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330Y1 -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330Y1
KR0139330Y1 KR2019940032372U KR19940032372U KR0139330Y1 KR 0139330 Y1 KR0139330 Y1 KR 0139330Y1 KR 2019940032372 U KR2019940032372 U KR 2019940032372U KR 19940032372 U KR19940032372 U KR 19940032372U KR 0139330 Y1 KR0139330 Y1 KR 0139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refrigerator
defrost
protruding piec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345U (ko
Inventor
류상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2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330Y1/ko
Publication of KR960018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3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는,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있어서, 배수호스(70)가 제상수그릇(60)에 설치된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 끼워맞춤될때 배수호스(70)의 출구측이 돌출편(82)에 팩킹(100)을 매개로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취부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배수호스(70)가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됨은 물론, 제상수그릇(60)의 바닥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견고히 지지됨과 동시에 돌출편(82)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ATTACHMENT APPARATUS FOR DRAIN HOSE OF REERIGEARTOR)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배수호스와 제상수그릇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배수호스와 제상수그릇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수호스와 제상수그릇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배수호스와 제상수그릇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제상수그릇 61, 62 : 제1 및 제2바닥면
70 : 배수호스 80 : 호스취부수단
81 : 오버플로벽 82 : 돌출편
83 : 수평면 84 : 수직면
85 : 오목홈 100 : 팩킹
101 : 둘레부 102 : 바닥부
103 : 구멍 104 : 플랜지부
본 고안은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호스의 출 구가 막히지 않게 함과 동시에 그 하단이 제상수그릇에 지지될때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마찰소음이 없도록 한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10)의 캐비넷(11) 내부 중앙에 형성된 중간부재(12)를 매개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냉동 및 냉장실(20)(21)과, 상기 캐비넷(11)의 후측벽 중앙에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21)내에 냉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캐비넷(11)과 중간부재(12)의 사이에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게 설치된 냉기순환수단(30)과, 상기 냉기순환수단(30)의 송풍력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의 흐름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냉기를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20)내에 토출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20)(21)의 후측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댐퍼카바(40)와, 상기 중간부재(12)의 선단을 통하여 유입된 순환냉기를 재차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하도록 중간부재(12)내에 설치된 증발기(50)와, 상기 증발기(50)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받아 상기 캐비넷(11)의 하부 외측에 설치된 제상수그릇(60)내에 안내하도록 캐비넷(11)의 후측벽에 매설된 배수호스(70)와, 상기 배수호스(70)의 하단이 상기 제상수그릇(60)의 바닥에 닿아 출구가 막히지 않게 함과 동시에 흔들림이 없도록 제상수그릇(60)의 바닥 일측에 돌출 형성된 호스취부수단(80)과, 순환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증발기(50)에 순환 공급하는 압축기(9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호스취부수단(80)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호스(70)를 통하여 배수된 제상수가 상기 제상수그릇(60)의 일측 제1바닥면(61)에서 타측 제2바닥면(62)으로 오버플로되도록 제1바닥면(61)과 제2바닥면(62)의 사이에 돌설된 오버플로벽(81)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를 막지 않도록 상기 오버플로벽(81)과 상기 제1바닥면(61)을 매개로 전후 및 좌우 대칭되게 돌설된 4개의 돌출편(82)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 둘레 두께면이 맞닿아 상기 제1바닥면(61)에 닿지 않도록 상기 4개의 돌출편(82)의 선단 중간 높이에 각각 동일하게 절결 형성된 수평면(83)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 외주연이 상기 4개의 돌출편(82)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제1바닥면(61)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수평면(83)에서 상부로 각각 동일하게 절결 형성된 수직면(84)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보조응축기판, 14는 보조응축기, 15는 킥플레이트, 16은 도어, 17은 주응축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의하면, 배수호스(70)의 출구측 직경 두께면와 외주연이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 형성된 수평면(83)과 수직면(84)에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호스(70)가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서 쉽게 이탈됨은 물론, 제상수그릇(60)의 바닥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지되지 못함과 동시에 돌출편(82)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배수호스가 호스취부수단의 돌출편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함은 물론, 제상수그릇의 바닥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견고히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돌출편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의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는,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있어서, 배수호스가 제상수그릇에 설치된 호스취부수단의 돌출편에 끼워맞춤될때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돌출편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배수호스의 출구측이 돌출편에 팩킹을 매개로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3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호스(70)가 제상수그릇(60)에 설치된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 끼워맞춤될 때 배수호스(70)의 출구측이 돌출편(82)에 팩킹(100)을 매개로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즉, 상기 4개의 돌출편(82)에는 그 상부면에 상기 팩킹(10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오목홈(8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팩킹(100)은 그 재질이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팩킹(100)은 상기 돌출편(82)에 형성된 수직면(84)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 외주연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둘레부(101)와, 상기 돌출편(82)에 형성된 수평면(83)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 둘레 