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586A -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586A
KR20020012586A KR1020017015146A KR20017015146A KR20020012586A KR 20020012586 A KR20020012586 A KR 20020012586A KR 1020017015146 A KR1020017015146 A KR 1020017015146A KR 20017015146 A KR20017015146 A KR 20017015146A KR 20020012586 A KR20020012586 A KR 2002001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high frequency
transmission path
loc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654B1 (ko
Inventor
미요시겐고
와키타노조미
야마시타신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이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1Broadband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CATV 시스템을 이용한 LAN의 유합 잡음을 제거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이다.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입구에 상위 케이블 모뎀(61)과 하위 케이블 모뎀(62)이 직렬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60)를 설치한다. 하위 케이블 모뎀(62)에 의해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일단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이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를 다시 상위 케이블 모뎀(61)에 의해서 변조하여 송출한다. 유합 잡음은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이 변환에 의해 제거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품질이 향상되고, 유합 잡음이 많은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인 경우에도 LAN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종래부터, CATV 시스템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가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센터를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각 단말 장치는 TV 신호의 수신 이외에 인터넷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CATV 시스템을 도 6에 나타낸다. CATV 시스템은 CATV국(20)에 설치된 중앙 장치(22), 중앙 장치(22)에 접속된 간선(幹線) 케이블(25), 간선 케이블(25)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중계기(30), 중계기(30)로부터 분기된 분기 케이블(24), 분기 케이블(24)에 접속된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및 가정내 네트워크(40)로 구성된다. 또한, CATV국은 인터넷 인터페이스(21)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 장치(22)는 이를 사이에 두고 인터넷(10)에 접속되어 있다.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는 전파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증폭기(51), 증폭기(51)로 증폭된 신호를 분기한는 분기기(55), 분기기(55)에 접속된 단말 장치(52) 및 TV 수신 장치(53)로 구성된다. 또한, 통상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내에서는, 복수의 단말 장치(52) 및 TV 수신 장치(53)가 접속되어 있다. 가정내 네트워크(40)는 분기 케이블(24)을 따라 전파된 고주파 신호를 분기/분배하는 분기/분배기(41), 분기/분배기(41)에 접속된 단말 장치(42) 및 TV 수신 장치(43)로 구성된다. 또한, 양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장치(52, 42)에는 고주파 신호를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로, 또는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복조하는 케이블 모뎀(54, 44)이 구비되어 있다. 또, 여기서 단말 장치(52, 42)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이다.
이 CATV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전송 방식은 고주파 신호(RF 신호)가 주파수 다중화된 광대역(broadband) 전송 방식이며, 상향 고주파 신호로는 10㎒∼65㎒ 대가, 하향 고주파 신호로는 90㎒∼770㎒ 대가 할당되고, 쌍방향 통신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예를 들면 상향 고주파 신호로 33㎒, 하향 고주파 신호로는 245㎒가 선택된다.
단말 장치(5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소정의 통신 형식(10BASE-T)으로 트위스트 페어(twist pair) 선(56)에 송출된다. 트위스트 페어 선(56)으로 송출된 데이터 신호는 케이블 모뎀(54)에 의해 변조되고, 주파수 33㎒의 반송파가 변조되어 CATV국(20)의 중앙 장치(22)에 송출된다. 한편, 33㎒의 상향 고주파 신호를 수신한 중앙 장치(22)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모뎀으로 복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예를 들면 인터넷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인터넷(10)으로 송출한다. 또, 인터넷(10)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하향 반송파 245㎒를 변조하여 단말 장치(52)를 향하여 송출한다. 단말 장치(52)의 케이블 모뎀(54)은 이 245㎒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써 원하는 데이터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인터넷을 사이에 두고 임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CATV 시스템에서는, 가입자의 단말 장치(52, 42)로부터 CATV국(20)으로의 상향 고주파 신호에, 텔레비전 경로, 커넥터, 케이블 등으로부터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잡음이 중첩되어, 이들 잡음이 각각의 단말 장치로부터 유합하여,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출구에서는 큰 유합 잡음으로 된다. 이 경우, 통신 회선으로서의 품질이 열화되고, 데이터가 정확하게 중앙 장치(22)로 전송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에서는 단말 장치의 수가 많기 때문에 유합 잡음 레벨이 상승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CATV 인터넷 서비스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유합 잡음이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외부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내에서는, 잡음이 적은 하향 주파수 대역의 일부를 사용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하향 대역을 이용하고 있는 관계상, 증폭기를 이 대역의 신호만 바이패스하는 등의 특별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잡음이 유입되지 않도록 기초대역 방식으로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증폭기에 대하여 바이패스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나, 임의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 지는 것으로 인하여, CATV 서비스 업자에 의한 과금 관리나, 비밀 유지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점에서도 문제가 된다. 또한, 텔레비전 공청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의 대부분을 전용 기기로 치환할 필요가 있어서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CATV 시스템이 도입된 모든 사업소 또는 모든 집합 주택에 저가로 매우 편리한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의 유합(流合) 잡음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향상시킨 데이터 전송 방식 및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CATV 센터와 각 가정 또는 각 집합 주택을 연결하는 CATV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등의 고속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의 구축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와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ISDN 전송로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12는 종래의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전송 방식이 적용되는 CATV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집합 주택 시스템 등의 국소 네트워크의 출구에서의 상향 대역의 유합 잡음을 억제함으로써, 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은,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이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전송로 측을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이다.
