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918A - 스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918A
KR20020007918A KR1020000041458A KR20000041458A KR20020007918A KR 20020007918 A KR20020007918 A KR 20020007918A KR 1020000041458 A KR1020000041458 A KR 1020000041458A KR 20000041458 A KR20000041458 A KR 20000041458A KR 20020007918 A KR20020007918 A KR 2002000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kimmer
water flow
flow guid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2122B1 (ko
Inventor
인효석
Original Assignee
인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효석 filed Critical 인효석
Priority to KR102000004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1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등을 정화처리하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어 하·폐수의 수면에 있는 스컴부유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는 스컴스키머에 수류안내날개와 수류안내공을 설치하여 하·폐수의 수표면 아래에 수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수류를 이용하여 수표면에 떠있는 스컴부유물의 수집기능을 향상시키며, 수집된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형침전지의 하·폐수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하·폐수의 수면위에 떠있는 스컴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며,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배출하는 효율이 높다. 특히, 하·폐수의 수량이 적은 경우에도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컴제거장치{System for Scum Removal}
본 발명은 하·폐수등을 정화처리하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어 하·폐수의 수면에 있는 스컴부유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는 스컴스키머에 수류안내날개와 수류안내공을 설치하여 하·폐수의 수표면 아래에 수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수류를 이용하여 수표면에 떠있는 스컴부유물의 수집기능을 향상시키며, 수집된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식생활이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하수로 흘러보내는 각종 폐수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폐수는 하천이나 강, 호수를 크게 오염시키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하·폐수를 정화하도록 하는 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처리장치는 지금까지도 여러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으며,하·폐수 처리방법중에서도 가장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처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폐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면, 물위로 부상되는 각종 부유물과, 물밑으로 침전되는 각종 침전물을 제거하게 되고, 다시 침사지에서는 물속에 포함된 모래를 제거하게 된다. 비교적 큰 입자의 불순물을 제거된 폐수는 1차 침전지로 유입되어 일부는 스컴부유물로 부상되고, 일부는 침전되며, 1차 침전지를 통화한 물은 폭기조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폐수가 몇단계로 처리되는 하수처리장에는 유입되는 폐수가 계속해서 흐르는 상태로 처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침전지에서는 활성오니법에 의해 하·폐수가 분해되면서 수면위에는 많은 스컴부유물이 발생됨은 물론 바닥면에는 슬러지가 발생됨으로써 이를 제거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이었다.
종래의 스컴제거장치에는 수표면에 있는 스컴부유물을 수집하는 스컴스키머가 직선형태의 평형바 스컴스키머로 되어 있어, 스컴부유물이 스컴스키머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같이 도는 현상이 발행하여 스컴부유물의 수집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수집된 스컴부유물이 배출되는 스컴박스는 원형침전지내벽에 고정되어 있어 수량이 적은 경우 스컴배출이 잘 되지 않으며, 스컴박스와 스컴블레이드가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아 스컴제거의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스컴스키머에 수류안내날개, 하부수류안내날개를 설치하며, 상기 수류안내날개 및 하부수류안내날개에 의하여 모여진 물이 빠지는 수류공을 만들며, 스컴스키머를 회전하는 반대반향으로 휘어지도록 제작하여, 스컴부유물의 수집기능이 향상된 스컴제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목적은,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부착된 스컴박스에 공기탱크와 가동수단을 부착하며, 스컴박스에는 경사판, 경사판가이드 및 스크레퍼를 설치하여, 스컴스키머가 수집한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공기부양식스컴박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컴제거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컴스키머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컴스키머의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흐름의 상세도.
도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곡선형 스컴스키머의 상세도.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부양식스컴박스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부양식스컴박스의 가동수단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슬러지수집기 30:회전축
40:스컴스키머 41:수류안내날개
43:수류공 45:하부수류안내날개
49:곡선형 스컴스키머 50:스키머지지대
60:스컴블레이드 61:스컴블레이드커버
63:브러쉬 65:스컴블레이드고정보
67:스컴블레이드지지롤러 70:공기부양식스컴박스
71:공기탱크 72:공기탱크마개
73:경사판가이드 74:경사판바닥
75:길이 편차량 76:높이 편차량
77:스크레퍼 79:플렉시블관
80:가동수단 81:수직안내판
83:인서트플레이트 85:스컴박스롤러
87:스톱바
본 발명에 의한 스컴제거장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컴스키머를 포함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컴스키머는, 상기 회전축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스컴스키머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류안내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과, 상기 수류안내날개가 상기 스컴스키머에 접하는 근부와, 상기 상기 수류안내날개의 돌출말단이 이루는 각이 예각이거나, 상기 수류안내날개가 상기 스컴스키머에 접하는 근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0°~45°기울어져 있다.
