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149A -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149A
KR20020011149A KR1020000044469A KR20000044469A KR20020011149A KR 20020011149 A KR20020011149 A KR 20020011149A KR 1020000044469 A KR1020000044469 A KR 1020000044469A KR 20000044469 A KR20000044469 A KR 20000044469A KR 20020011149 A KR20020011149 A KR 20020011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optical fiber
light
light source
sens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칠
권혁상
이규행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20000044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1149A/ko
Publication of KR20020011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1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268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usin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2Optical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djusting optical elements during the assembly of optical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의 종단에서 반사기능을 갖는 센싱용 광섬유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센싱용 광섬유로 인가하고 센싱용 광섬유의 종단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기준광과 수신광의 신호레벨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이 받는 물리적영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발생수단과, 다수의 심선을 꼬임형상으로 결합하되, 신호전송용 심선의 종단은 반사코팅처리하여 형성되는 센싱용광섬유,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준광의 신호레벨과 상기 센싱용광섬유로부터 발생되는 반사광의 신호레벨을 비교하기 위한 광원수신수단 및,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기준광은 상기 센싱용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용광섬유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은 상기 광원수신수단으로 출력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발생수단과,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펄스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변조수단, 그 종단이 반사코팅 처리된 N개의 센싱용광섬유와, 이 N개의 센싱용광섬유 사이에 소정의 시간지연을 두기 위한 N-1개의 지연수단 및, 상기 N개의 센싱용광섬유를 결합함과 더불어, 각 센싱용광섬유로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분할하여 인가하기 위한 N-1개의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센싱수단,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센싱용광섬유의 반사광 신호레벨을 각각 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변조수단으로부터인가되는 광은 상기 센싱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용광섬유의 반사광은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써큘레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Sensing system using by optical-fiber}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의 종단에서 반사기능을 갖는 센싱용 광섬유를 구조물에 설치하여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센싱용 광섬유로 인가하고 센싱용 광섬유의 종단에서 반사된 광을 수신하여 기준광과 수신광의 신호레벨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이 받는 물리적영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터널, 교량, 댐 등의 구조물을 시공한 후에는 시공된 해당 구조물이 외부적으로 인가되는 물리량에 대해 안정적인지를 검사하게 된다.
이에, 현재에는 상기한 구조물의 안정도를 계측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계측센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인 바, 상기한 계측센서는 구조물의 특정 한 지점의 물리적인 영향을 측정한 후, 측정된 값을 근거로 감시자가 인위적으로 분석,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계측센서는 외부로부터의 물리량을 근거로 감시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분석에 의해 구조물의 변형정도를 측정하게 되기 때문에, 정확한 구조물의 감시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계측센서는 낮은 감도에 기인한 오측정, 센서 구조의 한계로 인한 적용대상물 변위특성 파악의 한계성, 한계적인 동적 계측 시행으로 인한 탄성체 상태에서의 구조물관리의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에, 광섬유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외부변형정도를 측정하는 센싱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도1은 일반적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은 센싱용 광섬유(1)의 양단에 소정 파장의 광원을 생성하는 광원발생부(2)와 센싱용광섬유(1)로부터 인가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원수신부(3)를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원발생부(2)로부터 발생된 광원과 광원수신부(3)에서 수신한 광을 비교함으로써, 센싱용 광섬유(1)가 설치된 곳의 물리적 영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본 출원인은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구조물 감지시스템을 출원한 바 있다. 