이 튜브(20)의 외경에 기계적으로 접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접합홀(32a)의 원주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점 모따기(32b)를 하여 튜브(20)에 접합함에 따라 이탈 특성과 피로 특성이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 2.
모따기의 방법에 따른 설치브래킷의 이탈력과 피로특성 결과(0: 좋음, ×:나쁨)
모따기 방법 이탈 특성 피로 특성 비 고
3점 원주 모따기 0 0
2점 원주 모따기 0 ×
모따기 없음 0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알루미늄 튜브(20)의 경우 인장강도가 120Mpa 이며, 알루미늄 판재 핀(30)의 경우 인장강도가 140Mpa으로 된 것을 이용하여 이를 확관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설치브래킷(32)의 모따기는 3점 원주 모따기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핀 앤 튜브 쿨러를 이용하여 냉각성능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항목 입출구 온도차 발열량
기존 튜브(1m) 0.7℃ 96.5 Kcal/h
기존 튜브(2m) 1.6℃ 220.5 Kcal/h
기존 튜브(3m) 2.0℃ 275.6 Kcal/h
본 발명(핀 앤 튜브) 6.2℃ 854.3 Kcal/h
표 3과 같이 기존 튜브 약 3m(미터)를 사용한 것 보다 본 발명 제품(핀 앤 튜브)이 약 40℃ 이상의 냉각효율을 얻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에 설치되는 쿨러 튜브에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판재 핀을 확관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하여 이른 바 핀 앤 튜브(Fin & Tube) 쿨러를 제조함으로서 파워스티어링용 오일의 냉각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확관 접합으로 쿨러를 제조함으로서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리턴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오일을 냉각시키는 쿨러로서,
    상기 쿨러는, 튜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벤딩하여 상기 튜브의 직경에 맞는 홀이 천공된 얇은 판재 핀을 상기 튜브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고 상기 튜브의 직경을 확관시켜 상기 튜브에 판재 핀을 확관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2. 상기 튜브와 판재 핀은 모두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3. 상기 튜브의 인장강도는 140Mpa 이하이고, 판재 핀의 인장강도는 120Mpa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튜브의 인장강도는 130Mpa 이하이고, 판재 핀의 인장강도는 131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4. 상기 튜브에 설치브래킷을 함께 확관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5. 상기 설치브래킷의 접합홀을 내구성을 갖도록 3점 모따기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KR10-2000-0049017A 2000-08-23 2000-08-23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KR10037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017A KR100370926B1 (ko) 2000-08-23 2000-08-23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017A KR100370926B1 (ko) 2000-08-23 2000-08-23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882A true KR20020015882A (ko) 2002-03-02
KR100370926B1 KR100370926B1 (ko) 2003-02-05

Family

ID=1968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017A KR100370926B1 (ko) 2000-08-23 2000-08-23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9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7B1 (ko) * 2002-05-01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열 기능을 향상시킨 파워 스티어링용 스티어링 기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455B2 (ja) * 1991-03-08 2000-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オイルクーラ
JPH04283165A (ja) * 1991-03-08 1992-10-08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オイルクーラ
KR970040981A (ko) * 1995-12-20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냉각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97B1 (ko) * 2002-05-01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열 기능을 향상시킨 파워 스티어링용 스티어링 기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926B1 (ko)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4724B2 (en) Engine cooling radiator
JP4551455B2 (ja) 給気冷却器
CN112537181A (zh) 集成式热泵捆绑模块安装歧管
BRPI0612998A2 (pt) trocador de calor automotivo
CA2546272A1 (en) Heat exchanger package with split charge air cooler
US20060006642A1 (en) Heat exchanger suitable for vehicles
FR2832214B1 (fr) Module d&#39;echange de chaleur, notam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radiateur principal et un radiateur secondaire, et systeme comprenant ce module
JP2006522311A (ja) 乗物用のオイル・クーラー
KR101971483B1 (ko) 열교환기
KR100370926B1 (ko)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용 쿨러
KR20100107245A (ko) 자동차용 응축기의 헤더파이프 및 브래킷 연결 구조
US20090065171A1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WO2009082272A1 (en) An engine inlet air pipe module
US20130068435A1 (en) In-line heat exchange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KR20080027552A (ko) 자동차용 열교환기 및 그의 제조방법
Shah Advances in automotive heat exchanger technology
JP4372885B2 (ja) 複合型熱交換器の接続構造
US20120080014A1 (en) Charge air cooling device for a combustion engine
US10300767B2 (en) Heat exchanger and radiator-condenser unit
CN105486114A (zh) 一种散热管加强型汽车换热器
JP3151954B2 (ja) 自動車用熱交換器
US9194631B2 (en) Heat exchanger
EP1890103B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for a heat exchanger
JP4397676B2 (ja) 自動車用熱交換器
KR20070119409A (ko) 자동차 열교환기용 헤더와 튜브의 결합구조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