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2Y1 -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2Y1
KR200200142Y1 KR2020000009108U KR20000009108U KR200200142Y1 KR 200200142 Y1 KR200200142 Y1 KR 200200142Y1 KR 2020000009108 U KR2020000009108 U KR 2020000009108U KR 20000009108 U KR20000009108 U KR 20000009108U KR 200200142 Y1 KR200200142 Y1 KR 200200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ignal
received
cal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창
Original Assignee
이기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창 filed Critical 이기창
Priority to KR2020000009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2Y1/ko
Priority to AU43191/00A priority patent/AU4319100A/en
Priority to PCT/KR2000/000343 priority patent/WO20000707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의 호출음(링 신호)을 감지하여 음향기기와 휴대전화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스테레오 핸즈프리 이어폰마이크 폰세트를 제어하거나, 휴대전화기의 호출음(링 신호)을 감지하여 기타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휴대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을 감지하여 이 감지음을 디지털 펄스 신호로 바꾸어 줌으로써 이 감지장치에 연결된 각종 제어장치를 휴대전화기의 호출음(링 신호)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그 한가지 예로 한 개의 스테레오 핸즈프리 이어폰마이크 폰세트로 음향기기와 휴대 전화기를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어장치에 이 감지기를 연결하여 휴대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휴대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을 이 감지기로써 펄스신호로 바꾸어 제어장치로 보내줌으로써 음향기기의 청취상태와 휴대전화기의 송수신 상태를 자동적으로 전환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A mobile telephone incoming call sensor}
본 고안장치는 휴대전화기와 음향기기를 하나의 스테레오 이어폰마이크 폰세트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테레오 핸즈프리 송수화기의 전환 제어장치 및 휴대전화기의 호출음(링 신호)을 이용한 기타 각종 제어장치를 제어 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제어장치는 휴대전화기의 본체에서 나오는 CALL신호나 휴대전화기의 램프 또는 휴대전화기가 수신 응답을 할 때 안테나에 유기된 송신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게 되어있었다. 본 고안 장치는 지금까지의 이러한 감지장치와는 달리 휴대 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때 휴대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를 감지하여 이러한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폰 호출신호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휴대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 음(링 신호)을 감지하여 디지털 펄스 신호로 바꾸어 줌으로써 휴대전화기의 호출음을 이용한 각종 제어장치를 간단히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감지장치로서 휴대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을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 수신하여 이 미세한 신호를 마이크 앰프로 증폭한 후,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쉬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회로 등에 의하여 디지털 펄스 신호로 바꾸어 각종 제어기로 보내줌으로써 제어기를 작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장치의 회로의 예로써 이는 휴대 전화기의 호출음(링 신호)을 감지하여 디지털 펄스 신호로 바꾸어 주는 감치장치의 회로도이다.
도1은 본 고안장치의 회로도로써 각 부품을 보면 X1은 콘덴서 마이크로폰, R1은 콘덴서 마이크로폰에 전원을 공급해 주는 저항이고, R2, R3, R4, R5와 C1, C2및 Q1로 구성되는 부분은 입력된 미약한 신호를 큰 신호로 증폭시켜 주는 마이크 앰프이며, IC1은 아날로그 파형을 디지털 펄스 파형으로 변환시켜 주는 쉬미트 트리거 IC 이다.
블록도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휴대전화기로 전화가 올 경우 휴대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부저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을 휴대전화기 근처에 부착시킨 콘덴서마이크로폰(X1)으로 수신하여 이 신호를 R2, R3, R4, R5, C1, C2, 및 Q1로 구성된 마이크 앰프로써 일정한 크기로 증폭한 후, 쉬미트 트리거(IC1)의 입력단으로 보내게 된다. 쉬미트 트리거(IC1)는 입력단으로 일정한 전압 이상의 신호가 입력되면 출력단의 전압이 High 상태로 바뀌고 입력단의 전압이 일정한 전압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출력단의 전압이 Low로 바뀌는 기능을 하며, R2, R3, R4, R5, C1, C2, 및 Q1로 구성된 마이크 앰프에서 일정한 전압 이상으로 증폭된 호출 음(링 신 호)이 입력되면 쉬미트 트리거(IC2)의 출력이 Low에서 High로 바뀌고, 또 호출 음(링 신호)이 잠시 끊겨 R2, R3, R4, R5, C1, C2, 및 Q1로 구성된 마이크 앰프의 출력 신호가 없을 때에는 쉬미트 트리거(IC1)의 출력이 High에서 Low로 변하여 펄스신호를 구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펄스 신호가 전원단자(VCC)와 감지출력단자(CALL), 그리고 접지(GND)로 구성된 센서 출력을 통하여 제어기 회로에 접속이 되어서 휴대전화기의 수신신호가 있음을 디지털 신호로 통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장치를 휴대전화기의 부저 부분 근처에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전화기로 전화가 올 경우 휴대전화기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을 감지하여 음향기기와 휴대전화기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어기에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전화기의 호출 음(링 신호)을 이용한 각종 제어기에 디지털 펄스로 구성된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부저음 감지 방식은 고주파 감지 방식보다 회로가 훨씬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며, 램프 감지 방식처럼 깜박거리는 램프나 LED에 감지 센서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손쉽게 휴대전화기의 호출음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Claims (1)

