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151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151A
KR20020014151A KR1020000047263A KR20000047263A KR20020014151A KR 20020014151 A KR20020014151 A KR 20020014151A KR 1020000047263 A KR1020000047263 A KR 1020000047263A KR 20000047263 A KR20000047263 A KR 20000047263A KR 20020014151 A KR20020014151 A KR 2002001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router
control sig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34807B1 (en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807B1/en
Publication of KR2002001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1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8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81ATM peripheral units, e.g. policing, insertion or extraction
    • H04L49/309Header conversion, routing tables or routing t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Signalling, e.g. protocols, reference mod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ing between an ATM switch and a router is provided to monitor control signals by using FIFO when the ATM switch and the router are remotely connected, so as to prevent the control signals from being lost. CONSTITUTION: A header converter(233) analyzes header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a switch(202) to separate data from control signals, and records the data in an FIFO(304), then transmits the control signals to a control signal controller(243). A control signal generator(213) generates each enable signal for informing the FIFO(304) of a data recording time and a data reading time. The control signal generator(213) generates appropriate signals with monitored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243).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243) monitors signals(ex, backpressure information) for informing of a self status that the switch(202) and a router(301) receive to each other.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243) inform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213) of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 make the generator(213) generate appropriate control signals.

Description

에이티엠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제어 시그널링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Control signaling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between AT switch and ro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포(FIFO)를 이용하여 스위치(switch)와 라우터(Router) 사이에 송수신하는 제어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ing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tween a switch and a router using a FIFO.

또한,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에이티엠(ATM) 스위치와 에이티엠 스위치를 접속하는 입출력카드(I/O card)들이 원거리 접속시 피포를 이용하여 클럭의 동기(clock sync)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sures clock synchronization using the APO switch and the I / O cards that connect the ATM switch constituting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system by using a PIP at a remote connection It is to.

종래에 있어서, 에이티엠 스위치들을 접속하는 에이티엠 입출력 카드들이 시스템의 구성상 근거리(30cm이내)나 같은 백 플랜(back plane)에 접속할 때, 클럭의 동기를 보장할수 없는 에이티엠 디바이스(device)를 사용할 경우 클럭의 동기를 보장하기 위해 피포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피포를 이용한 원거리 접속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백플랜(back plane1)은 셀 라우팅 기능을 담당하는 라우터 101, 셀들의 입출력 버퍼인 피포104 및 상기 피포104를 제어하는 피포제어부 103을 구비한다. 한편, 제2백플랜(back plane2)은 셀 스위칭을 담당하는 스위치 102, 셀들의 입출력 버퍼인 피포 106 및 상기 피포105를 제어하는 피포제어부 10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피포 104 및 피포 106은 클럭의 동기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In the related art, when the A / M cards connecting the A / M switches are connected to the same back plane (near 30 cm) or the same back plan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the A / M device that cannot guarantee the synchronization of the clock When used, there is a way to use Pappo to ensure clock synchronization. 1 illustrates a remote connection apparatus using a PPO in an ATM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the first backplane 1 includes a router 101 in charge of a cell routing function, a PIP 104 that is an input / output buffer of cells, and a PIP control unit 103 that controls the PIP 104.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ack plane (back plane2) is provided with a switch 102 in charge of cell switching, PIP 106 which is an input / output buffer of cells and a PIP control unit 106 for controlling the PIP 105. Here, the cover 104 and the cover 106 is used to ensure the synchronization of the clock.

