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450A -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450A
KR20020015450A KR1020000048556A KR20000048556A KR20020015450A KR 20020015450 A KR20020015450 A KR 20020015450A KR 1020000048556 A KR1020000048556 A KR 1020000048556A KR 20000048556 A KR20000048556 A KR 20000048556A KR 20020015450 A KR20020015450 A KR 2002001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radio wave
transmitter
driver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0869B1 (ko
Inventor
정종운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4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8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 중인 운전자의 이동단말기에는 송수신이 불가능하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단말기에는 운전 중인 운전자 이동단말기에 송수신을 제한하는 장치가 없어서 운전 중에 통화를 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송수신을 제한하여 운전 중인 운전자가 이동단말기로 통화를 시도할 경우 운전 중에는 통화를 할 수 없다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운전 중에 착신되는 호에 대해서는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Limi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obil Telephone}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 중인 운전자의 이동단말기에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단말기의 가입자 증가에 따라 여러 종류의 이동단말기가 출시되고 있고, 그에 따른 서비스도 더욱 다양해져서 편리하게 이동단말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가입자들의 무분별한 이동단말기 사용으로 극장, 공연장, 병원에서는 이동단말기의 전파를 차단시키는 전파차단 장치를 설치하여 이동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한편, 이동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심각한 문제는 운전 중에 이동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이다.
해당 교통사고는 작은 접촉사고부터 큰 대형사고까지 발생하는 일이 비일비재함으로써 운전 중 이동단말기 사용을 법적으로 제한하는 방안까지 검토되고 있다.
종래의 이동단말기 내에 송수신을 제한하는 장치가 없었고, 특히 운전 중인 운전자 이동단말기에게만 송수신을 제한하는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단말기에 수신기 모듈을 장착하고, 발신기를 운전자의 머리 위에 발신기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운전 중에 착신되는 호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중에서 발신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중에서 수신기 모듈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을 플로우챠트로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기
11 : 전파 발생부
12 : 송신부
21 : 수신기 모듈
22 : 수신부
23 : 거리측정부
24 : 제어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이동단말기를 무능화 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기와;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며, 상기 발신기의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사용을 제한시키는 수신기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발신기는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전파를 발생시키는 전파 발생부와: 상기 전파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파를 이동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신기 모듈은 송신부에서 조사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파의 파워레벨과 수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와;상기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운전자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발신기가 작동하여 이동단말기 사용을 제한을 위한 전파를 발생시키는 과정(a)과; 발신기의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 사용을 제한시키는 과정(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시스템은 도1,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기(10)와, 수신기 모듈(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신기(10)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파 발생부(11)와, 송신부(12)로 이루어져 있는데, 운전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인 차량의 천장에 설치되며, 차량의 밧데리에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차량에 시동이 켜지는 경우 운전자의 이동단말기(20)가 불능이 되도록 하는 전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전파 발생부(11)는 발신기(10)가 작동되면 방향성을 가진 전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해당 전파는 출력이 낮은 초음파 또는 적외선 레이져를 이용한다.
상기 송신부(12)는 해당 전파 발생부(11)에서 조사된 전파를 운전자 이동단말기(20)에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수신기 모듈(21)은 운전자 이동단말기(20)에 장착되며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부(22)와, 거리측정부(23) 및 제어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신부(22)는 송신부(12)로부터 송신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거리측정부(23)는 수신부(22)에서 수신한 전파의 수신거리와 파워레벨을 측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어부(24)는 거리측정부(23)에서 측정한 전파의 파워레벨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에 미치지 못하면 운전자 이동단말기(20)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고, 해당 거리측정부(23)에서 측정한 전파의 파워레벨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으면 운전자 이동단말기(20)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기(10)가 장착된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차량의 밧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발신기(10)가 작동을 한다(단계 S21). 해당 방향성 송신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발신기(10)의 전파 발생부(11)에서 출력이 낮은 초음파 또는 적외선 레이져의 전파를 발생하고, 해당 발생된 전파를 송신부(12)에서 전파의 파워레벨을 조정하여 송신하게 되면(단계 S22), 해당 발신기(1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운전자 이동단말기(20)에 내장된 수신기 모듈(21)의 수신부(22)에서 해당 전파를 수신한다(단계 S23). 해당 수신부(22)에서 수신한 전파를 거리측정부(23)에서 해당전파의 파워레벨과 수신거리를 측정한 후, 제어부(24)는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에 측정된 전파의 파워레벨이 미치게 되면 이동단말기(20)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수신부(22)에서 수신한 전파를 거리측정부(23)에서 전파의 파워레벨과 수신거리를 측정한 후, 제어부(24)는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에 측정된 전파의 파워레벨이 미치지 못하면 운전자 이동단말기(20)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운전자 이동단말기(20)에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운전자 이동단말기(20)의 잠금장치가 작동하게 된다(단계 S24). 운전자 이동단말기(20)의 잠금장치가 작동되면 이동단말기 가입자의 위치를 관리하고 부가서비스를 처리하는 HLR(Home Location Resister) 시스템의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등록이 되어(단계 S25), 운전자가 운전자 이동단말기(20)로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단계 S26), 운전자 이동단말기(20)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고(단계 S27), 운전자 이동단말기(20)에 착신되는 호가 발생하면(단계 S28), 해당 HLR 시스템의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후(단계 S29),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음을 판단하고, 안내 방송 후, 음성사서함으로 자동 전환된다(단계 S30).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발신기(10)에서 송신하는 전파는 중단되고(단계 S31), 수신기 모듈(21)의 제어부(24)가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면 운전자 이동단말기(20)의 잠금장치는 해제되고(단계 S32), HLR 시스템의 운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등록이 삭제(단계 S33)됨으로써 이동단말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된다(단계 S34).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수신기 모듈을 장착하고, 발신기를 차량 운전자의 머리 위에 발신기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운전자 이동단말기에 착신되는 호가 발생하면 음성사서함으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게 된다.

