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753A - 정보 열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열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753A
KR20020013753A KR1020010048142A KR20010048142A KR20020013753A KR 20020013753 A KR20020013753 A KR 20020013753A KR 1020010048142 A KR1020010048142 A KR 1020010048142A KR 20010048142 A KR20010048142 A KR 20010048142A KR 20020013753 A KR20020013753 A KR 20020013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ad
display
provider
instruc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3375B1 (ko
Inventor
오이까와도모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1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와 관련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처리부(11)를 통하여, 자동 열람 제어부(15)로부터 지정된 정보 제공처의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 생성부(12)에서는 판독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다음에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정보 기억부(14)에 기억시키고, 제어부(15)에서는 정보 기억부(14)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으로부터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정보 생성부(12)에서는 판독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갱신하게 하고,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한 정보, 및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차례로 표시부(16)에 공급하여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정보 열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열람 장치 및 정보 열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정보의 다운로드를 행하였을 때, 얻어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다음에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자동적으로 판독함과 동시에, 이 판독한 정보에 정보 제공처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이 정보 제공처를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표시하게 하는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열람용 소프트웨어인 브라우저를 동작시켜 정보 제공측에 대해 정보의 송신 요구를 행하게 하고, 공급된 정보를 컴퓨터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공급된 정보를 하드디스크 장치 등에 기억시키고 있다.
또한, 컴퓨터 장치를 조작할 수 없는 사람도,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열람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장치, 또는 텔레비전 장치에 접속되어 열람 기능을 텔레비전 장치에 갖게 할 수 있는 인터넷 접속 장치가 실용화되고있다.
이와 같은 텔레비전 장치나 인터넷 접속 장치에서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이하 '리모콘 장치'라 한다)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지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급된 정보의 표시나 조작 메뉴 표시에 대해서도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텔레비전 장치에서는 방송국측에서 방송된 프로그램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용자가 리모콘 장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화면상의 표시는 자동적으로 갱신된다. 이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공급된 정보의 표시에서는 정보가 1화면분 표시되어 표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인터넷을 통하여 공급된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과 같이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거나, 관련된 정보 제공처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이용자가 화면을 보면서 리모콘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 전환 조작을 행해야만 하므로,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작이 매우 번잡하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와 관련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순차 표시할 수 있는 정보 열람 장치 및 정보 열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정보 열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정보 제공처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넓이 우선 탐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깊이 우선 탐색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정보의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클 때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정보 제공처의 전환을 포함한 정보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미리 읽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파라미터 변경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통신 처리부
12 : 정보 생성부
13 : 데이터 캐시부
14 : 정보 기억부
15 : 자동 열람 제어부
16 : 표시부
17 : 조작부
본 발명에 관한 정보 열람 장치는,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판독 수단과,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다음에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 및 갱신을 행하는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정보 생성 수단에서 생성 및 갱신된 자유 열람 지시 리스트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정보 판독 수단에서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제공처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지시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정보 열람 방법은,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게 하고, 이 판독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다음에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을 행하고,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판독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갱신하게 하고, 상기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한 정보, 및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차례로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보 제공처를 지시하여 정보의 다운로드를 행했을 때, 얻어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 예를 들면 정보 제공처를 표시하는 URL을 판별하고, 이 URL을 이용하여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가 생성된다. 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자동적으로 판독함과 동시에, 이 판독한 정보에 새로운 정보 제공처의 URL이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이URL을 이용하여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갱신을 행하여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시키거나, 또는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를 찾아가게 하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가 생성된다. 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가 판독됨과 동시에, 이 판독된 정보가 표시 수단에 공급되어, 표시 수단에는 관련지워져 있는 정보 제공처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정보의 표시 시에는 정보량에 따라 표시 시간이 설정됨과 동시에,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표시 수단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클 때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부분의 전환이 행해지고, 정보를 모두 표시하고 나서,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이 정보의 표시 기간을 이용하여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여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가 미리 읽기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보 열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정보 열람 장치의 통신 처리부(11)에서는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하여 정보 제공측에 정보의 요구를 행함과 동시에, 정보 제공자측으로부터 공급된 정보를 수취하여 정보 생성부(12)와 데이터 캐시부(14)로 공급한다.
