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251A -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 Google Patents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251A
KR20020008251A KR1020000041673A KR20000041673A KR20020008251A KR 20020008251 A KR20020008251 A KR 20020008251A KR 1020000041673 A KR1020000041673 A KR 1020000041673A KR 20000041673 A KR20000041673 A KR 20000041673A KR 20020008251 A KR20020008251 A KR 20020008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interlocking
unit
roller
du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915B1 (ko
Inventor
장인락
Original Assignee
장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락 filed Critical 장인락
Priority to KR10-2000-004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1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반달형의 떡이나 만두를(이하 떡으로 통칭한다.) 제조하는 떡 제조기에 있어서 특히 소형의 점포나 일부 가정에서도 사용가능하게 그 크기를 축소화 시키되 떡의 한번의 작업으로 2개의 떡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적당한 시기에 이송과 정지를 간헐적으로 반복하게한 이송부와 외피의 끝단을 정확히 집을 수 있는 집게를 구성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떨어트린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떡제조기들은 떡의 제조시 다수의 공정을 필요로 하는 관계로 그 크기면에서 비교적 커야 했으며, 제조되는 떡들중 불량의 떡이 다수 발생되는데 특히, 외피를 절첩하는 과정에 많은 불량이 발생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형의 집게를 구성하고 , 이송수단인 벨트의 이동을 간헐적이게 구성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본 발명의 기계를 소형화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 상기의 목적을 실현함에 떡이나 만두의 제작기 자체의 생산 비용을 절감했으며, 불량률의 최소화는 떡의 생산성 및 생산비용의 절감 마저도 가져온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Auto-desk machine of the rice cake or dumpling}
본 발명은 반달형의 떡이나 만두를(이하 떡으로 통칭한다.) 제조하는 떡 제조기에 있어서 특히 소형의 점포나 일부 가정에서도 사용가능하게 그 크기를 축소화 시키되 떡의 한번의 작업으로 2개의 떡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적당한 시기에 이송과 정지를 간헐적으로 반복하게한 이송부와 외피의 끝단을 정확히 집을 수 있는 집게를 구성하여 불량률을 현저히 떨어트린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을 제조하는 방법이란 우선 떡 고물을 덮는 외피를 원하는 두께로 밀며, 또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이후 떡의 고물을 적당량 외피 위에 올려두고 외피를 잘 오무려 외피내의 고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공정의 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공정들에 의하여 떡은 제조 됨으로 자동으로 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 기계의 크기는 모든 공정을 수용할 만큼 커야만 했으며, 공지된 제조기들 또한 그 크기면에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터무니 없이 컷다.
아울러 공지된 기술중 "실용신안등록 제 132282호, 성형식품제조장치의 외피절첩장치"등의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낳아왔다.
첫째, 모든 제작의 공정중에 벨트가 정지됨이 없이 떡이 제조 된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제작공정이 벨트의 이송중에 이루어져야 함으로 그 기계의 크기는 그에 비례하여 커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지를 요함이 불량률을 현저히 떨어트릴수 있는 외피의 절첩과정이 정지없이 수행됨으로 많은 불량률이 발생되어 왔다.
둘째, 떡 모양의 형성과정중 외피를 절첩시 외피에 외피를 붙여 고물을 덮어 떡을 제조한다는 기술 내용은 생각으론 가능하되 실시상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어 왔다.
즉, 만두의 외피는 밀가루 반죽이 일반적이나 밀가루의 반죽은 그 찰기가 부족하여 외피가 외피를 붙여 들어올리기란 불가능하며, 떡의 외피인 쌀가루 반죽 역시 찰기가 밀가루 반죽 보다는 끈끈하다 하지만 계속되는 반복 생산에 부량의 발생없이 떡을 빚어 내기란 불가능 하다.
이외에 많은 떡 생산 공정상 발생되어온 문제점들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그 이송부가 간헐적인 이동을 하며 정지가 필요한 공정시 정지를 하며 떡의 외피를 집게로 집어 고물을 감싸고 성형하는 구성을 취함에 따라 다음의 목적들을 이루고자 한다.
첫째, 기계 자체의 소형화를 이루어 떡이나 만두 제조기의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및 소규모의 점포에서도 탁상에 설치 가능하게 하여
발명의 설치 공간을 줄이는 것도 그 기술적 과제 이다.
