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8016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016A
KR20020048016A KR1020000077258A KR20000077258A KR20020048016A KR 20020048016 A KR20020048016 A KR 20020048016A KR 1020000077258 A KR1020000077258 A KR 1020000077258A KR 20000077258 A KR20000077258 A KR 20000077258A KR 20020048016 A KR20020048016 A KR 20020048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editing
message
user
short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명
Original Assignee
권순명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명,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순명
Priority to KR102000007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016A/ko
Publication of KR2002004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0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한 단어 또는 문장(단축 메시지)을 편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a);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사용자가 상기 단계(a)에서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불러올 것을 요청하면, 상기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편집 중인 단문 메시지에 입력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르면, 자주 쓰이는 단어 또는 문장을 저장하였다가 단문 메시지 편집 시 불러올 수 있으므로, 단문 메시지 편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주 쓰이는 단어 또는 문장을 각 편집 영역별로 저장하므로 원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쉽게 검색하여 메시지 편집 시 입력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특정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해서는 단축키를 지정하여 별도의 검색 작업 없이 미리 저장한 특정의 단어 또는 문장을 불러와 편집 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Method for Edi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시지 편집 시 자주 쓰이는 단어 또는 문장을 미리 저장해놓고 필요한 경우 저장한 단어 또는 문장을 불러와서 입력하도록 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고정망에서의 메시지를 이동통신망 내의 처리장치에 일단 저장한 다음 디지털 메시지 형태로 변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도 1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 요소간의 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망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11), 기지국(12),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13) 및 단문 메시지 센터(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단문 메시지 센터(14)는 이동통신 교환기(13)에 연결되어 단문 메시지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을 담당한다. 이동통신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려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단문 메시지를 편집하면, 편집한 메시지는 가입자 단말기가 속한 셀(Cell)의 기지국(12)으로 전송된다. 기지국(12)은 상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기(13)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교환기(13)는 수신한 신호가 단문 메시지임을 파악하여, 이를 단문 메시지 센터(14)로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센터(14)는 수신할 단말기가 현재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수신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없는 경우(예를 들어 단말기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화권을 이탈한 경우), 이를 저장하였다가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전송한다.
상기한 단문 메시지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편집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키로 10개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메시지 입력 시 반복해서 키를 입력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 ??, ??을 입력하려면 모두 1번키를 사용하고, 특히 ??을 입력하려면 1번키를 세 번 눌러야 하므로 단문 메시지 편집에 익숙하지 않으면 간단한 단문 메시지 편집을 위해서도 상당한 시간을 소모하여야 한다. 특히 단문 메시지 편집 시에 자주 쓰이는 단어나 문자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일일이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여야 하며, 이를 손쉽게 편집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에 대해서는 현재 제안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주 쓰이는 단어나 문장을 미리 저장하고,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이를 불러와서 메시지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 요소간의 망 구성도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라 단문 메시지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편집·저장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편집·저장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은 특정한 단어 또는 문장(단축 메시지)을 편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a);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사용자가 상기 단계(a)에서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불러올 것을 요청하면, 상기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편집 중인 단문 메시지에 입력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a)의 단축 메시지 편집 및 저장 단계는, 사용자가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새 편집 영역 설정 메뉴, 편집 영역 이름 변경 메뉴, 편집 영역 삭제 메뉴, 편집 영역에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의 4개의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새 편집 영역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새로운 편집 영역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새 편집 영역의 이름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 이름 변경 메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에 따라 편집 영역의 이름을 변경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 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해당 편집 영역 및 편집 영역에 저장된 단축 메시지들을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에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해당 편집 영역에 사용자가 입력, 변경, 수정한 단축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a)의 단축 메시지 편집 및 저장 단계는, 사용자가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단축 메시지 및 단축 메시지와 연결할 단축키를 입력받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b)의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저장한 단축 메시지 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 중인 경우, 사용자의 기능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사용자가 기능키를 입력할 경우, 저장된 각 편집 영역을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특정 편집 영역을 선택할 경우, 선택한 편집 영역에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중 하나를 선택하면,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로 회귀하여 선택한 단축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b)의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저장한 단축 메시지 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 중인 경우, 사용자의 단축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사용자가 기 설정한 특정 단축키를 누를 경우, 상기 단축키와 연결되어 저장된 단축 메시지를 편집 중인 단문 메시지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단계(b)에서 사용자가 불러오는 단축 메시지의 횟수를 기록하여, 자주 사용하는 단축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따라 단문 메시지 편집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20), 제어부(21), 통신 블록(22), RF(Radio Frequency) 회로(23), 표시부(24) 및 메모리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5)는 단축키 지정 영역(26), 제1 편집영역....제N 편집영역(27), 우선 순위 저장 영역(28)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한 가입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이를 단말기 내부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입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을 위해 문자 메시지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명령의 인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에서 하게 되는 것이다.