정보 생성부(12)에서는 정보 제공자측으로부터 공급된 정보를 순차 해석하여, 관련지워져 있는 정보 제공처를 판별함과 동시에, 판별된 정보 제공처의 상호 관계를 계층화하여 계층 링크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14)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면, 정보 제공자측으로부터 공급된 정보가 HTML(Hyper Text Make-up Language)을 이용하여 작성된 정보일 때에는, 태그를 이용하여 표시된, 예를 들면 링크측의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를 가리키는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된다. 또한, 정보 기억부(14)에 정보 제공처를 가리키는 정보를 기억할 때에는 각 정보 제공처의 상호관계에 대한 계층 구조를 판별할 수 있도록 기억된다.
또한, 정보 생성부(12)에서는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의 열람 순서를, 후술하는 자동 열람 제어부(15)에서 지정된 탐색 모드에 대응시켜 행하기 위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하여 정보 기억부(14)에 기억시킨다. 또한, 후술하는 표시부(16)에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기간을 이용하여 자동 열람 제어부(15)에 대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 요구를 수행하고, 이 요구에 대하여 정보 제공처로부터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계층 링크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14)에 기억한다. 또한, 이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를 이용하여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함으로써,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얻어 표시와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의 판별 등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관련되어 있는 정보 제공처의 계층 구조를 판별하는 처리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 및 갱신을 선행하여 행할 수 있다.
데이터 캐시부(13)에서는 통신 처리부(11)로부터 공급된 정보를 정보 제공처마다 보유한다. 또, 데이터 캐시부(13)에 보유되어 있는 정보는 어느 곳의 정보 제공처로부터 공급된 정보인지가 자동 열람 제어부(15)에 통지된다. 또한, 데이터 캐시부(13)에 보유되어 있는 정보는 자동 열람 제어부(15)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판독되어 표시부(16)에 공급된다.
정보 기억부(14)에서는 정보 생성부(12)로부터 공급된 계층 링크 정보와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기억한다. 이 계층 링크 정보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새롭게 생성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는 정보의 표시 순서를 설정하기 위해 자동 열람 제어부(15)에 의해 판독된다.
자동 열람 제어부(15)에는 리모트 컨트롤 신호 수신기나 정보 열람 장치에 설치된 조작키로 구성된 조작부(17)가 접속되어 있고, 이용자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나 조작키가 조작되어 조작부(17)로부터 정보 제공처를 가리키는 신호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통신 처리부(11)를 제어하여, 이 정보 제공처에 대하여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또한, 정보 생성부(12)로부터 정보의 미리 읽기의 요구가 행해졌을 때에는 통신 처리부(11)를 제어하여, 미리 읽기의 요구에서 지시된 정보 제공처에 대하여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그리고, 자동 열람 제어부(15)에서는 조작부(17)에 의해 선택된 탐색 모드에서 정보의 열람이 행해지도록 정보 생성부(12)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는 순서로 정보 제공처에 대해 정보의 요구를 행하여, 정보 제공처로부터 공급된 정보를 표시부(16)에 공급함으로써, 정보의 표시를 선택된 탐색 모드로 자동적으로 행한다. 또, 자동 열람 제어부(15)에서는,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가 이미 데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이 데이터 캐시부(13)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부(16)에 공급함으로써 정보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자동 열람 제어부(15)에서는 정보량이나 정보의 표시 사이즈를 판별하여, 표시부(16)에서의 정보의 표시 시간을 정보량에따라 제어하도록 하거나, 표시 사이즈가 표시부(16)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클 때에는 자동적으로 표시부(16)에서의 표시 화상을 이동시켜 모든 정보를 표시시키는 처리도 행한다.