이와 같이,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서, 전송로를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일단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 처리에 의해 상향 유합 잡음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로에는 국소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단말 장치에 있어서 중첩된 잡음의 유합 잡음이 송출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신호의 형식은, 예를 들면 2진 디지털 신호 등의 기초대역 데이터 신호 외에 이더넷 사양의 데이터 신호이다. 또한, 전송로에서 수신하는 하향 신호에 관해서는, 그대로 국소 네트워크로 송신하더라도, 아래와 같이 복조, 변조하여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국소 네트워크의 의미는 단말 장치가 다수 접속되어 있는 건조물 단위, 또는 지역적 단위에서의 네트워크이며, 시스템에 있어서 어떤 부분을 국소 네트워크로 정의할 지는 자유이다. 또, 국소 네트워크에서는 고주파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행하여진다. 일반적으로는 주파수 다중화된 광대역 전송 시스템이지만, 단일 대역일 수도 있다. 또한, 아래와 같이 국소 네트워크의 하향 대역에는 TV 신호가 출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TV 신호가 없고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한 데이터 통신만이 행하여지고 있는 네트워크라도 좋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국소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로로 송신하는 변조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복조, 변조 후에 전송로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서 송신된다. 그 결과,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유합 잡음이 완전히 배제되어,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전송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주파수대역과 전송로에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기존 시스템에서의 기존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여, 유합 잡음만이 제거된 시스템으로 된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위의 복조와 변조를 연속하여 행하는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향 방향의 데이터 신호의 유합 잡음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초대역으로 복조한 신호의 형태는 임의이다. 요컨대 기초대역의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다시 고주파 신호로 변조해도 된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복조 장치와 전송로의 하향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국소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변조 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변복조 장치가 접속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소 네트워크로부터의 상향 유합 잡음을 배제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의 복조 장치를 설치하고 전송로의 상향 신호를 고주파 변조 신호로 하는 경우에는, 청구항 2와 같이 추가로 변조 장치를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설치하면 충분하다. 본 특징은, 전송로의 하향 신호에 관해서도 복조, 변조하고, 재변조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국소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향 신호에 관한 잡음 제거의 효과가 있다. 또, 제1 변복조 장치는, 예를 들면 CATV 시스템에서는 이른바 케이블 모뎀이라고 불리는 것이며, 기존의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제1 변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로로 송신하고, 전송로에서 수신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제1 변복조 장치에 출력하는 제2 변복조 장치를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1 변복조 장치에 접속하여 제2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로 인해, 전송로가 특히 CATV 시스템과 같이 광대역 고주파 전송로인 경우에는, 국소 네트워크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복조, 재변조되어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서 전송로에 송출되며, 전송로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복조, 재변조되어 국소 네트워크에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서 송신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신호에 관해서, 상향 및 하향 모두 잡음이 제거된 것이 된다. 또, 제1 변복조 장치, 제2 변복조 장치 모두 CATV 시스템에서는 이른바 케이블 모뎀이라고 불리는 것이고, 기존의 기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지는 데이터 신호의 형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진의 기초대역 데이터 신호 외에 이더넷 사양의 데이터 신호이다. 또, 국소 네트워크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전송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전송로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국소 네트워크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일하게 한 경우에는, 기존 시스템에서,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제1 변복조 장치 및 제2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것뿐이며, 단말 장치에 다른 특별한 기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1 변복조 장치 및 제2 변복조 장치는 CPU가 탑재되어 센터로부터 제어 가능한, 이른바 인텔리전트 모뎀 등도 포함한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전송로 측을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며, 국소 네트워크 측을 향하는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쌍방향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쌍방향으로 복조, 변조를 하는 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하향 데이터 신호도 상향 데이터 신호도 잡음에 강한 신호로 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복조 장치와 변조 장치의 접속 회로, 또는 변복조 장치, 또는 제1 변복조 장치와 제2 변복조 장치의 접속 회로, 또는 쌍방향 변복조 장치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분기/분배기에 의해 병렬로 접속되어,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하향 고군 대역의 신호는 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국소 네트워크로 출력될 수 있어, 데이터 신호에 관해서는 이 증폭기를 바이패스시키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증폭기의 출력단과 하류측 상기 분기/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된 분파기와 이 분파기의 저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단에 설치된 종단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하향 고군 대역의 신호가 통과하는 경로에, 상류측을 향해서 전송되는 상향 저군 대역의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의 하류측으로의 반사가 방지되고, 또한 상향 방향으로의 전송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하류측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상향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를 흐트러트리지 않는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전송로는 데이터 전송로이며, 국소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제1 변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전송로로 변조 출력하고, 전송로의 하향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로 하여 제1 변복조 장치로 출력하는 루터 또는 터미널 어댑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송로 예를 들면 ISDN 전송로나 기타 데이터 전송로와, 국소 네트워크를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상향 유합 잡음이 배제되어, 상향의 데이터 신호가 데이터 전송로로 송출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개선된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전송로는 CATV 전송로이며, 국소 네트워크는 단말 장치가 산재하는 집합 주택, 빌딩, 공장 등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텔레비전 공청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CATV 전송로에서는, 하향 대역이 TV 신호에 상향 대역이 고주파 데이터 신호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저군 상향 대역에서의 유합 