두께면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둘레부(101)의 하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바닥부(102)와, 상기 배수호스(70)를 통하여 배수되는 제상수가 제상수그릇(60)의 제1바닥면(61)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바닥부(10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03)과, 상기 돌출편(82)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85)에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둘레부(101)의 상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104)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10)의 냉동 및 냉장실(20)(21)이 소정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메인스위치(도시안됨)을 온동작시켜 압축기(90)를 가동시키면, 이 압축기(90)의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스가 냉매관(도시안됨)을 매개로 토출되어 보조응축기(14)를 통과함과 동시에 주응축기(17)의 내부를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응축기(17)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기체냉매는 냉장고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 높은 온도의 고압액체냉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냉매는 냉매관을 통하여 증발기(50)로 유입되어 팽창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증발하여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각작용에 의해 형성된 제상수는 증발기(50)의 하부에 위치한 제상수받이(부호도시안됨)내에 집수됨과 동시에 그 제상수받이에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70)를 따라 냉장고본체(10)의 하부측에 설치된 제상수그릇(60)내부로 배수되어 진다. 즉, 배수호스(70)의 출구측을 통하여 배수되는 제상수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상수그릇(60)의 제1바닥면(61)에 낙하되어 어느 정도 집수되면, 제1바닥면(61)과 제2바닥면(62)을 구획하도록 제상수그릇(60)의 일측에 돌설된 오버플로벽(81)을 통하여 오버플로되어 제2바닥면(62)으로 넓게 분포되어 진다. 그리고, 제상수그릇(60)내에 집수된 제상수는 제상수그릇(60)의 하부에 보조응축기판(13)을 매개로 설치된 보조응축기(14)의 응축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의 응축열을 전도받아 대기중으로 증발되어 전부 없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은 상기 제상수그릇(60)의 바닥일측에 돌설된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 팩킹(100)를 매개로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배수호스(70)가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됨은 물론, 제상수그릇(60)의 바닥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견고히 지지됨과 동시에 돌출편(82)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한편, 냉기순환수단(30)이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면, 이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20)(21)의 공기가 중간부재(12)의 선단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유입구(부호도시안됨)를 통하여 유입됨과 동시에 그 중간부재(12)내에 장착된 증발기(50)를 통과함으로써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되고, 이 냉기는 중간부재(12)의 후단에 형성된 냉기순환통로(부호도시안됨)를 통하여 유출됨과 동시에 상기 냉기순환수단(30)의 송풍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양분되어 댐퍼카바(40)로 공급됨으로써 댐퍼카바(40)에 형성된 다수개의 냉기토출구(부호도시안됨)를 통하여 냉동 및 냉장실(20)(21)로 각각 토출되어 냉동 및 냉장실(20)(21)내에 저장되는 각종 식품을 냉동 및 냉장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의하면, 배수호스의 출구측이 제상수그릇에 설치된 호스지지수단에 팩킹을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배수호스가 호스취부수단의 돌출편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수 있음은 물론, 제상수그릇의 바닥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견고히 지지되게 할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돌출편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키지 않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에 있어서, 배수호스(70)가 제상수그릇(60)에 설치된 호스취부수단(80)의 돌출편(82)에 끼워맞춤될때 냉장고가동시 발생되는 떨림에 의해 돌출편(82)에 부딪쳐 마찰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배수호스(70)의 출구측이 돌출편(82)에 팩킹(100)을 매개로 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100)은 그 재질이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킹(100)은 상기 돌출편(82)에 형성된 수직면(84)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 외주연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둘레부(101)와, 상기 돌출편(82)에 형성된 수평면(83)과 상기 배수호스(70)의 출구측 둘레 두께면과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둘레부(101)의 하부에 형성된 바닥부(102)와, 상기 바닥부(10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03)과, 상기 돌출편(82)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85)에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둘레부(101)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1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KR2019940032372U 1994-11-30 1994-11-30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KR0139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372U KR0139330Y1 (ko) 1994-11-30 1994-11-30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372U KR0139330Y1 (ko) 1994-11-30 1994-11-30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345U KR960018345U (ko) 1996-06-19
KR0139330Y1 true KR0139330Y1 (ko) 1999-05-15

Family

ID=1940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372U KR0139330Y1 (ko) 1994-11-30 1994-11-30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3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345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4083B1 (en) Refrigerator
KR20040086890A (ko) 냉장고
KR20110021128A (ko) 냉장고
JP2005156105A (ja) 冷蔵庫
KR0139330Y1 (ko) 냉장고의 배수호스 취부장치
KR100681940B1 (ko) 부압 방지 밸브를 갖는 냉장고
JP2005241139A (ja) 冷蔵庫
KR0117029Y1 (ko) 분리형 냉장고
KR200308188Y1 (ko) 냉장고
KR0117030Y1 (ko) 분리형 냉장고
KR200143549Y1 (ko) 냉장고의 냉기흐름안내장치
KR200317387Y1 (ko) 냉장고
KR20018460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20040003676A (ko)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
KR0118043Y1 (ko) 냉장고의 야채실 레일장치
KR200231012Y1 (ko) 냉장고의제빙용기
KR0117028Y1 (ko) 분리형 냉장고
KR100269446B1 (ko) 냉난방겸용공기조화기
KR200355272Y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200250590Y1 (ko) 붙박이형 반찬 냉장고의 제상수 배출장치
KR200164684Y1 (ko) 냉장고의 배리어 구조(barrier for refrigerator)
KR0118042Y1 (ko) 냉장고의 송풍모터 방진장치
KR0125476Y1 (ko) 냉장고의 기계실 카바장치
KR0117027Y1 (ko) 분리형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