Claims (8)

  1. 차량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이동단말기를 무능화 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기와;
    이동단말기에 장착되며, 상기 발신기의 신호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사용을 제한시키는 수신기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신기는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전파를 발생시키는 전파 발생부와:
    상기 전파 발생부에서 발생한 전파를 이동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발생부는 출력이 낮은 초음파, 적외선 레이져를 발생하여 운전자 외에 다른 사람의 이동단말기에는 전파가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 모듈은 상기 송신부에서 조사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전파의 파워레벨과 수신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거리측정부에서 측정한 전파의 파워레벨이 자체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임계치를 넘으면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6. 운전자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발신기가 작동하여 이동단말기 사용을 제한을 위한 전파를 발생시키는 과정(a)과;
    발신기의 전파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 사용을 제한시키는 과정(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과정(b)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을 제한시킨 후, 운전자 이동단말기에 호 접속이 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과정(b)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을 제한시킨 후, 해당 이동단말기에 착신되는 호가 발생하면 해당 이동단말기 기지국의 운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후, 음성사서함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KR10-2000-0048556A 2000-08-22 2000-08-22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KR100410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56A KR100410869B1 (ko) 2000-08-22 2000-08-22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556A KR100410869B1 (ko) 2000-08-22 2000-08-22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450A true KR20020015450A (ko) 2002-02-28
KR100410869B1 KR100410869B1 (ko) 2003-12-18

Family

ID=1968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556A KR100410869B1 (ko) 2000-08-22 2000-08-22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064A (ko) * 2001-08-08 2003-02-15 우태하 이동전화 음성메시지 문자서비스 부과서비스
KR20030063621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제어방법
KR20150086875A (ko) * 2014-01-21 2015-07-29 정재락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US9688145B2 (en) 2014-12-09 2017-06-27 Hyundai Motor Company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810A (ko) * 2002-10-24 2004-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운전중 휴대폰 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0638326B1 (ko) 2004-06-22 2006-10-25 박희창 운전중 휴대폰의 수신 제어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132Y1 (ko) * 2000-03-07 2000-08-16 김명수 운전자의 주행중 휴대폰 사용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4064A (ko) * 2001-08-08 2003-02-15 우태하 이동전화 음성메시지 문자서비스 부과서비스
KR20030063621A (ko) * 2002-01-23 200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제어방법
KR20150086875A (ko) * 2014-01-21 2015-07-29 정재락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US9688145B2 (en) 2014-12-09 2017-06-27 Hyundai Motor Company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0869B1 (ko) 200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296B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configuring same when connected to a vehicle
US6690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afe hands-free operation of a wireless telephone in a vehicle
US6493629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upling location information
US6014555A (en) System for providing the telephone number of a telephone making an emergency call
US70068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facing a portable transceiver in a telematics system
US20030050039A1 (en) Emergency report cellular phone, cellular connection switching method and GPS positioning method
EP0305108B2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WO2004019646A1 (en) System for preventing telephone call
KR20020015450A (ko) 이동단말기의 송수신 제한 장치 및 방법
JP4043775B2 (ja) 通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3625261B2 (ja) 移動局機能規制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移動局、基地局及び規制装置
US20010041539A1 (en) A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US5231657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that releases hold state of handset after intrusion by another party is detected
EP1235365A4 (en) RADIOCOMMUNICATION APPARATUS, RADIO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7146173B2 (en) Method and network for answering calls to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user-defined response modes
JP2003169133A (ja) 移動体通信装置
JP293010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3018654A (ja) 高速移動中の移動局制御方法
KR100645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시스템 및 방법
JP402492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機
JP2928232B1 (ja) 移動通信装置および移動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H11178072A (ja) 携帯移動無線電話装置
JPH0749895Y2 (ja) 無線電話装置
KR1998005065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대기통화 방법 및 장치
JPH10210549A (ja) 携帯無線機用自動エリア通知装置および携帯無線機用自動エリア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