상기와 같이, '피포를 이용한 원거리 접속방식'은 양단에 클럭 동기를 보장하는 점에서 무리가 없는 접속방식이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에이티엠 스위치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와 에이티엠 스위칭(switching)을 위한 스위치와 접속하는 입출력 카드 내에서 에이티엠 셀(cell)의 하드웨어(H/W)적인 스위칭을 위해 라우팅 탭(routing tap)을 첨가하고, 가상경로(VP, Virtual Path)와 가상채널(VC,Virtual channel)의 변환(Translation) 기능을 하는, 라우터와 주고받는 제어 시그널들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수 있다. 상기 스위치와 입출력 카드와의 접속에서 각각의 내부에서 종단되어 서로 접속하는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디바이스와 라우터라 할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와 입출력 카드의 접속은 스위치 디바이스와 라우터의 접속이라 할수 있다. 상기 도 1은 상기 스위치와 입출력 카드들의 접속을 스위치와 라우터의 접속으로 가정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스위치 102와 라우터101은 서로 다른 백 플랜에 위치한다. 각각의 입력단에는 피포(104, 106)가 있고, 이러한 피포를 피포 제어부(103,105)에서 제어한다. 따라서 각각의 입력단으로 인입되는 데이터들은 상기 피포(104,106)를 통해서 동기를 맞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포를 이용한 스위치와 라우터 접속시 발생될수 있는 문제는 각 디바이스의 상태를 전달하는 제어 시그널을 적절하게 제어할수 없다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packet' is a connection method without difficulty in terms of ensuring clock synchronization at both ends. However, when practically applied to the system, hardware (H / W) switching of the AT cell in the input / output card connected to the device for the AT switch and the switch for AT switching (H / W) Many problems arise if you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control signals to and from the router, which adds routing taps and translates between virtual paths (VPs) and virtual channels (VCs). May occur.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 and the input / output card, the devices that are terminated in each of them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switch devices and routers. Therefore, the connection of the switch and the input / output card may be referred to as the connection of the switch device and the router.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 and the input / output cards as a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 and the router. The switch 102 and the router 101 are located in different back plans. At each input end, there are blisters 104 and 106, which are controlled by the blister controller 103 and 105. Therefore, the data coming into the respective input stages are synchronized through the packets 104 and 106. Here,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connecting the switch and the router using the PPO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perly control the control signal for transmitting the status of each device.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와 라우터의 원거리 접속시 가능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은 스위치로부터의 데이터을 저장하는 쓰기로직부 303, 상기 쓰기 로직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피포 304, 상기 피포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라우터 201로 출력하는 읽기로직부 305, 부가적으로 클럭구동부 306, SOC생성부 307, 두 개의 프립플롭(308,309)로 구성된다.3 illustrates a circuit capable of remote connection of a switch and a rou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llustrates a write logic unit 303 for storing data from a switch, a pico 304 for storing data from the write logic unit, a read logic unit 305 for storing data from the packet and outputting the data to the router 201. The clock driver 306, the SOC generator 307, and two flip-flops 308 and 309 are provided.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20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피포의 쓰기로직(write logic)203으로 입력되면, 먼저 데이터의 스타트 셀(SOC, Start of cell)을 확인한다. 상기 스타트 셀이 확인되면 다시 다음 헤더를 통하여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파악하고, 유효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스타트 셀부터 피포에 기록한다. 이때 상기 피포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 헤더를 확인해야 하므로, 2 클럭(clock)동안 입력된 데이터를 쉬프트해서 일단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해야 한다. 이렇게 기록된 데이터는 실제로 라우터201로 들어가는 스타트 셀보다 2클럭 전에 SOC생성부 307에서 내부 스타트 셀을 만들어서 피포 읽기로직부305에서 데이터가 읽혀질 시점을 알려준다. 내부 스타트 셀에 동기된 데이터는 다시 상기 읽기로직(Read logic)305에서 라우터202에 대한 여러 정보를 확인한후(헤더로부터 확인) 상기 라우터201로 입력된다. 이때 스위치202로부터 입력되는 정보가 많을수록 헤더를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데이터를 쉬프트하는 로직이 필요하다. 또한 헤더를 분석한후의 데이터가 라우터201로 입력되는 데이터와 동기가 맞아야 하기 때문에 내부 스타트 셀보다 2클럭 늦은 스타트 셀을 상기 두 개의 플리플롭(308 및 309)을 통해 만들어 데이터와 함께 라우터201로 입력시킨다. 여기서 상기 라우터201로 입력되어야 할 스타트 셀이 내부 스타트 셀보다 2클럭 늦어야 하는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여기서 2클럭이라는 것은 피포 제어부가 헤더 변환에 걸리는 시간을 2클럭이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내부 스타트 셀보다 2클럭 늦은 스타트 셀을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실제로 피포 제어부에서 헤더를 변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클럭보다 더 길다면 그만큼 지연된 스타트 셀을 만들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data received from the switch 202 is input to the write logic 203 of the PPO, the start cell of the data is first checked. When the start cell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is valid data through the next head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rt data is valid, the start cell of the data is recorded in the pico. At this time, since the header must be checked in order to input the data, the order of the data must be guaranteed by shifting the input data for two clocks. The data recorded in this manner creates an internal start cell in the SOC generator 307 two clocks before the start cell actually enters the router 201 to indicate when data is to be read from the PPO read logic 305. The data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start cell are inputted to the router 201 after confirm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router 202 in the read logic 305 (from the header). In this case, the mor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witch 202, the more time it takes to analyze the header, it is necessary to logic to shift the data. In addition, since the data after analyzing the header must be synchronized with the data input to the router 201, a start cell 2 clocks later than the internal start cell is created through the two flip-flops 308 and 309 and inputted to the router 201 with the data. Let's do it. Here, it is not absolute that the start cell to be input to the router 201 should be two clocks later than the internal start cell. Here, "two clocks" assumes that the start cell needs to be two clocks later than the internal start cell because the packet control assumes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header conversion is two clocks. In fact, if the time taken to convert the header in the packet control unit is longer than 2 clocks, a delayed start cell must be created.