즉, 특수파장에 대해 반사를 일으키는 광섬유격자를 센싱용 광섬유에 적용하여, 이 광섬유격자가 설치된 곳에 외부 물리량이 가해지는 경우 격자간격이 변화하게 됨에 따라 반사되는 파장대역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여 구조물이 받는 외부 물리량을 측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광섬유격자를 이용한 광센서는 그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하나의 센서에 구비되는 광섬유격자의 길이가 짧음으로 인해 해당 구조물의 특정 부분에서의 물리량만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센싱용 광섬유의 종단을 반사코팅처리하여 센싱용 광섬유로 인가되는 광의 반사광을 통해 해당 센싱용 광섬유가 설치된 곳의 물리적 영향을 측정하도록 된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종단이 반사코팅처리된 센싱용 광섬유를 구조물의 여러곳에 배열형태로 설치하고, 각 센싱용 광섬유간에는 소정의 지연수단을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센싱용 광섬유로 인가되는 신호를 펄스형태의 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여,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수신되는 신호를 근거로 해당 센싱용 광섬유가 설치된 곳의 물리적 영향을 측정하도록 된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센싱용 광섬유(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도4에 도시된 지연부(55)의 구현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도4에 도시된 표시부(61)의 출력형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광원발생부, 3 : 광원수신부,
10 : 센싱용광섬유, 101 : 센서시단부,
102 : 센싱부, 103 : 센서종단부,
11 : 커플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은,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발생수단과, 다수의 심선을 꼬임형상으로 결합하되, 신호전송용 심선의 종단은 반사코팅처리하여 형성되는 센싱용광섬유,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준광의 신호레벨과 상기 센싱용광섬유로부터 발생되는 반사광의 신호레벨을 비교하기 위한 광원수신수단 및,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기준광은 상기 센싱용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용광섬유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은 상기 광원수신수단으로 출력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은,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발생수단과,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펄스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변조수단, 그 종단이 반사코팅 처리된 N개의 센싱용광섬유와, 이 N개의 센싱용광섬유 사이에 소정의 시간지연을 두기 위한 N-1개의 지연수단 및, 상기 N개의 센싱용광섬유를 결합함과 더불어, 각 센싱용광섬유로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분할하여 인가하기 위한 N-1개의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센싱수단,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센싱용광섬유의 반사광 신호레벨을 각각 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변조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광은 상기 센싱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용광섬유의 반사광은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써큘레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센싱용광섬유의 종단을 반사코팅처리함으로써,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화하고, 또한 이러한 센싱용광섬유를 여러개 배열하여 규모가 비교적 큰 구조물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싱시스템에 있어서는 광원발생부(1)로부터 송출되는 소정레벨의 광이 커플러(11)로 인가되고, 커플러(11)에서는 광원발생부(1)로부터 수신된 광을 센싱용 광섬유(10)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싱용 광섬유(10)는 센서시단부(101)와 센서부(102) 및 센서종단부(103)으로 구성되며, 센싱용 광섬유(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게 된다. 즉, 센싱용 광섬유(10)는 3개의 심선으로 형성되되, 센서부(102)는 두 개 심선의 외부에 제 3의 심선이 "S"형태의 꼬인 형상으로 구성되며, 센서종단부(103)는이 3개 심선 중 하나의 신호심선(21)에 광반사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심선(21)의 종단에 반사코딩처리(22), 예컨대 은(silver) 코팅처리하여 구성되게 된다.
한편, 도2에서 상기 센싱용광섬유(10)의 신호심선(21)으로부터 반사처리되어 출력되는 광은 커플러(11)를 통해 광원수신부(3)로 인가되게 되고, 광원수신부(3)에서는 광원발생부(1)로부터 발생된 광과 광원수신부(3)에서 수신광을 비교함으로써, 센싱용광섬유(10)가 설치된 구조물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실시예에 의하면, 센싱용 광섬유(10)의 종단을 반사코팅처리를 함으로써, 종래 센싱용 광섬유(10)에서 루프백(Look back)구조가 필요로 하는 센서종단부의 광섬유 루프를 위한 최소한의 광섬율 곡률반경유지를 위한 공간의 제거를 통해 간결한 구조로 구조물의 물리적 변형정도가 측정가능하게 된다.
한편, 지하철등의 지하시설물, 교량, 건물, 고가차도나 도로 등의 구조물의 경우에는 그 구조물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에서의 물리적 변형정도의 측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심선의 종단이 반사코팅처리된 센싱용광섬유를 여러개 배열하여 구조물의 여러 위치에서의 물리적 변형정도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발생부(51)로부터 발생되는 소정의 광, 즉 기준광은 변조기(52)로 인가되게 되고, 이 변조기(52)에서는 광원발생부(51)로부터 인가되는 연속적인 광을 펄스신호형태로 변조하여 제 1커플러(53)로 출력하게 된다.
