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603Y1 -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603Y1
KR200184603Y1 KR2020000000177U KR20000000177U KR200184603Y1 KR 200184603 Y1 KR200184603 Y1 KR 200184603Y1 KR 2020000000177 U KR2020000000177 U KR 2020000000177U KR 20000000177 U KR20000000177 U KR 20000000177U KR 200184603 Y1 KR200184603 Y1 KR 200184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upper duct
showcase
defrost wat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기공
Priority to KR2020000000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drople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5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ultiple collecting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상수 배수받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부덕트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별도로 제상수 받이를 구비하지 필요가 없음으로 인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증발기와 상부덕트 사이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하여 보다 많은 양의 냉기를 고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쇼케이스 본체의 내부 상부측에 상부 덕트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부 덕트와 본체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부 덕트에 냉각팬을 구비하여 쇼케이스의 고내로 냉기를 유입시키고, 증발기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여 배수 파이프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부 덕트는 본체의 상측 내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냉각팬을 설치하기 위한 냉각팬 설치판과; 냉각팬 설치판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자의 오목한 형상으로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는 제상수 집수홈을 구비한 사각 형상의 경사판과; 경사판의 좌우측 단부 및 냉각팬 설치판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경사판의 후측 단부에는 상기 배수 파이프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파이프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DRAINING APPARATUS FOR REMOVED FROST WATER IN SHOWCASE}
본 고안은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상수 배수받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부덕트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별도로 제상수 받이를 구비하지 필요가 없음으로 인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증발기와 상부덕트 사이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하여 보다 많은 양의 냉기를 고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치인 쇼케이스는 냉장이나 냉동을 필요로 하는 식품이나 음료수등을 진열 및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기로서,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저장된 상품을 저온 상태로 유지 및 보존하여야 하며, 또한 고내에 진열된 상품을 소비자에게 산뜻하고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쇼케이스는 냉동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열역학적 성질에 의한 냉매를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폐회로(냉동사이클)내로 이동시켜 기화할때, 주위로부터 열을 뺏어 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치인 타입의 쇼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쇼케이스 본체(100)의 하부측에는 기계실(120)이 위치하며, 이 기계실(120)의 내부에는 압축기(126), 응축기(122) 및 응축기팬(1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쇼케이스 본체(100)의 내부 상부측에는 상부 덕트(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상부 덕트(130)와 본체(100)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 냉기 발생용 증발기(134)가 구비되며, 상부 덕트(130)에는 냉각팬(132)이 구비되어 증발기(134)에서 발생된 냉기를 고내(110)로 강제 공급하기 위핸 냉각팬(1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134)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상부 덕트(130)의 상면에는 제상수 받이(136)를 별도로 고정 설치하여 제상히터(미도시)의 가동시에 용해되어 증발기(134)로부터 하강하는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상수 받이(136)에 집수된 제상수는 하부면에 연결된 배수호스(138)를 통해 배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제상수 받이(136)는 스크류(미도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부 덕트(130)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상부 덕트(130)와 서로 분리된 단품을 사용하므로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제상수 받이(136)로 인해 증발기와 상부덕트 사이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고내로 냉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상수 배수받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부덕트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별도로 제상수 받이를 구비하지 필요가 없음으로 인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증발기와 상부덕트 사이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하여 보다 많은 양의 냉기를 고내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치인 타입의 쇼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리치인 타입의 쇼케이스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장치의 구성중 상부 덕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10:고내
120:기계실 122:응축기
124:응축기팬 126:압축기
130:상부덕트 132:냉각팬
134:증발기 136:제상수 받이
138:배수호스 200:본체
210:고내 300:상부덕트
310:냉각팬 320:증발기
330:배수파이프 350:냉각팬 설치판
352:수직판 354:경사판
356:파이프 설치부 358:제상수 집수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장치가 적용된 리치인 타입의 쇼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수장치의 구성중 상부 덕트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쇼케이스 본체(200)의 내부 상부측에 상부 덕트(300)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부 덕트(300)와 본체(200)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 증발기(320)를 구비하고, 상부 덕트(300)에 냉각팬(310)을 구비하여 쇼케이스의 고내(210)로 냉기를 유입시키고, 증발기(320)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여 배수 파이프(33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쇼케이스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부 덕트(300)의 구조를 개량하여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는 기능과 냉기를 안내하는 덕트의 기능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부 덕트(300)는 본체(200)의 상측 내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냉각팬(310)을 설치하기 위한 냉각팬 설치판(350)과, 냉각팬 설치판(350)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자의 오목한 형상으로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는 제상수 집수홈(358)을 구비한 사각 형상의 경사판(354)과, 경사판(354)의 좌우측 단부 및 냉각팬 설치판(350)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수직판(3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판(354)의 후측 단부에는 배수 파이프(330)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파이프 설치부(35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상히터(미도시)의 가동시에 용해되어 증발기(320)로부터 하강하는 제상수는 직하방에 구비된 상부 덕트(300)의 경사판(354)에 형성된 제상수 집수홈(358)에 낙하됨과 아울러 경사판(354)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이유로 인해 파이프 설치부(356)측으로 집수된다.