상기 수류안내날개는,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스컴스키머의 회전축 쪽으로 볼록하게 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컴스키머에서 상기 수류안내날개가 부착되지 않은 위치에는, 상기 스컴스키머를 관통하여 상기 수류안내날개에 의하여 모여진 물이 빠져나가는 수류공이 있다.
또한, 상기 스컴스키머의 하단부에는, 꺾임새로 부착된 하부수류안내날개가 있으며, 상기 하부수류안내날개는 상기 스컴스키머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꺾임새로 부착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스컴스키머의 중심의 하부에서 상기 스컴스키머가 상기 회전축과 접하는 부위에는 회전방향으로 꺾임새로 부착되며, 상기 스컴스키머의 중심하부에서 말단부위에는 회전반대방향으로 꺾임새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스컴스키머를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게 휘게 하여, 상기 스컴스키머가 회전할때 발생되는 수류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수류안내날개와 상기 수류공은 수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본 발명에 의하면,
스컴스키머 및 상기 스컴스키머의 말단에 부착된 스컴블레이드가 포집한 스컴부유물이 원형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스컴박스에 있어서,
공기부양식스컴박스(이하 스컴박스)는, 상기 스컴박스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컴박스를 수면위에 뜨게 하는 공기탱크와, 상기 스컴박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탱크에 저장된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탱크마개와, 상기 스컴박스를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스컴박스가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고정되는 인서트플레이트와, 상기 인서트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스컴박스가 상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스컴박스롤러 상기 인서트플레이트와 상기 스컴박스롤러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스컴박스롤러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운동을 하며, 상기 스컴박스가 부착되는 수직 안내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직 안내판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스컴박스의 상하 운동시에 수면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바와, 스컴부유물을 완전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스컴박스의 일측상부에 부착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경사판 가이드와, 상기 스컴블레이드에 부착된 스컴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컴박스의 타측상부에 부착된 스크레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컴제거장치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스컴스키머(40) 및 스컴스키머(40)의 말단에 부착된 스컴블레이드(60)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스컴스키머(40)와 스컴블레이드(60)가 회전하며 하·폐수의 수표면에 떠있는 스컴부유물을 스컴블레이드(60)로 모이게 한다. 스컴블레이드(60)는 상기 스컴부유물을 스컴박스(70)에 밀어 넣으며, 스컴부유물은 스컴박스의 하부에 있는 플렉시블관(79)을 통하여 원형침전지의 외부로 방출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컴스키머의 사시도이다.
스컴스키머(40)에는 스컴스키머(40)가 회전하며, 수류를 발생시키는 수류안내날개(41)가 있다. 수류안내날개(41)는 회전축(30)과, 수류안내날개(41)가 스컴스키머(40)에 접하는 근부와, 수류안내날개(41)의 돌출말단이 이루는 각은 예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류안내날개(41)는,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스컴스키머(40)의 회전축 쪽으로 볼록하게 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컴스키머(40)에는 수류안내날개(41)가 부착되지 않은 위치에 스컴스키머(40)를 관통하여 수류안내날개(41)에 의하여 모여진 물이 빠져나가는 수류공(43)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수류공(43)은 수류안내날개(41)가 스컴스키머(40)에 접하는 근부에 접하여 상기 스컴스키머(40)의 축방향에 위치하는 것이다.
스컴스키머(40)의 하단부에는 꺾임새로 부착된 하부수류안내날개(45)가 있으되, 스컴스키머(40)의 중심하부에서 스컴스키머(40)가 회전축(30)과 접하는 부위에는 회전방향으로 꺾임새로(B-B' 확대 단면도) 부착되며, 스컴스키머(40)의 중심하부에서 말단부위에는 회전반대방향으로 꺾임새로(C-C' 확대 단면도) 부착된다.
수류안내날개(41), 수류공(43), 하부수류안내날개(45)는 하·폐수의 수표면 아래에 있게되며, 스컴스키머(40)와 스컴스키머(40)에 부착된 수류안내날개(41) 및 하부수류안내날개가 수류를 발생시키며, 스컴부유물을 스컴블레이드(60)로 밀어내는 과정은 도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컴스키머의 사시도이다.