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피포 제어부에 의해 기록(write)되고, 다시 독출(read)된다. 종래기술에 있어, 제어시그널을 모니터링(monitoring)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 시그널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피포 제어부에서 알 수 없다. 그러나, 피포에서 모든 데이터와 제어정보를 기록하고 읽는다는 전제하에서 커다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라우터의 데이터 처리속도와 스위치의 데이터 처리속도는 스위치 측이 더 빠르다. 왜냐하면, 에이티엠에서 라우터의 기능은 셀의 헤더를 변환하고, 라우팅 탭을 첨가하는 것이고, 상기 스위치는 단순히 헤더의 일정 탭 정보만을 해독하여 데이터를 스위칭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처리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전송 레이트(rate)를 맞추기 위해서, 상기 스위치는 일정한 레이트로 무효한(idle)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경우, 상기 라우터의 피포 제어부는 라우터의 부하(load)를 줄이기 위해 무효한 데이터는 피포에 기록하지 않고, 제거(discard)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피포 제어부가 단순히 전송 레이트를 맞추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가 아닌 무효한 데이터를 버린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치와 라우터가 주고받는 정보가 병목(congestion)정보라면 두 디바이스의 성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수 있다. 예를들어, 스위치의 특정 포트에 병목이 발생해서 스위치가 라우터로 더 이상 데이터를 전송하지 말라는 제어정보를 보냈다면 상기 라우터는 이러한 제어 시그널에 의해 상기 스위치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일정시간 홀드(hold)한후 전송하므로서 스위치가 병목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스위치에서 전송 레이트를 맞추기기 위해 발생하는 무효한 데이터 때문에 전달되어야 할 제어 시그널이 피포 제어부에서 버려지게 되면, 라우터가 스위치의 상태를 인식할 방도가 없으므로 결국 스위치는 병목상태에서 벗어날수가 없다. 즉, 버려지는 무효한 데이터와 비례하여 데이터 손실은 증가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put from the switch are written by the capturing control unit and read again.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control signal is not monitore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ontrol signal is not known to the control signal. However, it is not a big problem under the premise that all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are recorded and read at the PPO. However, in general, the data processing speed of the router and the data processing speed of the switch are faster at the switch side. This is because, in ATM, the function of the router is to convert the header of the cell and add a routing tap, and the switch simply switches the data by decrypting only certain tap information of the header. Since the processing speeds are differen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tch the transfer rate, the switch generates idle data at a constant rate. In this case, in order to reduce the load of the router, the packet control unit of the router generally discards invalid data without writing it to the packet. Here, a problem arises if the packet control discards invalid data rather than user data just to match the transmission rate. In general, if the information exchang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router is a bottleneck, the performance of both devices can be greatly affected. For example, if a bottleneck occurs on a switch's port and the switch sends control information to the router that no longer sends data to the router, the router will hold the data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to transmit to the switch. And then transmit so that the switch is free from bottlenecks. However, if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is discarded by the packet controller because of invalid data generated to match the transmission rate in the switch, the switch cannot escape the bottleneck because there is no way for the router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switch. That is, data loss will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invalid data that is discard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스위치와 라우터를 피포를 이용하여 접속할 경우 제어 시그널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ontrol signal when a switch and a router are connected by using a PPO in an ATM system.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ATM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시그널링 처리장치가, 순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피포와,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제어시그널은 제어시그널제어부로 전달하고, 순수 데이터는 상기 피포에 저장하는 헤더변환부와, 상기 헤더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시그널을 분석하여 제어시그널 생성부로 제어정보를 알려주는 상기 제어시그널제어부와, 상기 피포에 데이터를 기록 및 읽는 시점을 제어하는 인에이블 시그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시그널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정보를 가지고 내부 제어시그널을 생성하는 제어시그널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signaling processing device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in ATM system analyzes head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data and the packet for temporarily storing pure data,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 The pure data includes a header converter which stores the control signal,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 which analyz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eader converter, and provides control information to a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a time point at which data is recorded and read in the packet.