제 1커플러(53)에서는 변조부(52)로부터 인가되는 펄스신호형태의 광을 소정의 비, 예컨대 99:1로 분할하여 99에 해당하는 광은 써큘레이터(54)로 출력하고, 1에 해당하는 광은 제 N+1커플러(57)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써큘레이터(54)에서는 제 1커플러(53)로부터 인가되는 광을 제 1지연부(55)로 출력하게 되는 바, 이 제 1지연부(55)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게 된다.
즉, 제 1지연부(55)는 써큘레이터(54)와 센싱부(56)의 커플러2(5611) 사이의 광섬유(S)를 소정 길이만큼 연장시켜 이를 박스(BOX)형태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롤(551)에 감아 형성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는 그 길이에 따라 광의 전송지연이 발생하게 되는 바, 예컨대 써큘레이터(54)와 커플러2(5621) 사이의 광섬유길이를 약 100m 연장하게 되는 경우, 약 1μs의 전송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4에서 제 1지연부(55)에서는 써큘레이터(54)로부터 수신된 광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센싱부(56)로 출력하게 되는 바, 이 센싱부(56)는 수신되는 광을 소정비로 분할하여 센싱용 광섬유(562)와 지연부(563)로 각각 출력하기 위한 커플러(561)와 이 커플러(561)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그 종단부에서 반사시켜 커플러(561)로 출력하는 센싱용광섬유(562) 및, 상기 커플러(561)로부터 인가되는 광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563)로 구성되며, 커플러(561)와, 센싱용광섬유(562) 및, 지연부(563)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56)에서 커플러(5611∼561N-1)는 다수의 센싱용광섬유에 동일한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입력광을 각각 다른 분개비로 분할하여 센싱용광섬유와 지연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예컨대, 8개의 센싱용광섬유(562)로 구성된 센싱부(56)의 경우에는 첫 번째 커플러(5611)는 입력광을 5:95로 분할하여 5에 해당하는 광은 첫 번째 센싱용광섬유(5621)로 출력하고, 95에 해당하는 광은 첫 번째 지연부(5631)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두 번째 커플러(5612)는 입력광은 7:93으로 분할하여 7에 해당하는 광은 센싱용광섬유(5622)로, 93에 해당하는 광은 지연부(5632)로 각각 출력하게 되며, 세 번째 커플러는 9:91로 분할, 네 번째 커플러는 13:87로, 다섯 번째 커플러는 18:82로, 여섯 번째 커플러는 28:72로, 일곱 번째 커플러는 50:50으로 각각 분할하여 센싱용광섬유와 지연부로 각각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연부(5631∼563N-1)는 센싱부(56)의 각 센싱용광섬유(5621∼562N)로 인가되는 광 또는 반사되는 광에 대해 시간차를 두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 1지연부(55)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게 된다.
즉, 제 1지연부(55)로부터 센싱부(56)로 인가된 광은 소정 시간차를 두고 센싱부(56)를 구성하는 센싱용광섬유(562)로 각각 인가되게 되며, 이 센싱용광성뮤(562)에서는 인가되는 광을 그 종단에서 반사시켜 해당 센싱용광섬유(562)가 결합된 커플러(561)로 출력하게 되는 바, 해당 커플러(561)는센싱용광섬유(562)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을 앞단에 결합된 장치로 각각 출력하게 된다. 예컨대, N번째 센싱용 광섬유(562N)로부터 출력되는 반사광은 지연부(563N-1)를 통해 커플러(562N-1)로 인가되고, 커플러(562N-1)에서는 N-1번째 센싱용광섬유(562N-1)로 인가되는 반사광 또는 상기 지연부(563N-1)로부터 인가되는 N번째 센싱용광섬유(562N)의 반사광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연부(563N-2)를 통해 커플러(561N-2)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한 센싱부(56)의 동작으로 센싱부(56)의 커플러(5611)에서는 센싱용광섬유(5621) 또는 지연부2(5631)를 통해 인가되는 반사광을 제 1지연부(55)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 1지연부(55)에서는 센싱부(56)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을 써큘레이터(54)로 인가하게 되는 바, 써큘레이터(54)에서는 제 1지연부(55)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을 제 N+1커플러(57)로 출력하게 되고, 이 N+1커플러(57)에서는 써큘레이터(54)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 또는 상기 제 1커플러(53)로부터 인가되는 기준광을 포토다이오드(58)로 출력하게 된다.