  1. 휴대전화기의 호출신호 감지 장치로써 휴대폰의 부저에서 발생하는 호출음(링 신호)을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 감지하여 각종 전자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디지털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장치.
KR2020000009108U 1999-05-14 2000-03-30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KR200200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108U KR200200142Y1 (ko) 2000-03-30 2000-03-30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AU43191/00A AU4319100A (en) 1999-05-14 2000-04-12 Combined-use assembly of mobile telephone and audio
PCT/KR2000/000343 WO2000070779A1 (en) 1999-05-14 2000-04-12 Combined-use assembly of mobile telephone and aud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108U KR200200142Y1 (ko) 2000-03-30 2000-03-30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2Y1 true KR200200142Y1 (ko) 2000-10-16

Family

ID=1964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108U KR200200142Y1 (ko) 1999-05-14 2000-03-30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42Y1 (ko) 휴대전화기 호출음 감지장치
US8897468B2 (en) Noise control circuit and audio receiving system using the same
WO200007976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proximity by means of an antenna, and controlling a loudspeaker
JP2004221806A (ja) 通信機器
CN200997680Y (zh) 一种用于耳罩的多功能音源处理装置
JP3855014B2 (ja) 携帯電話用ページングアンプ
KR200316625Y1 (ko) 음악 감상중 휴대폰으로 연결될 수 있는 헤드셋 스위칭장치
KR20100073669A (ko) 핸드폰의 발신신호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핸드폰 악세사리
KR200226149Y1 (ko) 휴대폰을 이용한 몰래카메라 또는 도청기 탐지기
GB2331429A (en) Ambience-sensitive telephone alerting system
KR200329397Y1 (ko) 몰래카메라 검출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0151413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온-후크상태 출력장치
KR0175449B1 (ko) 핸드셋 수화음량 조절장치
KR100450448B1 (ko) 전화헤드셋 증폭기에 내장된 통화중 표시장치
KR20024869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100385336B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261264Y1 (ko) 휴대전화용 핸즈프리장치
KR20010112010A (ko) 비접촉 고주파 감지회로를 이용한 무선통신 기기 제어장치
KR20030021576A (ko) 아기울음 감지 및 전송기
KR100446530B1 (ko) 전화단말기에서 링음레벨 조절회로
KR19990056087A (ko) 스피커폰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JPH0329996A (ja) アラーム音報知装置
JP2515077Y2 (ja) 無線電話機用の着信報知装置
JPH01252014A (ja) 着信音放音方式及び着信音放音回路
JPH05252108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