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and generating an internal control signal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이티엠 스위치에서 피포를 이용한 원거리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nection device using a PPO in the AT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포를 이용한 원거리 접속장치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 remote connection apparatus using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스위치와 라우터의 원거리 접속에 따른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according to a remote connection of a switch and a router in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스위치와 라우터의 원거리 접속에 따른 회로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according to a remote connection of a switch and a ro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병목정보(라우터->스위치)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cessing the second bottleneck information (router->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2병목정보(bp_in)의 패턴 생성과정을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generation process of second bottleneck information (bp_i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병목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first bottleneck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제1병목정보(bp_out)의 패턴 생성과정을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tern generation process of first bottleneck information (bp_o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the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피포제어부의 구체적인 기능블럭들을 정의함으로써, 피포를 이용한 두 디바이스의 원거리 접속시 필용한 기능을 구현하고, 이러한 기능 구현시 발생할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다. 상기 피포 제어부는 클럭 동기를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입력단에 설치한 피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피포 제어부는 두 디바이스를 피포를 이용해 접속할 경우 필요한 내부 시그널을 생성하는 기능블럭, 제어 시그널을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시그널을 생성하는 제어 시그널 생성블럭(제어시그널 생성부, 제어시그널 제어부), 입력된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헤더변환부로 구분될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specific functional blocks of the canopy control unit shown in FIG. 1 to implement a function necessary for remote connection of two devices using a canopy, and to solve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implementing such a function. The blanket control uni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a blanket installed at each input terminal to ensure clock synchronization. Therefore, when the two devices are connected by using the Popo,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function block for generating an internal signal require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block (control signal generator, control signal controller) that monitors the control signal and generates an appropriate signal. It can be divided into a header conversion unit for processin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포를 이용한 원거리 접속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도 2는 피포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준다. 이하 스위치에서 라우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스위치->라우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헤더변환부233은 스위치 202로부터의 수신되는 데이터를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와 제어시그널로 분리하고, 상기 데이터는 피포 204에 기록하고,상기 제어시그널은 제어시그널제어부 243으로 전달한다. 제어시그널 생성부 213은 상기 피포 204를 제어하기 위해 피포 204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점과 독출하는 시점을 피포에 알려주는 각각의 인에이블(enable) 시그널을 생성하는 기능외에, 상기 제어시그널 제어부243에서 모니터링한 정보를 가지고 적절한 시그널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시그널 제어부243은 상기 스위치 202와 라우터 201이 주고받는 자신의 상태를 알려주는 시그널(예를들어, 병목정보(backpressure))을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이러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제어시그널 생성부 213으로 통보하여 적절한 제어시그널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시그널은 각각의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치 202와 상기 라우터 201이 주고받는 제어 시그널은 디바이스마다 다를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202와 상기 라우터 201이 서로 주고받은 제어시그널은 "backpressure"와 같은 병목정보가 일반적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 remote connection apparatus using a cov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2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ver control uni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witch to the router (switch-> router). Referring to FIG. 2, the header converter 233 analyzes hea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witch 202 into data and a control signal, records the data in the PPO 204, and the control signal is a control signal controller 243. To pas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13 controls the signal signal 204 to generate an enable signal for notifying the signal to the time point at which data is written to the data signal 204 an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ata signal is read. Generates the appropriate signal with the information monitored by.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 243 monitors a signal (for example, a bottleneck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the switch 202 and the router 201,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213. Inform them to generate appropriate control signals. This control signal is used a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devices. Control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switch 202 and the router 201 may vary from device to device. However, the control signal exchanged between the switch 202 and the router 201 is generally a bottleneck information such as "backpressur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와 라우터의 원거리 접속시 가능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는 병목정보(backpressure)를 모니터링한다는 점에서 상기 도 3와 다른 구성을 보여준다. 구성을 살펴보면, 스위치202로부터의 데이터을 저장하는 쓰기로직부 403, 상기 쓰기 로직부403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피포 404, 상기 피포404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읽기로직부 405, 부가적으로 부가적으로 클럭구동부 407, SOC생성부 408, 두 개의 프립플롭(409, 419), 병복정보 생성부 410, 병목정보 감시부 411 및 상기 읽기로직부 406으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프립플롭 419로부터의 스타트 셀과 상기 병목정보 감시부411로부터의 병목정보를 입력하여 논리합하여 라우터210로 출력하는 논리합산기406으로 구성된다.4 illustrates a circuit capable of remotely connecting a switch and a rou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3 in that it monitors the backpressure. In the configuration, the write logic unit 403 for storing data from the switch 202, the PIO 404 for storing data from the write logic unit 403, the read logic 405 for storing data from the PPO 404, and additionally Data from the clock driver 407, the SOC generator 408, the two preflops 409 and 419, the parallel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10, the bottleneck information monitoring unit 411 and the read logic unit 406 and the start cell from the preflop 419 and the And a logical summer 406 for inputting the bottleneck information from the bottleneck information monitoring unit 411 and outputting the logical result to the router 210.