조작부(17)에서는 예를 들면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시 하고, 이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넓이 우선 탐색 모드」와,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를 찾아가고, 이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깊이 우선 탐색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탐색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정보 제공처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련지워져 있는 경우, 「넓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는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시키기 때문에, 정보의 표시 순서가 ○ 기호로 둘러싸인 번호순으로 행해진다. 또한 「깊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는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를 찾아가는 것으로, 정보의 표시 순서가 □ 기호로 둘러싸인 번호순으로 행해진다.
다음에, 「넓이 우선 탐색 모드」 및 「깊이 우선 탐색 모드」일 때에,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는 계층 링크 정보와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 동작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넓이 우선 탐색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최초 정보 제공처의 예를 들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URL-a」를 지정하여 정보의 판독을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다음 정보 제공처인 「URL-b, URL-c, URL-d」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억부(14)의 어드레스 「A1」에 「URL-a」를 기억함과 동시에, 어드레스 「A2~A4」에 「URL-b, URL-c, URL-d」를차례로 기억한다. 또한, 정보 제공처의 관련됨을 판별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A1」에는 「URL-b, URL-c, URL-d」를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A2~A4」를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다음에, 어드레스 「A2」의 「URL-b」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URL-e, URL-f」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이 링크 정보를 정보 기억부(14)에 추가한다. 즉, 어드레스 「A5, A6」에 「URL-e, URL-f」를 기억시킨다. 또한, 어드레스 「A2」에는 「URL-e, URL-f」를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A5, A6」를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또한,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시키고 나서, 어드레스 「A3」의 「URL-c」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URL-g, URL-h」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어드레스 「A7, A8」에 「URL-g, URL-h」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어드레스 「A3」에 어드레스 위치의 데이터「A7, A8」을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또한, 어드레스 「A4」의 「URL-d」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URL-j」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어드레스 「A9」에 「URL-j」를 기억시킴과 동시에, 어드레스 「A3」에 어드레스 위치의 데이터「A9」을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함으로써, 도 3의 A에 도시하는 계층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도시하는 계층 링크 정보는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가 블록화되어 상층부터 하층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층 링크 정보와 동일한 순서로 정보 제공처를 나열함으로써, 도3B에도시한 바와 같은,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시키는 「넓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열람 제어부(15)에서는 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순으로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여 정보의 요구를 행하는 것만으로, 「넓이 우선 탐색 모드」로 정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깊이 우선 탐색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최초에 「URL-a」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URL-b, URL-c, URL-d」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기억부(14)의 어드레스 「A1」에 「URL-a」를 기억함과 동시에, 어드레스 「A2~A4」에 「URL-b, URL-c, URL-d」를 차례로 기억한다. 또한, 깊이 방향의 관련됨을 판별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A1」에는 「URL-b, URL-c, URL-d」를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 「A2~A4」를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다음에, 어드레스 「A2」의 「URL-b」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여, 얻어진 정보에서 「URL-e, URL-f」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어드레스 「A5, A6」에 「URL-e, URL-f」를 기억한다. 또한, 깊이 방향의 관련됨을 판별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A2」에는 「URL-e, URL-f」를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 데이터 「A5, A6」를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URL-b」의 정보에 대한 링크선의 판별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 정보 제공처를 찾은 후, 어드레스 「A5」의 「URL-e」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URL-k, URL-m」이 표시되었을 때에는, 어드레스 「A7, A8」에 「URL-k, URL-m」를 기억한다. 또한, 어드레스 「A5」에는 「URL-k, URL-m」을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의 데이터 「A7, A8」을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다음에, 어드레스 「A5」의 「URL-e」에 관계지워진 어드레스 「A7」의 「URL-k」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다. 이 미리 읽기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서 다음의 링크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5」의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져 있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즉, 어드레스 「A5」의 링크 데이터로서 데이터 「A7, A8」이 기억되어 있고, 어드레스 「A7」의 「URL-k」에 대해서는 정보의 미리 읽기가 이미 행해져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A8」의 「URL-m」을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다.