잡음의 영향이 크지만, 본 시스템에 의하면, 고주파 데이터 신호는, 국소 네트워크의 출구에 있어서, 국소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유합 잡음이 완전히 배제되어, 전송로로 송출되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의 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 특징의 국소 네트워크는, TV 신호가 하향 대역에 존재하고, 상향 대역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대역으로 되어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CATV 전송로의 센터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고, 전송로에서 수신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한 신호를 인터넷으로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로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국소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단말 장치는, 인터넷에 CATV 전송로를 통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고품질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서 본 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CATV에 대한 케이블 모뎀을 가지는 단말 장치는, 추가의 설비 없이, 고품질 데이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전송로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의 특징과 같이,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본 장치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단말 장치는 고품질인 인터넷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국소 네트워크는, CATV 전송로에서의 분기된 전송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은 국소 네트워크의 영역을 확장한 것으로, 트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CATV 전송로에서의 임의의 분기점에서 하류측을 보는 네트워크를 국소 네트워크라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 분기점에 본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이 분기점에서의 상향 유합 잡음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고품질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발명의 구성은,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그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전송로의 하향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제1 변복조 장치와, 제1 변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로에 송신하고, 전송로에서 수신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제1 변복조 장치에 출력하는 제2 변복조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이다.
이 데이터 전송 장치를, 국소 네트워크와 전송로의 접속점에 설치함으로써 상향 신호의 유합 잡음을 배제할 수 있는 동시에, 하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전송로와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신호에 관한 상향과 하향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 장치로 대역 변환이 행하여진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전송로 측을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변복조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이다.
이 구성에 의해,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재변조하여 상류측 전송로로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의 잡음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송로 측을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며, 국소 네트워크 측을 향하는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그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쌍방향 변복조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하향, 상향의 양쪽의 데이터 신호의 잡음에 대한 영향을 배제할수 있어, 데이터 통신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된 분기/분배기와 이 2개의 분기/분배기를 접속하는 통과 회로와 이 통과 회로에서 상향 저군 대역 신호를 반사시키지 않고 흡수하여 하향 신호를 하류측으로 통과시키는 저군 차단 필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상향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의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의 반사가 방지되는 결과,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국소 네트워크측로 출력하는 증폭기와 증폭기의 입력단측과 출력단측에 설치된 분기/분배기와 증폭기의 출력단과 출력단측 분기/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된 분파기와 분파기의 저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측에 설치된 종단 저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상향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의 국소 네트워크측으로의 반사를 구체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국소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데이터 전송 장치는 증폭기의 입력단과 입력단측 분기/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고군 데이터 대역의 하향 신호를 차단하는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를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고군 대역의 하향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의 상류측 전송로로의 반사가 방지된다. 그 결과,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정밀도가향상된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된 분파기와 이 2개의 분파기를 접속하는 고군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과 선로, 또는 이 고군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선로에 삽입된 하향 방향으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하향 고군 대역의 신호(데이터 신호 및 TV 신호)는 변복조 장치 등을 우회하여,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CATV 전송로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다른 발명의 구성은, 증폭기의 입력단과 입력 측 분기/분배기의 출력단 사이에, 소정의 고군 데이터 대역의 신호를 반사시키지 않고 통과를 저지하는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고군 대역의 하향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의 상류측 전송로에의 반사가 방지된다. 그 결과, 전송로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는 국소 네트워크를 각 가정 또는 집합 주택 내에 설비된 기존의 TV 공청 네트워크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LAN을 실현하는 것이다. CATV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2개의 대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하나는 10∼65㎒의 국방향으로의 상향 대역이며, 하나는 90∼770㎒의 단말 장치측으로의 하향 대역이다. 상향 대역은 주로 국측으로의 통신에, 하향 대역은 단말 장치측으로의 TV 신호의 전송 및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65㎒∼90㎒는 상향 대역과 하향 대역을 분리하기 위한 보호대역(guardband)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는 33㎒ 대역,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는 245㎒ 대역을 선택하고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전송 방식을 적용한 CATV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면은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CATV 시스템은 CATV국(20)에 설치된 중앙 장치(22), 중앙 장치(22)에 접속된 광섬유 케이블(23),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23a), 광전 변환기(23a)에서 연장된 간선 케이블(25), 간선 케이블(25)의 소정의 개소에 설치된 중계기(30), 중계기(30)로부터 배선된 분기 케이블(24), 분기 케이블(24)에 접속되어 유합 잡음을 저감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60) 및 데이터 전송 장치(60)에 접속된 구내 네트워크인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국소 네트워크) 및 가정내 네트워크(40)(국소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전송로는 광섬유 케이블(23), 간선 케이블(25), 분기 케이블(24) 및 중계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신호를 전송하는 선로를 의미한다.