둘째, 비록 그 제조기가 소형이라 할지라도 한번의 동작으로 2개의 떡을 생산할 수 있게 하여 생산량의 증대를 노린다.
셋째, 불량의 떡의 생산을 최소로 떨어트려 역시 생산량의 증대에 부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 연동부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고물 공급부를 도시한 절개 단면도
도 5(b)본 발명의 고물이 절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6(a),(b),(c)는 본 발명의 떡모양 형성부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d)은 본 발명의 집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는 떡의 성형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7(b)은 떡의 제조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그 떡의 제작의 공정에 따라 크게 이송부(100), 외피 공급부(300), 상.하 연동부(400), 고물 절단부(600), 떡 모양 형성부(800)와 상기의 모든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하나의 동력에 의하여 작동가능하게 하는 작동 조절부(200)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고물 공급부(500)는 따로 동력을 마련하되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작동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작동조절부는 상기의 모든 구성들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편의상 다음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 짐으로 분류하나 다른 부서들과 독립적인 것은 아니고 상호 보충적인 것이다.
즉, 도2의 작동 상태도에 도시된 것처럼 동력원인 모터(M1)의 축에 고정된 주축기어(14)와, 도면상 좌측의 동력전달기어(15), 동력전달기어(15)와 맞 물리는 상.하이송기어(44), 이 기어에 편심되어 연결된 상.하이송아암(42), 또한 상기의 동력전달기어(15)와 체인(17)으로 연결된 제1클러치베어링(12), 제2클러치베어링(13), 상기의 제1클러치 베어링(12)과 같은 축을 공유하는 제1클러치축기어(31), 밀게롤러기어(32), 탄성스프링(16)등의 구성이다.
이 구성들의 작동의 상황은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부분을 크게 분류한 각각의 부와 연관시켜 설명하고자 한다.
첫째, 이송부(100)
우선 작동조절부의 작동과 연관된 이송부(100)의 작동으로는 도 3의 (a),(b),(c)에 도시된 듯이 동력원인 모터1(M1)의 회전이 주측기어(14)를 일방향으로 돌리며, 이에 맞물린 동력전달기어(1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동력전달기어(15)의 회전은 이 기어의 축에 편심되어 고정된 체인(17)을 도 3 (a)에서 (b)의 도시된 상태에 올때까지 당겨주게 된다.
이 는 제1,2클러치베어링(12,13)을 회전시키고 결국 제2클러치베어링(13)과 축을 공유하는 이송롤러(34)를 회전시켜 컨베어벨트(10)는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컨베어벨트(10)의 이동은 떡을 제조하기 위한 각각의 단계로 떡 반죽을 이송시킨다.
이때 주의할 점은 모터1(M1)의 회전은 동일 속도로 계속되나 벨트(10)의 이동은 간헐적이라는 것이며, 모터1(M1)의 출력을 높이면 전체적인 작동의 속도는 비례하여 빨라질수 있다.
도 3 (c)에 도시된 것은 이 간헐적인 이동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제2클러치베어링(13)의 상단부와 동력전달기어(15)의 축을 연결한 선 A-A에는 체인(17)의 연동폭이 들어있다.
동력전달기어(15)의 회전이 가져온 체인고정구(18)의 변화되는 위치는 A-A선 내에 도시된데로 점선 처리되어 있는데 그 범위안에서 체인(17)을 당기고 밀게 된다.
이 체인의 연동은 도 2에서 도시된 이송롤라를 간헐적 회전시키고, 더불어 벨트위의 외피도 이동시키게 된다.
이 외피의 이동은 각각의 제작공정의 단계를 지나고 재생을 위한 공정에 들어가며 다음과 같은 구성이 필요하다.
즉, 도 1,2에 도시된 기계 본체의 하부를 덮는 외피받침판(19)은 간헐적인 벨트(10)의 이동에 의하여 떡 모양을 성형하고 남은 자투리된 외피(33)를 벨트(10)를 따라 외피 공급부(300)에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3의 (d)는 이 작동상황을 도시한 도면으로 우선 떡반죽(30)이 외피 공급부(300)의 공급용기(35)에 공급되면 이송로라(11)에 의한 벨트(10)의 회동이 떡반죽(30)을 밀게롤러(34)의 하단 외주면에 밀착시키며, 언급된 작동으로 제1클러치축기어(31)의 회전은 밀개롤러(34)를 역방향 회전시키게 된다.
