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934A -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 Google Patents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934A
KR20020010934A KR1020017016432A KR20017016432A KR20020010934A KR 20020010934 A KR20020010934 A KR 20020010934A KR 1020017016432 A KR1020017016432 A KR 1020017016432A KR 20017016432 A KR20017016432 A KR 20017016432A KR 20020010934 A KR20020010934 A KR 2002001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ed
unsaturated fatty
substantially unsaturated
methyl esters
fatty 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스트페히텔알프레드
다우닝톰
블레웨트빌
케네디스티브
휘브너노르베르트
프리젠하겐로타르
펠쩌게리트
클라인노르베르트
벨러안스가르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코그니스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코그니스 도이치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2001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13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 C07C29/136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 C07C29/14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7C29/149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duction of an oxygen containing functional group of >C=O containing groups, e.g. —COOH of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with hydrogen or hydrogen-containing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06Monohydric alcohols
    • C11D3/2027Monohydric alcohols unsaturated
    • C11D3/2031Monohydric alcohols unsaturated fatty or with at least 8 carbon atoms in the alkenyl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에 의해 수득되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에 관한 것이다:
(a) 공지의 방법으로 탄소수 16 내지 22인 불포화 지방산을 이합체화하고,
(b) 이합체화 반응 동안 수득된 단량체 분획을 분리하고,
(c) 상기 분획 중에 함유된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을 해당하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하고,
(d)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이중 결합을 수득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소화시킨다.

Description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BRANCHED LARGELY INSATURED FATTY ALCOHOLS}
트리글리세리드의 가수분해, 지방산의 실질적으로 포화된 분획 및 현저히 불포화된 올레인 분획으로의 로울-업 분리, 올레인의 에스테르화 및 이어서 이중 결합을 그대로 둔 채 메틸 에스테르의 수소화에 의해, 우지로부터 대개 수득되는 불포화된 지방 알콜은 화장용 제제의 제조 및 세탁용 세제, 식기용 세제 및 클리닝 조성물의 제조 양자에 대한 중요한 원료 물질이다. 그리하여, 알콜 그 자체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 이형제로서 사용되고, 그들의 유도체, 예를 들면 에톡실레이트, 술페이트 및 에테르 술페이트는 샴푸 및 액체 세제에서 유화제 또는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고 올레일 에스테르는 화장용 오일 성분으로서 자주 사용된다. 상기 물질의 바람직한 성질은, 불포화된 지방 알콜이 탈색 및 원하지 않는 화학적 변화 (예를 들면 과산화물 및 히드로과산화물의 형성)와 관련된 자동산화를 쉽게받기 때문에 이중 결합이 문제를 제기하지만, 분자 내의 이중 결합의 존재와 연관된다.
따라서, 개선된 산화 안정성을 가진 불포화된 지방 알콜 또는 적어도 대등한 성능 성질을 가지는 적당한 대체물에 대한 시장 요구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거의 순수한 이소스테아릴 알콜이 지금까지는 불포화된 지방 알콜에 대한 유일한 대안이었다. 그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올레산을 이합체화시키고, 단량체 분지형 지방산의 분획을 분리하여, 수소화시키고 분별결정하고, 이소스테아르산이 풍부한 축적되는 액체 분획을 제거하고 메탄올로 에스테르화시키고 수득된 에스테르를 이어서 수소화시켜 알콜을 형성한다.