이 미리 읽기를 통해 얻어진 정보에서 다음의 링크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5」의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져 있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어드레스 「A5」의 링크 데이터로 표시된 어드레스 「A5, A8」의 「URL-k, URL-m」에 대해서는 정보의 미리 읽기가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A5」보다도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2」의 링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져 있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즉, 어드레스 「A2」의 링크 데이터에서는 어드레스 「A5, A6」이 표시되어 있고, 어드레스 「A5」에 관련된 모든 URL에 대해서는 정보의 미리 읽기가 행해져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A6」의 「URL-f」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다.
어드레스 「A6」의 「URL-f」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하고, 얻어진 정보에서 「URL-n, URL-p」가 표시되었을 때에는 어드레스 「A9, A10」에 「URL-n, URL-p」를 기억한다. 또한, 어드레스 「A6」에는 「URL-n, URL-p」를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의 데이터 「A9, A10」을 링크 데이터로서 기억시킨다.
다음에, 어드레스 「A6」의 「URL-f」에 링크하는 어드레스 「A9」의 「URL-n」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다. 이 미리 읽기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서 다음의 링크선이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6」의 링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져 있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즉, 어드레스 「A6」의 링크 데이터에서는 어드레스 「A9, A10」이 표시되어 있고, 어드레스 「A9」의 URL에 대해서는 정보의 미리 읽기가 행해져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A10」의 「URL-p」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다. 이 미리 읽기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서 다음 정보 제공처가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6」의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어드레스 「A6」의 링크 데이터로 표시된 어드레스 「A9, A10」에 대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가 완료되었을 때에는, 어드레스 「A6」보다도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2」의 링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져 있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어드레스 「A2」의 링크 데이터에서는 어드레스 「A5, A6」이 표시되어 있고, 어드레스 「A5, A6」에 관련된 모든 URL에 대해서는 정보의 미리 읽기가 행해져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A2」보다도 하나 위의 계층인 어드레스 「A1」의 링크 데이터를 참조하여,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지 않은 정보 제공처를 판별한다. 즉, 어드레스 「A1」의 링크 데이터로서 어드레스 「A2, A3, A4」가 표시되어 있고, 어드레스 「A2」에 관련된 모든 URL에 대해서는 정보의 미리 읽기가 행해져 있기 때문에, 어드레스 「A3」의 「URL-c」를 지정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함으로써, 도 4의 A에 도시하는 계층 링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미리 읽기를 행한 순서로 정보 제공처를 나열함으로써,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 정보 제공처를 찾아가는 「깊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열람 제어부(15)에서는 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순으로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여 정보의 요구를 행하는 것만으로, 「깊이 우선 탐색 모드」로 정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계층 링크 정보에서는 정보 제공처가 계층 구조를 판별하기 위한 링크 데이터와 함께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이 「넓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 생성된 계층 링크 정보로부터 「깊이 우선 탐색 모드」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깊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 생성된 계층 링크 정보로부터 「넓이 우선 탐색 모드」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기억한 어드레스 위치를 링크 데이터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관련된 상층 혹은 하층의 정보 제공처의 URL을 링크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생성된 자유 열람 지시 리스트를 이용한 정보의 표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T1에서는 조작부(17)로부터 최초의 정보 제공처가 지정되면, 지정된 정보 제공처에 대하여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또,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가 이미 데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데이터 캐시부(13)로부터 요구에 대응하는 정보를 판독하여 단계 ST2로 진행한다.
단계 ST2에서는, 정보 제공처로부터 통신 처리부(11)를 통하여 공급된 정보나 데이터 캐시부(13)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표시부(16)에 공급하여, 정보의 표시를 개시하고 단계 ST3으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T3에서는 정보의 표시를 소정 시간 또는 표시하는 정보량이 많더라도 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량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유지한 후 단계 ST4로 진행한다.