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20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피포의 쓰기로직(write logic)403으로 입력되면, 먼저 데이터의 스타트 셀(SOC, Start of cell)을 확인한다. 상기 스타트 셀이 확인되면 다시 다음 헤더를 통하여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파악하고, 유효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스타트 셀부터 피포404에 기록한다. 이때 상기 피포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 헤더를 확인해야 하므로, 2 클럭(clock)동안 입력된 데이터를 쉬프트해서 일단 데이터의 순서를 보장해야 한다. 이렇게 기록된 데이터는 실제로 라우터201로 들어가는 스타트 셀보다 2클럭 전에 SOC생성부 408에서 내부 스타트 셀을 만들어서 피포 읽기로직부405에서 데이터가 읽혀질 시점을 알려준다. 내부 스타트 셀에 동기된 데이터는 다시 상기 읽기로직(Read logic)405에서 라우터202에 대한 여러 정보를 확인한후(헤더로부터 확인) 논리합산기406을 통해 상기 라우터201로 입력된다. 이때 스위치202로부터 입력되는 정보가 많을수록 헤더를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데이터를 쉬프트하는 로직이 필요하다. 또한 헤더를 분석한후의 데이터가 라우터201로 입력되는 데이터와 동기가 맞아야 하기 때문에 내부 스타트 셀보다 2클럭 늦은 스타트 셀을 상기 두 개의 플리플롭(409 및 419)을 통해 만들어 데이터와 함께 라우터201로 입력시킨다. 여기서 상기 라우터201로 입력되어야 할 스타트 셀이 내부 스타트 셀보다 2클럭 늦어야 하는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여기서 2클럭이라는 것은 피포 제어부가 헤더 변환에 걸리는 시간을 2클럭이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내부 스타트 셀보다 2클럭 늦은 스타트 셀을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한 것이다. 실제로 피포 제어부에서 헤더를 변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클럭보다 더 길다면 그만큼 지연된스타트 셀을 만들어야 한다.Referring to FIG. 4, when data received from the switch 202 is input to the write logic 403 of the PPI, a start of cell (SOC) of the data is first checked. When the start cell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is valid through the next head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rt cell is valid, the start cell of the data is recorded in the PPO 404. At this time, since the header must be checked in order to input the data, the order of the data must be guaranteed by shifting the input data for two clocks. The recorded data creates an internal start cell at the SOC generator 408 two clocks before the start cell actually enters the router 201 to indicate when data is to be read from the PPO read logic 405. The data synchronized with the internal start cell is inputted to the router 201 through the logic summer 406 after confirm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router 202 in the read logic 405 (from the header). In this case, the more information input from the switch 202, the more time it takes to analyze the header, it is necessary to logic to shift the data. In addition, since the data after analyzing the header must be synchronized with the data input to the router 201, a start cell 2 clocks later than the internal start cell is created through the two flip-flops 409 and 419 and inputted to the router 201 together with the data. Let's do it. Here, it is not absolute that the start cell to be input to the router 201 should be two clocks later than the internal start cell. Here, "two clocks" assumes that the start cell needs to be two clocks later than the internal start cell because the packet control assumes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header conversion is two clocks. In fact, if the time taken to convert the header in the packet control unit is longer than 2 clocks, a delayed start cell must be created.

여기서, 단순히 상기 피포404로 병복정보(bp_in)를 데이터와 함께 입력시킨다. 이것은 다시말해, 무효한 데이터일 경우 상기 병목정보가 무효한 데이터와 함께 버려질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효한 데이타가 피포 제어부로 입력될 경우, 데이터를 버리는 것과는 무관하게 상기 병목정보(bp_in)를 병목정보 감시부 411로 입력시킨다. 한편, 상기 입력되는 병복정보를 모니터링한 정보를 병복정보 생성부410으로 전달하고, 상기 병복정보 생성부410은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병목정보시그널(bp시그널)을 생성하고, 읽기로직부405에서 병목정보(bo_out)와 비교하여 라우터201로 입력할 병복정보 패턴(bp pattern)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병목정보 패턴은 상기 논리합산기406애서 데이터와 논리합(OR)하여 상기 라우터201로 입력된다.Here, the information simply combined with the data is input to the packet 404.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in the case of invalid data, the bottleneck information can be discarded with the invalid data.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valid data is input to the capturing control unit, the bottleneck information bp_in is input to the bottleneck information monitoring unit 411 regardless of discarding the data.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on monitoring the input bott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ottle inform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10, the bottle inform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410 generates an appropriate bottleneck information signal (bp signal)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the read logic unit 405 Compares the bottleneck information (bo_out) to generate a bottleneck information pattern (bp pattern) to be input to the router 201. The generated bottleneck information pattern is ORed with the data in the logical summer 406 and inputted to the router 201.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라우터201에서 스위치202로 전달되는 병목정보(backpressure)를 제1병목정보(back pressure out(RT->switch, bp out))라 하고, 상기 스위치202에서 상기 라우터201로 전달되는 병목정보를 제2병목정보(back pressure in(switch->RT, bp_in))라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병목정보를 데이터와 분리하여 처리하지 않는 경우 각 우선수신(priority)별 큐(Queue)의 상태를 올바르게 제어할수 없다. 따라서 병목정보와 데이터를 분리하여 처리하여야 한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ttleneck information (back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router 201 to the switch 202 is referred to as first bottleneck information (back pressure out (RT-> switch, bp out)), and the switch 202 to the router 201 The transmitted bottleneck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second bottleneck information (back pressure in (switch-> RT, bp_in)). As mentioned above, when the bottleneck information is not processed separately from the data, it is not possible to correctly control the state of each priority queue. Therefore, bottleneck information and data should be processed separately.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병목정보(bp_in)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블럭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피포의 읽기로직부501에 입력된 제2병목정보는 데이터와 분리되어 데이터와 관계없이 감시부 506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감시부 506내에 구비된 패턴생성부507은 상기 병목정보를 다시 라우터201가 알수 있는 패턴으로 만든후 일정시간동안 래치508를 통해 래치(latch)한다. 