또한, CATV국(20)은 인터넷 인터페이스(21)를 통하여 인터넷(10)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영역의 단말 장치와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정내 네트워크(40) 및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구성은, 도 12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중계기(30), 즉 간선 케이블(25)과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사이, 즉 전송로와 국소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유합 잡음을 배제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60)를 구비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에서는 그 단말 장치의 수가 증가하면 유합 잡음이 증가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데이터 통신에 장애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고 유합 잡음을 배제하기 위하여, 한 쌍의 케이블 모뎀으로 구성된 데이터 전송 장치(60)를 전송로와 국소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배치하고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장치(60)가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출구(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데이터 전송 장치(60)는, 단말 장치(52)로부터 송출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분기/분배하는 분기/분배기(64), 그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일단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복조 장치인 하위 케이블 모뎀(62), 변환된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에 따라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변조하여 다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하는 제2 변복조 장치인 상위 케이블 모뎀(61), 그 재차 변환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분기 케이블(24)로 송출하는 분기/분배기(66), 분기/분배기(64)와분기/분배기(66)의 사이에 배치된 저군(低群)(상향 대역) 차단 필터(65)와 고군(高群) 대역 중 상기한 데이터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전송하는 245㎒ 대역을 차단하는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장치인 단말 장치(52)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는 소정의 통신 형식(10BASE-T)으로 트위스트 페어 선(56)에 송출된다. 트위스트 페어 선(56)으로 송출된 이더넷 사양의 데이터 신호는 케이블 모뎀(54)에 입력되고, 케이블 모뎀 내의 변조기에 의해 예를 들면 주파수 33㎒의 반송파를 변조하여, 그 변조된 고주파 변조 신호가 송출된다.
송출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분기기(55), 증폭기(51), 분기/분배기(64)를 지나서 하위 케이블 모뎀(62)에 이른다. 하위 케이블 모뎀(62)에 입력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일단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로 복조된다. 이 복조에 의해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에 따른 유합 잡음이 제거된다. 그 후, 상위 케이블 모뎀(61)이 복조된 데이터에 따라 다시 동일 주파수의 반송파를 변조하여 분기/분배기(66), 분기 케이블(24)에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서 송출한다. 이에 따라,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에서 발생하여, 도 2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합하는 유합 잡음은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또한, 분기/분배기(64)로부터 출력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저군 차단 필터(65)에 의해 차단되어 분기 케이블(24) 측으로는 송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향 유합 잡음이 전송로인 분기 케이블(24)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 저군 차단 필터(65)는 분기/분배기(64)로부터 입력된 저군 대역 신호를 반사하지 않고 통과를저지하는 것이다. 즉, 저군 대역 신호의 전력을 임피던스 정합에 의해 흡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에 있어서, 상향 저군 대역 신호나 하향 고군 데이터 신호에 반사에 따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3에 하위 케이블 모뎀(62) 및 상위 케이블 모뎀(61)을 상세하게 나타낸다. 하위 케이블 모뎀(62)은 33㎒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분파하는 분파기(62a), 분파한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62b), 복조된 2진 신호인 기초대역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는 컴퓨터 장치(62d), 컴퓨터 장치(62d)에서 송출된 2진 신호인 기초대역 데이터 신호에 따라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를 송출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62e), 그리고 하향 데이터 신호에 관한 변조기(62c)로 구성된다. 변조기(62c)는 이더넷 인터페이스(62e) 및 컴퓨터 장치(62d)를 지나서 얻어진 기초대역 데이터 신호에 따라 245㎒의 반송파를 변조하여,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서 하향 방향으로 송출하는 변조기이다.