그런데, 자동 정보 열람 동작을 행할 경우, 표시부(16)에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사이즈는 표시부(16)의 화면 사이즈와 같은 사이즈로 한정되지 않고, 표시부(16)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큰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표시 화상을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정보가 표시부(16)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250 픽셀(세로)×100 픽셀(가로)이며, 동시에 표시부(16)에서의 화면 사이즈가 100 픽셀×100 픽셀인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6)에서의 표시 화면의 좌표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를 X축으로 세로를 Y축으로 했을 때, 좌상이 [0, 0]이고 좌하가 [100, 100]이 된다. 이 화면상에 정보의 최초 100 픽셀×100 픽셀을 표시한다. 그 후, 최초에 표시한 정보의 좌하 Y축의 좌표값(이하 「Y축값」이라 한다)이 (100)이었기 때문에, 화면상의 위치 [0, 0]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들면 Y축값을, 다음의 Y축값 (101)로 전환하게 하면, 표시 화면 단위로 화상이 이동되어, 페이지 전환과 같이 하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상의 위치 [0, 0]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들면 Y축값을 증가시키게 하면, 화면상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방향으로 스크롤되어, 최초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정보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순차적으로 화면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그 후, 표시할 정보의 최하단 Y축값 (250)이 표시 화면의 Y축값 [100]의 위치가 될 때, 혹은 표시할 정보의 최하단 Y축값 (250)이 표시 화면의 Y축값 [100]보다도 작아질 때에는,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할 정보의 최하단 Y축값 (250)을 표시 화면의 Y축값 [100]의 위치로 설정하여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화면상에는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가 없는 부분이 표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정보의 마지막까지 표시를 행했을 때에는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공급된 정보의 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처 「URL-a」로부터의 정보를 최후까지 표시했을 때에는, 이 정보 제공처의 「URL-e」로부터의 정보로 바꾸어 다음 정보 제공처 「URL-b」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6)에서의 표시의 전환은 1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 혹은 표시하고 있는 폰트 수나 화상 수, 크기를 파라미터로 하여, 예를 들면 폰트 수가 많으면 표시 내용을 독해하는데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1화면의표시 시간을 길게 하는 등, 정보량에 따른 표시 시간으로 하고, 이 표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적으로 페이지 전환을 행하게 한다. 그 후, 정보의 최하단까지 표시가 종료했을 때에는 관련되어 있는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공급된 정보의 표시로 전환하게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부(16)에서 정보의 표시를 행함과 동시에, 이 정보의 표시가 유지되고 있는 기간을 이용하여, 계층 링크 정보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 및 갱신하기 위한 미리 읽기 처리를 행하여, 다음에 표시하는 정보의 정보 제공처를 미리 판별한다. 또, 계층 링크 정보나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한 미리 읽기 처리에서는 데이터량이 큰 화상 등의 데이터를 제외하고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관련된 정보 제공처의 판별을 신속하게 완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정보를 판독하게 하면, 표시될 정보가 다음 정보 제공처로 전환되었을 때, 신속하게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도 8은 미리 읽기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T11에서는 최초의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한 정보의 내용을 판별하여, 관련지워져 있는 정보 제공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된 정보 제공처를 상술한 바와 같이 계층 링크 정보로서 정보 기억부(14)에 기억하여 단계 ST12로 진행한다.
단계 ST12에서는 기억된 정보 제공처를 이용하여 정보의 열람 순서를 나타내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순차 갱신한다. 또한, 표시부(16)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제공한 정보 제공처가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다음에 열람을 행할 정보의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미리 읽기 처리를 종료한다.
도 5의 단계 ST4에서는 종료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정보의 열람을 종료시키는 조작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5로 진행한다.
단계 ST5에서는 정보의 열람을 중단시키는 중단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조작부(17)가 조작되어 중단 처리가 행해졌을 때에는 단계 ST6으로 진행하고, 중단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7로 진행한다.
단계 ST6에서는 중단된 열람 동작을 재개시키는 재개 동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재개 동작이 행해졌다고 판단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6로 복귀하고, 재개 동작이 행해진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에는 단계 ST7로 진행한다.
단계 ST7에서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여 다음 정보 제공처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다음 정보 제공처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단계 ST8로 진행한다.