메모리부(25)는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구동 프로그램 및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쓰게 되는 단어나 문장(이하 '단축 메시지'라 함)을 메모리부(25)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여러 영역들은 이러한 단축 메시지에 관계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영역이다.
단축키 지정 영역(26)은 사용자가 특정 단축 메시지에 대해 단축키를 지정하였을 경우 각 단축키와 연결되는 단축 메시지들이 저장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사용자는 정의된 특정 단축키를 누름으로써 미리 저장된 단축 메시지가 편집화면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축키와 연결된 단축 메시지들이 단축키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이다.
제1 편집 영역부터 제N 편집 영역(27)에는 각 편집 영역별로 단축 메시지들이 저장된다. 상기 단축키를 통해 미리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불러올 경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주 쓰이는 단축 메시지들을 일정 영역별로 저장하여 놓고,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이를 불러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낼 때 '안녕'이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면 친구라는 편집 영역을 만들어서 그 편집 영역에 '안녕'이라는 단축 메시지를 저장하고, 친구에게 단문 메시지를 보낼 때 이를 불러와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편집 영역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여러 개를 만들 수 있으며, 각 편집 영역에 맞는 단축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고, 편집 영역의 이름 및 저장된 단축 메시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편집 영역별로 단축 메시지를 저장하게 되면, 단축키를 지정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단축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지정한 단축키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에 이를 보완할 수 있으며, 편집 영역별로 단축 메시지를 저장하므로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쉽게 찾을 수가 있다. 여러개의 편집 영역별로 저장된 단축 메시지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기 정의된 특정한 기능키를 눌러 편집 영역별로 저장된 단축 메시지들을 보여주는 모드로 넘어가고, 이 중에서 원하는 단축 메시지를 선택하면, 선택한 단축 메시지가 편집 중인 단문 메시지에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우선 순위 저장영역(28)에는 사용자가 저장한 단축 메시지들이 사용되는 빈도를 체크하여 자주 사용되는 단축 메시지들의 순위가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 도중 특정 기능키를 누르면 상기 저장된 편집 영역에 관계없이 우선 순위가 높은 단축 메시지를 표시부(24)에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한 단축 메시지 중에 원하는 단축 메시지가 없을 경우에 각 편집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원하는 단축 메시지를 찾도록 할 수 있다.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문 메시지 편집 도중 우선 순위가 높은 단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키와 편집영역별로 저장된 단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키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통신 블록(22)은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음성 정보 또는 단문 메시지와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변조하는 역할을 한다. 통신 블록(32)을 통해 가입자에 해당하는 주파수 및 변조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는 RF 회로(33)에 입력된다.
RF 회로(23)는 상기 통신 블록(22)에서 변조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RF 회로에 의해 무선 주파수 처리가 된 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이동통신 망으로 전송된다.