이후, 상기 래치된 병목정보 패턴을 bp_start에 맞추어 논리합산기504로 출력하고, 상기 논리합산기504는 상기 병목정보 패턴과 데이터를 논리합하여 라우터201로 전송된다. 이때 bp_start는 피포에 있던 데이터가 읽혀지는 시점을 알려주는 스타트 셀을 이용한다. 여기서, 직렬인(serial) 병목정보는 모든 bp 패턴을 래치할 레지스터가 부족한 이유로 스타트 패턴 1,2를 확인한후 이후 패턴은 마치 큐 레지스터처럼 3비트 데이터로 래치된다. 이후 라우터로 전송되는 데이터와 논리합할 경우 큐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다시 직렬로 변환하여 데이터와 논리합된다.5 illustrates functional blocks for processing second bottleneck information bp_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first, the second bottleneck information input to the reading logic unit 501 of the capo is separated from the data and is input to the monitoring unit 506 irrespective of the data. Then, the pattern generation unit 507 included in the monitoring unit 506 makes the bottleneck information into a pattern again known by the router 201 and latches the latch through the latch 508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after, the latched bottleneck information pattern is output to the logical summer 504 in accordance with bp_start, and the logical summer 504 logically sums the bottleneck information pattern and the data and is transmitted to the router 201. In this case, bp_start uses a start cell indicating the time point at which data in the packet is read. Here, the serial bottleneck information checks the start patterns 1 and 2 because there is not enough register to latch all the bp patterns, and then the pattern is latched with 3-bit data as if it were a cue register. If the data is then ORed with the data transmitted to the router, it is converted to the serial by referring to the queue register and then ORed with the data.

도 6은 제2병목정보에 대한 패턴 생성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상기 도 5의 감시부의 상태 천이를 보여준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611단계에서 제1스타트 패턴이 발생하였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제1스타 패턴이 발생하면 613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613단계에서 제2스타트 패턴이 발생하였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제2스타트 패턴이 발생하면 61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상기 병목정보 패턴의 시작을 알리는 상기 제1 및 제2 스타트 패턴 발생을 검사하면, 615단계 내지 621단계를 통해 병목정보 패턴을 래치하고, 623단계에서 스타트 셀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트 셀이 입력되면 상기 61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6 illustrates a pattern generation process for the second bottleneck information. 6 illustrates a state transition of the monitoring unit of FIG. 5. Referring to FIG. 6, in step 611, it is checked whether a first start pattern has occurred. If the first star pattern occur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13. Otherwise, the process waits. In operation 613, it is checked whether a second start pattern occurs. If the second start pattern occur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15, otherwise, the process waits. When the gen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art patterns indicating the start of the bottleneck information pattern is checked, the bottleneck information pattern is latched through steps 615 to 621 and the start cell is checked in step 623. Here, if the start cell is inpu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611; otherwise, the process wait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병목정보(bp_out)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블럭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병목정보는 이미 언급하였지만 (RT->Switch) 방향의 제어 시그널이다. 기존과 같이 bp_out을 모니터링하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로 입력되는 bp_out을 다시 피포제어부로 입력하여 피포에서 라우터로 입력될 데이터를 홀드(hold)해야 할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bp_out 시그널을 통하여 라우터의 특정 큐의 상태를 알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라우터는 우선순위별 큐가 있으며, 데이터도 큐 별로 관리된다. 따라서 헤더변환 쓰기로직부701에서 데이터의 특정 헤더를 변환하여 데이터가 입력될 큐를 알수 있고, 이때 피포 제어부로 입력된 bp_out은 각 큐의 상태를 알려주게 됨으로서 입력될 데이터를 계속 피포에 홀드하고 있어야 할지, 전송해야 할지를 결정할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생성기707로 입력되는 bp_out 시그널은 직렬로 입력되며, 이러한 직렬 bp_out 정보는 큐 탭 포맷으로 변환되고, 비교기708에서 입력될 데이터의 큐 탭(입력될 데이터의 목적지(destination) 큐 정보를 알수 있다)과 비교하게 된다. 만약 입력될 데이터의 큐가 bp_out을 통하여 현재 병목상태라면 데이터는 피포 내에서 다음 데이터의 입력 시간동안 피포에서 홀드(HOLD)하게 된다. 이때 3비트로 입력되는 큐 탭과 bp_out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직렬로 입력되는 bp_out을 큐 탭 포맷으로 맞추어 주어야 한다. 즉, 3비트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바로 패턴 생성부707에서 수행한다.FIG. 7 illustrates functional blocks for processing first bottleneck information bp_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ttleneck information has already been mentioned but is a control signal in the direction of (RT-> Switch). Bp_out is not monitored as in the prior art, but as shown in FIG. 2, bp_out input to the switch is input to the capture controller again to determine whether to hold data to be input from the capture to the router. Here, the status of a specific queue of the router can be known through the bp_out signal. In general, the router has a queue for each priority, and data is managed for each queue. Therefore, the header conversion write logic unit 701 converts a specific header of the data to know the queue to which the data is to be input.In this case, the bp_out input to the capo control unit informs the status of each queue so that the data to be input must be held in the packet.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send it. At this time, the bp_out signal input to the pattern generator 707 is serially input, and the serial bp_ou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a cue tap format, and the cue tap (destination cue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input) of the data to be input from the comparator 708 is known. It is compared with the If the queue of data to be input is currently the bottleneck through bp_out, the data is held at the target during the next data entry time in the target.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are bp_out with 3 bits input cue tap, serially input bp_out should be set in cue tap format. That is, it must be made in the form of 3-bit data. This operation is immediately performed by the pattern generator 707.