상위 케이블 모뎀(61)은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를 입력하여 2진 신호의 기초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61e), 2진 신호의 기초대역 신호를 입력하는 컴퓨터 장치(61d), 컴퓨터 장치(61d)가 출력하는 2진 신호의 기초대역 신호에 따라 33㎒의 반송파를 변조하여 고주파 변조 신호를 송출하는 변조기(61c), 고주파 변조 신호를 분기 케이블(24)에 중첩하는 분파기(61a) 및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61b)로 구성된다. 복조기(61b)는 분파기(61a)에서 입력된 245㎒ 대역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2진 신호의 기초대역 신호로 복조하여, 컴퓨터 장치(61d)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다음에, 하위 케이블 모뎀(62)과 상위 케이블 모뎀(61)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유합 잡음을 포함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상기 구성의 하위 케이블 모뎀(62)에 입력되면, 분파기(62a)에 의해 저군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분리되어, 복조기(62b)에 입력된다. 복조기(62b)는 변조 방식을 QPSK 위상 변조로 하면, 위상 복조하여 컴퓨터 장치(62d)로 송출한다.
컴퓨터 장치(62d)는 또한 소정의 코드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여, 그 데이터를 이더넷 인터페이스(62e)에 송출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62e)는, 그 데이터를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로 하여 트위스트 페어 선(63)을 사이에 두고 상위 케이블 모뎀(61)으로 송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변환에 의해 유합 잡음이 제거된다.
다음에, 상위 케이블 모뎀(61)에서는 이더넷 인터페이스(62e)에서 입력된 이더넷 기초대역 신호에 따라, 컴퓨터 장치(61d) 및 변조기(61c)에 따라 동일 주파수 대역(33㎒ 대)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분파기(61a)를 통하여 분기 케이블(24)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위 케이블 모뎀(62)과 상위 케이블 모뎀(61)의 작용에 의해, 복조 및 변조가 행하여져,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부터 유합 잡음이 제거된다.
한편, 전송로 상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에 대해서는, 분기 케이블(24)로부터 상위 케이블 모뎀(61)에 입력되고, 분파기(61a)에 의해 하향 대역 내의 주파수 대역 245㎒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분파된다. 이 때의 복조 및 변조는 상향 고주파 신호와 전혀 반대의 루트로 실행된다. 즉, 상위 케이블 모뎀(61)의 복조기(61b)에서 전송로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2진 신호의 기초대역 신호로복조되고, 하위 케이블 모뎀(62)의 변조기(62c)에서 주파수 대역 245㎒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되어 각 단말 장치(52)로 송출된다. 이 때, 중앙 장치(22)로부터 송출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에 잡음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복조 및 변조에 의해 그 잡음이 제거된다. 또한, 분기/분배기(66)에서 상기의 주파수 대역 245㎒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하류측으로 통과하지만,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에 의해 차단되어, 그 이상 하류측으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주파수 대역 245㎒의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하위 케이블 모뎀(62)에서 재변조된 신호만으로 된다. 이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는 반사시키지 않고 임피던스 정합에 의해 고군 데이터 대역의 신호의 전력만을 흡수하는 것으로, 하류측으로의 통과를 저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류측 전송로에서 하향 데이터 신호나 상향 데이터 신호로의 영향이 배제된다.
또한, 분기 케이블(24)로부터 입력된 TV 신호는 도 2의 분기/분배기(66)에서 저군 차단 필터(65) 측으로 출력된다. 이 TV 신호는 저군 차단 필터(65) 및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를 통과하게 되고, 증폭기(51)에서 증폭되어 각 TV 수신 장치(53)로 전파된다. 따라서 분기기(55)에 TV 수신 장치(53)를 접속하면 TV 신호가 수신된다. 또, 분기기(55)에 단말 장치(52)를 접속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저군 차단 필터(65) 대신 하류측으로 증폭하는 편방향 증폭기를 설치하더라도, 상향 대역의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식은 기존의 CATV 배선망, 특히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출구에 데이터 전송 장치(60)를 구비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매우 저가로 LAN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로에서 수신한 하향 고주파 신호를 복조하고 있기 때문에, CATV국(20)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도 수신할 수 있어, 본 데이터 전송 장치(60)에 대한 각종 제어를 CATV국(20)으로부터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이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송로와 국소 네트워크의 접속점에 배치되는 본 장치를 도 4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분기 케이블(24) 측이 전송로(A),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가 국소 네트워크(B)로 표시되어 있다. 전송로(A)와 국소 네트워크(B)는 분파기(83, 84)에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향 저군 대역측 회로로 복조 장치(81)와 변조 장치(82)가 배치되어 있고, 하향 고군 대역측 회로는 통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국소 네트워크(B)에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복조 장치(81)에서 일단 2진 신호의 기초대역 신호로 복조되고, 변조 장치(82)에 의해 다시 동일 주파수 대역의 상향 대역의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되어 출력된다.