제어부(21)는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편집·저장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해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단축 메시지 편집 모드로 들어간다(S3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축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는 새 편집 영역 설정 메뉴, 편집 영역 이름 변경 메뉴, 편집 영역 삭제 메뉴, 편집 영역에 새로운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의 네 가지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새 편집 영역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S301)에는, 새로운 편집 영역의 이름을 입력한다(S3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긴급한 사항에 맞는 단축 메시지들을 한 편집 영역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사용자는 '긴급사항'이라는 새로운 편집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 이름 변경 메뉴를 선택한 경우(S303)에는, 기존의 편집 영역의 이름을 변경하고 새로운 편집 영역의 이름을 입력한다(S304).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 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S305)에는, 메모리부에서 해당 편집 영역 및 편집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단축 메시지를 삭제한다(S306).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에 새로운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지금까지 설정된 편집 영역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어떠한 편집 영역에서의 단축 메시지를 편집할지 선택하도록 한다(S307).
사용자가 특정 편집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한 편집 영역에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며(S308), 사용자는 특정 편집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단축 메시지들을 변경 또는 삭제하거나 새로운 단축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S309).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하면 입력에 의한 변경 사항은 메모리부에 저장된다(S31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편집·저장하는 과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이 편집영역에 단축 메시지를 편집·저장하는 과정인 반면에, 도 4는 단축키 지정 영역에 단축 메시지를 편집·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키패드를 이용해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단축 메시지 편집 모드로 들어간다(S400). 단축키를 이용한 단축 메시지 편집의 경우에는 단축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단축키 변경 메뉴, 단축키 삭제 메뉴, 단축 메시지 입력 메뉴의 세 가지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단축키 변경 메뉴를 선택한 경우(S401)에는, 저장된 특정 단축메시지와 연결되는 단축키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한다(S402).
사용자가 상기 단축키 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S403)에는, 지정한 단축키 및 단축키와 연결되는 단축 메시지를 삭제한다(S404).
사용자가 상기 단축 메시지 입력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저장하려는 단축 메시지를 입력하고, 입력한 단축 메시지와 연결될 단축키를 지정한다(S406).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에 의한 변경 사항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S407).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단문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로 들어간다(S500).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축 메시지를 불러오는 기능키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 도중 단축 메시지를 불러올 필요가 있어, 기능키를 입력할 경우(S5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주 쓰이는 우선 순위가높은 단축 메시지가 먼저 디스플레이 된다(S50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능키가 두 가지 종류 즉 우선 순위가 높은 단축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기능키와 저장된 편집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키로 나누어져 있어 전자를 입력한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높은 단축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고(S502), 후자의 경우에는 편집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S505).
우선 순위가 높은 단축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사용자가 원하는 단축 메시지가 존재할 경우(S503)에는 이를 선택한다(S504).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원하는 단축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사용자가 편집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키를 입력한 경우에는 기 저장된 각 편집영역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S505). 편집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입력하려는 단축 메시지가 속한 편집 영역을 선택한다. 특정 편집 영역이 선택되면 그 편집 영역에 저장된 단축 메시지들이 디스플레이되며(S507),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단축 메시지중 원하는 단축 메시지를 선택한다(S508).
단축 메시지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단축 메시지 선택모드에서 다시 단문 메시지 편집모드로 복귀되며, 상기 선택한 단축 메시지는 편집중이던 단문 메시지에 자동적으로 입력된다(S508). 단문 메시지 편집이 종료하면(S509), 상기 선택한 단축 메시지의 선택 횟수를 우선 순위에 반영하여 우선 순위 저장영역의 정보를 변경한다(S510). 단문 메시지 편집이 종료하지 않았으면, 다시 기능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로 회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의 또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단문 메시지 편집 도중 특정 기능키를 눌러 미리 저장한 단축 메시지들이 디스플레이되면 이를 선택하여 단축 메시지를 편집중이던 단문 메시지에 입력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고, 도 6은 미리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없이, 특정 단축키를 입력하면 바로 저장된 단축 메시지가 입력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단문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로 들어간다(S600).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즉시 불러오는 단축키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해 특정 단축키를 입력하면(S601),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축키를 인지하여 단축키와 연결된 단축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편집 화면에 입력한다(S602).