도 8은 제1병목정보에 대한 패턴 생성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의 과정은 상기한 도 6의 과정과 유사하므로 이하 다른 점만 설명한다. 먼저, bp 패턴의 시작을 알리는 패턴 1,2의 연속적인 입력이 된후 각 큐의 상태가 입력되게 된다.각 큐의 상태는 체크된후 각각의 레지스터에 래치(LATCH)되고, 이후 스위치에서 입력된 데이터의 큐 탭과 비교하게 된다. 이러한 각 큐 상태의 래치는 다음 데이터의 시작을 알려주는 스타트셀(soc)이 입력된후 각각의 큐 레지스터는 클리어된다.8 illustrates a pattern generation process for the first bottleneck information. Since the process of FIG. 8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FIG. 6 described above,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status of each cue is input after successive inputs of patterns 1 and 2 indicating the start of the bp pattern. The status of each cue is checked and latched in each register, and then inputted from the switch. This is compared to the queue tab of the data. Each of these queue status latches is cleared after a start cell (soc) is input to indicate the start of the next dat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피포(fifo)를 이용하여 스위치와 라우터를 원거리 접속할시 스위치와 라우터가 주고받는 제어시그널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제어시그널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control signal by monitoring the control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switch and the router when the switch and the router are remotely connected using a fifo in the 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system. .

Claims (6)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에이티엠(ATM)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시그널링 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ignaling processing device between the ATM switch and the router in the ATM system, 순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피포와,Pappo that temporarily stores pure data,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제어시그널은 제어시그널제어부로 전달하고, 순수 데이터는 상기 피포에 저장하는 헤더변환부와,A header conversion unit for analyzing header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data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a control signal control unit, and storing pure data in the packet; 상기 헤더변환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시그널을 분석하여 제어시그널 생성부로 제어정보를 알려주는 상기 제어시그널제어부와,The control signal controller which analyz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header converter and informs control information to a control signal generator; 상기 피포에 데이터를 기록 및 읽는 시점을 제어하는 인에이블 시그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시그널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제어정보를 가지고 내부 제어시그널을 생성하는 제어시그널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nable signal for controlling a time point at which data is written to and read from the packet, and for generating an internal control signal with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signal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시그널은 병목(conges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 signal is a bottleneck.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에이티엠(ATM)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시그널링 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ignaling processing device between the ATM switch and the router in the ATM system,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병목정보는 병목정보 감시부로 전달하고, 순수 데이터는 피포에 기록하는 쓰기로직부와,The write logic unit analyzes the header information from the data received from the switch and transmits the bottleneck information to the bottleneck information monitoring unit, and writes pure data to the packet. 상기 순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상기 피포와,The cov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pure data; 상기 쓰기로직부로부터의 상기 병목정보를 내부 시그널 형태로 변환하여 소정시간 래치하는 상기 병목정보 감시부와,The bottleneck information monitoring unit converting the bottleneck information from the write logic unit into an internal signal form and latching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상기 피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내부 만들어진 스타트 셀에 의해 읽어내는 읽기로직부와,A read logic section for reading the data stored in the packet by the internally made start cell, 상기 읽기로직부로부터의 상기 읽어낸 데이터와 상기 병목정보에 해당하는 내부 시그널을 논리합하여 상기 라우터로 전달하는 논리합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logical adder for logically combining the read data from the read logic unit and an intern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ottleneck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logical signal to the router.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에이티엠(ATM)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시그널링 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signaling processing device between the ATM switch and the router in the ATM system,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피포에 기록하고, 비교기에 전달하는 쓰기로직부와,A write logic unit for analyzing the data hea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witch and recording the data head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ata header information to a comparator; 상기 수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상기 피포와,The cov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received data; 상기 라우터로부터 발생하는 각 큐의 상태를 알려주는 병목정보를 입력하여 내부 시그널 형태로 변환하는 패턴발생기와,A pattern generator for inputting bottleneck information indicating a state of each queue generated from the router and converting the information into an internal signal form; 상기 쓰기로직부로부터의 헤더가 분석된 데이터와 상기 패턴발생기로부터의각 큐의 상태를 알려주는 상기 내부시그널을 비교하며, 만일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 큐가 병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피포에서 데이터를 홀드할수 있도록 제어시그널을 발생하는 상기 비교기와,The header from the write logic unit is analyzed and the internal signal indicating the status of each queue from the pattern generator is compa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tination queue of the data is the bottleneck, the data can be held in the packet. The compa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제어시그널에 의해 상기 피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라우터로 전달하는 상기 읽기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read logic section which reads the data recorded in the packet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mparator and delivers the data to the router.