포토다이오드(58)에서는 제 N+1커플러(57)로부터 인가되는 펄스형태의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부(59)로 출력하게 되고, 이 증폭부(59)에서는 포토다이오드(5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레벨 증폭하여 A/D변환부(60)를 통해 신호변환을 수행한 후 표시부(61)를 통해 구조물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표시 출력하게된다.
즉, 상기 표시부(61)는 구조물의 변형정도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출력하게 되는 바, 도6은 도4에 도시된 표시부(61)의 출력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6에서, (A)는 광원발생부(51)로부터 발생되는 기준광의 신호세기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광원발생부(51)로부터 발생되는 기준광이 제 1커플러(53) 및 제 N+1커플러(57)를 통해 수신된 신호레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6에서 (B)는 센싱부(56)를 구성하는 다수의 센싱용광섬유(562)로부터 반사되어 인가되는 반사광의 신호레벨을 나타낸 것이고, (C)는 센싱부(56)를 구성하는 센싱용광섬유(562)간의 지연간격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센싱부(56)를 구성하는 센싱용광섬유(562)간에 결합된 지연부(563)에 의해 해당 센싱용광섬유(562)로부터 발생되는 반사광의 지연에 의한 것이다. 즉, 수신되는 반사광의 순서에 따른 해당 센싱용광섬유(562)가 설치된 구조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되고, 해당 반사광의 수신레벨과 기준광의 수신레벨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센싱용광섬유(562)에 인가되는 구조물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도6에서 기준광의 신호레벨(A)과 반사광의 신호레벨(B) 사이의 지연간격은 도4에서 제 1지연부(55)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즉, 상기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종단이 반사코팅처리된 센싱용광섬유를 여러개 배열형태로 결합하되, 센싱용광섬유 사이에는 소정의 지연수단 및 해당 센싱용광섬유에 동일한 신호레벨의 광을 인가하기 위한 커플러를 구성하도록 하여, 소정의 광신호를 각 센싱용광섬유로 인가한 후 이 센싱용광섬유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수신하여 기준광신호의 수신신호레벨과 각 센싱용광섬유로부터 발생되는 반사광의 수신레벨을 비교함으로써, 해당 센싱용광섬유가 설치된 구조물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센싱용광섬유의 종단을 반사코팅처리함으로써,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화 하고, 또한 이러한 센싱용광섬유를 여러개 배열하여 규모가 비교적 큰 구조물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센싱용광섬유의 종단을 반사코팅처리함으로써,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화하고, 또한 이러한 센싱용광섬유를 여러개 배열하여 규모가 비교적 큰 구조물의 다양한 위치에서의 물리적 변형정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발생수단과,
    다수의 심선을 꼬임형상으로 결합하되, 신호전송용 심선의 종단은 반사코팅처리하여 형성되는 센싱용광섬유,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기준광의 신호레벨과 상기 센싱용광섬유로부터 발생되는 반사광의 신호레벨을 비교하기 위한 광원수신수단 및,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기준광은 상기 센싱용광섬유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용광섬유로부터 인가되는 반사광은 상기 광원수신수단으로 출력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용광섬유는 신호전송용 심선의 종단이 은(Slver)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3.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발생하기 위한 광원발생수단과,
    상기 광원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펄스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변조수단,
    그 종단이 반사코팅 처리된 N개의 센싱용광섬유와, 이 N개의 센싱용광섬유 사이에 소정의 시간지연을 두기 위한 N-1개의 지연수단 및, 상기 N개의 센싱용광섬유를 결합함과 더불어, 각 센싱용광섬유로 소정레벨의 기준광을 분할하여 인가하기 위한 N-1개의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센싱수단,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센싱용광섬유의 반사광 신호레벨을 각각 출력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변조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광은 상기 센싱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용광섬유의 반사광은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써큘레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에서 N-1개의 커플러는 해당 커플러와 결합된 각각의 센싱용광섬유로 동일한 신호레벨의 광을 인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분개비로 분할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에서 N-1개의 지연수단은 소정의 권취롤에 광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광섬유의 소정 길이만큼 권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기준광을 소정레벨로 분할하여 제 1 및 제 2출력단으로 각각 출력하되, 제 1출력단에는 상기 써큘레이터가 결합되는 광분배수단과,