단계 ST8에서는 설정되어 있는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할 정보가 데이터 캐시부(1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미리 읽기 처리에 의해 화상이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의 판독이 행해지고, 이 판독된 정보가 데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단계 ST9로 진행한다. 또한 원하는 정보가 데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별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1로 복귀하여, 다음 정보 제공처에 대하여 정보의 요구를 행한다.
단계 ST8에서 단계 ST9로 진행하면, 단계 ST9에서는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가 이미 입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여 이 정보가 데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던 정보 제공처에 이어지는 새로운 정보 제공처를, 다음 정보 제공처로 설정하여 단계 ST2로 복귀하고, 데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던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의 표시를 개시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B에 도시한 정보 제공처 「URL-f」로부터 공급된 정보의 열람이 종료했을 때, 다음 정보 제공처 「URL-g」로부터 판독할 정보가 테이터 캐시부(13)에 기억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8에서 단계 ST1로 진행하여, 정보 제공처 「URL-g」에 대하여 정보의 요구가 행해진다. 또한, 정보 제공처 「URL-g」로부터 판독할 정보가 데이터 캐시부(13)에 이미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단계 ST8에서 단계 ST9으로 진행하고, 정보 제공처 「URL-g」에 이어지는 정보 제공처는 「URL-h」로 설정되어 단계 ST2로 복귀하여, 정보 제공처 「URL-g」로부터의 정보가 표시부(16)에 표시된다.
또한, 단계 ST4에서 종료 조작이 행해졌을 때, 혹은 관련된 모든 정보 제공처에 대하여 정보의 표시가 완료하고, 다음 정보 제공처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단계 ST7에서 판별되었을 때에는 정보의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최초의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면, 관련된 정보 제공처가 자동적으로 검출됨과 동시에, 검출된 정보 제공처가 검색 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순위가 매겨져, 정보가 탐색 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표시된다. 이 때문에, 리모콘 장치 등을 조작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갱신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자동적으로 순차 표시되기 때문에, 텔레비전 장치와 마찬가지로정보를 간단하게 열람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자동 정보 열람 동작에서는 설정된 탐색 모드에서 정보를 소정 시간 표시하게 하였지만, 탐색 모드의 전환이나 표시되는 정보량이 많을 때에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9는 자동 정보 열람 동작의 파라미터 변경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T21에서는 탐색 모드의 변경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넓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 「깊이 우선 탐색 모드」로, 혹은 「깊이 우선 탐색 모드」에서 「넓이 우선 탐색 모드」로 변경이 행해진 경우에는 단계 ST22로 진행하여 탐색 모드를 임시 변경하고 단계 ST23으로 진행한다. 또한, 변경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21에서 단계 ST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T23에서는 표시 시간 간격의 변경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표시 시간 간격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정보 내용의 확인 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 표시 시간 간격을 길게 하는 변경이 행해졌을 때에는 단계 ST24로 진행하여 표시 시간 간격을 임시 변경하고 단계 ST25로 진행한다. 또한, 표시 시간 간격의 변경이 행해져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T24에서 단계 ST25로 진행한다.
