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986A -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986A
KR20020012986A KR1020000046294A KR20000046294A KR20020012986A KR 20020012986 A KR20020012986 A KR 20020012986A KR 1020000046294 A KR1020000046294 A KR 1020000046294A KR 20000046294 A KR20000046294 A KR 20000046294A KR 20020012986 A KR20020012986 A KR 20020012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toring
string
short messag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559B1 (ko
Inventor
윤영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559B1/ko
Priority to US09/813,237 priority patent/US20020019251A1/en
Priority to EP01118034A priority patent/EP1179948A3/en
Publication of KR2002001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표시된 메시지의 일부 문자열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전화기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와, 표시된 단문 메시지 중 원하는 일부 문자열을 선택하는 단계와, 이동 전화기가 선택된 문자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수신된 정보의 재사용 및 재가공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METHOD FOR STORING SELECTIVELY DISPLAYED MESSAG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 전화기(Mobile Phon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표시된 메시지의 일부 문자열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셀룰러 이동전화 시스템은 이동 교환국과 연결된 메시지 센터에 의하여 이동 전화기에게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라고 불리는 짧은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여 미리 정해진 제한된 길이의 메시지를 전화기와 전화기간 또는 전화기와 웹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전화기는 단문 메시지를수신하여 시각적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뿐만 아니라 키패드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전체를 저장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실제로 사용자는 이동 전화기로 수신되어 표시된 메시지 중 필요한 일부 단어나 정보만을 가공하여 저장할 필요성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 발신자의 이름이나 연락처,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은 여행 정보 중 숙박지의 전화번호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전화기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사용자에 의한 재가공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단문 메시지의 선택적 저장이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정보를 잊어버리기가 쉬웠다. 게다가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문 메시지 전체를 저장하여야 하는데 이동 전화기의 메모리 용량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되는 정보의 양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전화기 표시문자열의 일부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의 실시예는,
이동 전화기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단문 메시지 중 원하는 일부 문자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기가 상기 선택된 문자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전화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단계(s200)와 단계(s300)를 나타낸 상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표시된 단문 메시지의 일부 문자열(string)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전화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전화기(10)는 기지국과 이동 교환국 및 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전화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하는 송신기(11)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12)와, 송수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기(13)를 포함한다. 제어기(13)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11)와 수신기(12)를 제어하여 이동 전화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단문 메시지를 주고받는 등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동 전화기의 스피커(14)와 마이크(15)를 통해 음성 통화를 수행하거나, 시각적 표시장치(16)와 키패드(17)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수신기(1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등에 의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단문 메시지는 시각적 표시장치(16)에 표시된다. 여기서 시각적 표시장치(16)는 액정화면(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용량의 버퍼를 포함하여 표시되는 단문 메시지를 일시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는 키패드를 조작하여 시각적 표시장치(16)에 표시된 단문 메시지 중 일부 문자열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문자열은 제어기(13)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버퍼로부터 리드되어 메모리(18)에 저장된다. 메모리(18)는 이동 전화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시스템 파라미터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하여 공유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메모리(18)의 일부 영역이 문자열의 저장을 위하여 할당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00)에서 이동 전화기(10)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시각적 표시장치(16)에 표시되면, 단계(s200)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단문 메시지 중 원하는 일부 문자열을 키패드(170)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단계(s300)에서 이동 전화기(10)의 제어기(13)는 상기 선택된 문자열을 메모리(18)의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할당된 저장영역은 환형 큐(Circular Queu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 큐는 다수개의 문자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개의 소형 저장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저장영역의 크기나 저장영역의 개수는 이동 전화기의 설계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18)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어 이동 전화기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저장된 문자열이 삭제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서 단문 메시지의 원하는 일부 문자열을 선택하는 단계(s200) 및 선택된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계(s300)를 나타낸 상세 흐름도로서, 이러한 동작은 제어기(13)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전화기(10)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시각적 표시장치(16)에 표시되면 제어기(13)는 표시된 메시지의 최좌측 최상단의 첫글자에 커서(cursor)를 위치시킨다.(s210)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커서위치의 초기화라고 정의한다. 커서위치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어기(13)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기다린다. 사용자가 키패드(17)를 이용하여 키를 입력하면 제어기(13)는 해당 입력키를 분석한다.(s220)
입력키가 위/아래/좌/우 방향키이면,(s230) 제어기(13)는 입력된 방향키에 대응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고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린다.(s235) 상기 방향키는 키패드(17)의 번호키를 활용하여 위("2"번키)/아래("8"번키)/좌("4"번키)/우("6"번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키가 블럭 시작키이면,(s240) 제어기(13)는 현재의 커서위치를 저장될 문자열의 시작위치로서 저장하고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린다.(s245) 상기 블럭 시작키는 키패드(17)의 "RCL"키, "검색"키 등이 될 수 있다.
입력키가 취소키이면,(s250) 제어기(13)는 기 저장된 시작위치를 삭제하고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린다.(s255) 상기 취소키는 키패드(17)의 "CLR"키, "삭제"키 등이 될 수 있다.