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에이티엠(ATM)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In the signaling processing method between the ATM switch and the router in the ATM system,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병목정보와 순수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과,Classifying bottleneck information and pure data by analyzing header information from data received from the switch; 상기 순수데이터를 피포에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the pure data in a packet; 상기 병목정보를 내부 시그널 형태로 변환하여 소정시간 래치하는 과정과,Converting the bottleneck information into an internal signal and latching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피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내부 만들어진 스타트 셀에 의해 읽어내는 과정과,Reading the data stored in the packet by the internally created start cell, 상기 읽어낸 데이터와 상기 병목정보에 해당하는 내부 시그널을 논리합하여 상기 라우터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logically combining the read data with an intern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ottleneck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result to the router. 에이티엠 시스템에서 에이티엠(ATM) 스위치와 라우터 사이의 시그널링 처리방법에 있어서,In the signaling processing method between the ATM switch and the router in the ATM system,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헤더정보를 분석하여 피포에 저장하는 과정과,Analyzing and storing the data head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witch in a packet; 상기 라우터로부터의 각 큐의 상태를 알려주는 병목정보를 내부 시그널로 변환하는 과정과,Converting the bottleneck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each queue from the router into an internal signal; 상기 헤더 분석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의 목적지 큐 정보와 상기 내부 시그널을 비교하는 과정과,Comparing destination cue information of the data obtained from the header analysis with the internal signal; 상기 비교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목적지 큐가 병목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피포에서 데이터를 소정시간 홀드(hold)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the destination queue of the data is determined to be a bottleneck by the comparison, holding the data in the packet for a predetermined time.
KR1020000047263A 2000-08-16 2000-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KR100334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63A KR100334807B1 (en) 2000-08-16 2000-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63A KR100334807B1 (en) 2000-08-16 2000-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51A true KR20020014151A (en) 2002-02-25
KR100334807B1 KR100334807B1 (en) 2002-05-03

Family

ID=1968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263A KR100334807B1 (en) 2000-08-16 2000-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8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309A (en) * 2002-11-29 200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rface device and its method between different backpressures
KR101386345B1 (en) * 2012-05-30 2014-04-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ath of terminal equipped with the multiple interfaces in wired-wireless converged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309A (en) * 2002-11-29 200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rface device and its method between different backpressures
KR101386345B1 (en) * 2012-05-30 2014-04-1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multipath of terminal equipped with the multiple interfaces in wired-wireless converge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807B1 (en)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9381B1 (en) ATM switching system
KR1003348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signal between atm switch and router
US6823137B2 (en) Optical line protection device and optical line protection method
US6430197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ell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JPH10322352A (en) Data transmitter
JP2824483B2 (en) Switch diagnostic method in ATM exchange
US71674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abnormal control cells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exchange subscriber unit
JPH0290834A (en) Atm channel equipment and atm line terminal equipment
JPH11243402A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measurement of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6185211B1 (en) ATM cell exchange
US6151303A (en) Method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and an ATM switching equipment
US20030058861A1 (en) Subscriber interfacing apparatus of an ATM switching system
KR20010049071A (en) A duplex controlling apparatus between modules in a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655630B2 (en) Alarm display signal generation circuit
KR100248548B1 (en) A creation and capturing circuit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date cell using cubit chip and ali-25c chip
JP2809173B2 (en) ATM circuit non-stop switching circuit
KR100250485B1 (en) High speed packet switching device of frames between nodes
KR100271521B1 (en) Aal1 receiving apparatus for cbr
KR0154490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tm cell in bisdn
KR20000039673A (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buffer control device adapted to utopia interface
KR100271522B1 (en) Aal1 receiving apparatus for cbr
KR20030056300A (en) An interface module for high speed router system
JPS61101142A (en) Data protection circuit
JP2853600B2 (en) Cross connect device
KR200258690Y1 (en) Memory Bus System For Packet Data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