상기 수류안내날개(41)는 상기 스컴스키머(40)에 접하는 근부에서 상기 회전축(30)을 향하여 θ각(0°θ45°)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4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류흐름의 상세도이다.
스컴스키머(40)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며, 수류안내날개(41)와 하부수류안내날개(45)가 하·폐수의 수면위에 있는 스컴부유물을 스컴블레이드(60)로 밀어낸다. 수류안내날개(41)가 하·폐수의 수표면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하·폐수는 수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수류공(43)으로 빠져 나가고, 스컴부유물은 상기 수류안내날개(41)의 말단에 있는 스컴블레이드(60)로 모이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곡선형 스컴스키머의 상세도이다.
곡선형 스컴스키머(49)는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 있다. 곡선형 스컴스키머(49)가 회전하면서 하·폐수에 떠있는 스컴부유물을 스컴블레이드(60) 방향으로 밀어내며, 곡선형 스컴스키머(49)가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 있으므로 스컴부유물을 스컴블레이드(60)로 밀어내는 효과가 크다.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부양식스컴박스 상세도이다.
스컴박스(70)의 하부에 스컴박스를 수면위에 뜨게 하는 공기탱크(71)가 있다. 스컴박스(70)의 내부에는, 공기탱크(71)와 연결되어 공기탱크(71)에 저장된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탱크마개(72)가 있다. 스컴박스의 을측상부에는 스컴부유물을 완전포집하기 위하여 경사판(74)가 있으며, 상기 경사판(74)의 양측면에는 수직으로 부착되는 경사판 가이드(73)가 있다. 스컴박스의 타측상부에는 스컴블레이드(60)에 부착된 스컴부유물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77)가 부착된다. 스컴박스(70)의 좌측면에는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고정시키고, 스컴박스(70)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동수단(80)이 있다.
스컴스키머가 회전하며 수집한 스컴부유물은 스컴블레이드(60)에 모이게되며, 스컴블레이드(60)가 수집된 스컴부유물을 경사판(74)로 유도하여 경사판(74)의 위로 지나가며, 스컴부유물을 스컴박스(70)에 넣는다.
가동수단(80)은, 스컴블레이드(60)가 스컴박스(70)에 스컴부유물을 넣는 과정에서 스컴박스(70)의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7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부양식스컴박스의 가동수단 상세도이다.
가동수단(80)은,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고정되는 인서트플레이트(83)와, 인서트플레이트(83)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스컴박스가 상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스컴박스롤러(85)가 있으며, 스컴박스롤러(85)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운동을 하는 수직 안내판(81)과, 수직 안내판(81)의 상부에 부착되어 스컴박스(80)의 상하 운동시에 수면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바(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수류안내날개의 위치 또는 형태를 변형하거나, 가동수단을 공기부양식이 아닌 스프링등의 탄성부재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형침전지의 하·폐수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하·폐수의 수면위에 떠있는 스컴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수집하며,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배출하는 효율이 높다. 특히, 하·폐수의 수량이 적은 경우에도 스컴부유물을 원형침전지에서 배출할 수 있다.

Claims (12)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컴스키머를 포함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컴스키머는,
    상기 회전축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상기 스컴스키머의 회전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류안내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수류안내날개가 상기 스컴스키머에 접하는 근부와, 상기 수류안내날개의 돌출말단이 이루는 각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안내날개가 상기 스컴스키머에 접하는 근부는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0°~45°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안내날개는,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상기 스컴스키머의 회전축 쪽으로 볼록하게 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스키머에는,
    상기 수류안내날개가 부착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스컴스키머를 관통하여 상기 수류안내날개에 의하여 모여진 물이 빠져나가는 수류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스키머의 하단부에는,
    꺾임새로 부착된 하부수류안내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류안내날개는,
    상기 스컴스키머의 중심하부에서 상기 스컴스키머가 상기 회전축과 접하는 부위에는 회전방향으로 꺾임새로 부착되며, 상기 스컴스키머의 중심하부에서 말단부위에는 회전반대방향으로 꺾임새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스키머는,
    상기 스컴스키머의 회전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안내날개와 상기 수류공은 수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10. 스컴스키머 및 상기 스컴스키머의 말단에 부착된 스컴블레이드가 포집한 스컴부유물이 원형침전지에서 배출되는 스컴박스에 있어서,
    상기 스컴박스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컴박스를 수면위에 뜨게 하는 공기탱크;
    상기 스컴박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탱크에 저장된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탱크마개;
    상기 스컴박스를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고정시키며, 상기 스컴박스가 상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동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스컴박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단은,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벽에 고정되는 인서트플레이트;
    상기 인서트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부착되며, 스컴박스가 상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스컴박스롤러;
    상기 인서트플레이트와 상기 스컴박스롤러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스컴박스롤러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운동을 하며, 상기 스컴박스가 부착되는 수직 안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스컴박스.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안내판의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스컴박스의 상하 운동시에 수면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바;
    스컴부유물을 완전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스컴박스의 일측상부에 부착되는 경사판;
    스컴부유물을 완전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판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경사판 가이드;
    상기 스컴블레이드에 부착된 스컴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컴박스의 타측상부에 부착된 스크레퍼;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스컴박스.