한편, 전송로(A) 측에서 입력되는 하향 고군의 TV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인 고주파 변조 신호는 분파기(84, 83)에 의해 전송로(A)에서 국소 네트워크(B) 측으로 전송되게 되고, 기존의 CATV의 국소 네트워크의 설비로 TV 신호의 수신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국소 네트워크(B)에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가 일단 기초대역 신호로 복조되고, 다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되어 전송로(A)로 송신되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이 상향 유합 잡음을 배제할 수 있다.이와 같이 상향 데이터 신호만 복조 및 변조하여 상향측 전송로로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복조 장치(81)와 변조 장치(82)가 별도의 블록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복조와 변조를 연속하여 하는 단일의 기기인 재변조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CATV국(20)이 본 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전송로(A)의 하향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 신호를 인출하고, 복조 장치(81) 및 변조 장치(8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제3 실시예)
이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송로(A)는 ISDN 등의 데이터 전송로이다. CATV 전송로(101)와 국소 네트워크(B)는 분배기(100)에서 접속되어 있고, 그 분배 단자에 CATV 전송로(101)와 제1 변복조 장치(90)가 접속되어 있다. 제1 변복조 장치(90)는 분파기(94), 복조 장치(92), 변조 장치(93) 및 CPU(91)로 구성되어 있고, CPU(91)는 ISDN 전송로에 접속되어 있는 루터(95)에 접속되어 있다.
국소 네트워크(B)에서 출력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분배기(100) 및 분파기(94)의 저군 단자를 통과하고 복조 장치(92)에 입력되어, 2진 신호인 기초대역 신호로 복조된다. 그리고, 이 신호는 CPU(91)에 입력되고, 루터(95)를 통하여 ISDN 전송로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ISDN 전송로를 사이에 두고 인터넷으로 출력된다.
한편, 인터넷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는 루터(95)에 수신되어 CPU(91)로 출력되고, 변조 장치(93)에 의해 고군 하향의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되어, 분파기(94) 및 분배기(100)를 통과하여 국소 네트워크(B)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국소 네트워크(B)에서 전송로(A)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유합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 국소 네트워크(B)는 CATV 전송로(101)에 대하여도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을 나타내는 1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그 외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고려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저군 차단 필터(65)는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에 대하여 상류측[CATV국(20)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를 저군 차단 필터(65)에 대하여 상류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와 저군 차단 필터(65) 사이에, 하류측에 하향 고군 대역 신호만을 증폭하는 편방향 증폭기(6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분기/분배기(64)로부터 상류측으로 출력된 상향 저군 대역 신호는 저군 차단 필터(65)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어, 증폭기(68)의 출력측으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6에서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를 삭제하고, 증폭기(68)의 출력측에 저군 차단 필터(6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분기/분배기(64)로부터 상류측으로 출력된 상향 저군 대역 신호는 저군 차단 필터(65)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어, 증폭기(68)의 출력측으로는 전파되지 않는다. 도 7의 방식에서는, 하향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증폭기(68)로 증폭되어,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측으로 전송된다. 이와 함께, 하향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상위 케이블 모뎀(61)에서 복조되고 하위 케이블 모뎀(62)에서 변조되어,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측으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때 하위 케이블(62)이 출력하는 신호의 대역은, 상위 케이블 모뎀(61)에 입력하는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대역과는 상이한 대역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내에서, 하향 데이터 신호에 관해서 혼신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7에서는 분기/분배기(64, 66) 대신 분기기(69, 70)가 이용된다. 그리고, 분기기(69)의 상류측 단자에 분파기(71)가 접속되어 있고, 이 분파기(71)의 저군 필터 출력 단자에 종단 저항(72)이 접속되어 있다. 즉, 도 7의 저군 차단 필터(65)를 저군 대역과 고군 대역을 분리하는 분파기(71)와 종단 저항(72)으로 구성한 것에 상당한다. 이 구성에 의해,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로부터 상류를 향해서 출력된 상향 데이터 신호인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는 분기기(69)를 통과하여 분파기(71)로 출력되어, 종단 단자(72)에서 흡수된다. 이에 따라,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 측으로의 이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반사가 방지된다. 그 결과,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에서의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파형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8의 구성에 부가하여 증폭기(68)의 입력측에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의 구성의 경우에는, 하위 케이블 모뎀(62)이 하류측으로 출력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변조 신호의 대역을, 상위 케이블 모뎀(61)이 상류측에서 입력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대역과 다른 대역으로 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하여, 도 9의 방식은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에 의해 하향 데이터 신호가 차단되기 때문에, 그 하향 데이터 신호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하위 케이블 모뎀(62)이 하류측으로 출력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대역을, 상위 케이블 모뎀(61)이 상류측에서 입력되는 하향 데이터 신호인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의 대역과 동일 대역으로 하는 방식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의 분파기(71) 및 종단 저항(72)과 동일한 구성에 의해,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도 하향 데이터 대역의 신호를 종단 저항에서 흡수하여, 그 데이터 대역의 신호를 상류에 반사시키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은, 도 8의 구성에서, 상위 케이블 모뎀(61), 하위 케이블 모뎀(62) 및 트위스트 페어 선(63) 대신 단일 기기로 구성한 쌍방향 변복조기(73)가 이용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복조하고 변조할 때, 일단 이더넷 사양의 기초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있지만, 도 10의 변복조기(73)는 반드시 이더넷 사양의 기초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아니다. 단순히, 고주파 신호를 기초대역의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다시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것이다. 이 도 10의 구성에서는, 증폭기(68)를 고군 데이터 대역의 고주파 변조 신호가 하류측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쌍방향 변복조기(73)는 하류측으로 재변조하는 경우에는, 상류측(입력측)의 고군 데이터 대역과 하류측(출력측)의 고군 데이터 대역과는 상이한 대역으로 하고 있다. 물론, 도 10의 구성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67)를 증폭기(68)의 입력측에 설치하면, 쌍방향 변복조기(73)에서, 상류측 고군 데이터 대역과 하류측 고군 데이터 대역을 동일 대역으로 할 수 있다.