단계 ST25에서는 탐색 모드의 변경이나 표시 시간 간격의 변경을 확정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변경을 확정하지 않을 때에는 임시 변경된 탐색 모드나 표시 시간 간격을 변경 전으로 복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변경을 확정할 때에는 단계 ST26으로 진행하여 임시 변경 내용으로 탐색 모드나 표시 시간 간격을 다시 설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 탐색 모드가 도중에 변경되었을때에는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된 계층 링크 정보는, 정보 제공처뿐만 아니라 계층 구조를 판별할 수 있도록 링크 데이터도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탐색 모드가 도중에 변경되어도 계층 링크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 후의 탐색 모드에 따른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관련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순차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 장치 등의 조작을 알지 못하더라도 간편하게 여러 가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정보를 순차적으로 요구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더라도 텔레비전 장치와 같이 자동적으로 수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온라인 처리 즉 통신 처리부(11)를 통하여 정보 제공처에 정보의 요구를 행하게 하였지만, 온라인 처리, 즉 정보 열람 장치에 접속된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 등의 기억 장치에 관련지워져 기억되어 있는 정보도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자동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했을 때에, 관련된 정보 제공처가 판별되어, 다음에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가 생성됨과 동시에,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가 판독되고, 판독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가 판별되어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가 갱신된다. 또한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한 정보, 및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가 차례로 표시된다. 이 때문에, 최초의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관련된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으로 텔레비전 장치와 같이 정보를 자동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표시 시간은 정보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기 때문에, 정보량이 많은 경우에도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표시 수단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크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부분의 전환이 행해지고, 정보를 모두 표시하고 나서,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정보가 누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표시 기간을 이용하여,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여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가 미리 읽기되기 때문에,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갱신을 선행하여 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정보 열람 장치에 있어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고, 다음에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 및 갱신을 행하는 정보 생성 수단과,
    상기 정보 생성 수단에서 생성 및 갱신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정보 판독 수단에서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지시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 수단에서는,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적으로 하거나, 또는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를 찾아가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 및 갱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는, 상기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의 정보량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상기 정보의 표시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상기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크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표시 수단에서 표시되는 상기 정보의 표시 부분의 전환을 행하고, 상기 정보를 모두 상기 표시 수단에서 표시한 후,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에서의 상기 정보의 표시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판독 수단을 제어하고,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미리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장치.
  6. 정보 열람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다음에 정보를 판독할 정보 제공처를 지정하기 위한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을 행하는단계와,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판독함과 동시에, 판독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 제공처를 판별하여,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한 정보 및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차례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의 생성 및 갱신은, 동일 계층의 정보 제공처를 우선적으로 하거나, 계층의 깊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를 찾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한 정보, 및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제공처로부터 판독된 정보의 표시 시간은 정보량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표시 사이즈가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크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의 표시 부분의 전환을 행하고, 상기 정보를 모두 표시한 후,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표시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자동 열람 지시 리스트에 기초하여, 다음 정보 제공처로부터 정보를 미리 읽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열람 방법.
KR1020010048142A 2000-08-11 2001-08-10 정보 열람 장치 및 방법 KR100823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4698A JP2002055871A (ja) 2000-08-11 2000-08-11 情報閲覧装置および情報閲覧方法
JPJP-P-2000-00244698 2000-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753A true KR20020013753A (ko) 2002-02-21
KR100823375B1 KR100823375B1 (ko) 2008-04-17

Family

ID=1873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42A KR100823375B1 (ko) 2000-08-11 2001-08-10 정보 열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85930B2 (ko)
JP (1) JP2002055871A (ko)
KR (1) KR100823375B1 (ko)
CN (1) CN11693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08859A4 (en) * 2002-05-30 2006-11-29 Sony Corp ELECTRONIC EQUIPMENT, PAGE DISPLAY PROCEDUR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037527B2 (en) 2004-11-08 2011-10-11 Bt Web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ook-ahead security scanning
US7840911B2 (en) * 2004-09-27 2010-11-23 Scott Milener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browsing
US8327440B2 (en) 2004-11-08 2012-12-04 Bt Web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browsing with security scanning