    상기 제 1광분배수단의 제 2출력단으로 인가되는 기준광 또는 상기 써큘레이터로부터 인가되는 센싱수단의 반사광을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써큘레이터와 상기 센싱수단 사이에는 소정의 시간지연을 위한 지연수단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KR1020000044469A 2000-08-01 2000-08-01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KR20020011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469A KR20020011149A (ko) 2000-08-01 2000-08-01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469A KR20020011149A (ko) 2000-08-01 2000-08-01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149A true KR20020011149A (ko) 2002-02-08

Family

ID=1968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469A KR20020011149A (ko) 2000-08-01 2000-08-01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1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817A (ko) * 2001-12-13 2003-06-25 주식회사 세미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KR20040003828A (ko) * 2002-07-04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형상기억합금과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 형상 제어 장치
KR100470083B1 (ko) * 2001-12-13 2005-02-04 주식회사 세미텔 복합 광섬유 센서
KR101103250B1 (ko) * 2008-11-06 2012-01-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배열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
WO2015199424A1 (ko) * 2014-06-23 2015-12-30 광주과학기술원 인테러게이션 광섬유를 사용한 광특성 측정 장치, 이를 구비하는 광섬유 센서 시스템 및 광특성 측정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817A (ko) * 2001-12-13 2003-06-25 주식회사 세미텔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KR100470083B1 (ko) * 2001-12-13 2005-02-04 주식회사 세미텔 복합 광섬유 센서
KR20040003828A (ko) * 2002-07-04 2004-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형상기억합금과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 형상 제어 장치
KR101103250B1 (ko) * 2008-11-06 2012-01-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섬유 배열을 이용한 위치 검출 장치
WO2015199424A1 (ko) * 2014-06-23 2015-12-30 광주과학기술원 인테러게이션 광섬유를 사용한 광특성 측정 장치, 이를 구비하는 광섬유 센서 시스템 및 광특성 측정 방법
US10473492B2 (en) 2014-06-23 2019-11-12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ptical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using interrogation optical fiber, optical fiber sensor system having the same, and optical characteristic measur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23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ime domain demultiplexing of serial fiber Bragg grating sensor arrays
JP2856904B2 (ja) 損失検出
US6680472B1 (en) Device for measuring of optical wavelengths
JPH04279832A (ja) 物理量測定装置
US20030198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tructure using a counter-propagating signal method for locating events
CN103591971B (zh) 一种光纤光栅的定位方法
JP2010054366A (ja) 光ファイバ位置特定のための光学マーキング部を備えた光ファイバセンサおよび光ファイバセンサの計測方法と光ファイバセンサ装置
CN110006562B (zh) 一种基于模式耦合的分布式光纤传感系统
US7551810B2 (en) Segmented fiber optic sensor and method
JP2009229134A (ja) 光センサシステム
CN102506916A (zh) 采用弱反射fbg的分布式传感网络及其各fbg的精确定位方法
KR20020011149A (ko)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시스템
US7583865B2 (en) Segmented fiber optic sensor and method
JP3746645B2 (ja) 光ファイバ歪み計測装置
KR20030048817A (ko) 광섬유를 이용한 센싱 시스템
WO2021234887A1 (ja) ブリルアン光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光センシング方法
CA2285708C (en) Method and device for time domain demultiplexing of serial fiber bragg grating sensor arrays
US6034522A (en) Fibre optic transducer incorporating an extraneous factor compensation referencing system
KR20010018984A (ko) 광섬유브래그격자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JPH03215711A (ja) 光ファイバセンサ
KR100470083B1 (ko) 복합 광섬유 센서
EP14930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hromatic dispersion by variable wavelength
CN114659613B (zh) 基于相位解调的分布式光纤扰动信号模拟设备及使用方法
JP2005274333A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
JP2006010449A (ja) 光ファイバセンシ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