또, 상향 데이터 신호만 차분 변조하여 출력하는 제2 실시예에서 도 11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에서, 하향 고군 대역측 회로에 편방향 증폭기(68)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고군 대역의 신호는 종래와 같이 국소 네트워크(B)로 전송될 수 있어, 저군 대역의 데이터 신호만 복조 및 변조하여 전송로(A)로 송출할 수 있다.
기타, 여러 가지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제3 실시예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본 장치는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출구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유합 잡음이 커지는 개소이면 어디라도 가능하다. 간선 케이블 상이 될 수도 있고, 또한 집합 주택내 네트워크(50)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국소 네트워크(B)는 집합 주택, 공장, 병원, 학교 등의 TV 공청 네트워크를 가정하고 있지만, TV 신호가 특별히 없는 고주파 전송에 의한 전송로(LAN)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에서, 상향 데이터 및 하향 데이터에 다른 주파수의 반송파를 이용했지만, 이를 동일한 주파수의 반송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동일 채널에서 간격 시간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방식이다. 증폭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소규모 LAN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미사용 대역이 될 수도 있다. CATV 시스템에 지장이 없는 대역이면, 데이터 통신을 위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 및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에 임의의 주파수대를 할당해도 된다. 또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에 TV 신호의 간격 채널 등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송로를 CATV의 전송로, ISDN 전송로로 했지만, OCN 등의 LAN과 접속 가능한 모든 전송로일 수도 있다. 또한, 지상 방송 및 위성 방송을 포함하는 방송파, 마이크로파, 광공간 전송 등 다른 매체로 이루어지는 다른 전송로일 수도 있다.

Claims (24)

  1.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전송로의 접속점에, 상기 전송로 측으로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 장치를 설치한 데이터 전송 방식.
  2. 제1항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의 상기 접속점에, 상기 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전송로로 송신하는 변조 장치를 설치한 데이터 전송 방식.
  3.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전송로의 접속점에, 상기 전송로 측을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데이터 전송 방식.
  4. 제1항에서,
    상기 복조 장치와 상기 전송로의 하향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국소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변조 장치를 포함하는 제1 변복조 장치가 상기 접속점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방식.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변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전송로로 송신하고, 상기 전송로에서 수신한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제1 변복조 장치로 출력하는 제2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데이터 전송 방식.
  6.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전송로의 접속점에, 상기 전송로 측으로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며,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을 향하는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쌍방향 변복조 장치를 설치한 데이터 전송 방식.
  7. 제2항에서,
    상기 복조 장치와 상기 변조 장치의 접속 회로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분기/분배기에 의해 병렬로 접속되어,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 방식.
  8. 제3항에서,
    상기 변복조 장치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분기/분배기에 의해 병렬로 접속되어,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 방식.
  9. 제5항에서,
    상기 제1 변복조 장치와 상기 제2 변복조 장치의 접속 회로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분기/분배기에 의해 병렬로 접속되고,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 방식.
  10. 제6항에서,
    상기 쌍방향 변복조 장치에 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분기/분배기에 의해 병렬로 접속되고,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 방식.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하류측의 상기 분기/분배기 사이에 설치된 분파기 및 상기 분파기의 저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단에 설치된 종단 저항을 가지는 데이터 전송 방식.
  12. 제4항에서,
    상기 전송로는 데이터 전송로이며, 상기 국소 네트워크의 상기 접속점에, 상기 제1 변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전송로로 변조 출력하고, 상기 전송로의 하향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로 하여 상기 제1 변복조 장치로 출력하는 루터 또는 터미널 어댑터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방식.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송로는 CATV 전송로이며, 상기 국소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 장치가 산재하는 집합 주택, 빌딩, 공장 등의 소정의 영역에 배치된 텔레비전 공청 네트워크인 데이터 전송 방식.