이렇게 파이프 설치부(356)측으로 집수되는 제상수는 배수 파이프(330)를 통해 배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덕트(300)는 제상수의 집수 역할을 함과 아울러 냉각팬(310)에 의해 증발기(320) 주위의 냉기가 고내(210)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상수 배수받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상부덕트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별도로 제상수 받이를 구비하지 필요가 없음으로 인해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원가가 절감되며, 증발기와 상부덕트 사이 내부 공간이 충분히 확보하여 보다 많은 양의 냉기를 고내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쇼케이스 본체의 내부 상부측에 상부 덕트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상부 덕트와 상기 본체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덕트에 냉각팬을 구비하여 상기 쇼케이스의 고내로 냉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여 배수 파이프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쇼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덕트는 상기 본체의 상측 내벽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냉각팬을 설치하기 위한 냉각팬 설치판과; 상기 냉각팬 설치판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되, '∨'자의 오목한 형상으로 상기 제상수를 집수할 수 있는 제상수 집수홈을 구비한 사각 형상의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좌우측 단부 및 상기 냉각팬 설치판의 좌우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판의 후측 단부에는 상기 배수 파이프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파이프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2020000000177U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200184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177U KR200184603Y1 (ko)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177U KR200184603Y1 (ko)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603Y1 true KR200184603Y1 (ko) 2000-06-01

Family

ID=1963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177U KR200184603Y1 (ko) 2000-01-05 2000-01-05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504A (zh) * 2018-04-13 2019-10-2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排水机构的冰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5504A (zh) * 2018-04-13 2019-10-2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具有排水机构的冰箱
CN110375504B (zh) * 2018-04-13 2024-03-22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具有排水机构的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025B1 (ko) 냉장고
US9644887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US6519970B1 (en) High-side refrigeration unit assembly
EP2174083A2 (en) Refrigerator
CN211953369U (zh) 一体式制冷机组及立式冷藏柜
KR20018460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100681940B1 (ko) 부압 방지 밸브를 갖는 냉장고
KR20019819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100419154B1 (ko) 제상수증발을위한쇼케이스의기계실구조
KR200460589Y1 (ko) 직냉식 와인 냉장고
KR101083690B1 (ko) 냉장고 핫파이프 배치구조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JPH11237164A (ja) 冷凍冷蔵庫
KR200224092Y1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00269446B1 (ko) 냉난방겸용공기조화기
KR100586980B1 (ko) 냉장고
KR200317387Y1 (ko) 냉장고
KR0139330Y1 (ko)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KR100214618B1 (ko) 냉장고의 냉기누설 방지장치
JP2003106747A (ja) コンデンシングユニット
KR20000010970U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KR20000015876U (ko) 냉장고의 배수관 연결장치
KR19990021525U (ko) 냉장고의 제상수 배출구조
KR19990028752U (ko)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JP2002195737A (ja) 冷却器の除霜水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