KR1020000041458A 2000-07-19 2000-07-19 스컴제거장치 KR10036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58A KR100362122B1 (ko) 2000-07-19 2000-07-19 스컴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58A KR100362122B1 (ko) 2000-07-19 2000-07-19 스컴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918A true KR20020007918A (ko) 2002-01-29
KR100362122B1 KR100362122B1 (ko) 2002-11-23

Family

ID=1967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458A KR100362122B1 (ko) 2000-07-19 2000-07-19 스컴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1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102B1 (ko) * 2005-04-25 2006-09-06 (주)송림워터테크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711375B1 (ko) * 2001-05-07 2007-05-02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조 상층부의 유기물 합성 입자 분리 처리장치
KR101028035B1 (ko) * 2010-10-12 2011-04-08 장순영 하수종말처리시스템
KR101047166B1 (ko) * 2010-07-19 2011-07-06 권혁성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부상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150B1 (ko) * 2010-02-04 2010-08-31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스컴 제거장치
KR102027321B1 (ko) * 2019-01-24 2019-10-01 (주)포웰 소화조의 스컴제거장치
KR102206080B1 (ko) * 2019-01-24 2021-01-21 (주)포웰 스컴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JP2000093943A (ja) * 1998-09-25 2000-04-04 Kurita Water Ind Ltd 加圧浮上装置
KR200260169Y1 (ko) * 1998-12-31 2002-11-23 유효연 스컴제거가신속한주변구동형원형침전지의슬러지수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75B1 (ko) * 2001-05-07 2007-05-02 주식회사 포스코 침전조 상층부의 유기물 합성 입자 분리 처리장치
KR100620102B1 (ko) * 2005-04-25 2006-09-06 (주)송림워터테크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047166B1 (ko) * 2010-07-19 2011-07-06 권혁성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부상분리장치
KR101028035B1 (ko) * 2010-10-12 2011-04-08 장순영 하수종말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122B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6646B2 (ja) 沈殿槽
US4693821A (en) Weir for waste water treatment systems
KR101877738B1 (ko) 배출수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크래퍼 회전형 스컴 제거 장치
KR100362122B1 (ko) 스컴제거장치
JP4470486B2 (ja) 沈殿槽
KR100620102B1 (ko)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157552Y1 (ko)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KR100533523B1 (ko)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KR102066510B1 (ko) 경사형 스파이럴 슬러지수집기
KR20190126951A (ko) 분산공기부상식 고액 분리기
KR101989834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26914B1 (ko) 정수 및 하·폐수 처리용 고속침전지
KR200260169Y1 (ko) 스컴제거가신속한주변구동형원형침전지의슬러지수집기
JP2000024656A (ja) 浮上油回収装置
KR200255885Y1 (ko) 원형침전지의슬러지수집기
KR20030044443A (ko) 벤튜리형 침전장치
KR200359700Y1 (ko) 부유물 수집기
CN202666483U (zh) 一种刮泥刮渣机
JPH09271754A (ja) 浮上分離装置
CN218221491U (zh) 一种用于污水中污泥处理的沉降池
CN220887044U (zh) 一种水处理沉淀池漂浮物清理装置
JPH11333210A (ja) 沈殿分離装置
JPS6327832Y2 (ko)
JP2525584Y2 (ja) 処理装置
JPH08309107A (ja) 円形沈澱池のスカム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6