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397A -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397A
KR20020009397A KR1020010023922A KR20010023922A KR20020009397A KR 20020009397 A KR20020009397 A KR 20020009397A KR 1020010023922 A KR1020010023922 A KR 1020010023922A KR 20010023922 A KR20010023922 A KR 20010023922A KR 20020009397 A KR20020009397 A KR 20020009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planting
roll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식
Original Assignee
신규호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규호,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규호
Priority to KR102001002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9397A/ko
Publication of KR2002000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3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수충부를 콘크리트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식생이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 3 과 같이 야자섬유로 된 식생롤(1)이 수변식물(2)을 심어서 일정기간 동안 뿌리를 활착시킨 후에 수충부(3)에 돌망태(4)를 설치하여 돌망태(4) 상부에 식생롤(1)을 로우프(6)로 묶어서 고정하거나 돌망태(4)를 고정시키는 말뚝(6)을 상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그 연장부 사이에 식생롤(1)이 협지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Method for planting water-side plants at the water-impacting portion of the banks}
본 발명은 하천 저수로의 수충부(水衝部)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야자수줄기등으로 형성된 롤에 수변식물을 활착시키고 이를 돌망태에 의해 수충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수변식물 식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충부는 유속이 빠른 집중류(convergent flow)에 의한 세굴로 생성된 웅덩이(Pool)에 접한 하안 침식지형으로서 인접한 저수로의 수심은 사주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으며 하상은 자갈과 굵은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충부에 인접한 수로는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이동경로 및 피난처로 이용된다.
최근들어 하천유역의 토지이용이 증대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천환경은 현저하게 변화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하천환경의 변화는 하천환경 정비방식이 치수, 이수목적의 대규모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욱 가속화되었고, 특히 콘크리트 호안부로 인하여 하천이 갖는 고유한 자연환경기능은 저하되었다. 하천의 수질오염은 물론 생태계 구성요로소서 하천식생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와 조류의 서식밀도가 낮아지고 서식동식물의 다양성이 감소되기에 이르러 생태계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쇠퇴되었다.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목적으로 저수로 및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정비, 하천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환경이 개변되었다. 특히 저수로가 직강화되면서 자연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바뀌었고 저수로 호안부는 콘크리트화되었다.
저수로 호안부는 생태적 생산성과 생물종 다양성이 높은 곳으로 자연하천 생태계에 있어서는 추이대(推移帶 : econtone)에 해당된다. 추이대의 콘크리트화는 일차적으로 추이대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의 발생을 저해하고 이차적으로 하천생태계 전반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천생태계에 대한 악영향의 파급과정은 천변식생의 제거에서 부터 비롯되는데 천변식생이 제거됨에 따라 식물종 자체의 감소는 물론 연쇄적으로 수서곤충류, 어류, 조류의 서식 기반을 손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호안블럭은 하천수가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시켜 자연하천의 천변습생식생(濕生植生)을 건생화(乾生化)시킬 뿐만 아니라, 천변식생이 제공하는 그늘이 사라지게 되면 수온의 변화가 극심하여 수중 저서생물, 어류의 서식처,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연이어 천변식생지 주변에서 먹이를 취하고 식생덤블에서 은신하는 조류의 서식 기반까지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들어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경제적 기술적으로 실행가능케 하는 공법과 재료의 연구개발이 미진하여 훼손된 하천환경의 재생과 복구가 어렵고, 특히 수충부는 물살이 빠르고 토양이 쉽게 패이므로 수변식물의 식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생태계의 훼손이 호안부의 식생제거에서 비롯되었듯이 콘크리트 호안을 자연식생호안으로 대체함으로써 수충부가 하천생태계의 추이대로서 기능하여 하천생태계를 재생시키고자 하는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식생롤과 돌망태를 사용하여 수충부에서 수변식물이 쉽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야자섬유등으로 구성된 식생롤에 수변식물을 활착시켜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식생롤의 하단에 돌망태를 결합 또는 말뚝으로 돌망태를 고정하고 말뚝의 상단에 식생롤이 협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충부에서 식생롤이 견고히 고정되고 그에 따라 식생롤에서 수변식물이 충분한 기간을 갖고 안정된 상태로 자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롤과 돌망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롤과 돌망태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한 상태의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생롤, 2 - 수변식물,
3 - 수충부, 4 - 돌망태,
5 - 로우프, 6 - 말뚝,
7 - 호올, 8 - 괴근.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야자섬유로 된 식생롤(1)이 수변식물(2)을 심어서 일정기간 동안 뿌리를 활착시킨 후에 수충부(3)에 돌망태(4)를 설치하여 돌망태(4) 상부에 식생롤 (1)을 로우프(6)로 묶어서 고정하거나 돌망태(4)를 고정시키는 말뚝(6)을 상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그 연장부 사이에 식생롤(1)이 협지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시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롤 및 돌망태에 대한 사시도로서 식생롤(1)은 야자섬유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충부(3)에 설치하는 경우에 약 2∼3년간 기본 형태가 유지도며 수변식물(2)의 뿌리가 충분히 자라면 부패되어 수변식물에 영양공급을 하게 된다.