US20060074984A1 (en) * 2004-09-27 2006-04-06 Scott Milener Graphical tree depicting search or browsing history
US20060069617A1 (en) * 2004-09-27 2006-03-30 Scott Milen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efetching electronic data for enhanced browsing
US8732610B2 (en) 2004-11-10 2014-05-20 Bt Web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browsing, using icons to indicate status of content and/or content retrieval
US20060143568A1 (en) * 2004-11-10 2006-06-29 Scott Milener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browsing
JP5872753B2 (ja) * 2009-05-01 2016-03-01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装置、電子機器、電子書籍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電子書籍提供方法、電子機器の電子書籍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69832B2 (en) * 2009-11-03 2013-06-25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Sw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infant holding device
US9098407B2 (en) * 2010-10-25 2015-08-04 Inkling Systems, Inc. Methods for automatically retrieving electronic media content items from a server based upon a reading list and facilitating presentation of media objects of the electronic media content items in sequences not constrained by an original order thereof
US8358149B2 (en) 2010-10-29 2013-0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gnetic logic gate
US8358154B2 (en) 2010-10-29 2013-01-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gnetic logic gate
US8374020B2 (en) 2010-10-29 2013-02-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duced switching-energy magnetic elements
US8427199B2 (en) 2010-10-29 2013-04-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agnetic logic gate
CN102736886A (zh) * 2011-04-12 2012-10-17 德信互动科技(北京)有限公司 视觉辅助系统
US8427197B2 (en) 2011-06-15 2013-04-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figurable reference circuit for logic gates
US20130007609A1 (en) * 2011-06-30 2013-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straint based reading recommendation
CN104298670B (zh) * 2013-07-16 2019-08-23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进行层级式数据读取的方法及装置
JP6494879B2 (ja) * 2016-10-19 2019-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325B1 (ko) * 1994-11-15 1998-10-15 양승택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의 자동표현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3826415B2 (ja) * 1995-09-05 2006-09-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受信装置
US6034689A (en) * 1996-06-03 2000-03-07 Webtv Networks, Inc. Web browser allowing navigation between hypertext objects using remote control
EP0945811B1 (en) * 1996-10-23 2003-01-22 Access Co., Ltd. Information apparatus having automatic web reading function
JPH1196181A (ja) * 1997-09-25 1999-04-09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Wwwにおけるアクセス画面遷移管理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H11143674A (ja) * 1997-11-05 1999-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ページ表示装置及び自動ページ表示方法
JP2000003369A (ja) * 1998-06-16 2000-01-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シナリオ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リソース表示装置および方法とシナリオ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リソース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456305B1 (en) * 1999-03-18 2002-09-2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fitting a graphical display of objects to the dimensions of a display window
US6674439B1 (en) * 1999-05-13 2004-01-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KR100336924B1 (ko) * 2000-05-12 2002-05-16 권형규 인터넷 사용시 데이터 및 화면의 자동 스크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85930B2 (en) 2006-01-10
US20020030697A1 (en) 2002-03-14
KR100823375B1 (ko) 2008-04-17
CN1169331C (zh) 2004-09-29
JP2002055871A (ja) 2002-02-20
CN1339904A (zh) 200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375B1 (ko) 정보 열람 장치 및 방법
US6133916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access to files downloaded over a network
JP3098546B2 (ja) 自動ウェブ閲覧機能を有する情報機器
US7873468B2 (en) Vehicle-mounted apparatus
US73833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navigating a linear hypermedia resource program
KR100353585B1 (ko) 표시 제어 정보 생성 방법 및 컴퓨터
US20070234206A1 (en) Frame Page Displaying Method, Frame Page Displaying Device, and Program
US20020124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eb documents using multi-browse function
US20110154186A1 (en) Method, program and terminal device for rendering web page
JP2004513434A (ja) 表示方法および装置
WO2006120493A1 (en) User-defined changing of page representations
JP2004054435A (ja) ハイパーメディア情報提示方法、ハイパーメディア情報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ハイパーメディア情報提示装置
US6829619B1 (e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JP2007226597A (ja) 画像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H10293793A (ja) ショッピング端末装置と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装置
JP2006166284A (ja) コンテンツ閲覧方式、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閲覧装置
JP5165628B2 (ja) コンテンツ表示端末、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配信サーバ
US20010008399A1 (en) Device for presenting information units
KR100417010B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url 설정 및 브라우징 방법
JP2002269090A (ja) インターネット上の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リンク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50045028A (ko) Url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터넷 텔레비젼
JP2006092046A (ja) 文書表示装置、文書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91859A (ja) 記録媒体,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60124471A (ko) 하이퍼링크들 사이에서 네비게이션하는 방법
JP2007102508A (ja) Wwwブラウザにおけるユーザ判定重視型キャッシュ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