  14. 제13항에서,
    상기 CATV 전송로의 센터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로에서 수신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복조한 신호를 인터넷에 송신하고, 인터넷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하향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전송로로 송출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송로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는 상기 CATV 전송로에서 분기된 전송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
  17.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전송로의 접속점에 배치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전송로의 하향 신호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제1 변복조 장치, 그리고
    상기 제1 변복조 장치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전송로에 송신하고, 상기 전송로에서 수신한 하향 고주파 변조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제1 변복조 장치로 출력하는 제2 변복조 장치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8.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전송로의 접속점에 배치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전송로 측으로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변복조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9. 복수의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고주파 변조 신호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국소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송로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식에서, 상기 국소 네트워크와 상기 전송로의 접속점에 배치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전송로 측으로 향하는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며,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을 향하는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를 데이터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하향 고주파 변조 신호로 변조하는 쌍방향 변복조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된 분기/분배기,
    상기 2개의 분기/분배기를 접속하는 통과 회로, 그리고
    상기 통과 회로에서 상향 저군 대역 신호를 반사시키지 않고 흡수하여, 하향 신호를 하류 측으로 통과시키는 저군 차단 필터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하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국소 네트워크 측으로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측과 출력단측에 설치된 분기/분배기,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출력단측의 분기/분배기 사이에 설치된 분파기, 그리고
    상기 분파기의 저군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측에 설치된 종단 저항
    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2. 제21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상기 입력단측 분기/분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고군 데이터 대역의 하향 신호를 차단하는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3. 제18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된 분파기,
    상기 2개의 분파기를 접속하는 고군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통과 선로, 또는 상기 고군 대역 신호를 통과시키는 선로에 삽입된 하향 방향으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4. 제21항에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상기 입력측의 분기/분배기의 출력단 사이에, 소정의 고군 데이터 대역의 신호를 반사시키지 않고 통과를 저지하는 고군 데이터 대역 차단 필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001-7015146A 1999-06-03 2000-06-01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499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715799 1999-06-03
JPJP-P-1999-00157157 1999-06-03
JPJP-P-2000-00151618 2000-05-23
JP2000151618A JP3683161B2 (ja) 1999-06-03 2000-05-23 データ伝送方式及びデータ伝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586A true KR20020012586A (ko) 2002-02-16
KR100499654B1 KR100499654B1 (ko) 2005-07-07

Family

ID=2648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146A KR100499654B1 (ko) 1999-06-03 2000-06-01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189392A1 (ko)
JP (1) JP3683161B2 (ko)
KR (1) KR100499654B1 (ko)
CN (1) CN1355976A (ko)
AU (1) AU4953100A (ko)
BR (1) BR0011579A (ko)
HK (1) HK1048027A1 (ko)
TW (1) TW546918B (ko)
WO (1) WO2000076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47A (ko) * 2001-04-16 2001-07-25 이근웅 상향 잡음 감쇠기
CN100504667C (zh) 2002-12-06 2009-06-24 汤姆森许可贸易公司 用于远程调谐和时钟同步的方法和系统
WO2007139545A1 (en) * 2006-05-31 2007-12-06 Thomson Licensing Local digital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cable
JP6412358B2 (ja) * 2014-07-26 2018-10-24 シンクレイヤ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7385A (ja) * 1988-06-06 1989-12-12 Nec Corp Catv伝送方式
JPH1066051A (ja) * 1996-08-23 1998-03-06 Toshiba Corp Catv回線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オンライ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053764A (ja) 2001-02-23
KR100499654B1 (ko) 2005-07-07
HK1048027A1 (zh) 2003-03-14
JP3683161B2 (ja) 2005-08-17
AU4953100A (en) 2000-12-28
EP1189392A1 (en) 2002-03-20
CN1355976A (zh) 2002-06-26
BR0011579A (pt) 2002-05-14
WO2000076135A1 (fr) 2000-12-14
TW546918B (en) 200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7030B1 (en) Broadband cable television and computer network
US7382232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use
US7428238B2 (en) Broadband network bridging various wiring channels
EP10993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US20130156115A1 (en) 10 Gbps Coaxial Cable Networking System
US10531151B2 (en) Bidirectional amplifier or node supporting out-of-band signaling
KR100499654B1 (ko)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US20050058390A1 (en) Optical fiber network system transmission method, optical fiber network system thereof, and central unit thereof
Taylor Characterization of cable TV networks as the transmission media for data
KR100366234B1 (ko) 공시청망(matv)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용 필터링 장치
JP3756039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5949301A (en)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broadband energy flow through components in networking systems
JP3717366B2 (ja) Cat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598936B2 (ja) 光送信機、光送受信機、及びcatvシステム
JP3460804B2 (ja) データ伝送方式
EP1125385A1 (en) In-home network using an existing coaxial cable installation
US20010015967A1 (en) Wireless LAN system
EP1138155B1 (e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5150854A (ja) 通信システム
JPH11234646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リピータと、共聴同軸ケーブル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アダプタ
AU2001242191A1 (en) Two way cable system with noise-free return path
WO2005046078A2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9071851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