상기 기술된 방법은 기술적으로 2 단계의 수소화로 인해 복잡하고, 이소스테아릴 알콜에서, 제한된 정도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을 단지 대체할 수 있는 대체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문제는 적어도 필적하는 성능 성질에 대해 개선된 산화 안정성으로 구별되는 불포화된 지방 알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올레오케미칼 원료 물질,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화수소 사슬 중의 분지의 존재를 통해, 현저히 개선된 성질에 의해 선형 동족체와 구별되는 불포화된 지방 알콜, 그들의 제조 방법 및 표면 활성 조성물의 제조에 대한 그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에 관한 것이다:
(a) 공지의 방법으로 불포화 C16-22지방산을 이합체화하고,
(b) 이합체화 반응 단계에서 축적되는 단량체 분획을 분리하고,
(c) 상기 분획 중에 존재하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을 해당하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하고,
(d) 이중 결합을 그대로 둔 채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소화시킴.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이 동일한 사슬 길이 및 동일한 요오드값을 가진 선형 동족체와 비교하여 명백하게 개선된 자동산화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이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의 제조
본 발명은 또한 하기의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불포화 C16-22지방산을 공지의 방법으로 이합체화하고,
(b) 이합체화 반응 단계에서 축적되는 단량체 분획을 분리하고,
(c) 상기 분획 중에 존재하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을 해당하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하고,
(d) 이중 결합을 그대로 둔 채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소화시킴.
지방산의 이합체화 반응 및 이합체로부터 단량체 지방산의 회수는 선행기술, 예를 들면 A. Behr 등의 [Fat Sci. Technol. 93, 340 (1991)] 및 H. Moehring 등의 [ibid. 94, 41 (1992) 및 94, 241 (1992)]에 의한 개관으로부터 충분히 공지되어있다. 단계 (a) 내지 (d)의 서열은 이합체화된, 바람직하게는 단일불포화된 C16-22지방산, 즉 올레산, 엘라이딘산, 페트로셀산, 가돌레산 및 에루크산 및 그들의 혼합물 기재로 요오드값이 45 내지 85인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이 제공된다. 이것은 의심할 여지 없이 전적으로 다수의 적용에 적합하다. 그러나, 비교적 불포화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지방 화합물이 필요한 경우에, 이합체화 반응 단계에서 축적되는 단량체 분획을 분별결정시키고, 이어서 수득된 액상을, 선택적으로 증류 후에,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이 추천할 만하다. 수득된 지방산 및 그것의 메틸 에스테르는 요오드값이 75 내지 95인 이미 꽤 순수한 이소올레산 또는 이소올레산 메틸 에스테르를 나타낸다. 어떠한 경우에도, 메틸 에스테르 및/또는 지방 알콜을 증류 및/또는 분별결정 ("winterizing")시키는 것은 추천할 만하다. 지방산의 메탄올로의 에스테르화는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되고 비교적 수소화하기 쉬운 메틸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메틸 에스테르 대신에, 다른 저급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에스테르가 당연히 제조될 수 있고 이어서 수소화될 수 있다. 알콜의 선택은 기본적으로 중요하지 않고 오로지 경제적인 기준 및 유용성에 의해 결정된다. 메틸 또는 저급 알킬 에스테르 대신에, 지방산을 직접 에스테르화시키는 것도 또한 원칙적으로 가능하나, 이것은 산과 염을 형성하지 않는 특별한 촉매의 사용이 수반된다. 게다가, 반응기 물질은 내부식성이어야 한다. 해당하는 알콜을 형성하기 위한 불포화 메틸 에스테르의 수소화는 또한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해당하는 방법 및 촉매, 특히 구리 및 아연에 기재한 것들이 예를 들면 하기 문헌에 개시되고: DE 43 357 81 C1, EP 0 602 108 B1, US 3,193,586 및 US 3,729,520 (Henkel); 상기 문헌의 개시가 명백히 참고된다.
