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871B1 -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 Google Patents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871B1
KR100352871B1 KR1020010014278A KR20010014278A KR100352871B1 KR 100352871 B1 KR100352871 B1 KR 100352871B1 KR 1020010014278 A KR1020010014278 A KR 1020010014278A KR 20010014278 A KR20010014278 A KR 20010014278A KR 100352871 B1 KR100352871 B1 KR 10035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plant
mass
po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363A (ko
Inventor
한성식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87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천변식물을 자생상태에 가깝게 육성할 수 없었으며 천변에 식재할 경우에 근괴가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직경 6∼8㎝의 소형포트(2)에서 천변식물(1)을 3∼6개월 육성하여 소형포트(2)를 제거하고 소형근괴(3)의 외주면에 야자섬유(4)를 감싼 후 직경 약 15㎝의 대형폿트(5)에서 6∼12개월 재육성하여 대형근괴(7)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Method for cultivating and planting the stream-side plants}
본 발명은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천변의 수충부 또는 경사면 등에서 뿌리가 용이하게 활착할 수 있는 상태로 재배하여 이를 수충부 등에 식재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하천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하천환경 정비방식이 치수, 이수목적의 대규모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욱 가속화되었고 하천이 갖는 고유한 자연환경은 저하되었다. 하천의 수질오염은 물론 생태계 구성요소로서 하천식생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와 조류의 서식밀도가 낮아지고 서식동물의 다양성이 감소도기에 이르러 생태계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쇠퇴되었다.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하천의 경우, 홍수 소통의 치수목적으로 저수로 및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정비, 하천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환경이 개변되었다. 특히 저수로가 직강화되면서 자연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바뀌었고 저수로 호안부는 식생제거와 함께 콘크리트화되었다. 저수로 호안부는 생태적 생산성과 생물종 다양성이 높은 곳으로 자연하천 생태계에 있어서는 추이대(推移帶:ecotone)에 해당된다. 추이대의 콘크리트화는 일차적으로 추이대에서 서식하는 동식물의 발생을 저해하고 이차적으로 하천 생태계 전반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천 생태계에 대한 악영향의 파급과정은 천변식생의 제거에서부터 비롯된다. 천변 식생이 제거됨에 따라 식물종 자체의 감소는 물론 연쇄적으로 수서 곤충류, 어류, 조류의 서식 기반을 손상시킨다. 콘크리트 호안블럭은 하천수가 토양층에 스며드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시켜 자연하천의 천변 습생식생(濕生植生)을 건생화(乾生化)시킨다. 또한 천변식생이 제공하는 그늘이 사라지게 되면 수온의 변화가 극심하여 수종 저서생물, 어류의 서식처, 산란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연이어 천변식생지 주변에서 먹이를 취하고 식생덤블에서 은신하는 조류의 서식 기반까지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 들어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태적으로 훼손된 하천환경을 재생,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저수로 수충부 등에는 종래의 방법으로 육성한 천변식물을 식재하더라도 뿌리의 흙이 건기에 노출되거나 우기에 물에 씻겨 나가는 등 하천변에 뿌리의 활착이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천변식물을 재배·식재하여 수충부의 식생회복을 꾀하려는 것으로서 하천생태계의 훼손이 호안부의 식생제거에서 비롯되었듯이 호안부에 식생 가능한 천변식물을 돌망태 또는 수충부에서 활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충부가 하천생태계의 추이대로서 기능하여 하천생태계를 재생시키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예시도 1 과 같이 직경 6∼8㎝의 소형 폿트에서 갈대, 줄, 부들 등 천변식물을 3∼6개월 육성시켜 소형 근괴(根塊:흙을 포함한 뿌리부분)주위를 야자섬유로 둘러싸서 직경 15㎝정도의 대형폿트에 옮겨 심어 6∼12개월 동안 육성하여 야자섬유에 뿌리가 활착하도록 한 후에 자생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하천변에 옮겨심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천변식물을 일정크기로 재배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재배한 천변식물을 하천변의 돌 사이에 고정시키는 상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재배한 천변식물을 하천변의 수충부에 고정시키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변식물, 2 - 소형포트,
3 - 소형근괴, 4 - 야자섬유,
5 - 대형포트, 6 - 뿌리,
7 - 대형근괴, 8 - 천변,
9 - 물, 10 - 대나무말뚝.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예시도 1A와 같이 천변식물(1)을 직경 6∼8㎝의 소형포트(2)에서 3∼6개월 육성하게 되면 천변식물(1)의 뿌리 주변에 흙과 모래로 구성된 소형근괴 (3)가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형포트(2)를 제거하여 예시도 1B와 같이 소형근괴(3)의 주위를 야자섬유(4)로 감싸서 전체 직경이 약15㎝정도 되도록 하여 예시도 1C와 같이 직경 약15㎝정도의 대형포트(5)에 옮겨 심는다.
