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376A -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376A
KR20020010376A KR1020000044065A KR20000044065A KR20020010376A KR 20020010376 A KR20020010376 A KR 20020010376A KR 1020000044065 A KR1020000044065 A KR 1020000044065A KR 20000044065 A KR20000044065 A KR 20000044065A KR 20020010376 A KR20020010376 A KR 2002001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air
air inlet
cap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3739B1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4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7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7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배수파이프에 설치되어 냉동실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에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주위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원판형의 샤트로 구성됨으로써 공기유입공이 샤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완전히 개방되게 되므로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한 공기 유입량이 증가되어 냉동실도어의 개방이 훨씬 용이해지고 공기 유입으로 인한 소음이 제거되어 냉장고의 전체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APPARATUS FOR INFLOW OF AIR THROUGH DRAINPIPE IN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캡에 형성된 공기유입공이 샤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완전히 개방되도록 상기 캡과 샤트의 구조를 변경한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F)과 이 냉동실(F)의 측면에 냉동실(F)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냉장실(R)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F)의 후측에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냉동실(F)과 냉장실(R)로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증발기(1)와 냉동팬(2)이 설치되고,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의 하측에는 압축기(3), 응축기(4), 방열팬(5)이 구비된 기계실(M)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M)에는 증발기(1)의 설치 공간과 연결된 배수파이프(6)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파이프(6)에는 냉동실도어(7)의 개폐시 기계실(M)의 공기를 유입 및 유출함으로써 상기 냉동실도어(7)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공기유입장치(10)가 설치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는 배수파이프(6)에 연결된 본체(11)와, 상기 본체(6)의 하측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공(13a)이 형성된 캡(13)과, 상기 캡(13)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13a)을 개폐시키는 샤트(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13)의 중앙에는 샤트(15)가 삽입되는 삽입공(13b)이 형성되고, 상기 샤트(15)는 캡(13)의 삽입공(13b)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삽입부(15a)와, 상기 삽입부(15a)의 상단에 형성되어 캡(13)의 공기유입공(13a)을 개폐하는 개폐부(15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샤트(15)의 삽입부(15a)에는 캡(13)에 걸려 샤트(15)의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하는 동시에 샤트(15)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5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서는 냉동실도어(7)의 개폐에 따라 냉동실(F) 내부의 공기압이 변화되면 이 공기압의 변화에 의해 샤트(15)가 상하 이동되면서 캡(13)의 공기유입공(13a)을 통해 기계실(M)의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어 상기 냉동실도어(7)의 개방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는 캡(13)과 샤트(15)의 구조상 상기 캡(13)과 샤트(15)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입유로(A)가 좁기 때문에 냉동실도어(7)를 개방할 때 냉동실(F)의 공기가 안정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상기 냉동실도어(7)의 개방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유입장치는 캡(13)과 샤트(15)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입유로(A)가 좁기 때문에 상기한 공기유입유로(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유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어 냉장고의 전체 소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공기를 본체로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유로를 형성하는 캡과 샤트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되어 냉동실도어의 개방이 훨씬 용이해지고 공기 유입으로 인한 소음이 제거되어 냉장고의 전체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요부가 도시된 측면 단면도,
도 2는 상기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의 요부가 도시된 배면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냉장실 R : 냉장실
6 : 배수파이프 7 : 냉동실도어
51 : 본체 53 : 캡
53a : 지지대 53b : 공기유입공