입력키가 블럭 저장키이면,(s260) 제어기(13)는 현재의 커서위치를 저장될 문자열의 마지막위치로 간주하여 시작위치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s265) 시작위치가 저장되어 있으면 현재의 커서위치가 시작위치 이후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270) 이는 현재의 커서위치(마지막위치)가 시작위치 이전에 있는 경우 저장될 문자열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의 커서위치가 시작위치 이후에 있으면, 제어기(13)는 시각적 표시장치(16)에 표시되어 있는 전체 메시지 가운데 저장된 시작위치로부터 현재의 커서위치까지의 문자열을 시각적 표시장치(16)의 버퍼로부터 리드하여 메모리(18)의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s310) 선택된 문자열의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문자 또는 음성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320) 상기 블럭 저장키는 키패드(17)의 "STO"키, "저장"키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문자열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메모리(18)로부터 리드되어 시각적 표시장치(16)에 다시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 일부 문자열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된 정보의 재사용 및 재가공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필요한 소량의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량이 큰 정보를 저장하기가 불리한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 전화기의 표시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 전화기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가 이동 전화기의 시각적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단문 메시지 중 원하는 일부 문자열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기가 상기 선택된 문자열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된 단문 메시지의 최좌측 최상단의 첫글자에 커서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저장하고자 하는 문자열의 시작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커서를 이동시켜 저장하고자 하는 문자열의 마지막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시작위치로부터 마지막위치까지의 문자열을 상기 시각적 표시장치의 버퍼로부터 리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리드된 문자열을 이동 전화기 메모리의 미리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저장영역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지며 각각 하나의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는 다수의 소형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환형 큐로 구성되는, 이동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이동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KR1020000046294A 2000-08-10 2000-08-10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KR10036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294A KR100362559B1 (ko) 2000-08-10 2000-08-10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US09/813,237 US20020019251A1 (en) 2000-08-10 2001-03-20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EP01118034A EP1179948A3 (en) 2000-08-10 2001-07-25 Method of selectively storing display message in a mobi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294A KR100362559B1 (ko) 2000-08-10 2000-08-10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986A true KR20020012986A (ko) 2002-02-20
KR100362559B1 KR100362559B1 (ko) 2002-11-27

Family

ID=1968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294A KR100362559B1 (ko) 2000-08-10 2000-08-10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019251A1 (ko)
EP (1) EP1179948A3 (ko)
KR (1) KR100362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3235B2 (ja) * 2000-12-29 2005-11-09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機のメッセージディスプレイ方法
GB2396940A (en) * 2002-12-31 2004-07-07 Nokia Corp A predictive text editor utilising words from received text messages
KR100537858B1 (ko) * 2003-10-11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내용을 폰북에 저장하기위한 방법
CN101777067B (zh) * 2009-12-31 2012-03-28 优视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通讯设备终端的网页内容识别管理系统
CN104243676B (zh) * 2013-06-21 2016-06-0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会话移动方法及短信移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1987B (en) * 1995-06-05 2000-01-12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text transmission system
US6021325A (en) * 1997-03-10 2000-02-01 Ericsson Inc. Mobile telephone having continuous recording capability
US6275569B1 (en) * 1997-10-02 2001-08-14 Lucent Technologies, Inc. Circular memory addressing option for audio messages
CA2314260A1 (en) * 1997-12-19 1999-07-01 John C. Alkire Hand hel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lated system
FR2779608B1 (fr) * 1998-06-08 2000-07-13 Alsthom Cge Alcatel Appareil de radiocommunication programme pour une saisie automatique de donnees d'un repertoire
JP2000175237A (ja) * 1998-12-04 2000-06-23 Nec Shizuoka Ltd 無線通信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473621B1 (en) * 1999-05-28 2002-10-29 Nok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shortcut messages
KR20010092600A (ko) * 2000-03-22 2001-10-26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559B1 (ko) 2002-11-27
US20020019251A1 (en) 2002-02-14
EP1179948A2 (en) 2002-02-13
EP1179948A3 (en)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6529B2 (en)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681026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graphic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portable radio terminal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US6292668B1 (en)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KR20000013272A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의 개선된 단문메시지 발신 방법
KR20070029009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보장치 및 방법
US7123903B2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EP1231798A2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62559B1 (ko) 이동 전화기 표시메시지의 선택적 저장방법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20040203661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eiver situation mode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JP2001157264A (ja) 無線通信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自動機能設定方法
JP2002218535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AU3682099A (en) Mobile tele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40023148A (ko) 휴대폰 바탕화면의 대기모드에서의 문자메시지 표시방법
KR20000060798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JP2005354274A (ja) 携帯型情報機器およびテレビ電話自動応答方法
KR200294780Y1 (ko) 수신된 데이터를 대기 모드에서 보여주는 이동 통신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JPH11351903A (ja) 簡易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JP2000092192A (ja) 携帯形通信端末装置
KR1006550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합 문자편집 방법
KR100353444B1 (ko) 이동 전화기의 안내 메시지 변경방법
KR200200480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