실시예 1
23kg의 단량체 지방산 Edenor935 (Henkel KGaA)를 20kg의 메탄올로써 2 시간 동안 240℃/100 바에서 에스테르화시켰다. 물/메탄올 혼합물의 제거 후에, 동일한 양의 새로운 메탄올을 첨가하고 절차를 2회 반복하였다. 그리하여 수득된 에스테르는 산값이 0.8 이었다. 이중 결합을 그대로 둔 채 메틸 에스테르를 고정층 Zn/Cr 촉매 상에서 수소화시켰다. 메틸 에스테르의 처리량은 반응기의 총 부피 기재로, 시간당 부피로 0.5 유닛이었다. 메탄올의 제거 후에, 조 알콜을 증류하였다 (3% 1차 유출, 90% 주 유출, 6% 잔류). 생성되는 알콜은 192의 히드록실값, 0.9의 비누화값 및 74의 요오드값 (고상점 25.8℃)을 가졌다.
실시예 2
단량체 지방산은 메탄올/물로부터 결정화에 의해 직쇄 포화 지방산이 실질적으로 없었다 (Emersol 방법). 약 20 중량%의 지방산, 대부분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이 이러한 방법으로 제거되었다. 증류에 의한 용매의 제거 후에 수득된 액체 지방산 혼합물은 역가가 5℃ 이었고 먼저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되었고 이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소화되어 불포화된 지방 알콜을 형성하였다. 불포화된 지방 알콜은 191의 히드록실값, 1.7의 비누화값 및 87의 요오드값 (고상점 3.8℃)을 가졌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C1
신규한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의 자동산화 안정성을 표준 방법 AOCS CD12B92에 의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2의 알콜은 90 시간 이상 동안 안정하게 유지된 반면, 동일한 요오드값 (HD Ocenol 80/85 V)을 가진 선형 불포화된 지방 알콜은 동일한 조건하에 단지 10 시간 동안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신규한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은 산화에 대한 특별한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여 표면 활성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세탁용 세제, 식기용 세제, 클리너 및 유연제, 및 화장용 및/또는 제약용 제제의 제조에 적당하며, 여기서 상기 알콜은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a) 공지의 방법으로 불포화 C16-22지방산을 이합체화하고,
    (b) 이합체화 반응 단계에서 축적되는 단량체 분획을 분리하고,
    (c) 상기 분획 중에 존재하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을 해당하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하고,
    (d) 이중 결합을 그대로 둔 채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소화시킴.
  2. (a) 불포화 C16-22지방산을 공지의 방법으로 이합체화하고,
    (b) 이합체화 반응 단계에서 축적되는 단량체 분획을 분리하고,
    (c) 상기 분획 중에 존재하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을 해당하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하고,
    (d) 이중 결합을 그대로 둔 채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를 수소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이합체화 반응 단계에서 수득된 단량체 분획을 먼저 분별결정시키고, 수득된 액상을 선택적으로 증류 후에,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및/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메틸 에스테르 및/또는 지방 알콜을 증류 및/또는 분별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세탁용 세제, 식기용 세제, 클리너 및 유연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에 따른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의 용도.
  6. 화장용 및/또는 제약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에 따른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의 용도.