이 롤러(34)의 하부 외주면에 눌린 반죽은 의도된 두께로 고루 밀려 외피(33)가 되어 이송된다.
상기의 외피(33)는 그 두께를 도 1에 도시된 외피조절구(35)에 의하여 조절가능하다.
더불어, 이어 이송된 외피(33)는 고물을 덮어 떡의 성형후에 자투리되어 남은 외피를 외피받침판(19)과 벨트(10) 사이에 밀어넣어 벨트(10) 하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후 이송로라(11) 부근까지 밀려온 자투리 외피는 벨드의 상승 구동에 같이 상승하여 외피공급용기(35)의 후미에서 장공형의 통로를 통하여 외피공급용기(39) 내로 재 투입되게 된다.
물론 벨트(10)의 끝단 부분에서는 사람이 손으로 모양이 성형되어 완성된 떡(1)만을 도시된 것처럼 집어들며, 이상의 과정을 거듭 반복하여 떡(1)을 생산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기술한 이송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떡 반죽으로 부터 떡의 완성까지 그 재료들을 이송시키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둘째, 외피 공급부(300)
이는 상기의 이송부상에 포함되어 기술되어 있다.
셋째, 상.하 연동부(400)
도 4에 도시된 것 처럼 작동 조절부(200)의 동력전달기어(15)의 회전은 맞물린 상.하연동기어(44)의 역방향 회전을 가져온다.
이 기어에 편심되어 힌지 연결이된 상.하연동아암(42)은 기어연결부의 타측에도 가이드봉(41)과의 힌지연결이 되어있다.
따라서, 상.하연동기어(44)의 회전은 아암(42)에 의하여 연결된 가이드봉(41)을 가이드구(43)를 따라 연동시켜 결과적으로 가이드봉(41) 상단에 고정된 고물공급부(500)와 떡모양 형성부(800)를 동시에 연동 시킨다.
넷째, 고물 공급부(500)
도 2,4의 작동상태도에서 보이듯 상.하 연동장치인 가이드봉(41)의 연동은 연동부본체(40)에 구성된 고물 공급부(500)를 역시 상.하 연동시킨다.
이 연동중 도 5(a)에서는 그 축(101)만 도시된 모터 2(M2)의 회전에 동축에 구성된 혼합스크류(102)와 가압스크류(103)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혼합스크류(102)는 용기내의 고물을 고루 혼합시키며 하측 가압스크류(103) 쪽으로 밀어낸다.
밀려 하향한 고물은 다시 가압스크류(103)에 의해 쌍으로 구성된고물공급관(60)으로 가압되어 밀려 나오게 된다.
다섯째, 고물 절단부
상기에 기술된 고물공급부의 스크류에 의해 쌍으로 구성된 고물공급관으로 고물을 밀어내게 된다.
이 고물공급관(60)의 하단부에는 도 5(b)에 도시된 듯이 절단사 가이드구(60')가 구성된다.
또한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동력전달기어(15)의 반대편을 도시한 것이다.
이 도면 5(b)에서 보이듯 동력전달기어(71)의 회전은 그와 축을 공유하는 절개부(64)를 가진 캠(70)의 회전을 이룬다.
이 회전이 캠(70)의 절개부(64)로 왔을때 탄성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절단구(61)는 당겨지게 된다.
이 힘에 의하여 절단구(61)는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그 끝단에 구성된 고물절단사(66)는 고물공급관(60)에서 공급된 고물(67)을 잘라 주게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고물 공급부(500)의 상.하 연동에 의하여 하향된 고물(67)이 정지중인 밸트(10)의 외피(33)내에 그 끝이 붙었을때 잘라져 고물의 이동이 없다는 것이다.