단문 메시지 편집이 종료하면(S603), 상기 선택한 단축 메시지의 선택 횟수를 우선 순위에 반영하여 우선 순위 저장영역의 정보를 변경한다(S604). 단문 메시지 편집이 종료하지 않았으면, 다시 단축키 입력을 대시하는 단계로 회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에 의하면, 자주 쓰이는 단어 또는 문장을 저장하였다가 단문 메시지 편집 시 불러올 수 있으므로, 단문 메시지 편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주 쓰이는 단어 또는 문장을 각 편집 영역별로 저장하므로 원하는 단어 또는 문장을 쉽게 검색하여 메시지 편집 시 입력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특정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해서는 단축키를 지정하여 별도의 검색 작업 없이 미리 저장한 특정의 단어 또는 문장을 불러와 편집 시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특정한 단어 또는 문장(단축 메시지)을 편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a);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사용자가 상기 단계(a)에서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불러올 것을 요청하면, 상기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편집 중인 단문 메시지에 입력하는 단계(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단축 메시지 편집 및 저장 단계는,
    사용자가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새 편집 영역 설정 메뉴, 편집 영역 이름 변경 메뉴, 편집 영역 삭제 메뉴, 편집 영역에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의 4개의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새 편집 영역 설정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새로운 편집 영역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새 편집 영역의 이름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 이름 변경 메뉴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에 따라 편집 영역의 이름을 변경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 삭제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해당 편집 영역 및 편집 영역에 저장된 단축 메시지들을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상기 편집 영역에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한 경우, 해당 편집 영역에 사용자가 입력, 변경, 수정한 단축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단축 메시지 편집 및 저장 단계는,
    사용자가 단축 메시지 편집 메뉴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단축 메시지 및 단축 메시지와 연결할 단축키를 입력받고, 이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저장한 단축 메시지 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 중인 경우, 사용자의 기능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사용자가 기능키를 입력할 경우, 저장된 각 편집 영역을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가 특정 편집 영역을 선택할 경우, 선택한 편집 영역에 저장한 단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중 하나를 선택하면, 단문 메시지 편집 모드로 회귀하여 선택한 단축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의 단문 메시지 편집 시 저장한 단축 메시지 입력 단계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편집 중인 경우, 사용자의 단축키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사용자가 기 설정한 특정 단축키를 누를 경우, 상기 단축키와 연결되어 저장된 단축 메시지를 편집 중인 단문 메시지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사용자가 불러오는 단축 메시지의 횟수를 기록하여, 자주 사용하는 단축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7. 제 4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기능키를 입력할 경우, 상기 저장된 우선 순위가 높은 단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KR1020000077258A 2000-12-15 2000-12-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KR20020048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258A KR20020048016A (ko) 2000-12-15 2000-12-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258A KR20020048016A (ko) 2000-12-15 2000-12-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016A true KR20020048016A (ko) 2002-06-22

Family

ID=2768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258A KR20020048016A (ko) 2000-12-15 2000-12-1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0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357B1 (ko) * 2000-12-19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20030042827A (ko) * 2001-11-24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단축키 지정 방법
KR100394004B1 (ko) * 2000-12-30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357B1 (ko) * 2000-12-19 200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의 특수문자 입력 방법
KR100394004B1 (ko) * 2000-12-30 2003-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30042827A (ko) * 2001-11-24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단축키 지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8295A (en) Uniform man-machine interface for cellular mobile telephones
US6907256B2 (en) Mobile terminal with an automatic translation function
US6628940B1 (en) Wireless portabl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KR100293996B1 (ko) 디지털휴대용전화기의개선된단문메시지발신방법
EP1063835B1 (e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47010B1 (ko)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JPH083304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200600635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SMS message transmission and retaining received SMS message
KR1003424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CN100493108C (zh) 用于在消息服务中输入接收者地址的方法
US20020111155A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480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편집 방법
EP0544667B1 (en) Dialing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2027037A (ja) 携帯電話の送受信システム
KR20000060798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관리 방법
JP2002009925A (ja) 移動電話装置、移動電話装置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200365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JP2000286990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100926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1043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43320A (ko) 글자체 데이터 전송 및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형 이동전화 단말기
KR20030044122A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550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합 문자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