KR1020017016432A 1999-06-25 2000-06-16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KR20020010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15099P 1999-06-25 1999-06-25
US60/141,150 1999-06-25
PCT/EP2000/005538 WO2001000549A2 (de) 1999-06-25 2000-06-16 Verzweigte, weitgehend ungesättigte fettalkoh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934A true KR20020010934A (ko) 2002-02-06

Family

ID=2249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432A KR20020010934A (ko) 1999-06-25 2000-06-16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548717B1 (ko)
EP (1) EP1189857B1 (ko)
JP (1) JP2003503373A (ko)
KR (1) KR20020010934A (ko)
CN (1) CN1358164A (ko)
AU (1) AU5078300A (ko)
BR (1) BR0011941A (ko)
CA (1) CA2377110A1 (ko)
DE (1) DE50006610D1 (ko)
ES (1) ES2222209T3 (ko)
HK (1) HK1044331A1 (ko)
HU (1) HUP0201864A2 (ko)
WO (1) WO20010005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6285A1 (de) * 2001-11-19 2003-05-28 Cognis Deutschland Gmbh Emulgator-Gemisch
DE102007027371A1 (de) * 2007-06-11 2008-12-18 Cognis Oleochemical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aufweisend mindestens eine Ester-Gruppe
DE102007027372A1 (de) * 2007-06-11 2008-12-18 Cognis Oleochemicals Gmbh Verfahren zur Hydrierung von Glycerin
US20110151526A1 (en) * 2009-12-22 2011-06-23 Charles Winston Saunders Branched-Chain Fatty Acids And Biological Prod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65236C (de) 1955-08-22 1957-06-06 Dehydag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einfach ungesaettigter, hoehermolekularerFettalkohole
DE1228603B (de) 1965-07-24 1966-11-17 Henkel & C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ungesaettigter Fettalkohole
GB1146207A (en) * 1966-09-10 1969-03-19 Wolf Ltd Victor Improvements to th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imerised and polymerised fatty acids or their esters
DE4129622A1 (de) 1991-09-06 1993-03-11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ungesaettigten fettalkoholen
DE4335781C2 (de) * 1993-10-20 1998-02-19 Henkel Kgaa Fettalkohole auf pflanzlicher Basi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3303947B2 (ja) * 1994-05-18 2002-07-22 花王株式会社 分岐脂肪酸及び分岐脂肪酸エステルの製造法
DE4422858C1 (de) * 1994-06-30 1995-07-27 Henkel Kgaa Ungesättigte Fettalkohole mit verbessertem Kälteverhalten
JP3583505B2 (ja) * 1995-05-10 2004-11-04 花王株式会社 新規な第4級アンモニウム塩及びそれを含有する柔軟剤組成物
DE19750801C2 (de) * 1997-11-17 2001-03-15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ungesättigter Kokos- und/oder Palmkernfettalkoh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078300A (en) 2001-01-31
CA2377110A1 (en) 2001-01-04
HUP0201864A2 (en) 2002-11-28
US6548717B1 (en) 2003-04-15
CN1358164A (zh) 2002-07-10
EP1189857B1 (de) 2004-05-26
DE50006610D1 (de) 2004-07-01
HK1044331A1 (zh) 2002-10-18
WO2001000549A3 (de) 2001-07-12
ES2222209T3 (es) 2005-02-01
BR0011941A (pt) 2002-05-07
JP2003503373A (ja) 2003-01-28
EP1189857A2 (de) 2002-03-27
WO2001000549A2 (de) 200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78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atty alcohols based on vegetable fats and oils by fractionation
US3753968A (en) Selective reaction of fatty acids and their separation
US6160140A (en) Production of materials rich in conjugated isomers of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residues
EP2659780B1 (en) Omega 3 concentrate
US6229056B1 (en) Unsaturated fatty compound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behavior
CA2013865A1 (en) Process for producing fatty-acid lower-alkyl monoesters
US5917097A (en) Unsaturated fatty compound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behavior
EP062918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ttsäureestern niederer alkohole
FR2743084A1 (fr) Procede de fabrication de produits solides par esterification des acides gras libres en presence de catalyseurs acides
JP2001523654A (ja) 不飽和パーム油脂肪アルコール
JP2001523654A5 (ko)
US475409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xamethyl tetracosanes
US5364949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ranched fatty acids and esters thereof
KR20020010934A (ko) 분지형의 실질적으로 불포화된 지방 알콜
US6187974B1 (en) Process for producing unsaturated fatty alcohols from lauric oils
EP0389269B1 (en) Diesters and their use in waxes
Anders et al. Omega-formylalkanoates by ozonization of unsaturated fatty esters
US7408087B2 (en) Process for making unsaturated coconut and/or palm nut fatty alcohols
US2476053A (en) Process for producing esters
JP2003503373A5 (ko)
CA2174723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atty alcohols based on vegetable fats and oils by fractionation
CA1117138A (en) Flow process for conjugating unconjugated unsaturation of fatty acids
DE390685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ttsaeureglycerid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