여섯째, 떡 모양 형성부(800),
본 발명의 특징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으로, 연동부본체(40)에 구성된 떡모양 형성부(8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b),(c)에 도시된 것처럼 연동부본체(40)의 하단에 구성된 집게연결구(80)는 연결구 외주면에 끼워진 탄성스프링(83)과 함께 집게(87)를 연동부본체(40)와 연결시키되 하강시 집게(87)의 유동의 범위를 허용하며, 이와 수직 평행하게 구성된 지지봉 밀개편(81)은 본체하단에 단단히 구성되어 있어 집게의 하향시 항상 탄성고무줄(82) 및 스프링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는 지지봉(88)을 눌러 주어 집게(87)가 그 입을 다물고 외피(33)를 물을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상기에 언급된 지지봉(88)을 도 6에 의하여 보면 축(89)을 기준으로 회동하되 그 끝단에는 지지롤라(9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봉(88)이 가이드(91)에 의하여 눌릴시 집게(87)의 입을 벌리는 개구부에는 절단칼날(87')이 구성되며, 집게(87)의 측면에는 탄성스프링(85)에 의하여 외주면이 쌓인 조임구(86)가 구성되어 있어서 외부의 힘이 작용되지 않을시 항상 집게(87)의 입을 다무는 쪽으로 힘을 받게 작용한다.
도 6(d)는 본 발명의 집게(87)를 그려놓은 사시도로 긴 집게로 구성되어 외피를 집어 물음에 적당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모양의 형성시 외피(33)의 끝단을 놓치기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들과 더불어 떡모양 형성부(800)를 이루는 떡크기조절구(94)와 떡성형틀(93)도 연동부본체(40)에 같이 구성되어 떡을 성형하게 된다.
벨트(10)의 외측에 떡의 모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가이드(91)는 쌍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도 6(a),(b),(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하향한 집게(87)는 그 측면의 지지봉(88)의 지지롤러(90)가 가이드(91)의 면을 타고 계속하향하여 롤러홈(92)에 까지 이르고 다시 그 면을 타고 상승하며, 집게(87)의 입을 열고 닫게된다.
하기에는 이 작동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도시해 본다.
도 2,4에 도시된 듯이 동력원인 모터1(M1)의 회전은 작동 조절부(200)를 작동시켜 상.하 연동부(400)를 연동시킨다.
이 연동에 기구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고물(67)에 외피(33)를 입히며 떡의 모양을 형성하게 된다.
좀더 세밀하게는 상기의 상.하연동중 도 6의 (a)에 도시된 데로 떡모양 형성부(800)를 위치시키고 작동을 설명한다.
컨베어벨트(10)의 진행은 이루어지며 상.하 연동부(400)의 가이드봉(41)의 하강에 따라 연동부의 본체(40)도 역시 하강한다.
도면에 도시된 데로 외피(33)를 물은채로의 하강은 최소 1회 이상의 상.하강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상기의 하강은 도면상 좌측의 떡성형틀과 우측의 고물 공급부(500)의 하강 또한 같이 이루어 진다.
그 계속된 하강이 도 6(b)에 도시된 위치로 오게 되면 집게는 집게 회전축(84)을 기준으로 그 입을 벌리게 됨과 동시에 고물 공급부(500)에서 좌.우 양측에 2개로 구성된 공급관(60)을 통하여 고물의 공급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이미 도 6(b)에 도시된 형태로 떡성형틀(93)은 이미 하강하여 고물을감싼 외피를 반달의 형태로 절단하는 상태임은 당연하며 이때 벨트의 이동은 정지된 상태이다.
여기서 도 6(c)에 도시된 상태까지 계속 하강시에는 도시된 데로 상방향으로는 연동이 불가능하고 하방향으로만 연동가능하게 축으로 연결 구성된 지지봉(88)을 본체에 고정된 지지봉밀개편(81)이 밀어 롤러홈(92)에 회전하는 지지롤러(90)를 넣게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본체(40)에 스프링(83)에 의하여 연동가능하게 구성된 집게(87)는 그 입을 닫아 하부에 따라온 외피(33)를 잡아 물게된다.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절단칼날(87')이 앞에간 외피(33)를 절단 함은 당연한 결과이다.
이후 상.하 연동부(400)의 작용에 의하여 다시 상승하게 되는 집게(87)는 외피(33)의 끝단을 물고 올라갈때 지지봉(88)의 하향 연동은 자유로와 집게(87)는 그 입을 닫은체 무리없이 상승하게 된다.