수변식물(2)은 폿트에서 6∼8개월 정도 기른 후에 식생롤(1)에 여러개의 호올(7)을 형성하여 괴근(8)을 삽입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며, 식생롤(1)은 물과 공기의 유통이 자유롭기 때문에 수변식물(2)의 뿌리가 자라기 좋은 여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충부에서 수변식물의 뿌리 및 괴근의 유실을 방지한다.
돌망태(4)는 큰 돌과 자갈을 철망으로 감싼 것으로서 식생롤(1)의 길이에 맞도록 제작한다.
예시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롤(1)을 돌망태(4)위에 고정시킨 것으로서 로우프(5)나 철사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돌망태(4)를 수충부(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또는 미리 결합시킬 수 있다.
예시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경사진 수충부(3)에 있어서는 돌망태(4) 자체가 쉽게 고정되지 않으므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수개의 말뚝(6)을 박아서 고정하게 되며, 이때 식생롤(1)을 돌망태(4)위에 안전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말뚝(6)을 충분히 길게 하여 말뚝(6)의 상부가 돌망태 보다 상측으로 길게 나오도록 하고, 연장된 부위에 식생롤(1)을 고정시키게 되면 식생롤(1)이 안전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은 야자섬유로 된 식생롤(1)이 수변식물(2)을 심어서 일정기간 동안 뿌리를 활착시킨 후에 수충부(3)에 돌망태(4)를 설치하여 돌망태(4) 상부에 식생롤 (1)을 로우프(6)로 묶어서 고정하거나 돌망태(4)를 고정시키는 말뚝(6)을 상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그 연장부 사이에 식생롤(1)이 협지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식생롤(1)이 돌망태(4)에 견고히 고정되어 수충부(3)에서도 수변식물(2)의 뿌리 및 괴근(8)이 효과적으로 보호되며, 말뚝(6)에 의해 돌망태(4)의 지지 및 식생롤(1)이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야자섬유로 된 식생롤(1)이 수변식물(2)을 심어서 일정기간 동안 뿌리를 활착시킨 후에 수충부(3)에 돌망태(4)를 설치하여 돌망태(4) 상부에 식생롤(1)을 로우프(6)로 묶어서 고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돌망태(4)를 말뚝(6)으로 고정하고 말뚝(6)의 상부를 연장하여 연장부위에 식생롤(1)을 협지시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KR1020010023922A 2001-05-03 2001-05-03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KR20020009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922A KR20020009397A (ko) 2001-05-03 2001-05-03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922A KR20020009397A (ko) 2001-05-03 2001-05-03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97A true KR20020009397A (ko) 2002-02-01

Family

ID=1970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922A KR20020009397A (ko) 2001-05-03 2001-05-03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93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84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개비온/돌망태를 이용한 하천의 정수식물식재공법
WO2009078501A1 (en) * 2007-12-14 2009-06-25 Chang-Duk Kim Fence using planting roll
CN112554126A (zh) * 2020-11-27 2021-03-26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平原区沙质河流廊道的水域生境恢复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684A (ko) * 2001-11-30 2003-06-09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개비온/돌망태를 이용한 하천의 정수식물식재공법
WO2009078501A1 (en) * 2007-12-14 2009-06-25 Chang-Duk Kim Fence using planting roll
CN112554126A (zh) * 2020-11-27 2021-03-26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平原区沙质河流廊道的水域生境恢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KR200419598Y1 (ko) 식생매트 고정구조
KR0147725B1 (ko) 하천저수로의 사주부 자연형호안공법
KR101662690B1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JP5153977B2 (ja) 人工ヨシ原およびその造成方法
KR100876579B1 (ko) 하천 호안용 삼각방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87405B1 (ko) 식물자생용 돌붙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0147724B1 (ko) 하천변 얕은 만곡부의 자연형호안공법
KR100204451B1 (ko) 자연 하천용 식생호안 부재의 시공방법
KR20020009397A (ko)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KR100451982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306402Y1 (ko) 식생 돌망태
KR0147723B1 (ko) 하천 저수로의 수충부 자연형호안공법
KR100352871B1 (ko)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14686Y1 (ko) 식생매트
KR20100033038A (ko) 환경 친화형 침식방지 매트 설치방법 및 그 매트
KR200234631Y1 (ko) 식생용 야자섬유 롤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100451983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100509643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해안제방의 법면 녹화방법
KR200231225Y1 (ko) 세굴방지용 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