위와 같이 대형포트(5)에 옮겨 심은 상태에서 6∼12개월간 육성시키면 예시도 1D와 같이 천변식물(1)이 크게 자라게 되며 뿌리(6)도 예시도 1E와 같이 야자섬유(4) 사이를 뚫고 외부까지 나오게 된다. 또한 야자섬유(4)와 뿌리(6)가 서로 엉켜서 일체화되며 대형근괴(7)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대형근괴(7)는 내측에 있는 흙과 모래로 구성되는 소형근괴(3)를 감싸게 도어 소형근괴(3)의 이탈 또는 부분적인 소실을 방지하게 된다.
예시도 2 는 천변(8)에 설치한 돌망태 사이에 본 발명에 따라 대형근괴(7)가 형성된 천변식물(1)을 식재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대형근괴(7)가 물(9)에 잠기더라도 야자섬유(4)로 소형근괴(3)가 감싸여져 있고 뿌리(6)가 야자섬유(4)사이로 자라있기 때문에 소형근괴(3)을 이루는 뿌리 국위의 흙이나 모래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예시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대형근괴(7)가 형성된 천변식물을 돌망태가 없는 호안, 특히 침식되고 있는 호안에 식재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이때는 길이가 약50㎝되는 대나무말뚝(10)을 2개 또는 3개 대형근괴(7)에 관통시켜 천변 저부의 흙속에 박아주므로서 천변식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경이 작은 소형포트(2)에서 일차 재배한 천변식물(1)을 소형포트(2)에서 꺼내어 소형근괴(3) 주위에 야자섬유(4)를 감싼 후에 다시 대형포트(5)에서 일정기간 육성시킴으로써 천변식물(1)을 자생상태에 가깝게 육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실한 형태로 식재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 직후부터 군락을 형성하기까지의 가장 불안정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홍수시나 갈수기에 있어서도 야자섬유와 뿌리가 뿌리 주변의 흙과 모래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소형근괴(3)를 이루고 있는 흙과 모래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야자섬유는 유기질로서 일정기간(약 2∼3년)이 지나서 뿌리(6)가 천변에 충분히 활착되면 썩게 도어 천변식물의 밑거름이 되므로 2중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직경 6∼8㎝의 소형포트(2)에서 천변식물(1)을 3∼6개월 육성하여 소형포트 (2)를 제거하고 소형근괴(3)의 외주면에 야자섬유(4)를 감싼 후 직경 약 15㎝의 대형폿트(5)에서 6∼12개월 재육성하여 대형근괴(7)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변식물 재배방법.
  2. (삭제)
KR1020010014278A 2001-03-20 2001-03-20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KR100352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278A KR100352871B1 (ko) 2001-03-20 2001-03-20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278A KR100352871B1 (ko) 2001-03-20 2001-03-20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363A KR20020008363A (ko) 2002-01-30
KR100352871B1 true KR100352871B1 (ko) 2002-09-16

Family

ID=1970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278A KR100352871B1 (ko) 2001-03-20 2001-03-20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8514A (zh) * 2013-10-18 2014-01-22 无锡益家康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夏秋连续采茭的栽培方法
CN112913596A (zh) * 2021-01-18 2021-06-08 简红忠 一种茭白单苔管分离育苗方法
CN115380655A (zh) * 2022-09-21 2022-11-25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大棚茭白茎叶原位还田资源化利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363A (ko)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965B1 (ko) 호안블록 녹화용 식생매트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orest Resources Development Branch Mangrove forest management guidelines
CN108271600A (zh) 一种在海堤混凝土消浪块种植红树植物的方法
KR0147725B1 (ko) 하천저수로의 사주부 자연형호안공법
JP4358833B2 (ja) 植栽基盤
KR100352871B1 (ko) 천변식물 재배방법 및 식재방법
Tagliapietra et al. Protecting and restoring the salt marshes and seagrasses in the lagoon of Venice
JP4566145B2 (ja) 人工干潟及び人工干潟における生物生息環境の形成方法
CN108848734B (zh) 一种植物网结构生态护滩方法
KR0147724B1 (ko) 하천변 얕은 만곡부의 자연형호안공법
KR101067702B1 (ko) 파이프형 구조물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KR101062680B1 (ko) 환경 친화형 침식방지 매트
KR200306402Y1 (ko) 식생 돌망태
KR20020009397A (ko) 수충부에 수변식물을 식재하는 방법
KR200234631Y1 (ko) 식생용 야자섬유 롤
Edward Rehabilitation of coastal habitat: A vital management tool for protecting biodiversity and livelihood against climatic and non-climatic factors
KR101067701B1 (ko) 파이프형 구조물을 이용한 연안 습지 복원 방법
KR200314686Y1 (ko) 식생매트
KR100345807B1 (ko) 갈대 소드의 생산방법
Collett et al. Shallow dredging as a strategy for the control of sublittoral macrophytes: a case study in Tuggerah Lakes, New South Wales
KR200163470Y1 (ko) 자연형호안블럭
KR102541886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방법
KR100905416B1 (ko) 어초용 목재방틀 및 이를 이용한 호안 제방용 목재방틀
KR102541887B1 (ko) 바다숲 조성을 위한 잘피 이식장치
KR100463572B1 (ko) 하천용 식물재 호안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