물론 이후는 전술된 도 6(a)의 과정부터 반복하며 떡을 생산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된 모든 기술 사항들은 그 구성요소들의 개별적인 작동의 상태이고 하기에는 전체적인 작동의 모습을 통하여 떡이 생산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또한 더 자세한 그 부분별 구성이나 작동사항은 동일자, 동일인의 실용신안 출원인 "떡이나 만두 제조기의 이송장치,떡이나 만두 제조기의 떡모양 형성장치, 떡이나 만두 제조기의 고물 절단장치"에 기술되어 있다.
떡 반죽을 빚어 외피 공급부(300)에 넣으면 동력원인 모터1(M1)의 회전이 체인(17)으로 전달되어 이송롤러(11)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 조절부(200)의 작동으로 밀게롤러(34)의 회전이 떡 반죽을 의도한 만큼 얇게 밀어 컨베어벨트(1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동된 외피가 상.하 연동부(400)의 밑부분에 있을즈음 상.하 연동부(400)는 작동 조절부(200)의 작동에 의하여 고물 공급부(500)와 떡 모양 형성부(800)를 같이 하강시키게 된다.
이후 고물(67)을 외피(33)로 덮은 생산중인 떡은 제일먼저 하강한 떡성형틀(93)에 의하여 반원형의 완성된 떡(1)을 생산하며, 이 떡(1)의 크기는 떡크기조절구(94)를 활용하여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의 틀(93)과 동시에 가이드봉(41)을 따라 하강한 고물 공급부(500)는 2개의 공급관(60)을 통하여 배출되는 고물을 일시 정지되어 있는 컨베어벨트(10)에 밀어붙이게 된다.
이때 고물 절단부(600)는 작동되어 절단구(61)를 축회전 시키어 고물절단사(66)를 통하여 고물을 절단하게 된다.
물론 이와 동시에 하강한 떡모양 형성부(800)도 언급된 제작의 단계를 거치며 떡을 생산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은 이송부의 이송이 간헐적이게 구성하여 기계의 소형화를 이루고, 불량률을 떨어트림에 따라 그 기계의 생산 단가를 크게 떨어트릴 수 있으며 생산되는 떡의 생산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그 크기가 종래의 동종의 기계에 비하여 월등히 소형화를 시키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설치 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7)

  1. 떡을 생산하는 기계에 있어서,
    떡의 생산시 각각의 생산공정에 맞게 각구성들의 작동을 조절하는 편의상 구분된 작동 조절부를 두고, 이송부(100), 외피 공급부(300), 상하 연동부(400), 고물공급부(300), 떡모양 형성부(800) 및 고물 공급부(300)와 조화를 이루어 작동하여 떡(1)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부(100)는,
    간헐적이게 체인(17)이 모터1(M1)에 의하여 동력전달기어(15) 쪽으로의 당김에 따라 제2클러치베어링(13)은 그 축을 물고 회전하고, 이 회전은 동일 축에 구성된 이송롤러(11)의 회전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컨베어벨트(10)가 이송롤라(11)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간헐적이게 이동하되,
    자투리된 외피의 재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장공형의 통로(37')가 구성된 공급용기(37), 상부 벨트(10) 밑에 구성된 보강판(10'), 이송롤라(11)에 대응하여 벨트(10)에 장력을 부여하는 보조롤라(11'), 하부 벨트(10) 밑에 구성된 외피받침판(19)으로 구성되어 외피(33)의 공급에서부터 재생산을 위한 재공급의 반복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의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 연동부(400)는,
    상.하연동기어(44)의 회전이 기어(44)의 축에 편심되게 힌지로 고정된 상.하연동아암(42)을 연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아암(42)의 타측 끝단에 역시 힌지로 연결된 가이드봉(41)을 두며, 이 가이드봉(41)은 그 끝단에 연동부본체(40)를 부착하고 가이드구(43)에 구성된 구멍사이를 연동함으로 떡모양 형성부(800)와 고물 공급부(500)를 상.하 동시에 연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고물 공급부(500)는,
    혼합스크류(102), 가압스크류(103)가 구성된 모터2(M2)와, 상기 스크류들의 작용에 의해 고물(67)이 밀릴시 그 통로가 되는 쌍으로 구성된 고물공급관(60)과, 고물절단사(66)의 가이드구(60')를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고물 절단부는,
    고물 절단부(600)는,
    동력전달기어축(71)의 일측에 구성된 절단부(64)를 가진 캠(70)과, 캠(70)의외주면과 그 하단을 맞대응하는 회전축(62)을 가진 절단구(61), 이 절단구(61)를 항시 고물의 절단 방향으로 당기고 있는 탄력스프링(65)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떡모양 형성부(800)는,