55 : 샤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배수파이프에 설치되어 냉동실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에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주위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원판형의 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는 냉장고의 배수파이프(6)에 설치되어 냉동실도어(7)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파이프(6)에 연결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대(53a)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53a)의 주위에 공기유입공(53b)이 형성되는 캡(53)과, 상기 캡(53)의 지지대(53a)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53b)을 개폐시키는 원판형의 샤트(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트(55)는 상측으로의 이동시 상기 본체(51)에 부딪혀 멈추도록 형성되어 별도의 스톱퍼 장치가 불필요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냉장고의 정상적인 운전시에는 샤트(55)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되어 캡(53)의 공기유입공(53b)을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공기유입공(53b)을 통한 외부의 공기 유입은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의 운전중에 사용자가 냉동실도어(7)를 열면 냉동실(F) 내부의 압력이 배수파이프(6)를 통해 본체(51)에 전달되고, 이러한 냉동실(F)의 압력 변화로 인해 상기 샤트(55)가 지지대(53a)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트(55)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캡(53)의 공기유입공(53b)이 완전히 개방되어 상기 공기유입공(53b)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51)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본체(51)로 유입된 공기는 배수파이프(6)를 통해 냉동실(F)로 유입되어 냉동실도어(7)의 개방시 상기 냉동실도어(7)를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샤트(55)는 공기유입공(53b)에 의한 공기의 유입시 상기 공기유입공(53b)의 유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기유입공(53b)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기존에 비해 상당히 증가될 뿐만 아니라 공기 유입으로 인한 소음도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는, 캡(53)에 형성된 공기유입공(53b)이 샤트(55)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완전히 개방되는 구조로 상기 캡(53)과 샤트(55)의 구조를 변경하므로 상기 공기유입공(53b)을 통한 공기 유입량이 증가되어 냉동실도어의 개방이 훨씬 용이해지고 공기 유입으로 인한 소음이 방지되어 냉장고의 전체 소음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냉장고의 배수파이프에 설치되어 냉동실도어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파이프에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주위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원판형의 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트는 상측으로의 이동시 상기 본체에 부딪혀 멈추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KR1020000044065A 2000-07-29 2000-07-29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KR100343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065A KR100343739B1 (ko) 2000-07-29 2000-07-29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065A KR100343739B1 (ko) 2000-07-29 2000-07-29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76A true KR20020010376A (ko) 2002-02-04
KR100343739B1 KR100343739B1 (ko) 2002-07-20

Family

ID=1968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065A KR100343739B1 (ko) 2000-07-29 2000-07-29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90B1 (ko) * 2009-07-24 2012-01-03 제일산업 주식회사 골판지용 포장완충재
KR20220139068A (ko) * 2021-04-07 2022-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590B1 (ko) * 2009-07-24 2012-01-03 제일산업 주식회사 골판지용 포장완충재
KR20220139068A (ko) * 2021-04-07 2022-10-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빙 방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셔터형 냉동실 배수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3739B1 (ko) 200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7934A1 (en) Refrigerator
KR101620398B1 (ko) 냉장고
KR20100018727A (ko) 냉장고용 드레인 파이프
KR100698237B1 (ko) 냉장고의 드레인수 배출장치
KR100343739B1 (ko) 냉장고용 배수파이프의 공기유입장치
KR0155646B1 (ko) 시분할 이중 증발기 사이클 냉장고의 상분리기 구조
JP2637702B2 (ja) 冷蔵庫の圧力平衡装置
KR100379483B1 (ko) 진공 냉장고
KR200297297Y1 (ko) 냉장고용 제상수 배수구 개폐수단
KR100214621B1 (ko) 냉장고의 드레인 파이프
KR0122993Y1 (ko) 제상수밸브를 갖는 냉장고
KR200226090Y1 (ko) 냉장고의 도어개방을 위한 압력조절 장치
KR100531318B1 (ko) 양문형 냉장고
KR100266600B1 (ko) 냉장고 제상호스의 열유입방지장치
KR200162809Y1 (ko) 냉장고의 도어열림 보조장치
KR100438952B1 (ko) 냉각장치의 냉기공급방법
KR20020044403A (ko) 진공 냉장고
KR20018460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200158093Y1 (ko) 냉장고의 드레인파이프
KR100408825B1 (ko) 붙박이형 반찬 냉장고
KR0111187Y1 (ko) 전기 냉장고
KR100339384B1 (ko) 냉장고용 냉기유로 구조
KR200157514Y1 (ko) 냉장고의 부압 해소구조
KR970007221A (ko) 냉장고의 제상수배수관
KR200159767Y1 (ko) 제상수배수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