    상.하 연동부본체(40)의 연동에 같이 연동하게 구성됨에,
    연동부본체(40)와 집게(87)의 연결을 도모하는 스프링(83)을 외주면에 둘러싼 집게연결구(80), 회전축(84)에 의해 축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되 조임구(86)와 그 외주에 둘러쌓인 탄성스프링(85)에 의하여 항시 집게(87)의 입을 다무는 쪽으로 힘을 받는 절단킬날(87')이 구성된 집게(87), 이 집게(87)의 좌.우 양측에 회전축(89)을 가지고 쌍으로 구성된 지지봉(88)은 그 끝단에 지지롤라(90)를 구성하며, 이 지지봉(88)과 대응하는 롤러홈(92)을 가진 가이드(91)는 벨트(10) 외측에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지지봉(88)을 항상 상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유지시켜주는 탄성수단(82)(고무줄이나 스프링)과, 집게 하향시 지지롤러(90)를 롤러홈(92)에 밀어넣는 지지봉밀게편(81)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7. 제 1 또는 6항에 있어서,
    떡모양 형성부(800)는,
    연동부본체(40)에는 상기의 장형의 집게(87)와 떡성형틀(93)이 구성됨에, 떡의 크기는 이 본체에 구성된 장홈에 끼워진 떡크기조절구(94)로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이나 만두 제조기의 떡모양 형성장치
KR10-2000-0041673A 2000-07-20 2000-07-20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KR10038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673A KR100383915B1 (ko) 2000-07-20 2000-07-20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673A KR100383915B1 (ko) 2000-07-20 2000-07-20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251A true KR20020008251A (ko) 2002-01-30
KR100383915B1 KR100383915B1 (ko) 2003-05-14

Family

ID=1967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673A KR100383915B1 (ko) 2000-07-20 2000-07-20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80B1 (ko) * 2007-06-11 2009-03-11 박필조 약재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864Y1 (ko) * 1982-11-10 1984-09-26 이근희 가로수분 부럭
KR880003867Y1 (ko) * 1986-02-21 1988-10-25 박찬득 떡 자동제조장치
KR880004311Y1 (en) * 1986-04-24 1988-12-08 Seo Hong Won Foods manufacturing machine
KR0132282Y1 (ko) * 1995-02-20 1998-12-01 서홍원 성형식품제조장치의 외피절첩장치
KR980003868U (ko) * 1996-06-04 1998-03-30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싱크로 메시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680B1 (ko) * 2007-06-11 2009-03-11 박필조 약재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3915B1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4088A (zh) 小型自动切肉穿串一体机
CN109006896A (zh) 一种油条机的面粉混合装置
CN111776358A (zh) 一种玉米包装用的快速封口装置
CN109006897A (zh) 一种自动油条机
CN206909551U (zh) 一种炸油条机
CN109006895A (zh) 一种油条机的仿生揉面装置
CN212260306U (zh) 馄饨加工装置
JP3363843B2 (ja) 包被切断機
KR100383915B1 (ko) 탁상용 전자동 떡이나 만두 제조기
CN109645048A (zh) 一种蛋挞自动制作装置
KR200208357Y1 (ko) 떡이나 만두의 제조기용 이송장치
CN111806736A (zh) 一种米粉制作包装流水线及包装加工工艺
CN2037200U (zh) 包子机
KR0132282Y1 (ko) 성형식품제조장치의 외피절첩장치
KR102171542B1 (ko) 강정과자의 폭방향절단장치
KR200208358Y1 (ko) 떡이나 만두 제조기의 고물 절단장치
CN220630876U (zh) 一种高仿手工包子机
CN1026055C (zh) 大理石图案充填物的生产设备
CN85106027A (zh) 包子机
CN220617097U (zh) 一种食品膨化机
CN219844793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自动补浆机
CN214179086U (zh) 一种素肉快速成型装置
CN219565639U (zh) 一种芝士卷生产用输送设备
CN214876002U (zh) 一种魔芋带加工用自动上料包装装置
CN210094484U (zh) 一种蛋挞液制作装置及包含其的蛋挞自动制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